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6034Y1 - 우산 장착 수단 - Google Patents

우산 장착 수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6034Y1
KR200446034Y1 KR2020090008442U KR20090008442U KR200446034Y1 KR 200446034 Y1 KR200446034 Y1 KR 200446034Y1 KR 2020090008442 U KR2020090008442 U KR 2020090008442U KR 20090008442 U KR20090008442 U KR 20090008442U KR 200446034 Y1 KR200446034 Y1 KR 20044603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mbrella
mounting
mounting means
fastening
ba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844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라태호
Original Assignee
라태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라태호 filed Critical 라태호
Priority to KR202009000844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603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603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603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40Umbrella, stick, or glove holders attached to a bag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5/00Purses, bags, luggage or other receptacles covered by groups A45C1/00 - A45C11/00, combined with other objects or articles

Landscapes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손으로 우산을 잡지 않고 몸에 장착하여 우산을 사용하면서도 양손이 자유롭도록 하기 위한 우산의 장착 수단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우산 지주 하단에 결합되는 제1장착수단과 우산 사용자의 피복이나 가방 어깨끈과 같은 장착부 상에 탈부착되는 제2장착수단을 상호 체결함에 따라 손으로 우산을 잡지 않더라도 우산이 사용자 몸체 상에 직접 장착된 상태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되,
기존에 비해 각 장착수단 간의 체결 및 분리구조를 단순화 하고 장착부와의 자유로운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하여 다양한 장착부에 적용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장착부에 설치된 상태에서 신체 구조에 따라 자유롭게 고정위치를 변경할 수 있는 우산 장착수단에 관한 것이다.
우산, 손, 장착부, 장착, 가방

Description

우산 장착 수단{installation device for umbrella}
본 고안은 손으로 우산을 잡지 않고 우산이 사용자 몸에 직접 장착된 상태가 되도록 하여 우산을 사용하는 과정에서 양손이 자유롭도록 하기위한 우산 장착수단에 관한 것으로,
기존에 비해 장착수단의 크기나 구조를 간소화함은 물론, 탈부착 가능하도록 하도록 하여 가방 어깨끈이나 피복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장착부에 적용이 가능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신체 구조에 따라 우산의 설치위치도 쉽게 변경할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우산이나 양산은 사용할 때 우산을 펼친 상태에서 반드시 한손으로 우산 지주를 들고 있어야만 한다.
따라서 우산 외에 들어야 하는 짐이 많을 경우 이동하기가 상당히 불편하고 자세도 흐트러질 수밖에 없어 우산을 쓰고 있어도 비를 맞게 되는 경우가 빈번하다.
최근에는 이러한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한 기술로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 제188835호 『우산 장착형 가방』이 제안되어있다.
상기 종래기술은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가방 내부 뒤쪽에 지지관 내장부(2)를 구비시키고, 지지관 내장부(2)의 우산 지지관(1) 내에 우산 지지봉(3)을 끼워 고정함에 따라 우산이 가방에 장착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우산을 펼친 상태에서 우산을 손으로 받쳐들 필요가 없기 때문에 양손이 자유로워져 행동이 제약받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종래기술은 이러한 장점과 더불어 우산 장착 구조면에 있어 여러 가지 문제점도 함께 갖고 있다.
첫째, 먼저 우산의 장착구조를 보면, 우산 지지관(1)이 머리 뒤쪽에 위치되기 때문에 가방을 메고 있는 상태에서는 우산 지지봉(3)을 지지관(1)에 정확히 끼우기 힘들고 우산의 높이를 조절 할 때에도 불편한 자세가 될 수밖에 없다.
따라서 가방을 내려놓은 상태에서 장착 및 높이조절을 해야만 하고, 그 후 체결구(4)로 우산 지지봉(3)을 고정해야 함으로 전체적으로 장착과정이 복잡하고 번거롭다.
둘째, 지지관 내장부(2)가 가방 내부에 위치되기 때문에 가방의 수용공간이 낭비될 수밖에 없다.
셋째, 지지관 내장부(2)는 전체가 가방 내부에 밀착 고정되는 구조가 아니라 상단의 체결부(5)가 가방을 관통하는 부분에서만 고정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고정부 위를 기준으로 가방 내부에서 흔들거릴 수밖에 없다.
즉 장착된 우산의 직립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는 구조는 갖고 있지 않아 장착된 우산이 바람 등에 의해 쉽게 흔들리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물론 종래기술의 명세서 상에 기재된 것처럼 가방 내에 내용물을 가득 채우면 지지관 내장부(2)가 내용물에 눌려 사용자 등판에 밀착 고정될 수도 있겠지만, 지지관 내장부(2)의 고정을 위해 내용물을 불필요하게 채워야 하는 문제점도 발생될 수 있다.
넷째, 체결부(5)의 관통설치를 위해 가방 상단에 관통공을 형성시켜야 하기 때문에 지지관 내장부(2)를 설치하지 않은 상태로 가방을 사용할 경우, 관통공이 외부로 노출되어 외관상 좋지 못하다.
반대로 이러한 관통공의 노출이 꺼려져 불필요하게 지지관 내장부(2)가 들어있는 상태로 사용할 수밖에 없는 경우도 발생된다.
이렇게 종래 기술의 지지관 내장부(2)는 설치용 관통공이 형성된 전용 가방에만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일반적인 가방에 옮겨 설치하기는 불가능하고 전용 가방에만 적용할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기본적으로 우산을 펼친 상태에서 가방 어깨끈이나 피복(被服)과 같은 장착부 상에 장착하여 양손이 자유롭도록 함을 기본 목적으로 하되,
첫째, 기존에 비해 장착수단 간의 체결구조를 간소화함으로써 장착부를 착용하고 있는 상태에서도 손쉽게 우산의 장착 및 분리가 가능한 우산 장착수단을 제공하고자 한다.
둘째, 우산을 가방어깨끈에 장착하고자 할 경우 가방의 수납공간을 사용하지 않고도 장착수단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하여 수납공간 손실을 막을 수 있는 우산 장착수단을 제공하고자 한다.
셋째, 장착수단이 장착부 상에 견고하게 밀착 고정되도록 함에 따라 바람 등에 의한 우산의 흔들림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우산 장착수단을 제공하고자 한다.
넷째, 장착수단 설치를 위해 장착부를 훼손시킬 필요가 없고, 손쉽게 장착부에 탈부착 시킬 수 있어 타 장착부에도 설치가 가능한 우산 장착수단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우산지주 하단에 체결되는 제1장착수단과,
상기 제1장착수단과 체결 및 분리되되 우산 사용자의 장착부 외부면 상에 설치되는 제2장착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1장착수단은, 상측에 결합공이 형성되어 결합공에 우산지주 하단이 끼워지는 제1몸체와, 상기 제1몸체 하측에 구비되는 제1체결부로 구성되고,
상기 제2장착수단은, 상기 제1체결부와의 체결을 위한 제2체결부가 형성된 제2몸체와, 상기 제2몸체 일측에 구비되어 장착부 상에 고정되는 설치부로 구성된 점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2체결부 중 어느 하나는 걸림턱이 구비된 탄성체이고 다른 하나는 상기 탄성체가 끼워져 걸림턱이 체결되도록 걸림구조를 갖는 체결공간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불어 상기 제2장착수단이 설치되는 사용자 장착부는 피복이나 가방의 어깨끈 소정부위이고,
상기 제2장착수단의 설치부는 제2몸체 일측에 구비되는 힌지부와, 제2몸체와 간극을 두고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힌지부 설치되어 회동하되 회동과정에서 상기 간극 내에 위치한 장착부와 결합 분리되는 잠금판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특징적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은,
첫째, 장착수단을 제1, 2장착수단 간 체결 및 분리가 손쉬운 버클타입으로 구현함과 동시에 장착수단이 가방 어깨끈과 같은 장착부 외부에 설치됨에 따라, 장 착부를 착용하고 있는 상태에서 손쉽게 우산의 장착 및 분리가 가능한 장점이 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 장착부가 가방의 어깨끈일 경우 장착수단을 어깨끈 외부면 상에 설치할 수 있음에 따라 장착수단 설치를 위한 가방의 수납공간 손실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셋째, 설치부를 통해 장착수단이 장착부 외부에 견고하게 밀착 고정됨에 따라 장착된 우산의 흔들림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넷째, 설치부를 통해 장착수단이 장착부와 결합 분리가 가능함에 따라 설치위치를 원하는 대로 설정할 수 있고 다양한 장착부에 옮겨서 설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설치 과정에서 장착부가 훼손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에 예시된 구성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체적인 구성 및 그 작용에 대한 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본 고안 우산 장착수단(1000)은 [도 2] 내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우산에 설치되는 제1장착수단(100)과 사용자의 장착부 상에 설치되는 제2장착수단(200)으로 나뉘어 진다.
먼저 상기 제1장착수단(100)은 위에서 설명한 것처럼 우산(500)의 지주 하단에 설치며, 다시 제1몸체(110)와 제1체결부(120)로 구성된다.
상기 제1몸체(110)는 제1장착수단(100)과 우산지주(510)와의 결합을 위한 부 분으로,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직육면체 형상을 띄며 상면에는 우산지주(510) 하단이 끼워지는 결합공(112)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공(112)의 내주면과 우산지주(510) 하단에는 나사산(512)이 형성되어 상호 나사 체결된다.
참고로 일반적인 우산의 손잡이 체결구조도 이와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지고, 더구나 거의 모든 우산 지주의 나사부 규격이 동일하기 때문에 제1몸체(110)의 나사체결을 위해 우산지주(510)에 추가적으로 나사가공 할 필요가 없으며, 기존 손잡이를 제거한 상태에서 상호 체결시키기만 하면 된다.
이러한 제1몸체(110)는 손으로 집접 우산을 들고 다닐 때 손잡이 역할도 병행될 수 있도록 잡기 편할 정도의 크기로 제작된다.
상기 제1몸체(110)의 하단에는 후술하는 제2장착수단(200)과의 체결을 위한 제1체결부(120)가 구비되는데, 제1체결부(120)는 제1몸체(110)로부터 돌출된 막대 형태로 이루어지고 일측에는 곡면부(122)가 형성되며 곡면부(122) 상측에는 걸림턱(124)이 형성된다.
또한 제1체결부(120)는 자체적으로 탄성력을 갖도록 하여 제2장착수단(200)과의 체결과정에서 눌림이 가해졌을 때 휘었다가 힘이 해제되면 원위치로 복귀되도록 한다.
이러한 제1체결부(120)는 제1몸체(110) 하단 양측에 대칭구조로 2개가 구비된다.
그리고 각 제1몸체(110) 사이에는 단순 막대 형태의 지지편(126)이 구비되는데, 상기 지지편(126)은 후술하는 제2몸체(210)와 결합된 상태에서 제1몸체(110)가 우산과 함께 흔들리려 할 때 각 제1체결부(120)와 더불어 제1몸체(110)를 지지하여 제1몸체(110)의 흔들림을 막기 위한 보조 수단으로 별도의 체결기능을 갖고 있지는 않다.
이렇게 제1장착수단(100)은 우산지주(510)에 결합된 상태에서 장착수단(1000)의 또 다른 구성요소인 제2장착수단(200)에 최종 결합됨에 따라 우산이 사용자의 장착부 상에 장착된다.
상기 제2장착수단(200)은 피복이나 가방의 어깨끈과 같은 장착부 상에 설치되는 부분으로 [도 3] 내지 [도 4b]에 도시된 것처럼 제2몸체(210)와 제2체결부(220) 및 설치부(230)로 구성된다.
상기 제2몸체(210)는 제1장착수단(100)의 제1체결부(120)와 직접적으로 체결되는 부분으로, 직육면체 형상이고 상부가 개방되며 내부에는 제1체결부(120)가 수용되는 수용공간(212)이 형성된다.
또한 수용공간(212)입구 양측에는 내측을 향해 절곡부(214)가 형성되고 각 양측면 중앙부분에는 절개 형태의 체2체결부(220)가 형성되어 [도 4b]와 같이 수용공간(212)에 끼워진 제1체결부(120)의 각 걸림턱(124)이 제2체결부(220)에 걸리도록 한다.
또한 수용공간(212)과 제1체결부(120) 및 지지편(126)의 전후폭을 거의 동일하게 제작하여, 수용공간(212)에 끼워졌을 때 제1체결부(120)와 지지편(126)의 전후면이 수용공간(212) 전후 내벽에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결합상태에서 제1장착수 단(100)이 전후로 흔들리지 않도록 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금까지 설명한 제1, 2장착수단(100)(200)간의 결합구조는 일반적으로 가방끈 등에 사용되는 클립 형태로 이루어짐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체결클립은 원터치 방식으로 손쉽게 체결 및 분리가 이루어지는 편리함으로 인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즉 본 고안은 이러한 클립구조를 우산의 장착용도로 변형 구현함으로써 종래기술에 비해 우산의 장착 및 분리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도록 함을 기본적인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몸체(210)에는 제2몸체(210)를 장착부 상에 설치함과 동시에 설치 상태에서의 위치조절을 위한 설치부(230)가 구비되는데, 설치부(230)는 제2몸체(210) 뒷면 상에 잠금판(232)이 회동 결합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참고로 본 실시예에서 장착부(610)는 가방의 어깨끈일 경우이고 제안된 설치부(230)도 어깨끈에 장착하고자 할 때 적용되는 구조이다.
설치부(230)의 구조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3] 및 [도 5a]와 같이 제2몸체(210) 뒷면 양측에 고정편(234)이 구비되고 잠금판(232) 의 상단 양측에는 회동편(232a)이 구비된 상태에서 각 회동편(232a)과 고정편(234)이 상호 힌지축(H)을 통해 결합됨에 따라 잠금판(232)이 힌지축(H)을 중심으로 회동되는 구조이다.
이때 잠금판(232)과 제2몸체(210) 간에는 간극(240)이 형성되도록 하여 간극 (240)내에 장착부(610), 즉 가방 어깨끈이 삽입되도록 하고 잠금판(232) 상단에는 회동과정에서 장착부(610)를 물어 고정하기 위한 톱니모양의 요철부(232b)가 형성 된다.
이상 설명한 것처럼 상기 설치부(230)의 구조는 일반적인 허리벨트의 버클구조를 접목한 것으로, 본 고안에서는 이러한 구조를 이용하여 장착부(610) 상에 장착수단(1000)을 비롯한 우산(500)의 장착용도로 구현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상기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5a]처럼 장착부(610)가 제2장착수단(200)의 간극(240)을 관통하도록 한 상태에서 장착부(610)를 따라 제2장착수단(200)을 적정위치로 이동시킨 후 잠금판(232)을 회동시키면 잠금판(232)의 요철부(232b)가 장착부(610)을 물게됨에 따라, 결국 [도 5b]처럼 제2장착수단(200)이 장착부(610) 상에 고정 설치된다.
그리고 제1장착수단(100)은 [도 3] 및 [도 4a]와 같이 결합공(112)을 통해 우산지주(510)의 하단에 나사 체결시킨 후 제1장착수단(100)의 제1체결부(120)를 제2장착수단(200)의 수용공간(212)에 끼워 넣는다.
이 과정에서 [도 4a]에 도시된 것처럼 각 제1체결부(120)의 곡면부(122)가 제2몸체(210)의 절곡부(214)에 접촉됨에 따라 각 제1체결부(120)는 안쪽으로 휘게 되고 곡면부(122)가 절곡부(214)를 지나는 동안 휘어진 상태로 삽입된다.
그 후 [도 4b]처럼 곡면부(122)가 제2몸체(210)의 제2체결부(220)에 위치되어 제1체결부(120)에 가해지던 힘이 해제되면 제1체결부(120)는 자체탄성력에 의해 원래 형태로 돌아가게 됨과 동시에 곡면부(122)는 제2체결부(220)에 삽입되어 외부로 돌출된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는 제1체결부(120)의 각 걸림턱(124)이 제2체결부(220) 상단에 걸림으로써 제1장착수단(100)은 위로 빠져나오지 못하고 제2장착수단(200)과 체결됨에 따라, 최종적으로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우산(500)이 장착부(610) 상에 고정 장착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양손이 자유롭게 된다. 이때 앞에서 설명한 것처럼 잠금판(232)이 장착부(610)를 물고 있어 제2장착수단(200)의 흔들림이 방지된 상태이기 때문에, 이에 장착된 우산도 흔들리지 않게 된다.
이처럼 본 고안은 장착수단(1000)을 단순 클립형태로 구현함에 따라 기존에 비해 전체크기를 줄일 수 있고 제1, 2장착수단(100)(200)간의 상호 체결 분리가 간편함은 물론, 가방 어깨끈 상에 설치가 가능함으로 장착수단(1000)이 가방 내부 공간을 차지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앞에서 설명한 것처럼 잠금판(232)에 의해 제2장착수단(200)이 장착부(610)에 견고하게 고정됨에 따라, 장착부(610)를 흔들지 않는 이상 우산의 흔들림 문제도 해결 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우산이 장착부에 장착된 상태에서 우산의 위치를 위 아래로 옮기고자 할 경우 가방을 메고 있는 상태에서 [도 7]처럼 잠금판(232)을 회동시키면 장착부(610)와 요철부(232b) 간의 물림이 해제되어 제1, 2장착수단(100)(200)을 비롯해 우산이 장착부(610)를 따라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적정위치를 찾으면 잠금판(232)을 다시 회동시켜 장착부(610)를 물도록 하여 고정시키면 된다.
또한 잠금장치를 다른 가방에 설치하고자 할 경우에도 단순히 잠금판(232)의 물림을 해제한 상태에서 장착부(610)를 제2장착수단(200)으로부터 빼내기만 하면 가방과 제2장착수단(200)이 분리됨으로 얼마든지 쉽게 타 가방에 설치가 가능하다.
앞에서는 설치부(230)에 의해 장착수단(1000)이 장착부(610) 상에서 위치변화가 가능한 경우를 설명하였으나, [도 8]처럼 설치부(230)를 가죽이나 직물재질의 판재형태로 구현하고 박음질을 통해 어깨끈(610)에 고정시키는 형태로도 구현할 수 있다.
이 경우 장착수단의 위치조절이나 타 가방으로 옮겨 설치하는 것은 불가능하나, 앞의 실시예에 비해 제2장착수단(200)이 장착부 상에 더 견고하게 밀착 고정되어 흔들림 현상이 더욱 차단되는 장점은 있다.
또한 이 경우 [도 9]처럼 어깨끈이 아닌 가방 본체나 기타 피복 형태의 장착부에도 직접 설치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본 고안의 여러 특징들은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고 조합되어 실시될 수 있으나, 이러한 변형 및 조합들이 우산에 결합되는 제1장착수단, 사용자의 장착부 상에 제2장착수단으로 구분되어 제1, 2장착수단 간의 체결을 통해 우산이 장착부에 장착되도록 함으로써, 기존에 비해 장착구조가 간소해 지고 가방의 내부 공간을 낭비하지 않으며 간편하게 장착과 분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구성 및 목적과 관련이 있을 경우에는 본 고안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판단되어야 한다.
도 1 은 종래 기술의 측단면도
도 2 내지 도 9는 본 고안에 관한 도면으로,
도 2 내지 도 4b는 우산과 장착수단간의 체결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5a는 설치부의 구조 및 작동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5b 는 설치부를 통해 제2장착수단이 가방 어깨끈으로 이루어진 장착부 상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6 은 장착수단을 통해 우산이 장착부 상에 최종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7 은 장착부에 우산이 장착된 상태에서 설치부를 통해 높이조절을 실시하는 도면
도 8 은 박음질을 통해 설치부를 장착부상에 고정 설치한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9 는 장착수단이 가방 본체 상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Claims (4)

  1. 우산지주 하단에 체결되는 제1장착수단과,
    상기 제1장착수단과 체결 및 분리되되 우산 사용자의 장착부 상에 설치되는 제2장착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장착 수단.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장착수단은,
    상측에 결합공이 형성되어 결합공에 우산지주 하단이 끼워지는 제1몸체와, 상기 제1몸체 하측에 구비되는 제1체결부로 구성되고,
    상기 제2장착수단은,
    상기 제1체결부와의 체결을 위한 제2체결부가 형성된 제2몸체와, 상기 제2몸체 일측에 구비되어 제2몸체를 우산 사용자의 장착부 상에 탈 부착하는 설치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장착 수단.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2체결부 중 어느 하나는 걸림턱이 구비된 탄성체이고 다른 하나는 상기 탄성체가 끼워져 걸림턱이 체결되도록 걸림구조를 갖는 체결공간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장착수단.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장착수단이 설치되는 사용자의 장착부는 피복 또는 가방 어깨끈의 소정부위이고,
    상기 제2장착수단의 설치부는,
    제2몸체 일측에 구비되는 힌지부와, 제2몸체와 간극을 두고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힌지부 설치되어 회동하되 회동과정에서 상기 간극 내에 위치한 장착부와 결합 분리되는 고정판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장착수단.
KR2020090008442U 2009-06-30 2009-06-30 우산 장착 수단 KR20044603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8442U KR200446034Y1 (ko) 2009-06-30 2009-06-30 우산 장착 수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8442U KR200446034Y1 (ko) 2009-06-30 2009-06-30 우산 장착 수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6034Y1 true KR200446034Y1 (ko) 2009-09-21

Family

ID=416488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8442U KR200446034Y1 (ko) 2009-06-30 2009-06-30 우산 장착 수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6034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3705B1 (ko) 2011-08-04 2011-11-16 서정일 우산 장착형 가방
KR101448096B1 (ko) 2013-08-28 2014-10-08 장애인표준사업장비클시스템 주식회사 우산꽂이
KR20210054136A (ko) * 2019-11-05 2021-05-13 (주)팜메이커 작업용 햇빛가리개 기구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4890U (ko) * 1992-08-22 1994-03-16 박정훈 작업용 우산
US6308722B1 (en) 2000-08-31 2001-10-30 Joseph L. Christie Umbrella mountable on a backpack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4890U (ko) * 1992-08-22 1994-03-16 박정훈 작업용 우산
US6308722B1 (en) 2000-08-31 2001-10-30 Joseph L. Christie Umbrella mountable on a backpack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3705B1 (ko) 2011-08-04 2011-11-16 서정일 우산 장착형 가방
KR101448096B1 (ko) 2013-08-28 2014-10-08 장애인표준사업장비클시스템 주식회사 우산꽂이
KR20210054136A (ko) * 2019-11-05 2021-05-13 (주)팜메이커 작업용 햇빛가리개 기구
KR102303367B1 (ko) * 2019-11-05 2021-09-17 (주)팜메이커 작업용 햇빛가리개 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38870B2 (en) Head mount apparatus for hands-free video recording with an electronic device
US6237169B1 (en) Foldable trampoline
US20100205789A1 (en) Buckle attachment device
KR200446034Y1 (ko) 우산 장착 수단
US4323180A (en) Camera shoulder case
US6869219B1 (en) Shoe-storing saddlebag assembly
US20160165847A1 (en) Animal excrement receiving device
KR200438289Y1 (ko) 우산 케이스, 이 우산 케이스에 장착될 수 있는 우산 및이들이 결합된 우산 어셈블리
KR200467694Y1 (ko) 카메라 홀더
US20050155152A1 (en) Pillow system
CN212086263U (zh) 手机多功能物架
CN210276303U (zh) 一种旅游用多功能背包
JP2004208735A (ja) 携帯用傘ホルダー
US8864003B2 (en) Motorcycle windshield bag
KR101018317B1 (ko) 디지털 카메라의 셔터 버튼을 원격으로 작동시키는 디지털 카메라 지지 장치
KR101635507B1 (ko) 지팡이를 구비한 우산을 거치할 수 있는 조끼형 우산거치대
KR200474193Y1 (ko) 파우치
JP2003116621A (ja) カメラのストラップ
KR200442515Y1 (ko) 자전거용 바구니
JPH0718625U (ja) バックル
JP3038067U (ja) リール付き釣竿用携帯ケース
JP2001317687A (ja) カメラ用三脚保持具
JP3079843U (ja) 携帯用傘ケース
JP2002225766A (ja) 荷籠用蓋付車両カバー
JP2545881Y2 (ja) プラスチックケー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