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7227Y1 - 샌드위치 복합 패널 - Google Patents

샌드위치 복합 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7227Y1
KR200447227Y1 KR2020090008347U KR20090008347U KR200447227Y1 KR 200447227 Y1 KR200447227 Y1 KR 200447227Y1 KR 2020090008347 U KR2020090008347 U KR 2020090008347U KR 20090008347 U KR20090008347 U KR 20090008347U KR 200447227 Y1 KR200447227 Y1 KR 20044722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ynthetic resin
composite panel
resin foam
sandwich composite
f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834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옥주
Original Assignee
에스와이패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와이패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와이패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9000834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722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722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722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2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 E04C2/28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at least one of the materials being insulating
    • E04C2/29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at least one of the materials being insulating composed of insulating material and sheet met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E04B1/94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against fir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3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 E04C2/3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composed of two or more spaced sheet-like parts
    • E04C2/3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composed of two or more spaced sheet-like parts spaced apart by transversely-placed strip material, e.g. honeycomb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72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specially adapted, structured or shaped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7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specially adapted, structured or shaped covering or lining elements composed of several layers, e.g. sandwich pa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서로 이격된 한 쌍의 금속판과, 상기 한 쌍의 금속판 사이에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 한 쌍의 제 1 불연재와, 상기 제 1 불연재 사이에 합성수지 발포체와 제 2 불연재로 충전되는 충전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샌드위치 복합 패널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샌드위치 복합 패널은 불연재 사이사이에 합성수지 발포체가 위치되도록 구성되므로, 어느 한 합성수지 발포체로 불이 옮겨 붙는다 해도, 충전재 전체로 불이 번지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샌드위치 복합 패널{Sandwich Composition Panel}
본 고안은 샌드위치 복합 패널에 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합성수지 발포체에 불이 붙는다 해도, 충전재 전체로 불이 번지지 않도록 할 수 있는 샌드위치 복합 패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샌드위치 패널은 설계 시공이 간편하고, 단열성능이 우수하여, 간이 구조물, 건축물 등의 지붕, 벽체 등 외피를 구성하기 위한 건축용 자재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샌드위치 패널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 한 쌍의 금속판 사이에 스티로폼이나 폴리우레탄폼 등과 같은 합성수지 발포체 또는 미네랄울, 글라스울 등과 같은 무기재료로 구성되는 충전재를 충전시켜서 제작된다. 여기서 상기 충전재로 합성수지 발포체를 사용하게 되면, 가격이 저렴한 장점이 있으나, 화재시 급속도로 불이 붙음은 물론, 다량의 유독가스가 급속도로 발생되는 문제점 등이 있다. 따라서, 합성수지 발포체 대신에 불연재를 충전재로 사용하기도 하는데, 충전재가 전부 불연재로 이루어진 경우, 화재시에 비교적 안전한 장점이 있지만, 불연재가 비교적 고가이기 때문에, 샌드위치패널의 가격이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국내동록실용신안 제20-838823호에서 유해물질 배출방지용 불연성 샌드위치패널이 출원된 바 있다. 이러한 샌드위치패널은 한 쌍의 이격된 금속판 사이에 충전재를 충전하되, 상기 충전재는 중간 부분에 불연재를 충전하고, 이 불연재의 양끝단에 스티로폼을 충전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는, 충전재가 전부 스티로폼으로 이루어진 것에 비하여, 화재시에 불연재가 남아 있어서 비교적 안전한 장점이 있으며, 충전재가 전부 불연재로 이루어진 샌드위치패널에 비해 가격을 낮출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종래 샌드위치패널은 그 양끝단에 스티로폼이 충전되므로, 화재시 서로 연결된 샌드위치패널의 연결부분 사이로 불이 침투할 때, 스티로폼에 바로 불이 붙기 때문에, 다량의 유독가스가 급속도로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고자,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샌드위치 패널(100)의 금속판(110) 사이에 충전되는 충전재로써, 양 끝단에 불연재(122)를 배치하고, 불연재(122) 사이에 스티로폼(125)을 배치하여, 화재시 스티로폼(125)에 바로 불이 붙지 않도록 한 종래 샌드위치 패널이 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 샌드위치 패널(100)은 불연재(122)를 통하여 스티로폼(125)에 직접 불이 붙지 않는다 해도, 금속판(110)을 통한 간접적인 열기에 의하여 스티로폼(125)에 간접적으로 불이 붙을 수 있으며, 이처럼 스티로폼(125)의 어느 한 부분에 불이 붙게 되면, 스티로폼(125)의 특성상, 스티로폼(125) 전체로 급 속도로 불이 번지게 되며, 이로 인하여 다량의 유독가스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고안의 목적은 합성수지 발포체에 불이 붙는다 해도, 충전재 전체로 불이 번지지 않도록 할 수 있는 샌드위치 복합 패널을 제공하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서로 이격된 한 쌍의 금속판과, 상기 한 쌍의 금속판 사이에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 한 쌍의 제 1 불연재와, 상기 제 1 불연재 사이에 합성수지 발포체와 제 2 불연재로 충전되는 충전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샌드위치 복합 패널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합성수지 발포체와 제 2 불연재가 서로 교호적으로 배치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샌드위치 복합 패널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합성수지 발포체와 제 2 불연재가 격자패턴으로 배치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샌드위치 복합 패널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 1 불연재의 외측에 코팅부가 위치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샌드위치 복합 패널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충전부에서 상기 제 1 불연재가 위치되지 않은 양 단부에는 제 3 불연재가 위치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샌드위치 복합 패널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 1 불연재 또는 상기 제 2 불연재는 글라스울, 미네랄울 또는 엔프리코아 중에서 선택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샌드위치 복합 패널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합성수지 발포체는 스티로폼 또는 폴리우레탄폼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샌드위치 복합 패널을 제공한다.
본 고안에 따른 샌드위치 복합 패널은 불연재 사이사이에 합성수지 발포체가 위치되도록 구성되므로, 어느 한 합성수지 발포체로 불이 옮겨 붙는다 해도, 충전재 전체로 불이 번지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샌드위치 복합 패널은 제 1 불연재의 외측에 난연성 코팅부를 코팅시켜서, 불연성은 유지하면서도, 유리가루와 같은 인체에 유해한 물질은 외부로 배출되지 못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샌드위치 복합 패널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샌드위치 복합 패널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샌드위치 복합 패널 을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샌드위치 복합 패널(5)은 서로 이격된 한 쌍의 금속판(10) 사이에 충전재(20)가 충전되어 구성된다.
충전재(20)는 길이방향으로 긴 한 쌍의 제 1 불연재(22)가 상호 이격 배치되고, 이격된 제 1 불연재(22) 사이에 충전부(23)가 배치된다. 상기 충전부(23)는 길이방향으로 긴 다수 개의 합성수지 발포체(25)와 다수 개의 제 2 불연재(24)가 서로 교호적으로 배치되어 구성된다.
여기서 제 1 불연재(22) 또는 제 2 불연재(24)는 글라스울(Glass Fiber)이나 미네랄울(Mineral Fiber)이나 엔프리코아(Enfree Core)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고, 합성수지 발포체(25)는 스티로폼(Styrofoam) 또는 폴리우레탄폼(Polyurethane Foam)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처럼 본 고안의 충전재(20)는 제 1 불연재(22) 또는 제 2 불연재(24) 사이사이에 합성수지 발포체(25)가 위치되도록 구성되므로, 전체가 글라스울이나 미네라울과 같은 값비싼 불연재로 구성된 종래 충전재에 비하여, 값이 저렴해지는 장점이 있다.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샌드위치 복합 패널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샌드위치 복합 패널(5)에 불이 발생한 경우를 도시한 것으로서, 불은 충전재(20)의 제 1 불연재(22)에 의하여 합성수지 발포체(25)로 직접 번지지 않으나, 불의 열기에 의하여 한 쌍의 제 1 불연재(22) 사이에 위치된 합성수지 발포체(25)로 간접적으로 번질 수 있다. 그리고 간접적인 열기에 의하여 어느 한 합성수지 발포체(25)에 불이 붙었을 때, 상기 합성수지 발포체(25)의 양 측에는 제 1 불연재(22) 또는 제 2 불연재(24)가 위치되므로, 불이 붙은 상기 합성수지 발포체(25)만 전소 또는 반소될 뿐, 충전재(20) 전체로 불이 번지지 않게 된다.
이처럼 본 고안의 샌드위치 복합 패널(5)은 고열로 인하여 다수의 합성수지 발포체(25) 중 어느 한 합성수지 발포체(25)에 불이 붙는다 하더라도, 충전재(20) 전체로 불이 번지지 않게 되며, 이로 인하여 다량의 유독가스가 발생되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다.
한편, 글라스울과 같은 불연재는 섬유질로 이루어지는데, 이는 생산 공정중 분진으로 발생하여 호흡기,피부등 인체에 유해한 영향을 줄 수 있다. 이에 따라, 샌드위치패널(5)의 외측에 불연재만 배치하면, 난연성은 높아지지만, 작업자 또는 사용자의 건강은 나빠질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제 1 불연재(22)의 외측에 코팅부(22a), 바람직하게는 난연성 코팅부(22a)를 코팅시켜서, 불연성은 유지하면서도, 인체에 유해한 물질은 외부로 배출되지 못하도록 구성된다.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샌드위치 복합 패널을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샌드위치 복합 패널(5)은 상기 제 1 실시예에서 제 3 불연재(22')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샌드위치 복합 패널(5)은 서로 이격된 한 쌍의 금속판(10) 사이에 충전재(20)가 충전되어 구성된다.
충전재(20)는 길이방향으로 긴 한 쌍의 제 1 불연재(22)가 상호 이격 배치되고, 이격된 제 1 불연재(22) 사이에 충전부(23)가 배치된다. 충전부(23)는 다수 개의 합성수지 발포체(25)와 다수 개의 제 2 불연재(24)가 서로 교호적으로 배치되어 구성된다.
이처럼 충전부(23)의 길이방향 양측에는 제 1 불연재(22)가 배치되므로, 화재로 인한 불이 충전재의 제 1 불연재(22)에 도달한다 하더라도, 충전부(23)까지는 침투되지 못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제 1 실시예에서 충전부(23)의 길이방향 양 단부에는 제 1 불연재(22)가 배치되지 않으며, 이에 따라 화재로 인한 불이 합성수지 발포체(25)의 양 단부로 침투하기가 용이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제 1 불연재(22)가 위치되지 않은 충전부(23)의 길이방향 양 단부에 제 3 불연재(22')가 배치되도록 구성된다.
이처럼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샌드위치 복합패널은 제 1 불연재(22)와 제 3 불연재(22') 사이에 충전부(23)가 구비되므로, 화재시 충전부(23)로 불이 용이하게 침투되지 못하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도 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3 실시예에 따른 샌드위치 복합 패널의 충전재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3 실시예에 따른 샌드위치 복합 패널은 상기 제 2 실시예에서 충전부(23)의 형상이 상이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제 2 실시예와 동일하도록 구성된다.
즉, 본 고안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샌드위치 복합 패널은 서로 이격된 한 쌍의 금속판(10: 도 5 도시) 사이에 충전재(20)가 충전되어 구성된다.
충전재(20)는 길이방향으로 긴 한 쌍의 제 1 불연재(22)가 상호 이격 배치되고, 이격된 제 1 불연재(22) 사이에 충전부(23)가 배치되며, 충전부(23)에서 제 1 불연재(22)가 배치되지 않은 양 단부에는 제 3 불연재(22')가 배치된다.
여기서 충전부(23)는 다수 개의 합성수지 발포체(27)와 다수 개의 제 2 불연재(26)가 동일 면상에서 격자 패턴으로 배치되어 구성된다. 이렇게 충전부(23)가 격자 패턴으로 구성되면, 화재시 금속판(10) 등을 통한 간접적인 열기에 의하여 일 합성수지 발포체(27)에 불이 붙는다 하더라도, 일 합성수지 발포체(27)의 양측에는 제 1 불연재(22) 또는 제 2 불연재(26) 또는 제 3 불연재(22')가 위치되므로, 불이 붙은 일 합성수지 발포체(27)만 전소된다. 여기서 상기 합성수지 발포체(27)는 종래처럼 길게 형성되지 않으므로, 전소되는 합성수지 발포체(27)의 면적이 작아, 그만큼 소량의 유독가스만 배출되는 장점이 있다.
도 7 및 도 8은 본 고안의 샌드위치패널을 이용하여 ISO 9705 테스트를 실시 한 결과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ISO 9705 테스트는 내장재의 화재 위험성 평가를 위한 것으로, 국제적인 인지도와 함께 여러나라에서 이를 기준으로 한 내장재의 시험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며, 상기 ISO 9705 테스트를 통하여 화재성장 과정과 실험실 내에서의 열방출율, 일산화탄소 등의 연소가스 농도를 알 수 있다.
도 8에 나타난 SEG 복합제 패널(Test1) 및 PIR 패널(Test2)를 통하여 본 고안의 샌드위치패널 및 종래 샌드위치패널에 대한 ISO 9705 테스트 결과를 살펴보면, 본 고안의 샌드위치 패널(Test1)이 종래 샌드위치 패널(Test2)에 비하여 전반적으로 열방출율 및 연소가스 농도가 낮게 측정되었다.
이를 토대로, 본 고안의 샌드위치패널은 화재시에 급속도로 불이 붙지 않음은 물론, 다량의 유독가스가 급속도로 발생되지 않는 탁월한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에서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고안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샌드위치 패널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샌드위치 복합 패널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샌드위치 복합 패널을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다수 개의 샌드위치 복합 패널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샌드위치 복합 패널을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3 실시예에 따른 샌드위치 복합 패널의 충전재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고안의 샌드위치패널을 이용하여 ISO 9705 테스트를 실시한 결과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 패널 10: 금속판
20: 충전재 22: 제 1 불연재
22a: 코팅부 22': 제 3 불연재
23: 충전부 24, 26: 제 2 불연재
25, 27: 합성수지 발포체

Claims (7)

  1. 서로 이격된 한 쌍의 금속판과,
    상기 한 쌍의 금속판 사이에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 한 쌍의 제 1 불연재와,
    상기 제 1 불연재 사이에 합성수지 발포체와 제 2 불연재로 충전되는 충전부를 포함하고,
    상기 합성수지 발포체와 상기 제 2 불연재가 격자패턴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 1 불연재의 외측에 코팅부가 위치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샌드위치 복합 패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지 발포체와 제 2 불연재가 서로 교호적으로 배치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샌드위치 복합 패널.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부에서 상기 제 1 불연재가 위치되지 않은 양 단부에는 제 3 불연재가 위치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샌드위치 복합 패널.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불연재 또는 상기 제 2 불연재는 글라스울, 미네랄울 또는 엔프리코아 중에서 선택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샌드위치 복합 패널.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지 발포체는 스티로폼 또는 폴리우레탄폼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샌드위치 복합 패널.
KR2020090008347U 2009-06-29 2009-06-29 샌드위치 복합 패널 KR20044722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8347U KR200447227Y1 (ko) 2009-06-29 2009-06-29 샌드위치 복합 패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8347U KR200447227Y1 (ko) 2009-06-29 2009-06-29 샌드위치 복합 패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7227Y1 true KR200447227Y1 (ko) 2010-01-07

Family

ID=442103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8347U KR200447227Y1 (ko) 2009-06-29 2009-06-29 샌드위치 복합 패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7227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6150A (ko) 2018-03-08 2019-09-18 경흥건업(주) 패널
GB2579367A (en) * 2018-11-29 2020-06-24 Xtratherm Ltd An insulation panel
KR102556344B1 (ko) * 2022-02-08 2023-07-14 최재한 준불연 성능이 강화된 사이딩패널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6790Y1 (ko) 2000-04-12 2000-09-15 석찬동 불연성 스치로폼패널의 구조
KR200356633Y1 (ko) 2004-04-30 2004-07-19 신일철구조(주) 조립식 복합패널
KR200373994Y1 (ko) * 2004-10-19 2005-01-21 에스와이패널 주식회사 샌드위치 복합패널
KR100741392B1 (ko) 2006-09-07 2007-07-20 채수하 난연 및 불연성 샌드위치패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6790Y1 (ko) 2000-04-12 2000-09-15 석찬동 불연성 스치로폼패널의 구조
KR200356633Y1 (ko) 2004-04-30 2004-07-19 신일철구조(주) 조립식 복합패널
KR200373994Y1 (ko) * 2004-10-19 2005-01-21 에스와이패널 주식회사 샌드위치 복합패널
KR100741392B1 (ko) 2006-09-07 2007-07-20 채수하 난연 및 불연성 샌드위치패널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6150A (ko) 2018-03-08 2019-09-18 경흥건업(주) 패널
GB2579367A (en) * 2018-11-29 2020-06-24 Xtratherm Ltd An insulation panel
KR102556344B1 (ko) * 2022-02-08 2023-07-14 최재한 준불연 성능이 강화된 사이딩패널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8359B1 (ko) 친환경소재를 이용한 방화용 단열패드
KR200447227Y1 (ko) 샌드위치 복합 패널
CN205475835U (zh) 一种可加热的防水保温墙体
US20070220826A1 (en) Fire-resistant and heat-insulating door/wall structure
KR101273817B1 (ko) 스크린형 차열방화셔터
KR102275607B1 (ko) 내화성 및 단열성, 흡음성을 가지는 삼중 패널 구조
KR101372566B1 (ko) 방화문
CN206015965U (zh) 一种装配式房屋建筑的预制复合墙板
KR101618593B1 (ko) 패널연결재를 이용한 연소 확대 방지용 복합패널
TWI628349B (zh) 防火板及使用其之防火門
CN206972100U (zh) 木质隔热防火门
KR101876205B1 (ko) 솔잎분말이 함유된 불연성 스프레이 몰탈 보온재, 이를 이용한 건축용 보드 및 샌드위치 패널
CN206545319U (zh) 一种具有防火防水功能的建筑板材
JP4408219B2 (ja) 車両用断熱マット材
US20230116620A1 (en) Ventilating firestop
CN210508160U (zh) 一种建筑用保温装饰一体板
Messerschmidt et al. Fire Testing of ETICS a comparative study
RU53921U1 (ru) Огнезащитное устройство
RU53920U1 (ru) Огнезащитное устройство
CN207296045U (zh) 无机复合防火保温板
JP5725333B2 (ja) 木造部材
CN212614363U (zh) 一种门扇和门
JP3157598U (ja) 断熱材板
JPH0647715Y2 (ja) 裁断自在の断熱マット材
KR20120086052A (ko) 흡수심지가 구비된 방화패널 및 이의 설치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3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