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6349Y1 - 코일롤 거치용 지그 - Google Patents

코일롤 거치용 지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6349Y1
KR200446349Y1 KR2020070021092U KR20070021092U KR200446349Y1 KR 200446349 Y1 KR200446349 Y1 KR 200446349Y1 KR 2020070021092 U KR2020070021092 U KR 2020070021092U KR 20070021092 U KR20070021092 U KR 20070021092U KR 200446349 Y1 KR200446349 Y1 KR 20044634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coil roll
roll
support
delete del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2109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6772U (ko
Inventor
김용희
이영수
이화식
이정국
Original Assignee
현대하이스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하이스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하이스코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7002109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6349Y1/ko
Publication of KR2009000677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677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634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634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1/00Work holder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in the subclass, e.g. magnetic work holders, vacuum work hol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47/00Winding-up, coiling or winding-off metal wire, metal band or other flexible metal material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evant to metal processing only
    • B21C47/28Drums or other coil-hold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nding, Rewinding, Material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열간압연된 코일롤을 자동차 가전용의 철판으로 사용하기 위해서 열간 압연시 발생한 코일표면의 녹제거와 함께 최종제품에서 원하는 두께의 제품으로 생산하기 위하여 압연을 행하게 되는데, 제조 공정 중 압연작업 조건의 변경, 압연라인 문제발생, 용접부 제거, 불량부제거 등의 상황이 발생시 정상적인 코일량이 아닌 소단중의 코일롤 발생시, 이러한 소단중의 코일롤을 연속적인 작업을 위하여 거치용 지그에 보조서포터나 위치이동부를 구비하여 코일롤의 직경 가변시에도 코일롤의 동일 하측을 지지하도록 하는 코일롤 거치용 지그에 관한 것이다.
코일롤, 거치, 지그

Description

코일롤 거치용 지그{coil-roll supporting jig}
본 고안은 코일롤 거치용 지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열간압연된 코일롤을 자동차 가전용의 철판으로 사용하기 위해서 열간 압연시 발생한 코일표면의 녹제거와 함께 최종제품에서 원하는 두께의 제품으로 생산하기 위하여 압연을 행하게 되는데, 제조 공정 중 압연작업 조건의 변경, 압연라인 문제발생, 용접부 제거, 불량부제거 등의 상황이 발생시 정상적인 코일량이 아닌 소단중의 코일롤 발생시, 이러한 소단중의 코일롤을 연속적인 작업을 위하여 거치용 지그에 보조서포터나 위치이동부를 구비하여 코일롤의 직경 가변시에도 코일롤의 동일 하측을 지지하도록 하는 코일롤 거치용 지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세 및 냉간압연공정은 연속작업을 위하여 선행코일의 끝단부와 후행코일의 선단부를 용접하여 연속적으로 작업을 하게 된다.
만약, 선행코일과 후행코일의 강판 두께가 동일하고 최종 제품의 두께가 같다면 압연은 일정한 조건으로 계속하면 되지만, 최종제품의 두께가 다르게 되면 압 연작업 도중 코일의 두께가 변하게 된다.
소재의 두께를 바꿀려면 압연롤에 가해지는 하중을 증가시켜야 하는데, 이 압연하중은 장비의 미세한 조정 및 장비부하 때문에 천천히 변하여야 한다.
연속압연라인은 압연하중이 변하는 동안에도 멈출 수가 없기 때문에 제품생산중간에 필연적으로 불량 제품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압연중 이물질 혼입에 의한 표면결함이 발생한 제품이 생산되거나, 제조 공정 중 라인문제로 인하여 부적합한 제품이 생산될 수 있다.
이러한 부적합 제품이 생산되게 되면 다음공정인 열처리공정이나 도금공정으로 제품이 투입되어 불량이 발생되지 않게 하기 위해 코일을 감는 압연라인의 최종공정인 권취공정에서 불량발생부위의 코일을 절단하여 권취하게 된다.
종래 제품의 압연시 냉간압연 작업공정의 변화 없이 균일한 두께로 생산된 코일 외경이 거치대 사이의 간격보다 큰 경우, 통상적인 거치대를 사용하면 되었으나, 제품 생산 중 작업공정의 변화 또는 결함의 발생 등에 따른 제품의 절단이 필요한 경우, 제품의 절단에 필요한 길이만큼만 절단을 하여 권취를 할 경우 코일의 외경이 통상의 거치대 사이의 간격보다 작게 되어 코일이 거치대에 적재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코일은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코일을 이송해야만 하기 때문에 연속작업이 이루어지지 않고 시간이 많이 지체되게 되어 생산성에 많은 차질을 가져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한 쌍의 고정대 상에 왕복 전·후진 작동하는 보조서포터를 구비하거나 또는 코일롤을 직접적으로 지지하는 지지대의 위치를 고정대 상에서 이동 가능하게 형성함에 따라 한 쌍의 고정대 사이 간격보다 코일롤의 직경이 작을 경우에도 코일롤의 하측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코일롤 거치용 지그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은 일정한 간격으로 유격되게 고정 형성된 한 쌍의 고정대; 상기 고정대 각각의 서로 인접한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코일롤의 하측을 직접적으로 지지하는 지지대; 및 상기 한 쌍의 고정대 양쪽에 각각 구비되며, 적어도 하나가 위치 고정된 상기 지지대 사이 간격보다 작은 직경의 상기 코일롤을 직접적으로 거치하는 보조서포터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서포터는 해당되는 상기 고정대에 고정된 하우징, 외부 조작에 의해 상기 하우징에 출입 가능하게 형성되는 샤프트 및 상기 샤프트의 끝단에 형성되어 상기 코일롤의 하측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플레이트로 이루어지며, 상기 플레이트에는 상기 코일롤을 보호하기 위해 완충패드가 분리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일정한 간격으로 유격되게 고정 형성된 한 쌍의 고정대, 상기 고정대 각각의 서로 인접한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코일롤의 하측을 직접적으로 지지하는 지지대 및 상기 한 쌍의 고정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고정대에 구비된 지지대를 해당되는 상기 고정대 상에서 위치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직경 가변 되는 코일롤의 거치 부위를 유지하기 위한 위치이동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코일롤 거치용 지그를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의한 코일롤 거치용 지그에 따르면, 한 쌍의 고정대 상에 왕복 전·후진 작동하는 보조서포터를 구비하거나 또는 코일롤을 직접적으로 지지하는 지지대의 위치를 고정대 상에서 이동 가능하게 형성함에 따라 한 쌍의 고정대 사이 간격보다 코일롤의 직경이 작을 경우에도 코일롤의 지지부위를 유지하면서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일롤 거치용 지그의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일롤 거치용 지그의 종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코일롤 거치용 지그의 평면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코일롤 거치용 지그의 종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일롤 거치용 지그는 고정대(20), 지지대(30) 및 보조서포터(100)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대(20)는 일정 간격(D1) 유격되도록 한 쌍 구비되어 바닥 등에 고정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대(30)는 고정대(20) 상에 구비되어 코일롤(10)을 직접적으로 지지한다.
이때, 상기 고정대(20)가 서로 유격된 한 쌍으로 구비되는 이유는 코일롤(10)을 실은 대차(도시하지 않음)가 고정대(20) 사이로 이동 후 코일롤(10)을 지지대(30) 상에 올려놓기 위한 작업공간을 확보하기 위함이다.
특히, 상기 코일롤(10)은 원통 형상의 드럼(12)과 상기 드럼(12) 둘레에 감기는 강판인 코일(14)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지지대(30)가 코일롤(10)을 지지함은 코일(14)을 직접적으로 접하여 지지함을 말한다.
여기서, 상기 지지대(30)는 서로 마주하는 고정대(20)의 인접한 각 가장자리에 고정 형성되어 코일롤(10)의 하측을 지지한다.
이때, 상기 고정대(20) 사이 간격(D1)은 지지대(30) 사이 간격과 동일하거나 유사하다.
또한, 상기 지지대(30)는 코일롤(10)과의 직접적 마찰에 따른 코일롤(10)의 스크래치 등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보호패드(32)를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호패드(32)는 마모 등에 의해 교체 가능하도록 지지대(30)의 표면에서 분리 가능하게 장착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지지대(30)는 서로 마주하는 단부를 서로 대칭되도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하여 코일롤(10)의 하측 가장자리를 각각 지지함으로써 코일롤(10)과의 접촉면적을 줄임과 더불어 코일롤(10)의 하부 이탈을 방지하게 된다.
특히, 상기 코일롤(10)의 직경(D2)이 한 쌍의 고정대(20)의 간격(D1)이나 한 쌍의 지지대(30) 간격보다 작을 경우, 즉 드럼(12)의 둘레에 코일(14)이 상대적으로 적게 감긴 경우, 상기 코일롤(10)은 지지대(30) 사이로 빠지며 하측 이탈하게 된다.
그래서, 상기 고정대(20) 상에는 보조서포터(100)가 구비된다.
즉, 상기 보조서포터(100)는 한 쌍의 고정대(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고정대(20)에 구비되어 위치 고정된 지지대(30) 사이 간격(D1)보다 작은 직경(D2)의 코일롤(10)을 전진 작동하며 직접적으로 거치하는 역할을 한다.
물론, 상기 보조서포터(100)가 한 쌍의 고정대(20) 각각에 구비될 수도 있으나, 이 경우 제조비용이 증가하게 되고, 코일롤(10)이 양측에서 동시에 작용하는 미는 힘으로 인해 불안정한 상태로 지지된다.
또한, 상기 보조서포터(100)가 직접적으로 코일롤(10)의 하부 일측을 직접적으로 지지할 경우 상기 보조서포터(100)가 구비된 고정대(20) 상의 지지대(30)는 코일롤(10)과 접촉되지 않게 된다.
이때, 상기 코일롤(10)의 하부 타측은 고정대(20)에 형성된 지지대(30)가 지지한다.
이때, 상기 보조서포터(100)는 하우징(110), 샤프트(120) 및 플레이트(130)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우징(110)은 해당 고정대(20)에 고정되고, 상기 샤프트(120)는 외부 조작에 의해 코일롤(10) 방향으로 전진 또는 진선 후진되도록 하우징(110)에 삽입 된다.
특히, 상기 샤프트(120)는 외부 조작에 의해 고정대(20)의 간격(D1)과 코일롤(10)의 직경(D2)의 차이만큼 전진된다.
이때, 상기 드럼(12)에 감긴 코일(14)의 양에 따라 코일롤(10)의 직경(D2)이 가변 가능하기 때문에 상기 샤프트(120)의 전진 거리는 외부 조작에 의해 조절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샤프트(120)의 전진 거리가 규격화되고, 상기 샤프트(120)가 고정대(20)의 간격(D1)과 코일롤(10)의 직경(D2) 차이보다 더 많이 전진할 경우, 상기 코일롤(10)은 맞은편에 구비된 지지대(30) 상에 더 많은 부위를 접촉하게 된다.
또한, 상기 플레이트(130)는 샤프트(120)의 끝단에 형성되어 코일롤(10)의 둘레면과 접촉면적을 소정 증가시켜 코일롤(10)의 하측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막대 형상의 샤프트(120)가 코일롤(10)의 둘레면에 직접 접하게 되면, 상기 코일롤(10)은 샤프트(120)에 의해 누르는 힘의 증가로 눌려짐으로써 불량을 초래하게 된다.
그래서, 상기 플레이트(130)는 샤프트(120)의 끝단에 형성되어 코일롤(10)의 둘레면에 고른 누름력으로 지지함에 따라 코일롤(10)의 불량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보조서포터(100)는 코일롤(10)의 중심방향을 향하도록 고정대(20)에 기울어지게 연결된다.
더욱 상세히, 상기 샤프트(120)는 하우징(110)의 축 방향으로 전·후진하게 됨에 따라, 상기 하우징(110)이 고정대(20) 상에서 코일롤(10)의 중심방향으로 향하도록 기울어지게 고정 장착되거나 또는 상기 플레이트(130)가 샤프트(120)에 대해 기울어짐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플레이트(130)는 코일롤(10)을 견고하게 지지하도록 코일롤(10)의 접선방향과 일치되게 코일롤(10)과 접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플레이트(130)는 코일롤(10)을 보호하기 위해 둘레면에 완충패드(132)를 형성한다.
상기 완충패드(132)는 교체를 위해 플레이트(130)에 분리 가능하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코일롤 거치용 지그는 고정대(20), 지지대(30) 및 위치이동부(200)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대(20)와 지지대(30) 및 드럼(12)과 코일(14)로 이루어진 코일롤(10)은 상술한 것으로 대체한다.
그리고, 상기 위치이동부(200)는 한 쌍의 고정대(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고정대(20)에 구비된 지지대(30a)를 해당되는 고정대(20) 상에서 위치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위치이동부(200)는 위치이동홈(210) 및 위치이동돌기(220)로 이루어진다.
상기 위치이동홈(210)은 해당되는 고정대(20)에 등간격으로 함몰 형성되고, 상기 위치이동돌기(220)는 해당되는 지지대(30)의 하측으로 돌출되어 해당 지지대(30)가 코일롤(10)의 하부 일측을 지지하는 위치의 위치이동홈(210)에 끼워진다.
더욱 상세히, 한 쌍의 고정대(20) 중 어느 하나의 고정대(20)에는 위치이동홈(210)이 등간격으로 함몰 형성되고, 해당 고정대(20)에 구비되는 지지대(30a)에는 위치이동돌기(220)가 돌출 형성된다.
그래서, 어느 하나의 고정대(20) 상에 구비된 지지대(30a)는 다른 하나의 고정대(20) 방향으로 이동 후 코일롤(10)의 하부 일측 지지부위를 지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고정대(20) 사이 간격(D1)은 코일롤(10)의 직경(D2)보다 큰 것으로 한다.
그리고, 한 쌍의 고정대(20) 중 다른 하나의 고정대(20)에는 해당 지지대(30b)가 고정 장착되어 코일롤(10)의 하부 타측 지지부위를 지지하게 된다.
물론, 서로 다른 고정대(20)에 구비되는 지지대(30a,30b)가 모두 이동 가능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코일롤(10)이 각각의 지지대(30a,30b)의 지지부위가 동일해야 대차(도시하지 않음)를 이용하여 동일 위치에서 상승 및 거치 가능하게 된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일롤 거치용 지그의 평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일롤 거치용 지그의 종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코일롤 거치용 지그의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코일롤 거치용 지그의 종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0: 코일롤 20: 고정대
30,30a,30b: 지지대 32: 보호패드
100: 보조서포터 110: 하우징
120: 샤프트 130: 플레이트
132: 완충패드 200: 위치이동부
210: 위치이동홈 220: 위치이동돌기

Claims (8)

  1. 일정한 간격으로 유격되게 고정 형성된 한 쌍의 고정대;
    상기 고정대 각각의 서로 인접한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원통 형상의 드럼과 상기 드럼 둘레에 감기는 강판으로 이루어진 코일롤의 하측을 직접적으로 지지하는 지지대; 및
    상기 한 쌍의 고정대 양쪽에 각각 구비되며, 적어도 하나가 위치 고정된 상기 지지대 사이 간격보다 작은 직경의 상기 코일롤을 직접적으로 거치하는 보조서포터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대는 상기 코일롤과의 접촉을 최소화하고, 상기 코일롤의 하측 가장자리를 지지하기 위해 인접한 상기 고정대 방향으로 각각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코일롤과의 직접적 마찰에 따른 상기 코일롤의 스크래치 등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보호패드를 구비하며,
    상기 보조서포터는 해당되는 상기 고정대에 고정된 하우징, 외부 조작에 의해 상기 하우징에 출입 가능하게 형성되는 샤프트 및 상기 샤프트의 끝단에 형성되어 상기 코일롤의 둘레면과 접촉면적을 증가시켜 상기 코일롤의 하측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플레이트로 이루어지며,
    상기 보조서포터는 상기 코일롤의 중심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고정대에 기울어지게 연결되고,
    상기 플레이트에는 상기 코일롤을 보호하기 위해 완충패드가 분리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코일롤을 견고하게 지지하도록 상기 코일롤의 접선방향과 일치되게 상기 코일롤과 접하며,
    상기 샤프트는 외부 조작에 의해 상기 고정대의 간격과 상기 코일롤의 직경의 차이만큼 전진하고,
    상기 샤프트는 상기 하우징이 상기 고정대 상에서 상기 코일롤의 중심방향으로 향하도록 기울어지게 고정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롤 거치용 지그.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2020070021092U 2007-12-31 2007-12-31 코일롤 거치용 지그 KR20044634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21092U KR200446349Y1 (ko) 2007-12-31 2007-12-31 코일롤 거치용 지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21092U KR200446349Y1 (ko) 2007-12-31 2007-12-31 코일롤 거치용 지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6772U KR20090006772U (ko) 2009-07-03
KR200446349Y1 true KR200446349Y1 (ko) 2009-10-20

Family

ID=413315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21092U KR200446349Y1 (ko) 2007-12-31 2007-12-31 코일롤 거치용 지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634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8222B1 (ko) 2012-11-30 2014-06-16 주식회사 포스코 코일 적재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46422A (ja) * 1994-03-09 1995-09-26 Sumitomo Metal Ind Ltd コイル置台装置
KR970002829Y1 (ko) * 1994-12-08 1997-04-02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리젝트코일(reject coil)처리장치
JP2002338016A (ja) * 2001-05-15 2002-11-27 Steel Center Co Ltd 薄板鋼板の中空成形部材およびこれを用いたコイルスタッカー
JP2005219076A (ja) 2004-02-04 2005-08-18 Sumitomo Metal Ind Ltd 円筒体支持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46422A (ja) * 1994-03-09 1995-09-26 Sumitomo Metal Ind Ltd コイル置台装置
KR970002829Y1 (ko) * 1994-12-08 1997-04-02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리젝트코일(reject coil)처리장치
JP2002338016A (ja) * 2001-05-15 2002-11-27 Steel Center Co Ltd 薄板鋼板の中空成形部材およびこれを用いたコイルスタッカー
JP2005219076A (ja) 2004-02-04 2005-08-18 Sumitomo Metal Ind Ltd 円筒体支持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8222B1 (ko) 2012-11-30 2014-06-16 주식회사 포스코 코일 적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6772U (ko) 2009-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46349Y1 (ko) 코일롤 거치용 지그
KR101663772B1 (ko) 가로 헤어 라인 제조 장치 및 방법
KR101979763B1 (ko) 텐션장치가 구비된 철판 가열장치
KR20130072849A (ko) 레스트바 이동장치
CN215034829U (zh) 一种后视镜支架的焊接定位装置
KR100507897B1 (ko) 롤 크리닝 장치
CN214263268U (zh) 一种新型高速拉丝滑直机
KR101138090B1 (ko) 방청지 방사접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코일 포장용 방청지권취장치
CN210305110U (zh) 一种碳素带钢转移车
KR101044760B1 (ko) 플래쉬버트 용접기 전극 교체 장치
KR101267593B1 (ko) 코일 교정장치
KR101412347B1 (ko) 강판절단기의 나이프 교체장치
KR20100011690A (ko) 강판절단기의 나이프 교체장치
CN216965800U (zh) 一种轧机轴承滑座
CN211915031U (zh) 一种带有升降系统的带钢收卷设备
CN210358590U (zh) 一种二十辊轧机的卷取机侧支撑的支撑装置
JP2001286932A (ja) 帯状金属板材の矯正装置
KR101538863B1 (ko) 스트립의 오일 제거 장치
CN215902889U (zh) 一种基于金属制造用带有定位结构的火焰切割机
CN210907458U (zh) 一种板带卷取机扇形板工装夹具装置
CN211758913U (zh) 一种卧式锯床夹紧装置
CN211839606U (zh) 一种带钢收卷设备
CN220500756U (zh) 一种无缝套管加工用转运推车
CN210312952U (zh) 一种带钢绕卷用卷芯
KR101424885B1 (ko) 스트립 이송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