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2347B1 - 강판절단기의 나이프 교체장치 - Google Patents

강판절단기의 나이프 교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2347B1
KR101412347B1 KR1020130074666A KR20130074666A KR101412347B1 KR 101412347 B1 KR101412347 B1 KR 101412347B1 KR 1020130074666 A KR1020130074666 A KR 1020130074666A KR 20130074666 A KR20130074666 A KR 20130074666A KR 101412347 B1 KR101412347 B1 KR 1014123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knife
support
support bracket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46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길태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746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234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23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23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35/00Tools for shearing machines or shearing devices; Holders or chucks for shearing tools
    • B23D35/002Means for mounting the cutting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15/00Shearing machines or shearing devices cutting by blades which move parallel to themselves
    • B23D15/04Shearing machines or shearing devices cutting by blades which move parallel to themselves having only one moving bla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3/00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 B23Q3/155Arrangements for automatic insertion or removal of tools, e.g. combined with manual hand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26Means for mounting or adjusting the cutting member; Means for adjusting the stroke of the cutting member
    • B26D7/2614Means for mounting the cutting memb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Details Of Cut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강판절단기의 나이프 교체장치에 관한 것으로, 강판절단기(10)의 나이프(19,21)의 볼트공(19a,21a)이 형성된 일면과 상기 일면과 직교하는 상기 나이프(19,21)의 단부면에 밀착되는 내면을 구비하고, 체결공(57,59)이 형성된 지지브라켓(50)과, 상기 지지브라켓(50)과 협력하여 상기 나이프(19,21)가 다수개의 고정볼트(23,25)에 의해 고정되는 홀더(15,17)의 일면을 지지하고 상기 나이프(19,21)의 볼트공(19a,21a)에 삽입되는 고정볼트(23,25)의 머리부가 외부로 돌출되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체결공(57,59)과 연통되는 나사공(75,77)이 형성된 보조브라켓(70)과, 상기 나사공(75,77)과 상기 체결공(57,59)에 체결되어 상기 지지브라켓(50)과 상기 보조브라켓(70)이 상기 강판절단기(10)의 나이프를 지지하는 상태를 고정하는 결합수단(8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강판절단기의 나이프 교체작업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강판절단기의 나이프 교체장치{APPARATUS FOR EXCHANGING KNIFE OF STRIP CUTTER}
본 발명은 강판절단기의 나이프 교체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강판절단기의 나이프 교체를 간편하고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강판절단기의 나이프 교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강판은 제강 공정의 연속주조기로부터 공급되는 슬라브(Slab)를 가열로에서 가열 및 균열시킨 후 폭 압연 및 두께 압연을 실시하여 바 상태로 만들고, 통상 다수개의 압연 스탠드를 사용하는 사상압연기에서 고객사가 요구하는 사이즈(Size)의 스트립(Strip)을 형성하도록 압연을 실시한다.
사상압연기의 최종 스탠드를 통과한 강판은 런 아웃 테이블(Run out table)의 냉각공정을 거쳐 권취기에서 코일형태으로 감겨진다.
이후, 강판은 소둔 및 산세공정 등을 위해 언코일러 된다. 언코일러에서 풀려나오는 강판은 통판하고, 선,후행강판의 선,후단부에 불량부가 발생하였을 경우에는 절단한다. 그리고 절단된 강판은 용접기에서 서로 연결되어 소둔로 내부로 들어가게 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기술은 국내등록특허 제10-0984396호(등록일:2010.09.20, 명칭:강판절단기의 나이프 교체장치)
본 발명의 목적은 강판절단기의 나이프 교체가 간편하고 신속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강판절단기의 나이프를 교체하기 위해 강판절단기의 나이프를 고정하는 강판절단기의 나이프 교체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강판절단기의 나이프의 볼트공이 형성된 일면과 상기 일면과 직교하는 상기 나이프의 단부면에 밀착되는 내면을 구비하고, 체결공이 형성된 지지브라켓과, 상기 지지브라켓과 협력하여 상기 나이프가 다수개의 고정볼트에 의해 고정되는 홀더의 일면을 길이방향 양측에서 지지하고 상기 나이프의 볼트공에 삽입되는 고정볼트의 머리부가 외부로 돌출되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체결공과 연통되는 나사공이 형성된 보조브라켓과, 상기 나사공과 상기 체결공에 체결되어 상기 지지브라켓과 상기 보조브라켓이 상기 강판절단기의 나이프를 지지하는 상태를 고정하는 결합수단를 포함한다.
상기 보조브라켓은 상기 지지브라켓의 길이방향 일측에 위치하여 상기 지지브라켓과 협력하는 제1보조브라켓과, 상기 제1보조브라켓과 이격되게 상기 지지브라켓의 길이방향에 위치하여 상기 지지브라켓과 협력하는 제2보조브라켓을 포함한다.
상기 제1보조브라켓과 상기 제2보조브라켓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지지브라켓의 저면에 레일방식으로 결합된 이동부에 상기 결합수단을 매개로 고정되어 상기 지지브라켓의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상기 지지브라켓은 길이방향 일측에 축공이 형성되고, 일단이 상기 축공에 결합되고 타단은 지면에 지지되며, 상기 축공을 중심으로 상기 지지브라켓을 회전시키는 회전축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나사공과 상기 체결공에 체결되어 상기 지지브라켓과 상기 보조브라켓의 사이에 위치되는 상기 나이프와 홀더를 함께 고정하는 체결볼트와, 상기 체결볼트의 머리부에 형성되어 회전동작으로 상기 체결볼트를 풀거나 조이는 조작핸들을 포함한다.
상기 보조브라켓은 저면에 상기 지지브라켓의 저면을 감싸도록 상기 보조브라켓이 상기 지지브라켓과 결합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가 형성된다.
본 발명은 강판절단기의 나이프를 교체시 나이프를 홀더에 고정하는 고정볼트의 머리부를 누르는 방식으로 나이프를 지지하므로, 고정볼트가 헛도는 것을 방지하여 나이프와 홀더의 측면을 관통하여 삽입된 고정볼트에서 고정너트를 풀고 조이는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나이프를 홀더에 고정시켜 주는 모든 고정볼트에서 고정너트를 해체할때까지 나이프와 홀더를 고정할 수 있으므로 나이프를 교체하기 위한 작업을 신속하고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강판절단기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강판절단기에서 나이프가 상부홀더 및 하부홀더에 고정된 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강판절단기의 나이프 교체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강판절단기에 설치한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이용하여 강판절단기의 나이프를 교체하는 모습을 보인 과정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는 강판절단기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도 1의 강판절단기에서 상부나이프 및 하부나이프가 상부홀더 및 하부홀더에 고정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강판절단기에 대해 먼저 설명한다.
강판절단기(10)는 용접기의 입구측에 설치되어 코일로부터 풀려지는 강판(S)의 선단부를 절단하는 설비이다. 강판절단기(10)는 상부절단기(11)와 하부절단기(13)로 구분된다. 상부절단기(11)는 하부절단기(13)에 대하여 상대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상부절단기(11) 및 하부절단기(13)의 단부에는 강판(S)을 절단하는 상,하부나이프(21)가 구비된다.
상부나이프(19) 및 하부나이프(21)는 상부나이프(19)와 하부나이프(21)의 사이에 배치되는 강판(S)을 교차에 의해 절단시킨다.
상부나이프(19)는 상부절단기(11)의 하부에 형성된 ㄱ자 홈을 갖는 상부홀더(15)에 측면을 관통하여 체결되는 다수개의 고정볼트(23)에 의해 고정되고, 하부나이프(21)는 하부절단기(13)의 상부에 형성된 ㄴ자 홈을 갖는 하부홀더(17)에 측면을 관통하여 체결되는 다수의 고정볼트(25)에 의해 고정된다.
상부홀더(15) 및 하부홀더(17)는 상부나이프(19) 및 하부나이프(21)가 상부절단기(11) 및 하부절단기(13)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잡아주는 역할을 한다.
상부나이프(19) 및 하부나이프(21)에는 볼트공(19a,21a)이 형성되고 상부홀더(15) 및 하부홀더(17)에는 볼트공(19a,21a)과 연통되는 연통공(15a,17a)이 형성된다. 볼트공(19a,21a)에 삽입되고 연통공(15a,17a)을 통해 상부홀더(15) 또는 하부홀더(17)의 외측으로 돌출된 고정볼트(23,25)에 와셔(27,29)와 고정너트(31,33)가 결합되어 상부나이프(19) 및 하부나이프(21)가 상부홀더(15) 및 하부홀더(17)에 고정된다.
고정볼트(23,25)는 머리부 일측에 고정돌기(23a,25a)가 형성되고 볼트공(19a,21a)도 고정볼트(23,25)의 머리부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고정돌기(23a,25a) 및 볼트공(19a,21a)의 형상은 고정볼트(23,25)가 볼트공(19a,21a)에 위치한 상태에서 볼트공(19a,21a)과 고정볼트(23,25)의 상대회전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다. 볼트공(19a,21a)과 고정볼트(23,25)의 상대회전이 제한되어야 고정볼트(23,25)에 고정너트(31,33)를 체결할 수 있다.
상부나이프(19)와 하부나이프(21)를 교체하기 위해서는 고정볼트(23,25)를 볼트공(19a,21a)과 연통공(15a,17a)에 삽입하고 그 단부를 와셔(27,29)와 고정너트(31,33)로 체결하거나 푸는 과정이 수행된다. 이 과정에서 고정볼트(23,25)가 볼트공(19a,21a)에 위치되지 않고 상부홀더(15) 또는 하부홀더(17)의 외측으로 돌출되면 고정볼트(23,25)가 헛돌게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강판절단기의 나이프 교체장치가 제공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판절단기의 나이프 교체장치는 지지브라켓(50), 보조브라켓(70), 결합수단(80)을 포함한다.
지지브라켓(50)은 강판절단기(10)의 나이프(19,21)의 볼트공(19a,21a)이 형성된 일면 및 그 일면과 직교하는 나이프(19,21)의 단부면에 밀착되는 내면을 구비하고, 일측에 체결공(57,59)이 형성된다. 강판절단기(10)의 나이프(19,21)는 상부홀더(15)에 고정되는 상부나이프(19) 및 하부홀더(17)에 고정되는 하부나이프(21)를 지칭한다.
지지브라켓(50)은 제1지지부(51)와 제1지지부(51)에서 직교하게 연장되는 제2지지부(53)로 구성되며, 제1지지부(51)와 제2지지부(53)에 의해 형성되는 내면은 나이프(19,21)에 밀착되도록 ㄴ자 형상으로 된다. 제1지지부(51)의 내면이 나이프(19,21)의 볼트공(19a,21a)이 형성된 일면에 밀착되고, 제2지지부(53)의 내면이 나이프(19,21)의 일면과 직교하는 나이프(19,21)의 단부면에 밀착된다.
체결공(57,59)은 제2지지부(53)를 폭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거나 아래에서 설명될 이동부(55)를 관통하여 형성된다.
보조브라켓(70)은 지지브라켓(50)과 협력하여 나이프(19,21)가 다수개의 고정볼트(23,25)에 의해 고정되는 홀더의 일면을 지지하며, 나이프의 볼트공(19a,21a)에 삽입되는 고정볼트(23,25)의 머리부가 외부로 돌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보조브라켓(70)은 지지브라켓(50)의 제1지지부(51)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되어 나이프(19,21)가 고정된 홀더(15,17)의 일면을 지지한다.
보조브라켓(70)에는 지지브라켓(50)의 체결공(57,59)과 연통되는 나사공(75,77)이 형성된다.
보조브라켓(70)은 저면에 지지브라켓(50)의 저면을 감싸도록 보조브라켓(70)이 지지브라켓(50)과 결합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78,79)가 형성된다. 연장부(78,79)는 보조브라켓(70)이 지지브라켓(50)에 대해 상대이동 가능하면서도 지지브라켓(50)과 보조브라켓(70) 사이의 틈을 방지하여 나이프(19,21)를 교체하는 과정에서 홀더(15,17) 또는 나이프(19,21)가 낙하하는 것을 방지한다. 홀더(15,17)는 상부홀더(15)와 하부홀더(17)를 지칭한다.
보조브라켓(70)은 지지브라켓(50)의 길이방향 일측에 위치하여 지지브라켓(50)과 협력하는 제1보조브라켓(71)과, 제1보조브라켓(71)과 이격되게 지지브라켓(50)의 길이방향에 위치하여 지지브라켓(50)과 협력하는 제2보조브라켓(73)을 포함한다.
제1보조브라켓(71)과 제2보조브라켓(73) 중 적어도 하나는 지지브라켓(50)의 저면에 레일방식으로 결합된 이동부(55)에 결합수단(80)을 매개로 고정되어 지지브라켓(5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제2보조브라켓(73)이 지지브라켓(5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여 제1보조브라켓(71)과 제2보조브라켓(73)의 이격된 간격이 조정될 수 있다.
지지브라켓(50)의 저면에는 일정구간만큼 요입레일(53a)이 형성되고 이동부(55)의 상면에는 요입레일(53a)에 끼워져 이동되는 돌출레일(55a)이 형성되어 이동부(55)가 지지브라켓(5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동부(55)에는 체결공(57,59)이 형성되고, 제2보조브라켓(73)에는 이동부(55)의 체결공(57,59)과 연통되는 나사공(75,77)이 형성되어 제2보조브라켓(73)을 이동부(55)에 결합수단(80)으로 고정할 수 있다.
지지브라켓(50)의 저면 중 이동부(55)가 이동하는 구간은 저면의 다른 부분에 비해 단차지게 형성한다. 그에 따라 지지브라켓(50)의 저면에 형성된 체결공(57)과 이동부(55)에 형성된 체결공(59)이 동일선상에 위치된다.
결합수단(80)은 나사공(75,77)과 체결공(57,59)에 체결되어 지지브라켓(50)과 보조브라켓(70)이 나이프(19,21)를 지지하는 상태를 고정한다.
결합수단(80)은 나사공(75,77)과 체결공(57,59)에 체결되어 지지브라켓(50)과 보조브라켓(70)의 사이에 위치되는 나이프(19,21)와 홀더(15,17)를 함께 고정하는 체결볼트(81)와, 체결볼트(81)의 머리부에 형성되어 회전동작으로 체결볼트(81)를 풀거나 조이는 조작핸들(83)을 포함한다. 조작핸들(83)은 체결볼트(81)를 풀거나 조이는 작업을 용이하게 한다.
한편, 지지브라켓(50)은 길이방향 일측에 축공(61)이 형성된다. 축공(61)은 지지브라켓(50)의 제1지지부(51)에 형성되며, 제1지지부(51)의 내면방향으로 개구되는 제1공(61a)과 제1공(61a)과 연통되고 제1공(61a)에 비해 직경이 작으며 제1지지부(51)의 외면방향으로 개구되는 제2공(61b)으로 구성된다.
지지브라켓(50)의 축공(61)에 지지브라켓(50)을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축부재(90)가 결합된다. 회전축부재(90)는 일단이 지지브라켓(50)의 축공에 결합되고 타단은 지면에 지지된다.
회전축부재(90)는 일단에 제1공(61a)에 위치되는 걸림회전부(91) 및 걸림회전부(91)에서 연장되고 제2공(61b)을 통해 제1지지부(51)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연장회전부(93)로 구분된다. 연장회전부(93)에는 지지너트(95)가 결합되어 걸림회전부(91)가 제1공(61a)에 위치된 상태를 고정할 수 있다.
제1공(61a)에 위치되는 걸림회전부(91) 및 제2공(61b)에 위치되는 연장회전부(93)를 기준으로 지지브라켓(50)이 회전 가능하고, 지지브라켓(50)이 회전되면 하부홀더(17)에 고정된 하부나이프(21)의 교체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지지너트(95)는 연장회전부(93)에 조이거나 풀어지는 방식으로 결합되어 지지브라켓(50)의 회전을 용이하게 하고, 회전시킨 후에는 회전된 상태가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연장회전부(93)는 지지브라켓(50)과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ㄱ자로 꺽여진 형상으로 연장되며, 연장회전부(93)는 타단이 도시되지 않은 고정프레임에 연결되어 지면에 지지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강판절단기에 설치한 모습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이용하여 강판절단기의 나이프를 교체하는 모습을 보인 과정도이다.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상부나이프를 교체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이를 위하여 우선, 강판절단기의 나이프 교체장치를 상부나이프(19)에 장착한다.
그 방법은 지지브라켓(50)의 제1지지부(51)가 상부나이프(19)의 볼트공(19a)이 형성된 일면 및 그 일면과 직교되는 단부면을 지지하도록 배치시킨 후, 제1보조브라켓(71)의 연장부(78)가 지지브라켓(50)의 저면을 받치고 지지브라켓(50)의 체결공(57)과 제1보조브라켓(71)의 나사공(75)이 연통되게 제1보조브라켓(71)을 지지브라켓(50)의 일단에 배치한다. 다음으로, 제1보조브라켓(71)의 나사공(75)을 관통하여 지지브라켓(50)의 체결공(57)에 체결볼트(81)를 체결하여 조여주면 된다.
그러면, 지지브라켓(50)과 제1보조브라켓(71) 사이의 공간에 고정볼트(23)에 의해 상부홀더(15)에 고정된 상부나이프(19)가 위치되고, 상부나이프(19)의 볼트공(19a)에 위치하고 있는 고정볼트(23)의 머리부가 제1지지부(51)의 내면에 지지되는 상태가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지지브라켓(50)의 길이방향 타단에 배치되는 상부나이프(19)에도 제2보조브라켓(73)의 연장부(79)가 지지브라켓(50)의 이동부(55)의 저면을 받치고 이동부(55)의 체결공(59)과 제2보조브라켓(73)의 나사공(77)이 연통되게 제2보조브라켓(73)을 배치한다. 다음으로, 제2보조브라켓(73)의 나사공(77)을 관통하여 이동부(55)의 체결공(59)에 체결볼트(81)를 체결하여 조여주면 된다.
강판절단기의 나이프 교체장치를 상부나이프(19)에 장착하는 과정에서, 상부나이프(19)의 길이가 지지브라켓(50)의 길이보다 짧은 경우에는 이동부(55)를 지지브라켓(5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시켜 제1보조브라켓(71)과 제2보조브라켓(73)이 이격된 간격을 조정할 수 있다.
그러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가 되고, 단면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볼트(23)에 체결된 고정너트(31)를 풀어 고정너트(31)와 와셔(27)가 고정볼트(23)에 체결된 상태를 해제한다. 이 과정에서 고정볼트(23)는 고정돌기(23a)로 인해 볼트공(19a)과 연통공(15a)에 대한 고정볼트(23)의 상대회전이 제한되고, 지지브라켓(50)의 제1지지부(51)에 의해 고정볼트(23)의 머리부가 볼트공(19a)을 이탈하여 돌출되는 것이 방지되므로 고정너트(31)를 푸는 작업이 신속하게 이루어진다.
특히, 중량물인 상부나이프(19)를 상부홀더(15)에 고정하기 위해서는 다수개의 고정볼트(23)와 고정너트(31)가 사용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제1지지부(51)에 의해 고정볼트(23)가 헛도는 것이 방지되므로 고정볼트(23)와 고정너트(31)의 체결을 해제하는 과정이 신속하게 이루어진다.
고정볼트(23)에서 고정너트(31)를 해제하는 작업이 완료되면, 지지브라켓(50)과 보조브라켓(70) 사이의 간격을 넓혀 상부나이프(19)와 상부홀더(15)를 인출할 수 있도록 한다.
그 과정은 체결볼트(81)가 체결공(57)과 나사공(75)에 체결된 상태가 해제되는 방향으로 조작핸들(83)을 회전시켜 보조브라켓(70)이 지지브라켓(50)에서 소정간격 더 이격되게 함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 후,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홀더(15)를 소정높이만큼 상승시켜 상부나이프(19)와 상부홀더(15)를 관통하여 삽입되어 있는 다수개의 고정볼트(23)들을 인출하고 상부나이프(19)를 교체하면 된다.
상부나이프(19)를 교체한 후에는 상술한 과정의 역순으로 교체한 상부나이프(19)와 상부홀더(15)를 관통하여 고정볼트(23)들을 삽입하고 상부홀더(15)를 소정높이만큼 하강시켜 지지브라켓(50)과 보조브라켓(70)의 사이에 고정볼트(23)가 삽입된 상부나이프(19)와 상부홀더(15)가 위치되게 한다. 다음으로 조작핸들을 돌려 지지브라켓과 보조브라켓이 상부나이프와 상부홀더를 지지하도록 하고, 고정볼트에 와셔(27)와 고정너트(31)를 체결하는 과정을 수행하면 된다.
한편, 하부홀더(17)에 고정된 하부나이프(21)를 교체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회전축부재(90)를 중심으로 지지브라켓(50)을 회전시켜 하부나이프(21)에 장착하면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첨부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강판절단기 S:강판
11:상부절단기 13:하부절단기
15:상부홀더 17:하부홀더
19:상부나이프 21:하부나이프
19a,21a:볼트공 15a,17a:연통공
23,25:고정볼트 23a,25a:고정돌기
27,29:와셔 31,33:고정너트
50:지지브라켓 51:제1지지부
53:제2지지부 53a:요입레일
55:이동부 55a:돌출레일
57,59:체결공 61:축공
61a:제1공 61b:제2공
70:보조브라켓 71:제1보조브라켓
73:제2보조브라켓 75,77:나사공
78,79:연장부 80:결합수단
81:체결볼트 83:조작핸들
90:회전축부재 91:걸림회전부
93:연장회전부 95:지지너트

Claims (6)

  1. 강판절단기의 나이프의 볼트공이 형성된 일면과 상기 일면과 직교하는 상기 나이프의 단부면에 밀착되는 내면을 구비하고, 체결공이 형성된 지지브라켓과;
    상기 지지브라켓과 협력하여 상기 나이프가 다수개의 고정볼트에 의해 고정되는 홀더의 일면을 길이방향 양측에서 지지하고 상기 나이프의 볼트공에 삽입되는 고정볼트의 머리부가 외부로 돌출되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체결공과 연통되는 나사공이 형성된 보조브라켓과;
    상기 나사공과 상기 체결공에 체결되어 상기 지지브라켓과 상기 보조브라켓이 상기 강판절단기의 나이프를 지지하는 상태를 고정하는 결합수단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판절단기의 나이프 교체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조브라켓은
    상기 지지브라켓의 길이방향 일측에 위치하여 상기 지지브라켓과 협력하는 제1보조브라켓과,
    상기 제1보조브라켓과 이격되게 상기 지지브라켓의 길이방향에 위치하여 상기 지지브라켓과 협력하는 제2보조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판절단기의 나이프 교체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보조브라켓과 상기 제2보조브라켓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지지브라켓의 저면에 레일방식으로 결합된 이동부에 상기 결합수단을 매개로 고정되어 상기 지지브라켓의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판절단기의 나이프 교체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브라켓은 길이방향 일측에 축공이 형성되고,
    일단이 상기 축공에 결합되고 타단은 지면에 지지되며, 상기 축공을 중심으로 상기 지지브라켓을 회전시키는 회전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판절단기의 나이프 교체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나사공과 상기 체결공에 체결되어 상기 지지브라켓과 상기 보조브라켓의 사이에 위치되는 상기 나이프와 홀더를 함께 고정하는 체결볼트와,
    상기 체결볼트의 머리부에 형성되어 회전동작으로 상기 체결볼트를 풀거나 조이는 조작핸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판절단기의 나이프 교체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조브라켓은 저면에 상기 지지브라켓의 저면을 감싸도록 상기 보조브라켓이 상기 지지브라켓과 결합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판절단기의 나이프 교체장치.
KR1020130074666A 2013-06-27 2013-06-27 강판절단기의 나이프 교체장치 KR1014123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4666A KR101412347B1 (ko) 2013-06-27 2013-06-27 강판절단기의 나이프 교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4666A KR101412347B1 (ko) 2013-06-27 2013-06-27 강판절단기의 나이프 교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12347B1 true KR101412347B1 (ko) 2014-06-25

Family

ID=511345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4666A KR101412347B1 (ko) 2013-06-27 2013-06-27 강판절단기의 나이프 교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234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4412A (ko) 2017-12-20 2019-06-28 주식회사 포스코 전단 나이프 장치
CN113458477A (zh) * 2021-08-16 2021-10-01 江苏金紧汽配有限公司 一种智能汽车配件加工用截断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58044Y1 (ko) 1995-06-30 1999-10-15 이구택 강판 절단 나이프의 교환장치
KR200167192Y1 (ko) 1995-12-08 2000-03-02 이구택 크롭 전단기의 나이프 교환장치
KR200446135Y1 (ko) 2007-11-13 2009-09-28 현대제철 주식회사 절단기 칼날 교체용 장치
KR100984396B1 (ko) 2008-07-25 2010-09-29 현대제철 주식회사 강판절단기의 나이프 교체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58044Y1 (ko) 1995-06-30 1999-10-15 이구택 강판 절단 나이프의 교환장치
KR200167192Y1 (ko) 1995-12-08 2000-03-02 이구택 크롭 전단기의 나이프 교환장치
KR200446135Y1 (ko) 2007-11-13 2009-09-28 현대제철 주식회사 절단기 칼날 교체용 장치
KR100984396B1 (ko) 2008-07-25 2010-09-29 현대제철 주식회사 강판절단기의 나이프 교체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4412A (ko) 2017-12-20 2019-06-28 주식회사 포스코 전단 나이프 장치
CN113458477A (zh) * 2021-08-16 2021-10-01 江苏金紧汽配有限公司 一种智能汽车配件加工用截断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12347B1 (ko) 강판절단기의 나이프 교체장치
CN211331802U (zh) 一种金属加工用表面锈迹清理装置
KR101450182B1 (ko) 평탄도 확보를 위한 파이프 벤딩기
KR100984396B1 (ko) 강판절단기의 나이프 교체장치
KR101530786B1 (ko) 코일 누름장치
KR20120035478A (ko) 열연강판용 절단장치
CN216540186U (zh) 一种铝卷冷轧装置
KR100792847B1 (ko) 강판 절단면 상부 버 제거장치
US5498156A (en) Dual-purpose guide and drum cleaner for Steckel mill coiler furnace
CN105369580B (zh) 一种玻璃纤维短切毡纵向分切装置
KR101267593B1 (ko) 코일 교정장치
KR200270916Y1 (ko) 선택형 사이드 트리머 홀더 다운 롤 장치
KR200150046Y1 (ko) 4롤형 조관기의 측롤 부착구조
CN220260875U (zh) 一种磨床托瓦底座拆卸专用工装
US2709935A (en) Device for straightening seamless metal tubing
US3089364A (en) Edge conditioning unit
RU64537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направления и центрирования листового и полосового проката
KR200329233Y1 (ko) 정반에 안착된 피가공물을 고정하는 회전식 클램퍼
KR200446349Y1 (ko) 코일롤 거치용 지그
KR20100001418A (ko) 압연기의 보호장치
KR101638075B1 (ko) 압연장치
JP2012170579A (ja) 衣服プレス仕上げ機
KR200331639Y1 (ko) 방향 전환 스키드
JP2009529426A (ja) 連続鋳造設備及び連続鋳造設備の動作方法
JPH10202325A (ja) ロール成形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0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