KR101649042B1 - 유압브레이커의 완충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유압브레이커의 완충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9042B1
KR101649042B1 KR1020140152045A KR20140152045A KR101649042B1 KR 101649042 B1 KR101649042 B1 KR 101649042B1 KR 1020140152045 A KR1020140152045 A KR 1020140152045A KR 20140152045 A KR20140152045 A KR 20140152045A KR 101649042 B1 KR101649042 B1 KR 1016490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heat dissipating
step portion
panel
hydraulic brea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20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52161A (ko
Inventor
최이광
Original Assignee
최이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이광 filed Critical 최이광
Priority to KR10201401520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9042B1/ko
Publication of KR201600521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21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90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90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96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arrangements for alternate or simultaneous use of different digg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ercussive Tools And Related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압브레이커의 완충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피스톤과 연결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하단부에 설치되는 치즐과, 상기 본체가 삽입되어 지지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로 삽입 설치되며 본체의 저면과 하단 외주면에 설치되는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패널은, 상기 본체의 외면에 접촉되는 방진판; 상기 방진판의 외면에 일정 두께로 형성되며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수용공간의 외벽을 형성하면서 방열성능을 갖는 MC 나일론 재질로 구성되는 방열단턱부; 상기 방열단턱부의 수용공간에 충진되어 방열단턱부와 동일한 두께가 되도록 일체로 형성되어 흡음성을 갖는 방음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에 따르면 유압브레이커 본체와 본체가 삽입되는 케이스 사이에 설치되어 본체의 하단과 외주면에 설치되는 패널에 방음성과 방열성을 갖도록 하여 진동으로부터 발생되는 소음과 열을 효과적으로 흡수 및 완충시켜 소음 발생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으면서 오일침윤이나 압박에 의한 형상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어 성능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유압브레이커의 완충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Buffer of the hydraulic breaker and preparation thereof}
본 발명은 유압브레이커의 완충장치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유압브레이커의 진동 작업 중에 발생되는 소음 및 진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유압브레이커의 완충장치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압 브레이커는 굴삭기의 아암에 버켓 대신에 설치되어 토목 공사나 건물 기초 공사에서 암석 파쇄, 말뚝 박기 등에 사용되는 작업기의 일종으로서, 타격 장치의 본체 내에는 상하 왕복 운동하는 피스톤이 내장되어있고, 피스톤 아래쪽에는 암석을 파쇄하기 위한 치즐(chisel) 또는 말뚝을 박기 위해 말뚝을 잡아 주는 호울더가 설치되는 구조이다.
상기 피스톤은 타격 장치에 공급되는 유압에 의해 상하 왕복 운동을 반복하며, 특히 하강시에 유압이나 압축 가스의 힘으로 빠른 속도록 하강하여 암석 파쇄를 위한 치즐이나 말뚝을 박기 위한 말뚝 홀더를 강하게 타격하게 된다.
이러한 타격에 수반하여 타격 장치의 본체에는 피스톤을 강하게 하강시키기 위해 공급되는 유압이나 압축 가스에 대한 반력이 작용하게 되고, 또 피스톤의 강한 충격에 의해 타격 장치 본체의 진동이 유발된다.
즉, 피스톤이 타격 장치의 본체 내에서 유압이나 압축가스의 힘에 의해 상하 로 가속되어 왕복 운동을 하면서, 하강시에 하사점에서 치즐 또는 말뚝 홀더를 강하게 타격하게 되는데, 이때 피스톤을 밀어 내리던 유압실에는 피스톤의 반동으로 인해 큰 충격압이 형성된다.
이러한 타격 장치 본체 내부의 유압이나 가스의 압력 변동은 타격 장치 본체의 진동을 유발하게 되고, 타격 장치 본체의 진동은 타격 장치를 지지하고 있는 브라켓트의 진동을 유발하게 되어 심한 소음을 일으키게 된다.
본 출원인의 선출원 발명인 국내 등록실용 20-0352134호에는 '유압브레이커의 방진구'가 개시되어 있다.
이 기술은 종래의 방진구에서 발생되는 열화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피스톤과 연결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하단부에 설치되는 치즐과, 본체가 삽입 지지되는 케이스와, 케이스의 내부로 삽입 설치되는 본체 저면과 하단 외주면에 우레탄 재질의 방진구가 설치되는 것에 있어서, 본체의 외주면과 접촉되는 방진판의 내측면과 저면에 접촉되는 저면판의 상부에 방열판을 설치시켜 구성되는 것에 특징을 둔 것이다.
그러나 이 기술은 현장에서 실시해본 결과 방열 성능은 충족시키나 소음 발생의 문제는 여전히 해결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었다.
한편 본 출원인의 선출원 발명인 국내 등록실용 20-0340350호에는 '브레이커의 방진구'가 개시되어 있다.
이는 피스톤이 설치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하단부에 설치되는 치즐과, 상기 본체가 삽입되어 지지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로 삽입 설치되는 본체의 저면과 하단 외주면에 우레탄 재질의 방진구가 설치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하단 외주연에 밀착 설치되는 각각의 면을 서로 결합시켜 일체로 형성시키고, 일체로 결합된 각 면의 하단에 치즐이 관통되는 통공을 구비하는 저면판의 일체로 결합 형성시켜 구성되는 것에 특징을 둔 것이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은 측면과 저면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 규격에 따라 전체 구성을 제작하여야 하므로 호환성이 낮고 일부분에 대한 파손에도 전체를 교체하여야 하므로 비용이 많이 소요되었으며, 아울러 우레탄 재질의 방진구로는 소음을 제거하는데 한계가 있어 소비자의 수요를 충족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유압브레이커 본체와 본체가 삽입되는 케이스 사이에 설치되어 본체의 하단과 외주면에 설치되는 패널에 방음성과 방열성을 갖도록 하여 진동으로부터 발생되는 소음과 열을 효과적으로 흡수 및 완충시켜 소음 발생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으면서 오일침윤이나 압박에 의한 형상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어 성능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유압브레이커의 완충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1.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피스톤과 연결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하단부에 설치되는 치즐과, 상기 본체가 삽입되어 지지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로 삽입 설치되며 본체의 저면과 하단 외주면에 설치되는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패널은, 상기 케이스의 내면에 접촉되는 방진판; 상기 방진판의 외면에 일정 두께로 형성되며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수용공간의 외벽을 형성하면서 방열성능을 갖는 MC 나일론 재질로 구성되며 본체에 접촉되는 방열단턱부; 상기 방열단턱부의 수용공간에 충진되어 방열단턱부와 동일한 두께가 되도록 일체로 형성되어 흡음성을 갖는 방음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브레이커의 완충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방열단턱부는 내주면에 요철부가 형성되어 방음부재의 고착이 용이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방음부재는 발포고무 소재이며, 내열성을 갖는 소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방음부재는 표면에 요철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2.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피스톤과 연결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하단부에 설치되는 치즐과, 상기 본체가 삽입되어 지지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로 삽입 설치되는 본체의 저면과 하단 외주면에 설치되는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패널은, 상기 본체의 외면에 접촉되며 우레탄 소재로 이루어진 방진판; 상기 방진판의 외면에 일정 두께로 형성되며 발포고무 소재로 이루어져 흡음성을 갖는 방음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브레이커의 완충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방진판의 가장자리에 복수로 부착되며, 방음판의 두께와 동일하거나 약간 큰 두께를 갖도록 형성되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유압브레이커 본체와 본체가 삽입되는 케이스 사이에 설치되어 본체의 하단과 외주면에 설치되는 패널에 방음성과 방열성을 갖도록 하여 진동으로부터 발생되는 소음과 열을 효과적으로 흡수 및 완충시켜 소음 발생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으면서 오일침윤이나 압박에 의한 형상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어 성능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압브레이커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패널'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상기 도 2에 도시된 패널이 적용된 유압브레이커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패널'을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패널'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압브레이커의 완충장치에 적용되는 패널을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상기 도 6의 패널을 제조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8은 상기 도 6에 도시된 패널이 적용된 유압브레이커를 나타낸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에서 설명될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함을 밝혀둔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압브레이커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패널'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상기 도 2에 도시된 패널이 적용된 유압브레이커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패널'을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패널'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압브레이커의 완충장치에 적용되는 패널을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상기 도 6의 패널을 제조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8은 상기 도 6에 도시된 패널이 적용된 유압브레이커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압브레이커의 완충장치는,
피스톤(104)과 연결되는 본체(100); 상기 본체(100)의 하단부에 설치되는 치즐(220)과, 상기 본체(100)가 삽입되어 지지되는 케이스(200)로 구성되는 유압브레이커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200)의 내부로 삽입 설치되며 본체(100)의 저면과 하단 외주면에 설치되는 패널(2);을 포함한다.
상기 패널(2)은, 케이스(200)의 내면에 접촉되는 방진판(22); 상기 방진판(22)의 외면에 일정 두께로 형성되며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수용공간의 외벽을 형성하면서 방열성능을 갖는 MC 나일론 재질로 구성되며 본체(100)의 외면에 접촉되는 방열단턱부(24); 방열단턱부(24)의 수용공간에 충진되어 방열단턱부(24)와 동일한 두께가 되도록 일체로 형성되어 흡음성을 갖는 방음부재(2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방진판(22)은 우레탄 소재이며 일정 면적을 갖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본체(100)의 치즐(220)이 진동하면서 작동되는 동안 발생되는 충격을 흡수하게 된다.
방진판(22)의 일면의 가장자리에 방열단턱부(24)가 형성된다.
방열단턱부(24)는 강성을 가짐과 동시에 열이 직접적으로 외부로 전달되지 않도록 차단할 수 있는 방열성능을 갖는 비철금속 또는 철 및 합성수지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윤활성능이 우수하고, 내충격성이 강한 MC 나일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효과적이다.
방열단턱부(24)의 내측 수용공간에는 방음부재(26)가 일체가 되도록 성형된다. 방음부재(26)의 고착력이 향상되도록 수용공간의 내주면에는 오돌토돌한 요철부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방음부재(26)는 내열성을 갖는 소재이면서 흡음성이 뛰어난 소재가 바람직하고, 본 실시예에서는 방음부재(26)로서 발포고무가 적용된다.
발포고무는 내열성이 약 150~200℃까지 견딜수 있는 실리콘이 혼합된 제품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방음부재(26)의 외주연에 방열단턱부(24)가 형성되고, 배면에는 방진판(22)이 형성되어 구성됨으로써 유압브레이커의 동작시 발생되는 진동 충격은 직접 방열단턱부(24)에 전달된 후 방진판(22)으로 전달되므로 방열단턱부(24)에 의해 1차 적인 감쇄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유압브레이커의 동작시 발생되는 마찰열도 방열단턱부(24) 및 방음부재(26)에 의해 차단됨으로써 방진판(22)이 열화되어 내구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유압브레이커의 동작시 발생되는 소음은 방음부재(26)에 의해 효과적으로 흡음되어 케이스 외부로 발생되는 소음은 현저히 낮아질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유압브레이커의 동작시 본체(100)의 충격 가압에 의해 방음부재(26)가 과도하게 압축되지 않도록 방열단턱부(24)가 보호해줄 수 있고, 마찰열 및 진동, 소음은 방음부재(26)와 방열단턱부(24)가 효과적으로 차단해줄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패널'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패널(2)은, 방진판(22)의 일면의 가장자리에 방열단턱부(24)가 형성되고, 방열단턱부(24)의 내측 공간에는 방음부재(26)가 형성되어 패널(2)이 형성되고, 상기 방음부재(26)는 표면에 요철부(262)가 형성된다.
요철부(262)가 형성됨으로서 흡음성능이 향상될 수 있고, 본체(100)와 접촉되는 마찰면적이 감소될 수 있어 마찰열에 의해 열화 피해를 절감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압브레이커의 완충장치에 적용되는 패널의 제조 방법을 살펴보면,
1단계(S1)
MC나일론 소재로 방열단턱부(24)를 특정 형상으로 가공하되 내부에 방음부재(26)가 결합되도록 수용공간을 갖는 형상으로 가공하고, 아울러 발포고무로 방음부재(26)를 가공한다.
2단계(S2)
형틀을 준비하고, 형틀에 MC나일론 소재의 방열단턱부(24)를 삽입한다.
3단계(S3)
형틀과 방열단턱부(24)의 외주 틈새에 액상의 우레탄을 투입한다.
4단계(S4)
우레탄이 경화되기 전에 방음부재(26)를 방열단턱부(24)의 수용공간에 투입한다.
5단계(S5)
형틀을 밀봉시키고 경화 및 숙성시킨다.
6단계(S6)
형틀을 분리하여 완성된 패널(2)을 취출한다.
따라서 방진판(22)의 일면의 가장자리에 방열단턱부(24)가 형성되고, 방열단턱부(24)의 내측 공간에는 방음부재(26)가 형성되어 패널(2)이 완성된다.
한편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압브레이커의 완충장치에 적용되는 패널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피스톤(104)과 연결되는 본체(100); 상기 본체(100)의 하단부에 설치되는 치즐(220)과, 상기 본체(100)가 삽입되어 지지되는 케이스(200)로 구성되는 유압브레이커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200)의 내부로 삽입 설치되며 본체(100)의 저면과 하단 외주면에 설치되는 패널(2');을 포함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널(2')은,
케이스(200)의 내면에 접촉되며 우레탄 소재로 이루어진 방진판(22');
상기 방진판(22)의 외면에 일정 두께로 형성되며 발포고무 소재로 이루어져 흡음성을 가지며 본체(100)의 외면에 접촉되는 방음판(28')으로 구성된다.
또한 방진판(22)의 가장자리에 복수로 부착되며, 방음판(28')의 두께와 동일하거나 약간 큰 두께를 갖도록 형성되는 스토퍼(29')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스토퍼(29')는 강성과 방열성능 및 내충격성이 강한 MC 나일로 재질로 이루어진다.
방음판(28')은 내열성을 갖는 소재이면서 흡음성이 뛰어난 발포고무 소재로 이루어진다.
발포고무는 내열성이 약 150~200℃까지 견딜수 있는 실리콘이 혼합된 제품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스토퍼(29')가 본체(100)에 접촉되고, 방음판(28')은 본체(100)의 외면과 근소한 차이를 두고 이격되어 배치되며, 유압브레이커의 동작시 발생되는 진동 충격은 스토퍼가 지지하면서 1차 적인 감쇄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유압브레이커의 동작시 발생되는 마찰열은 스토퍼(29') 및 방음판(28')에 의해 차단됨으로써 방진판(22)이 열화되어 내구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더욱이 유압브레이커의 동작시 발생되는 소음은 방음판(28')에 의해 효과적으로 흡음되어 케이스 외부로 발생되는 소음은 현저히 낮아질 수 있게 된다.
상기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압브레이커의 완충장치에 적용되는 패널(2')의 제조방법을 도 7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1단계(S1)
발포고무로 방음판(28')을 가공한다.
2단계(S2)
형틀을 준비한다.
3단계(S3)
형틀에 우레탄 소재를 투입하고, 우레탄이 경화되기 전에 방음판(28')을 삽입한다.
4단계(S4)
일정시간동안 경화시켜 우레탄 소재의 방진판(22')과 방음판(28')으로 구성된 패널(2')이 완성된다.
5단계(S5)
완성된 패널(2') 주변에 스토퍼(29') 배치되고, 스토퍼(29')는 패널(2')의 외주연에 닿도록 하여 배치되어 형상 변형이나 자리 이탈을 방지하도록 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패널(2')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음판(28')과 방진판(22)으로 된 2겹의 구조를 이루게 되고, 가장자리에는 경질재인 스토퍼(29')가 부분적으로 형성된다.
유압브레이커의 케이스(200)의 내면에는 스토퍼(29')에 밀착되도록 금속지지대(190)가 형성된다.
따라서 스토퍼(29')는 유압브레이커의 진동시 본체(100)의 하중이 직접 방음판(28')에 전달되지 않도록 저지해주는 역할을 하면서 금속지지대(190)에 의해 외부로 이탈되지 않고 자리를 유지할 수 있게 되고, 방음판(28')은 소음을 흡수할 수 있게 되며, 방진판은 진동을 차단하게 되는 것이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청구의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2 : 패널 22 : 방진판
24 : 방열단턱부 26 : 방음부재

Claims (5)

  1. 피스톤과 연결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하단부에 설치되는 치즐과, 상기 본체가 삽입되어 지지되는 케이스로 구성되는 유압브레이커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내부로 삽입 설치되며 본체의 저면과 하단 외주면에 설치되는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패널은,
    상기 케이스의 내면에 접촉되는 방진판;
    상기 방진판의 외면에 일정 두께로 형성되며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수용공간의 외벽을 형성하면서 방열성능을 갖는 MC 나일론 재질로 구성되어 본체의 외면에 접촉되는 방열단턱부;
    상기 방열단턱부의 수용공간에 충진되어 방열단턱부와 동일한 두께가 되도록 일체로 형성되어 흡음성을 갖는 방음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방열단턱부는
    유압브레이커의 동작시 발생되는 진동 충격은 직접 전달되어 1차 감쇄되도록 하고,
    상기 수용공간의 내주면에 요철부가 형성되어 방음부재의 고착이 용이하도록 하고,
    상기 방음부재는
    실리콘이 혼합되어 내열성과 흡음성을 갖는 발포고무로 이루어지며,
    표면에 요철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브레이커의 완충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40152045A 2014-11-04 2014-11-04 유압브레이커의 완충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6490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2045A KR101649042B1 (ko) 2014-11-04 2014-11-04 유압브레이커의 완충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2045A KR101649042B1 (ko) 2014-11-04 2014-11-04 유압브레이커의 완충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2161A KR20160052161A (ko) 2016-05-12
KR101649042B1 true KR101649042B1 (ko) 2016-08-17

Family

ID=560247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2045A KR101649042B1 (ko) 2014-11-04 2014-11-04 유압브레이커의 완충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904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2134Y1 (ko) * 2004-03-02 2004-06-04 최이광 브레이커의 방진구
KR200448270Y1 (ko) * 2007-10-30 2010-03-29 주식회사 지비 굴삭기용 브레이커 및 브레이커의 차음 방진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2134Y1 (ko) * 2004-03-02 2004-06-04 최이광 브레이커의 방진구
KR200448270Y1 (ko) * 2007-10-30 2010-03-29 주식회사 지비 굴삭기용 브레이커 및 브레이커의 차음 방진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2161A (ko) 2016-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35799B1 (ko) 유압브레이커용 피스톤
KR101551171B1 (ko) 콤팩트
KR20100089463A (ko) 치즐 고정장치
KR101551168B1 (ko) 콤팩트
JP5128970B2 (ja) 床支持具及び床構造
JP5610972B2 (ja) 液体封入式防振装置
KR101649042B1 (ko) 유압브레이커의 완충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713234B1 (ko) 방진지지유닛과 이를 이용한 진동리퍼
JP5916502B2 (ja) 防振支持構造体
KR20200000073U (ko) 저소음형 중장비 브레이커
KR100906468B1 (ko) 저소음형 유압 타격 장치
KR20200047460A (ko) 신축형 실링장치와 이를 이용한 저소음 브레이커
KR200448270Y1 (ko) 굴삭기용 브레이커 및 브레이커의 차음 방진판
KR101270866B1 (ko) 브레이커용 방진장치
KR100550665B1 (ko) 이중 구조를 갖는 브레이커의 방진 쿠션
KR20190088856A (ko) 밀폐된 변형공간을 이용한 방진구조체 및 이를 구비한 진동리퍼
KR101179956B1 (ko) 굴삭기용 브레이커
KR101401670B1 (ko) 브레이커의 방진장치
KR20150002188A (ko) 유압브레이커용 치즐고정장치
JP4891295B2 (ja) 液封入式防振装置
JP6089154B2 (ja) 低騷音型油圧打撃装置
KR100950089B1 (ko) 굴삭기용 브레이커 및 브레이커용 댐핑장치
JP7182443B2 (ja) 緩衝体、免震建物及び建物
KR102197884B1 (ko) 저소음 구조를 갖는 브레이커
KR100776574B1 (ko) 브레이커의 방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