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6528Y1 - 프린팅된 원단 건조장치 - Google Patents

프린팅된 원단 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6528Y1
KR200446528Y1 KR2020070020576U KR20070020576U KR200446528Y1 KR 200446528 Y1 KR200446528 Y1 KR 200446528Y1 KR 2020070020576 U KR2020070020576 U KR 2020070020576U KR 20070020576 U KR20070020576 U KR 20070020576U KR 200446528 Y1 KR200446528 Y1 KR 20044652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nch pipe
branch
fabric
curved guide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2057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6386U (ko
Inventor
강용석
Original Assignee
양형옥
김동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형옥, 김동환 filed Critical 양형옥
Priority to KR202007002057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6528Y1/ko
Publication of KR2009000638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638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652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652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15/00Removing liquids, gases or vapours from textile materials in association with treatment of the materials by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15/09Removing liquids, gases or vapours from textile materials in association with treatment of the materials by liquids, gases or vapours by jets of gas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27/00Compound processes or apparatus, for finishing or dressing textile fabr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13/00Machines and apparatus for drying fabrics, fibres, yarns, or other materials in long lengths, with progressive mov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히터 열에 의해 가열된 곡선 열판이 원단을 압착하면서 건조시키게 됨으로 적은 열량으로 건조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으며, 건조된 원단을 오류없이 원활하게 감을 수 있도록 한 원단 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은 본체(2) 상단부에 가이드롤러(31)가 형성되어지며, 본체(2) 상부 내,외측에 각각 복수의 곡선 가이드부재(32,33)가 형성되어지되 곡선 가이드부재(32,33)는 이송되는 원단(10)이 내측의 곡선 가이드부재(33)면에 밀착되어지게 곡선으로 형성되어진 가이드장치(3)와; 상기 곡선 가이드부재(33) 내면에 히터(41)가 밀폐되도록 형성되어지며, 내측의 곡선 가이드부재(33) 외표면에 히터(41)로부터 발생된 열에 의해 가열되어지는 곡선 열판(42)이 형성되어진 열발생장치(4)와; 상기 곡선 가이드부재(32) 외부에 습도배출홀(51a)이 형성된 습도배출통(51)이 형성되어지며, 상기 습도배출통(51) 내부에 원단(10) 건조시 발생된 습도를 습도배출홀(51a)을 통해 외부로 배출시키게 되는 배출팬(52)이 구비되어진 습도배출장치(5)와; 상기 본체(2) 하부에 설치되어 열발생장치(4)에 의해 건조되어 이송되는 원단(10)을 지관(9)에 감을 수 있도록 본체(2) 하부에 지지봉(61)이 형성되어지며, 지지봉(61) 양끝단부에 지지대(62)가 형성되어지고, 지지대(62)에 지지부재(63)가 고정되어지며, 상기 지지부재(63) 안쪽부에는 지관(9)을 장착하기 위한 지관걸이구(64)가 형성되어지되 지지부재(63)와 지관걸이구(64) 사이에 장착된 지관(9)의 슬립(slip)을 방지할 수 있도록 다수의 지관잡이부재(65)가 장착되어지고, 상기 지관잡이부재(65) 안쪽부에는 지관잡이부재(65)를 탄성 지지하게 되는 스프링(66)이 장착되어진 지관걸이장치(6)와; 상기 본체(2) 일측면에 구동모터(71)가 고정되어지며, 구동모터(71)에 지관걸이장치(6)와 연결되어 구동모터(71)의 구동에 따라 지관걸이장치(6)를 회전시키게 되는 샤프트(72)가 형성된 구동장치(7);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원단 건조기, 곡선 가이드부재, 열발생장치, 곡선 열판, 지관걸이장치, 지관걸이구, 지관잡이부재, 스프링

Description

프린팅된 원단 건조장치{Texture drier it becomes printing}
본 고안은 프린팅된 원단을 건조하기 위한 원단 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히터 열에 의해 가열된 곡선 열판이 원단을 압착하면서 건조시키게 됨으로 적은 열량으로 건조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으며, 건조된 원단을 오류없이 원활하게 감을 수 있도록 한 원단 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나염 작업이나 프린팅 작업을 거쳐 현수막 등으로 사용되어지는 원단은 다음 공정을 위해서 건조 과정을 거쳐야 하고, 워터 제트(water jet) 직기를 통해서 제작된 원단의 경우에는 원단의 보존을 위해서 건조 공정을 필히 거쳐야 한다.
이러한 원단의 건조를 위한 종래의 원단 건조기(100)는 첨부된 도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상부에 팬(110)이 설치되고, 상기 팬(110) 하방에 상하부가 개방되어 연통되는 중공부(120)가 형성되며, 상기 중공부(120)에 히트파이프(130)가 지나도록 구비되어 열을 발산하는 방열기(radiator)(140)가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방열기(140)의 히트파이프(130)는 외부로부터 열에너지를 공급받도록 보일러(150)의 순환파이프(160)에 연결되어지고, 상기 방열기(140) 아래에 는 원단(180)이 이송되면서 건조되는 건조실(chamber)(170)이 구비된다.
따라서, 보일러(150)에서 형성된 고온의 난방수나 증기가 방열기(140)의 히트파이프(130)를 통해서 순환하게 됨으로써 상기 방열기(140)는 히트파이프(130)를 통해서 열에너지를 공급받아 열을 발산하게 된다.
이때, 상기 방열기(140) 위에 구비된 팬(110)을 통해서 공기를 상기 방열기(140)의 상방을 통해서 중공부(120)를 지나 하방을 통과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팬(110)을 통해서 속도에너지를 구비한 공기는 방열기(140)의 히트파이프(130)를 거치면서 열교환되어 방열기(140)의 하부에 형성된 건조실(170)로 고온의 공기로 공급되고, 고온의 공기는 상기 건조실(170)을 통과하는 원단(180)에 공급되어 원단(180)을 건조시키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원단 건조기(100)는 방열기(140)로부터 송풍되는 열풍이 1차적으로 건조실(170)에 전달되고, 건조실(170)에 전달된 열풍이 2차로 원단(180)에 전달되어지게 됨으로 고온의 열풍이 원단(180)으로 전달되기 위해서는 많은 열량이 소요되어지며, 과도한 열손실은 물론 열효율이 현저히 떨어지게 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많은 열량이 필요하게 되어 그에 따라 전기 소모량이 많게 되며, 원단으로 고온의 열전달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원단 면 전체에 가열된 열풍의 전달이 고르게 이루어지지 못하게 되고 원단의 위치에 따라 편차가 나타나게 됨은 물론 건조효율이 떨어지게 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가이드되는 원단이 열판에 압착되면서 직접적으로 열을 전달받게 되어 열손실을 최소화하면서 열효율은 극대화할 수 있음과 동시에 건조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프린팅된 원단 건조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본체 상부 내,외면에 곡선 가이드부재가 설치되어지되 내면의 곡선 가이드부재 바깥면에 프린팅되어 가이드되는 원단을 건조시킬 수 있도록 곡선 열판이 형성되어지며, 곡선 가이드부재 내부에 히터가 형성되어지고, 상기 외측의 곡선 가이드부재에 습도를 배출시키게 되는 배출팬이 형성되어지고, 상기 본체 하부에 곡선 가이드부재를 통과하면서 가이드되는 원단을 지관에 감을 수 있도록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되어지는 지관걸이수단이 형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팅된 원단 건조장치를 제공함에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본체 내부에 형성되어 히터의 열에 의해 가열되어지는 곡선 열판에 원단이 압착되어 원단에 열을 가함과 동시에 습도를 배출팬이 외부로 배출시키게 됨으로 적은 열량을 사용하여도 건조 효율 및 열효율은 극대화할 수 있으면서 전기 소모는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원단 건조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원단 건조기를 도시한 정면예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원단 건조기의 내부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원단 건조기의 지관걸이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6 및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지관걸이장치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고안은 프린팅기(도시하지 않음)로부터 프린팅되어 배출되는 원단(10)을 건조시키게 되는 원단 건조기(1)로서, 상기 원단 건조기(1)는 본체(2)와, 가이드장치(3)와, 열발생장치(4), 및 습도배출장치(5)와, 지관걸이장치(6), 그리고 구동장치(7)로 구성되어진다.
상기 가이드장치(3)는 본체(2) 상단부에 가이드롤러(31)가 형성되어지며, 본체(2) 상부 내,외측에 각각 복수의 곡선 가이드부재(32,33)가 형성되어진다.
또한, 상기 곡선 가이드부재(32,33)는 가이드되는 원단(10)이 내측의 곡선 가이드부재(33)면에 밀착되어지게 곡선으로 형성되어짐이 바람직한 것이다.
상기 열발생장치(4)는 곡선 가이드부재(33) 내면에 히터(41)가 밀폐되도록 형성되어지며, 내측의 곡선 가이드부재(33) 외표면에 히터(41)로부터 발생된 열에 의해 가열되어지는 곡선 열판(42)이 형성되어진다.
상기 습도배출장치(5)는 곡선 가이드부재(32) 외부에 습도배출통(51)이 형성되어지며, 습도배출통(51) 내부, 즉 곡선 가이드부재(32)에 습도를 배출시키게 되 는 배출팬(52)이 구비되어진다.
또한, 상기 습도배출통(51) 외부면에는 배출팬(52)에 의해 흡입되는 습도가 외부로 배출되어지게 습도배출홀(51a)이 형성되어진다.
상기 지관걸이장치(6)는 본체(2) 하부에 지지봉(61)이 형성되어지며, 지지봉(61) 양끝단부에 지지대(62)가 형성되어지고, 지지대(62)에 지지부재(63)가 고정되어지며, 상기 지지부재(63) 안쪽부에는 지관(9)을 장착하기 위한 지관걸이구(64)가 형성되어지되 지지부재(63)와 지관걸이구(64) 사이에 장착된 지관(9)의 슬립(slip)을 방지할 수 있도록 다수의 지관잡이부재(65)가 장착되어진다.
또한, 상기 지관잡이부재(65)는 양끝단면에 지관걸이구(64)에 형성된 걸림턱(64a)과 지지부재(63)에 형성된 걸림턱(63a)에 걸려 지관잡이부재(65)가 이탈되지 않도록 이탈방지턱(65a)이 형성되어지며, 안쪽면에 지관잡이부재(65)를 바깥방향으로 밀어주게 되는 스프링(66)을 걸어줄 수 있도록 스프링걸이홈(65b)이 형성되어진다.
그리고, 상기 지관잡이부재(65) 일측 상단면은 지관걸이구(64)를 통해 지관(9)이 원활하게 장착될 수 있도록 테이퍼(65c)지게 형성되어짐이 바람직한 것이다.
또한, 상기 지관걸이구(64) 일끝단면은 지관(9)이 용이하게 끼워질 수 있도록 테이퍼(64b)지게 형성되어진다.
상기 구동장치(7)는 구동모터(71)와, 구동모터(71)에 지관걸이구(64)와 연결되어 구동모터(71)의 구동에 따라 지관걸이구(64)를 회전시키게 되는 샤프트(72)가 형성되어진다.
상기 본체(2) 일측면에는 원단 건조기(1)의 가이드장치(3)와 열발생장치(4) 및 구동장치(7)의 작동을 제어하게 되는 콘트롤러(8)가 형성되어진다.
첨부된 도면 중 미설명 부호 (11)은 원단 건조기(1)를 이동시키기 위한 바퀴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른 원단 건조기의 작동상태를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먼저, 프린팅기(도시하지 않음)로 프린팅되어 이송되는 원단(10)은 가이드롤러(31)에 의해 가이드되면서 양쪽 곡선 가이드부재(32,33) 사이로 가이드되어지게 되며, 이때 가이드되어지는 원단(10)은 곡선 가이드부재(32,33)가 곡선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안쪽면에 형성된 곡선 가이드부재(33) 표면에 밀착되면서 가이드되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곡선 가이드부재(33)에 밀착되면서 원단(10)이 이송되어질 때 콘트롤러(8)를 작동시켜 열발생장치(4)의 히터(41)에 전기를 공급하여 히터(41)가 가열되어지게 되며, 가열된 히터(41)에 의해 곡선 열판(42)이 달아오르면서 곡선 열판(42)으로부터 고온의 열이 발생되어지게 된다.
그리하여, 상기 원단(10)이 곡선 가이드부재(33)를 따라 곡선 열판(42)에 압착되면서 이송되어짐과 동시에 곡선 열판(42)으로 발생된 고온의 열에 의해 원단(10)에 프린팅된 액이 건조되어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에서 히터(41)가 밀폐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열손실은 최소화하고 곡 선 열판(42)에 열전달을 높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원단(10)이 건조되어질 때 곡선 열판(42)에 가해지는 고온의 열에 의해 습도가 발생되어지게 되며, 이때 발생된 습도는 배출팬(52)의 작동으로 습도배출통(51)으로 집진되면서 습도배출홀(51a)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에서와 같이 열발생장치(4)에 의해 건조되어 이송되는 원단(10)은 지관걸이장치(6)에 장착되어 있는 지관(9)에 감기게 되는 것이다.
상기의 지관(9)에 건조된 원단(10)을 감기 위해서는 구동모터(71)를 구동시켜 샤프트(72)를 회전시키게 되며, 상기 샤프트(72)의 회전에 의해 샤프트(72)에 연결된 지관걸이장치(6)가 샤프트(72)와 함께 회전하게 되면서 지관(9)이 회전하게 되어 원단(10)이 지관(9)에 감기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지관걸이장치(6)에 장착되는 지관(9)은 지관잡이부재(65)의 스프링걸이홈(65b)에 안착되어 있는 스프링(66)의 탄성력에 의해 지관잡이부재(65)가 바깥방향으로 밀리게 되면서 지관걸이장치(6)와 함께 회전되는 지관(9) 내벽면에 최대한 밀착되어지게 됨으로 지관(9)의 슬립(slip)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지관(9)이 장착되어지는 지관잡이부재(65)의 상단면이 테이퍼(65c)지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스프링(66)이 지관잡이부재(65)를 외측으로 밀고 있어도 지관(9)이 지관걸이구(64)를 통해 지관잡이부재(65)에 용이하게 끼워지게 되며, 이와 함께 상기 지관잡이부재(65)가 바깥쪽으로 밀려나도 지관잡이부재(65)의 이탈방지턱(65a)이 지관걸이구(64)의 걸림턱(64a)과 지지부재(63)의 걸림 턱(63a)에 걸리게 되어 지관잡이부재(65)가 지관걸이구(64)와 지지부재(63)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원단 건조기(1)는 상기 히터(41)의 열에 의해 고온이 발생되는 곡선 열판(42)에 원단(10)이 압착되면서 이송되어지게 됨으로 적은 열량을 사용하여 원단(10)의 전체면에 열이 고르게 전달되면서 건조가 원활하게 이루어져 제품의 불량이 발생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에 따른 원단 건조기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원단 건조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원단 건조기를 도시한 정면예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원단 건조기의 내부 구성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원단 건조기의 지관걸이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지관걸이장치의 절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지관걸이장치의 측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원단 건조기 2 : 본체
3 : 가이드장치 4 : 열발생장치
5 : 습도배출장치 6 : 지관걸이장치
7 : 구동장치 8 : 콘트롤러
9 : 지관 10 : 원단
31 : 가이드롤러 32,33 : 곡선 가이드부재
41 : 히터 42 : 곡선 열판
51 : 습도배출통 51a : 습도배출홀
52 : 배출팬 61 : 지지봉
62 : 지지대 63 : 지지부재
63a, 64a : 걸림턱 64 : 지관걸이
64b, 65c : 테이퍼 65 : 지관잡이부재
65b : 스프링걸이홈 66 : 스프링
71 : 구동모터 72 : 샤프트

Claims (4)

  1. 본체 상단부에 가이드롤러가 형성되어지며, 본체 상부 내,외측에 각각 복수의 곡선 가이드부재가 형성되어지되 곡선 가이드부재는 이송되는 원단이 내측의 곡선 가이드부재면에 밀착되어지게 곡선으로 형성되어진 가이드장치와;
    상기 곡선 가이드부재 내면에 히터가 밀폐되도록 형성되어지며, 내측의 곡선 가이드부재 외표면에 히터로부터 발생된 열에 의해 가열되어지는 곡선 열판이 형성되어진 열발생장치와;
    상기 곡선 가이드부재 외부에 습도 배출홀이 형성된 습도 배출통이 형성되어지며, 상기 습도 배출통 내부에 원단 건조시 발생된 습도를 습도 배출홀을 통해 외부로 배출시키게 되는 배출팬이 구비되어진 습도 배출장치와;
    상기 본체 하부에 설치되어 열발생장치에 의해 건조되어 이송되는 원단을 지관에 감을 수 있도록 지관을 잡아주게 되는 지관걸이장치와;
    상기 본체 일측면에 구동모터가 고정되어지며, 구동모터에 지관걸이장치와 연결되어 구동모터의 구동에 따라 지관걸이장치를 회전시키게 되는 샤프트가 형성된 구동장치;
    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팅된 원단 건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관걸이장치는 본체 하부에 지지봉이 형성되어지며, 지지봉 양끝단부 에 지지대가 형성되어지고, 지지대에 지지부재가 고정되어지며, 상기 지지부재 안쪽부에는 지관을 장착하기 위한 지관걸이구가 형성되어지되 지지부재와 지관걸이구 사이에 장착된 지관의 슬립을 방지할 수 있도록 다수의 지관잡이부재가 장착되어지고, 상기 지관잡이부재 안쪽부에는 지관잡이부재를 탄성 지지하게 되는 스프링이 장착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팅된 원단 건조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관잡이부재는 양끝단면에 지관걸이구와 지지부재 각각에 형성된 걸림턱에 걸려 지관잡이부재가 이탈되지 않도록 이탈방지턱이 형성되어지며, 안쪽면에 지관잡이부재를 바깥방향으로 밀어주게 되는 스프링을 걸어줄 수 있도록 스프링걸이홈이 형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팅된 원단 건조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관잡이부재 일측 상단면은 지관걸이구를 통해 지관이 원활하게 장착될 수 있도록 테이퍼지게 형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팅된 원단 건조장치.
KR2020070020576U 2007-12-24 2007-12-24 프린팅된 원단 건조장치 KR20044652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20576U KR200446528Y1 (ko) 2007-12-24 2007-12-24 프린팅된 원단 건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20576U KR200446528Y1 (ko) 2007-12-24 2007-12-24 프린팅된 원단 건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6386U KR20090006386U (ko) 2009-06-29
KR200446528Y1 true KR200446528Y1 (ko) 2009-11-05

Family

ID=413231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20576U KR200446528Y1 (ko) 2007-12-24 2007-12-24 프린팅된 원단 건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6528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3751B1 (ko) 2011-12-08 2013-03-13 (주)소프트이콘 인쇄원단 건조기
CN104674534A (zh) * 2015-02-13 2015-06-03 无锡星卫星机械科技有限公司 连续蒸烫机用抽湿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7626Y1 (ko) 2002-02-22 2002-06-15 대흥정밀공업 주식회사 텐타기의 원단 건조장치
KR20040088734A (ko) * 2003-04-10 2004-10-20 주식회사 태일시스템 대형 프린터의 건조장치
KR200385402Y1 (ko) 2005-03-08 2005-05-27 최동열 다기능 섬유 가공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7626Y1 (ko) 2002-02-22 2002-06-15 대흥정밀공업 주식회사 텐타기의 원단 건조장치
KR20040088734A (ko) * 2003-04-10 2004-10-20 주식회사 태일시스템 대형 프린터의 건조장치
KR200385402Y1 (ko) 2005-03-08 2005-05-27 최동열 다기능 섬유 가공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3751B1 (ko) 2011-12-08 2013-03-13 (주)소프트이콘 인쇄원단 건조기
CN104674534A (zh) * 2015-02-13 2015-06-03 无锡星卫星机械科技有限公司 连续蒸烫机用抽湿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6386U (ko) 2009-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1992020984A1 (en) Vacuum drying apparatus
JPH0781042A (ja) 印刷機の乾燥装置
KR200446528Y1 (ko) 프린팅된 원단 건조장치
JP2014177102A (ja) 記録媒体加熱装置及び記録媒体加熱システム
JP5666697B2 (ja) パレット乾燥方法、パレット乾燥装置及びパレット洗浄装置
JP5675724B2 (ja) インクジェット捺染用蒸熱装置
JP2019166828A (ja) 水性インクプリンタにおいて被覆基材上の画像を乾燥するためのプリンタおよび乾燥機
CN109654854A (zh) 一种丝织品用的螺旋式热风烘干机
CN101251333B (zh) 交错滚筒式烘干箱
CN207362554U (zh) 烘干熨衣机
CN103906873A (zh) 衣物干燥包装系统以及衣物干燥包装方法
CN109572244B (zh) 一种提升烘干效果的印花烘干机
FI82848B (fi) Foerfarande foer kontaktfri torkning av en pappers- eller kartongbana.
CN210004721U (zh) 一种纺织布料在线输送用烘干装置
CN111186211B (zh) 一种用于陶瓷花纸印刷机的油墨干燥装置
FI116732B (fi) Menetelmä ja laite kuiturainan kuivattamiseksi
KR101912561B1 (ko) 건조 효율이 우수한 에너지 절감형 건조 장치
CN218115874U (zh) 一种双面熨烫装置
KR200421815Y1 (ko) 농수산물 건조기의 폐열회수장치
KR200390042Y1 (ko) 건조기
CN213973167U (zh) 智能蒸化设备
CN217383644U (zh) 一种服装面料烘干装置
CN213173048U (zh) 衣服烘干装置
CN109357517B (zh) 一种海苔蒸汽烘干装置
KR101243751B1 (ko) 인쇄원단 건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