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2566B1 - 방화문 - Google Patents

방화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2566B1
KR101372566B1 KR1020130105707A KR20130105707A KR101372566B1 KR 101372566 B1 KR101372566 B1 KR 101372566B1 KR 1020130105707 A KR1020130105707 A KR 1020130105707A KR 20130105707 A KR20130105707 A KR 20130105707A KR 101372566 B1 KR101372566 B1 KR 1013725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inner panel
fire door
refractory solution
refracto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057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중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스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스종합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스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1301057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256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25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25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 E06B5/16Fireproof doors or similar closures; Adaptations of fixed construction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rotection
    • E05Y2800/42Protection against smoke or ga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 E05Y2900/134Fire 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al 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화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구조가 간단하여 제조 및 시공이 간편하고, 화재 발생시 사람들이 충분한 대피시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화재의 확산을 지연,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인체에 유해한 유독가스가 발생하지 않는 방화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방화문에 있어서, 금속 또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는 한 쌍의 외측패널과; 외측패널 사이에 배치되는 종이 또는 섬유 재질로 이루어지는 내측패널과; 내측패널의 상측에 위치하고, 내측에 액상의 내화용액이 충진된 내화용액충진부; 를 포함하되, 내화용액충진부는, 화재에 의해 외측패널 중 어느 하나 또는 둘의 온도가 일정 온도 이상 상승하는 경우 외면이 녹아 내화용액이 흘러나오며, 내화용액이 내측패널에 흡수되어 화재의 확산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문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방화문{FIRE DOOR}
본 발명은 방화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구조가 간단하여 제조 및 시공이 간편하고, 화재 발생시 사람들이 충분한 대피시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화재의 확산을 지연,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인체에 유해한 유독가스가 발생하지 않는 방화문에 관한 것이다.
방화문은 건물 내부에서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 고열의 화염 및 유독가스가 이동/확산하는 것을 방지하여 인명 및 재산의 피해를 줄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그런데, 종래의 방화문은 전면패널과 후면패널 간의 열전도율이 높아 어느 한면에 고열이 가해지면 그 열이 급속하게 상대 면으로 전도되고, 이는 전면 및 후면패널의 변형을 초래하여 화염의 이동/확산을 야기시켰다.
이에,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 평판 사이에 유리섬유나 석면 등의 불연 단열소재를 충입시켜 열이 전도되는 것을 방지하기도 하였으나, 화재 발생시 강력한 화력에 의해 전면패널이나 후면패널이 달구어지는 경우 충입된 유리섬유 또는 석면이 타면서 발생되는 유독가스에 의해 사람이 불이 아닌 유독가스에 의해 질식되어 숨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래서,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방화도어의 구조" 등에서는 화재발생시 높은 고열에 의한 방화문의 변형을 방지하도록 보강부재를 두어 화재발생시 높은 고열에 의한 방화도어의 변형을 방지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화문은 구성요소가 복잡하고 많아 제조비용이 높아질 뿐만 아니라 시공 작업 또한 어려워 작업효율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특허문헌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321494호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 보완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구조가 간단하여 제조 및 시공이 간편한 방화문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화재 발생시 사람들이 충분한 대피시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화재의 확산을 지연,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인체에 유해한 유독가스가 발생하지 않는 방화문을 제공하는 데 있다.
전술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면 방화문에 있어서, 금속 또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는 한 쌍의 외측패널과; 외측패널 사이에 배치되는 종이 또는 섬유 재질로 이루어지는 내측패널과; 내측패널의 상측에 위치하고, 내측에 액상의 내화용액이 충진된 내화용액충진부; 를 포함하되, 내화용액충진부는, 화재에 의해 외측패널 중 어느 하나 또는 둘의 온도가 일정 온도 이상 상승하는 경우 외면이 타거나 녹아 내화용액이 흘러나오며, 내화용액이 내측패널에 흡수되어 화재의 확산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문을 제공한다.
내측패널에는, 내화용액의 흡수 속도를 높일 수 있도록 내측패널의 높이방향을 따라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내화용액흡수공이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내화용액충진부는, 저융점섬유 재질의 외피; 및 내측에 내화용액이 충진되는 합성수지 재질의 내피;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내측패널과 외피 사이에는 송곳부가 배치되고, 송곳부는, 내측패널에 얹혀지는 바아; 및 바아에 마련되는 다수의 송곳부재; 를 포함하되, 송곳부재는, 외피가 타거나 녹아내리는 경우 내피의 하중에 의해 내피에 구멍을 뚫도록 구성될 수 있다.
내화용액은, 수산화칼륨(potassium hydroxide) 15~25중량부, 인산암모늄(ammonium phosphate) 10~20중량부, 규선석(sillimanite) 5~15중량부, 실리콘(silicon) 10~20중량부, 물 20~30중량부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화문에 의하면, 구조가 간단하여 제조 및 시공이 간편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화재 발생시 사람들이 충분한 대피시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화재의 확산을 지연,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인체에 유해한 유독가스가 발생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방화문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방화문의 결합사시도이다.
도 3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방화문에서 사용되는 내화용액충진부의 예시들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방화문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방화문을 이용하여 화재의 확산을 방지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방화문을 이용하여 화재의 확산을 방지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도면은 예시적인 목적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방화문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방화문의 결합사시도이며, 도 3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방화문에서 사용되는 내화용액충진부의 예시들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의 (a) 및 (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방화문(100)은 크게 외측패널(10)과 내측패널(20) 및 내화용액충진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 쌍의 외측패널(10)은 화재에 보다 강한 금속 재질 또는 습기에 강하고 부식되지 않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져 방화문(100)의 외측면에 배치되는 구성요소이다. 여기서, 도시된 도면에서는 외측패널(10)이 판재 형상을 이루어 도 2에서 나타나는 것과 같이 하기에 서술하는 내측패널(20)이 노출되나 외측패널(10)의 양측 말단이 절곡되도록 형성되어 내측패널(20)이 노출되지 않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내측패널(20)은 외측패널(10) 사이에 배치되는 종이 또는 섬유 재질로 이루어지는 구성요소로써, 폐종이나 폐섬유 등을 몰딩하여 제조 가능하며 난연재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내측패널(20)에는, 하기에 서술하는 내화용액(S)의 흡수 속도를 높일 수 있도록 내측패널(20)의 높이방향을 따라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내화용액흡수공(22)이 형성된다.
내화용액충진부(30)는 본 발명의 가장 큰 특징부로써 내측패널(20)의 상측에 위치하고, 내측에 액상의 내화용액(S)이 충진된 구성요소이다. 내화용액충진부(30)는 화재에 의해 외측패널(10) 중 어느 하나 또는 둘의 온도가 일정 온도 이상 상승하는 경우 외면이 타거나 녹아 내측에 충진되어 있던 내화용액(S)이 흘러나오게 되며, 이렇게 흘러나온 내화용액(S)이 내측패널(20)에 흡수됨으로써 열차폐(insulation) 효과로 열전도 및 화재의 확산을 지연, 방지하게 된다. 이때, 내화용액충진부(30)는 외피(32)와 내피(34)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외피(32)는 약 200℃ 정도에서 녹는 저융점섬유 재질로 이루어지고, 내측에 내화용액(S)이 충진되는 내피(34)는 합성수지, 예를 들어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등과 같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내화용액충진부(30)에 충진되는 액상의 내화용액(S)은 수산화칼륨(potassium hydroxide)과 인산암모늄(ammonium phosphate), 규선석(sillimanite), 실리콘(silicon)을 물에 혼합한 혼합물을 사용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수산화칼륨(potassium hydroxide) 15~25중량부, 인산암모늄(ammonium phosphate) 10~20중량부, 규선석(sillimanite) 5~15중량부, 실리콘(silicon) 10~20중량부, 물 20~30중량부를 혼합한 혼합물을 내화용액(S)으로 사용하게 되며, 내화용액(S)을 구성하는 대부분의 요소들은 분말화된 상태로 혼합된다. 수산화칼륨 등의 양이 적으면 반응시간은 짧아지고, 반대로 수산화칼륨 등의 양이 많아지면 내화용액 생성에 요하는 반응시간은 길어진다. 단, 반응에 제공하는 물을 미리 40℃ 내지 50℃로 데워서 가한다면 반응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인산암모늄과 규선석은 난연재로 내화용액에 난연기능을 부가시키게 된다. 수산화칼륨이 15중량부 미만, 인산암모늄이 10중량부 미만, 규선석이 5중량부 미만, 실리콘이 10중량부 미만으로 투입될 경우 내화용액으로써의 기능성이 떨어지게 되고, 수산화칼륨이 25중량부 초과, 인산암모늄이 20중량부 초과, 규선석이 15중량부 초과, 실리콘이 20중량부 초과로 투입될 경우에는 제조비용이 너무 높아지게 된다.
한편, 내화용액충진부(30)의 외피(32)는 도 3의 (a) 및 (b)에 나타나는 것과 같이 내피(34)의 하측면을 전부 감싸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내피(34)의 하측면 일부만 감싸 내피(34)의 하측면에 노출공간(32a)이 마련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3의 (b)와 같이 외피(32)가 내피(34)의 하측면 일부가 감싸 노출공간(32a)이 마련되도록 구성되는 경우 좀 더 빨리 내피(34)가 타거나 녹아 내화용액(S)이 내측패널(20)에 흡수된다. 이러한 외피(32)의 형상은 방화문(100)이 설치되는 장소 등에 따라 선택하여 사용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방화문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방화문(100)은 전술한 제1 실시예와 거의 유사하나, 내측패널(20)과 외피(32) 사이에 송곳부(40)가 배치된다는 점에서 서로 차이가 있다.
송곳부(40)는 내측패널(20)에 얹혀지는 바아(42)와, 바아(42)에 마련되는 다수의 송곳부재(44)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화재 등에 의해 가열된 외측패널(10)에 의해 내화용액충진부(30)의 외피(32)가 타거나 녹아내리는 경우 내화용액(S)이 충진되어 있는 내피(34)의 하중에 의해 내피(34)에 구멍을 뚫어 내화용액(S)이 원활하게 새어나와 내측패널(20)에 흡수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여기서, 바아(42)와 송곳부재(44) 사이에 송곳부재(44)를 탄성지지하는 탄성체(도시하지 않음)를 두어 송곳부재(44)가 쉽게 내피(34)에 구멍을 뚫을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구성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방화문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여기서,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도면에서는 내화용액이 내측패널에 흡수되는 상태를 쉽게 알아볼 수 있도록 외측패널의 일부를 절개한 상태로 도시한 것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방화문을 이용하여 화재의 확산을 방지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이다.
먼저, 도 5에서는 외측패널(10) 중 하나의 전면측에 화재가 발생한 상태가 나타나 있다. 화재 발생에 따라 외측패널(10)이 열을 받아 가열되고, 이렇게 달구어진 온도가 일정 온도, 예를 들어 약 200℃ 정도로 상승하게 되면 도 6과 같이 저융점섬유 재질로 이루어진 내화용액충진부(30)의 외피(32)가 타거나 녹아내리게 된다.
그리고, 시간이 지나 외측패널(10)의 온도가 더욱 상승하게 되면, 도 7에서와 같이 내화용액충진부(30)의 내피(34)가 타거나 녹아내리게 되며, 이에 따라 내화용액(S)이 내피(34)로부터 흘러나오게 된다. 이렇게 흘러나온 내화용액(S)은 하측의 내측패널(20)에 흡수되는데, 내측패널(20)에 형성되어 있는 내화용액흡수공(22)을 통해 좀 더 원활하게 내측패널(20)의 내부에 유입되어 내측패널(20)이 내화용액(S)을 흡수하는 속도가 빨라진다.
따라서, 화재 발생시 약 925℃ 이상의 고열에서도 1시간 정도를 견딜 수 있는 방화문(100)이 되어 사람들이 대피하는데 충분한 시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화재의 확산을 지연,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시간이 지나 방화문(100)이 연소되더라도 인체에 유해한 유독가스가 발생하지 않는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방화문을 이용하여 화재의 확산을 방지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방화문(100)은 제1 실시예에 따른 방화문(100)과 사용상태가 거의 동일하므로 화재의 발생과 내화용액충진부(30)의 외피(32)가 타거나 녹아내리는 상태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는 송곳부(40)가 마련되어 있으며, 도 6에서와 같이 내화용액충진부(30)의 외피(32)가 타거나 녹아내리게 되면, 도 8과 같이 내화용액(S)이 충진되어 있는 내피(34)의 하중에 의해 송곳부(40)의 송곳부재(44)가 내피(34)에 구멍을 뚫게 된다.
따라서, 내화용액(S)이 새어나와 원활하게 내측패널(20)에 흡수되어 난연재의 역할을 하도록 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외측패널 20: 내측패널
22: 내화용액흡수공 30: 내화용액충진부
32: 외피 32a: 노출공간
34: 내피 40: 송곳부
42: 바아 44: 송곳부재
100: 방화문 S: 내화용액

Claims (5)

  1. 방화문에 있어서,
    금속 또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는 한 쌍의 외측패널과;
    상기 외측패널 사이에 배치되는 종이 또는 섬유 재질로 이루어지는 내측패널과;
    상기 내측패널의 상측에 위치하고, 내측에 액상의 내화용액이 충진된 내화용액충진부; 를 포함하되,
    상기 내화용액충진부는,
    화재에 의해 상기 외측패널 중 어느 하나 또는 둘의 온도가 일정 온도 이상 상승하는 경우 외면이 타거나 녹아 상기 내화용액이 흘러나오며, 상기 내화용액이 상기 내측패널에 흡수되어 화재의 확산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패널에는,
    상기 내화용액의 흡수 속도를 높일 수 있도록 상기 내측패널의 높이방향을 따라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내화용액흡수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문.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내화용액충진부는,
    저융점섬유 재질의 외피; 및
    내측에 상기 내화용액이 충진되는 합성수지 재질의 내피;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문.
  4. 삭제
  5. 삭제
KR1020130105707A 2013-09-03 2013-09-03 방화문 KR1013725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5707A KR101372566B1 (ko) 2013-09-03 2013-09-03 방화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5707A KR101372566B1 (ko) 2013-09-03 2013-09-03 방화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72566B1 true KR101372566B1 (ko) 2014-03-13

Family

ID=506482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5707A KR101372566B1 (ko) 2013-09-03 2013-09-03 방화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256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266093A (zh) * 2016-12-31 2018-07-10 杭州德安救生设备科技有限公司 一种防火避难室用分离式密封门
KR20190029111A (ko) 2017-09-12 2019-03-20 주식회사 명보 방화문 구조체 및 그의 제작 방법
KR20190112878A (ko) * 2018-03-26 2019-10-08 엄상열 차열 성능이 우수한 방화문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9634Y1 (ko) 2001-12-20 2002-03-25 주식회사 열린도어 방화 방염 난연성 도어
KR20050079609A (ko) * 2004-02-14 2005-08-10 주식회사 서린건축사사무소 제연기능성 방화문
KR20100104985A (ko) * 2009-03-20 2010-09-29 한국세라믹기술원 방화문 및 그 제조방법
KR20120116249A (ko) * 2011-04-12 2012-10-22 주식회사 대광도어 방화문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9634Y1 (ko) 2001-12-20 2002-03-25 주식회사 열린도어 방화 방염 난연성 도어
KR20050079609A (ko) * 2004-02-14 2005-08-10 주식회사 서린건축사사무소 제연기능성 방화문
KR20100104985A (ko) * 2009-03-20 2010-09-29 한국세라믹기술원 방화문 및 그 제조방법
KR20120116249A (ko) * 2011-04-12 2012-10-22 주식회사 대광도어 방화문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266093A (zh) * 2016-12-31 2018-07-10 杭州德安救生设备科技有限公司 一种防火避难室用分离式密封门
CN108266093B (zh) * 2016-12-31 2020-05-12 杭州弘顺人防设备有限公司 一种防火避难室用分离式密封门
KR20190029111A (ko) 2017-09-12 2019-03-20 주식회사 명보 방화문 구조체 및 그의 제작 방법
KR20190112878A (ko) * 2018-03-26 2019-10-08 엄상열 차열 성능이 우수한 방화문
KR102064271B1 (ko) * 2018-03-26 2020-01-13 엄상열 차열 성능이 우수한 방화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51008B2 (ja) 複層ガラス窓の防火構造
KR101372566B1 (ko) 방화문
KR100778359B1 (ko) 친환경소재를 이용한 방화용 단열패드
JP2011006874A (ja) 複層ガラス窓の防火構造
JP2014034861A (ja) 開口部装置
KR20090090714A (ko) 방화용 셔터
KR101741522B1 (ko) 차열 방화셔터
KR100922200B1 (ko) 방화문
KR101660498B1 (ko) 차열 방화 유리 구조체
JP5990472B2 (ja) 錠補強材、錠装置、戸体及び開口部装置
KR101411604B1 (ko) 차열 기능이 구비된 다용도 방화셔터
KR101273817B1 (ko) 스크린형 차열방화셔터
JP2012144866A (ja) サッシ
KR20100099386A (ko) 내화용 샌드위치 판넬
CN204141076U (zh) 一种防火封堵层
KR101967956B1 (ko) 차열프레임 및, 이를 활용한 프레임구조체
KR101292364B1 (ko) 차열 방화셔터용 셔터박스
KR20160053606A (ko) 방화용 조립식 패널
KR20160117842A (ko) 차열 방화문
JP2014163170A (ja) 壁構造
CN210948309U (zh) 一种中空防火玻璃
KR101292406B1 (ko) 차열 방화셔터용 가이드레일
KR101775647B1 (ko) 차열 방화셔터
CN206753386U (zh) 一种带特殊填充料的钢木质隔热防火门
KR200356633Y1 (ko) 조립식 복합패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