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5507B1 - 지팡이를 구비한 우산을 거치할 수 있는 조끼형 우산거치대 - Google Patents

지팡이를 구비한 우산을 거치할 수 있는 조끼형 우산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5507B1
KR101635507B1 KR1020150069750A KR20150069750A KR101635507B1 KR 101635507 B1 KR101635507 B1 KR 101635507B1 KR 1020150069750 A KR1020150069750 A KR 1020150069750A KR 20150069750 A KR20150069750 A KR 20150069750A KR 101635507 B1 KR101635507 B1 KR 1016355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mbrella
cane
handle
stand
mou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97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민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준
Priority to KR10201500697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5507B1/ko
Priority to PCT/KR2015/012524 priority patent/WO2016080800A2/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55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55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11/00Umbrella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attachment
    • A45B11/02Umbrella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attachment attached to the body of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1/00Sticks with supporting, hanging or carry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3/00Sticks combined with other objects

Landscapes

  • Holders For Apparel And Elements Relating To Appare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우산 내에 지팡이가 삽결될 수 있도록 지팡이를 구비한 우산을 거치할 수 있는 조끼형 우산거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지팡이를 구비한 우산은 우천 시 빗물을 차단하는 우산부와; 우산부에 형성된 내부공간부에 탈착되어 사용자의 사용성 및 휴대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지팡이부로 구성되어 있으며, 우산부 또는 우산부에 삽결된 지팡이부의 말단이 체결될 수 있는 우산체결부와; 차양각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우산체결부가 장착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가 탈장착될 수 있는 우산장착부와; 상기 우산장착부가 삽결될 수 있으며 양팔을 이용하여 착용함으로써 사용자의 신체에 체결될 수 있는 조끼부로; 구성된 지팡이를 구비한 우산을 거치할 수 있는 조끼형 우산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지팡이를 구비한 우산을 거치할 수 있는 조끼형 우산거치대{vest-type umbrella cradle of cane umbrella}
본 발명은 지팡이를 구비한 우산을 거치할 수 있는 조끼형 우산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지팡이를 구비한 우산은 파이프형 우산대에 지팡이가 탈장착되어 일체화될 수 있도록 제작되어 우천 중지 시 사용자의 휴대성 및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상기 일체화된 지팡이를 구비한 우산을 차양각을 전방향으로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우산거치대에 체결하여 그 기능성 및 활동성을 향상시킨 지팡이를 구비한 우산을 거치할 수 있는 조끼형 우산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우산은 우천 시 사용되는 것으로 거동이 용이하지 않은 노약자의 경우 우천 시 우산 및 지팡이를 모두 휴대하고 외출해야 하는 불편함이 존재하며, 특히 우천 중지 시 우산은 그 기능을 상실하여 불필요한 휴대품이 된다는 점에서 개선 방안이 요구되었다.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출원번호 제10-2010-0049024호 지팡이 겸용 우산 또는 출원번호 제20-2006-0008122호 우산이 수납되는 지팡이에서는 우천 중지 시 지팡이 및 우산을 각기 별도로 휴대할 필요 없이 지팡이에 우산을 탈장착하여 일체화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는 지팡이 겸용 우산에 관하여 게재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기존 발명 또는 고안은 우산의 부피를 최대한 축소하여 지팡이 내부에 형성된 공간부에 삽입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하며, 내부공간부에 삽입된 우산에 잔재한 빗물의 배출이 용이하지 않아 악취가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우산대 내부에 형성된 공간부에 지팡이를 탈장착하여 일체화함으로써 사용자의 휴대성 및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빗물이 잔재한 표면적이 적은 지팡이를 우산대 내부에 형성된 공간부에 삽결함으로써 잔재한 빗물에 의한 악취 발생을 방지할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상기 지팡이가 삽결된 우산은 조끼형 우산거치대에 탈장착될 수 있어 우천 시 사용자의 양손을 자유롭게 함으로써 활동성을 향상시키고 조끼형 우산거치대에 장착된 우산의 차양각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그 기능성이 향상된 지팡이를 구비한 우산을 거치할 수 있는 조끼형 우산거치대를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지팡이를 구비한 우산을 거치할 수 있는 조끼형 우산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지팡이와 우산의 탈장착을 통해 일체화될 수 있도록 하여 우천 중지 시 일체화된 지팡이를 구비한 우산을 지팡이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휴대성 및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지팡이를 구비한 우산을 거치할 수 있는 조끼형 우산거치대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일체화된 지팡이를 구비한 우산은 조끼형 우산거치대에 탈장착될 수 있어 우천 시 사용자의 양손을 자유롭게 할 수 있고 조끼형 우산거치대에 장착된 우산의 차양각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활동성 및 기능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지팡이를 구비한 우산을 거치할 수 있는 조끼형 우산거치대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우천 시 빗물을 차단하는 우산부 및 우산부에 탈착되어 사용자의 사용성 및 휴대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지팡이를 구비한 우산은 우천시 빗물을 차단하는 우산부와; 우산부에 형성된 내부공간부에 탈착되어 사용자의 사용성 및 휴대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지팡이부로 구성되어 있으며,우산부 또는 우산부에 삽결된 지팡이부의 말단이 체결될 수 있는 우산체결부와;차양각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우산체결부가 장착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가 탈장착될 수 있는 우산장착부와; 상기 우산장착부가 삽결될 수 있으며 양팔을 이용하여 착용함으로써 사용자의 신체에 체결될 수 있는 조끼부로;구성된 지팡이를 구비한 우산을 거치할 수 있는 조끼형 우산거치대를 제공함으로써 해결된다.
본 발명은 지팡이를 구비한 우산을 거치할 수 있는 조끼형 우산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지팡이를 구비한 우산은 우천 중지 시 지팡이와 우산의 탈장착을 통해 일체화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휴대성 및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상기 일체화된 지팡이를 구비한 우산은 조끼형 우산거치대에 탈장착될 수 있어 우천 시 사용자의 양손을 자유롭게 할 수 있고 조끼형 우산거치대에 장착된 우산의 차양각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활동성 및 기능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지팡이를 구비한 우산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2는 지팡이를 구비한 우산에 대한 분리사시도이다.
도 3은 지팡이를 구비한 우산의 우산부에 대한 세부도이다.
도 4는 지팡이를 구비한 우산의 지팡이부에 대한 세부도이다.
도 5는 지팡이를 구비한 우산의 우산부와 지팡이부의 결합에 대한예시도이다.
도 6은 조끼형 우산거치대의 우산장착부에 대한 실시도 및 길이조절부에 대한 상세도이다.
도 7은 조끼형 우산거치대의 우산장착부와 조끼부의 결합에 대한 예시도 및 상세도이다.
도 8은 조끼형 우산거치대의 우산체결부와 결합부와 우산장착부의 결합에 대한 예시도 및 상세도이다.
도 9는 조끼형 우산거치대의 결합부를 통한 차양각 조절 예시도 및 결합부와 우산장착부의 단면 상세도이다.
도 10은 지팡이를 구비한 우산 및 이를 거치할 수 있는 조끼형 우산거치대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지팡이를 구비한 우산 및 이를 거치할 수 있는 조끼형 우산거치대의 실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본 발명은 우산 내에 지팡이가 삽결될 수 있도록 지팡이를 구비한 우산을 치할 수 있는 조끼형 우산거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지팡이를 구비한 우산은 우천 시 빗물을 차단하는 우산부(100)와; 우산부(100)에 형성된 내부공간부에 탈착되어 사용자의 사용성 및 휴대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지팡이부(200)로 구성되어 있으며, 우산부(100) 또는 우산부(100)에 삽결된 지팡이부(200)의 말단이 체결될 수 있는 우산체결부(300)와; 차양각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우산체결부(300)가 장착되는 결합부(400)와; 상기 결합부(400)가 탈장착될 수 있는 우산장착부(500)와; 상기 우산장착부(500)가 삽결될 수 있으며 양팔을 이용하여 착용함으로써 사용자의 신체에 체결될 수 있는 조끼부(600)로; 구성된 지팡이를 구비한 우산을 거치할 수 있는 조끼형 우산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우산부(100)는 우천 시 빗물을 차단할 수 있도록 상단에 형성된 캐노피(110)와 다단으로 구성된 우산대(120)와 펼친 상태나 접은 상태에서 우산을 잡는 데 사용하는 우산손잡이(130)로 구성되어 있으며, 우산대(120)는 보관성 및 휴대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상부우산대(121)와 상부우산대(121)보다 직경이작은 하부우산대(122)로 구성되어 보관 또는 휴대 시 하부우산대(122)가 상부우산대(121) 내부에 형성된 상부우산대공간부(123)에 삽결됨으로써 우산대(120) 길이의 가변성을 가지며, 하부우산대(122) 결합시 상부우산대공간부(123) 상단에 구비된 상부우산대탄성체(124)가 수축함과 동시에 하부우산대(122) 상단 일측면에 형성된 하부우산대걸림체(125)가 상부우산대(121) 하단 일측면에 천공된 상부우산대걸림구(126)에 체결됨으로써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하부우산대(122)의 하단 일측면에는 하부우산대결합구(127)가 천공되어 있어 우산손잡이(130) 탈장착 시우산손잡이(130) 일측 상단에 구비된 우산손잡이돌출버튼(131)을 가압하면 우산손잡이(130) 내부에 형성된 우산손잡이탄성체삽결부(132) 내의 우산손잡이탄성체(133)가 수축함과 동시에 우산손잡이걸림체(134)가 후퇴하여 우산손잡이(130)가 하부우산대(122)로부터 탈장착될 수 있도록 하였다.
지팡이부(200)는 보관의 편의성 및 휴대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다단으로 구성된 지팡이대(210)와 사용자의 손이 거치되어 지팡이부(200)를 잡을 수 있는 지팡이손잡이(220)와 지팡이대(210) 상단에 결속되며 지면과의 마찰을 통해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는 제1마찰체(230) 및 지팡이손잡이(220) 하단에 결합되는 제2마찰체(231)로 구성되어 있으며, 지팡이대(210)는 보관성 및 휴대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상부지팡이대(211)와 상부지팡이대(211)보다 직경이 큰 하부지팡이대(212)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지팡이대(210)는 사용 시 상부지팡이대(211) 하단 일측면에 구비된 상부지팡이대걸림체(213)가 하부지팡이대(212) 상단 일측면에 천공된 하부지팡이대걸림구(214)에 삽결되어 사용자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지면의 상태가 평탄한 곳에서는 제1마찰체(230) 저면에 하향 돌출 성형된 제1결합스크류(232)가 상부지팡이대(211) 상단이 구비된 제1결합부(216)에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고 지면의 상태가 험준한 곳에서는 제1마찰체(230)보다 직경이 넓은 제2마찰체(231)의 저면에 하향 돌출 성형된 제2결합스크류(233)를 상기 제1결합부(216)에 체결하여 사용함으로써 사용자의 편리성 및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분리된 제1마찰체(230) 또는 제2마찰체(231)는 지팡이손잡이(220) 하단에 구비된 제2결합부(221)에 체결하여 보관함으로써 미 사용 마찰체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지팡이부(200)는 미사용 시 상부지팡이대(211)를 하부지팡이대(212)에 형성된 하부지팡이대공간부(215)로 삽결하여 지팡이대(210)의 길이를 축소시키고,축소된 지팡이대(210)를 하부우산대(122) 내부에 형성된 하부우산대공간부(128)에 삽결함으로써 보관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였으며, 지팡이손잡이(220) 상면 일측에 구비된 지팡이손잡이결합구(222)에 우산손잡이걸림체(134) 하단부에 일체로 성형되며, 우산손잡이(130) 저면 일측에 천공된 관통구(136)를 관통하여 돌출되어 있는 걸림촉(135)이 체결됨으로써 우산부(100)로부터 지팡이부(200)가 이탈하지 않고 견고하게 장착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상기 하부지팡이대(212) 하단 일측면에는 하부지팡이대결합구(217)가 구비되어 있어 지팡이손잡이(220) 탈장착 시 지팡이손잡이(220) 일측 상단에 구비된 지팡이손잡이돌출버튼(223)을 가압하면 지팡이손잡이(220) 내부에 형성된 지팡이손잡이탄성체삽결부(224)내의 지팡이손잡이탄성체(225)가 수축함과 동시에 지팡이손잡이걸림체(226)가 후퇴하여 하부지팡이대(212)로부터 지팡이손잡이(220)가 탈장착될 수 있도록 하였다. 우산체결부(300)는 우산대(120) 또는 우산대(120)에 삽결된 지팡이대(210)가 체결될 수 있도록 우산체결부(300)의 상면에 천공된개방구(310)와; 개방구(310)에 체결된 우산대(120) 또는 우산대(120)에 삽결된 지팡이대(21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우산체결부(300) 내부에 구비된 고정돌출부(320)와; 체결된 우산대(120) 또는 우산대(120)에 삽결된 지팡이대(210)의 좌우전후향 회동이 가능하도록 우산체결부(300) 하단에 구형으로 성형된 걸림볼(330)로 구성되어 있으며, 우산체결부(300)에 우산대(120) 또는 우산대(120)에 삽결된 지팡이대(210)를 체결하여 사용할 경우 우산체결부(300) 상면에 천공된 개방구(310)에 우산대(120) 또는 우산대(120)에 삽결된 지팡이대(210)를 삽입하면 우산체결부(300) 내부에 형성된 우산체결부탄성체삽결부(321) 내의 우산체결부탄성체(322)가 수축함과 동시에 고정돌출부(320)가 하부우산대(122)에 구비된 하부우산대결합구(127) 또는 하부지팡이대(212)에 구비된 하부지팡이대결합구(217)에 삽결됨으로써 고정 결합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상기 하부지팡이대(212)의 삽결부 직경은 개방구(310)와 동일한 직경을 갖도록 성형되어 있어 직경 차이로 인한 하부지팡이대(212)의 이탈을 방지하고자 하였다.
결합부(400)는 우산대(120) 또는 우산대(120)에 삽결된 지팡이대(210)가 장착된 우산체결부(300)의 걸림볼(330)이 관통하여 체결될 수 있도록 중앙이 천공되어 링 형태로 형성된 볼결합부(410)와; 볼결합부(410) 저면에 하향 돌출 성형된 홀더스크류(420)와; 홀더스크류(420)의 저면에 회동 결합할 수 있도록 함몰되어 있는 스크류체결부(430)와; 볼결합부(410)에 체결 후 차양각이 조절된 걸림볼(330)을 고정 할 수 있도록 하는 볼고정부(440)와; 볼결합부(410)의 일측면에 구비되어 우산장착부(500)에 체결될 수 있는 고정결합체(450)로;구성되어 있으며, 결합부(400)에 우산체결부(300)의 걸림볼(330) 체결 시 볼결합부(410) 저면에서 상면 방향으로 걸림볼(330) 삽입 및 차양각 조절 후 볼결합부(410) 저면에 구비된 홀더스크류(420)와 그 저면에 스크류체결부(430)를 회동 결합함으로써 차양각이 조절된 볼결합부의 체결 및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걸림볼(330)의 차양각 재조절 시 홀더스크류(420)에 체결된 스크류체결부(430)를 일호만 회동시켜 걸림볼(330)의 차양각을 조정 후 스크류체결부(430)를 재 회동시켜 결합함으로써 사용 시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우산장착부(500)는 조끼부(600)에 삽결되어 사용자의 어깨에 거치될 수 있는 한쌍의 상부거치부(510)와; 상부거치부(510)의 사이에 위치하여 각기 상이한 사용자의 신체에 대응할 수 있도록 상부거치부(510)간의 간격 조절이 가능한 길이조절부(520)와 상부거치부(410) 전면 양측에 구비되어 결합부(400)의 고정결합체(450)가 체결될 수 있는 삽결부(530)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길이조절부(520)는 길이조절부(520) 내부에 형성된 내부공간부(521)와; 길이조절부(520) 상면에 위치하여 외부에서 조작이 가능한 조절손잡이(522)와; 조절손잡이(522) 하부에 위치한 고정체(523)와; 조절손잡이(522)가 삽결될 수 있도록 길이조절부(520) 상면에 천공되어 있는 조절손잡이삽결구(524)와; 조절손잡이삽결구(524) 타측에 함몰 성형되어 있어 조절손잡이(522) 미사용 시 고정체(523)가 삽결되어 고정됨으로써 고정손잡이(522)가 임의로 회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고정체삽결부(525)와; 타측 상부거치부(510)에 위치하여 조절손잡이(522)의 회동에 의해 길이가 조절되는 이동부(526)와; 고정체(523)의 저면에 구비되어 조절손잡이(522)의 회동에 의해 이동부(526)를 이동시킬 수 있는 회전톱니부(527)와; 조절손잡이삽결구(524)의 타측에 위치한 조절탄성체삽결부(528)와; 조절탄성체삽결부(528) 내에 삽결된 조절탄성체(529)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길이조절부(520)에 의한 상부거치부(510) 간격 조절 시 조절손잡이(522) 상부를 가압하면 조절손잡이삽결구(524) 타측에 위치한 조절탄성체삽결부(526)내 조절탄성체(527)가 수축함과 동시에 고정체삽결부(525)로부터 고정체(523)가 탈리되어 조절손잡이(522)가 회동할 수 있으며, 조절손잡이(522)의 회동에 의해 회전력이 전달된 회전톱니부(527)가 일측면에 요철에 성형되어 있는 이동부(526)를 내부공간부(521)로 이동시킴으로써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였다. 삽결부(530)는 삽결부(530) 전면에 형성되며 결합부(400)의 고정결합체(450) 삽결될 수 있도록 고정결합체(450)와 동일한 크기로 천공된 삽입구(531)와; 삽입구(531)의 양측면에 천공되어 고정결합체(450)의 돌출고정체(451)가 체결될 수 있는 돌출고정체결합구(532)와; 팽창에 의해 삽결된 고정결합체(450)의 이탈을 방지하는 고정탄성체(533)와; 고정탄성체(533) 일측에 형성된 지지판(534)과; 고정결합체(450)가 삽결되며 고정탄성체(533) 및 지지판(534)이 구비될 수 있는 장착내부공간부(535)로 구성되어 있으며, 고정결합체(450) 삽결 시 삽입구(531)로 고정결합체(450)를 삽입한 후 직교 방향으로 회전시켜 고정결합체(450)의 전면에 돌출 성형된 돌출고정체(451)가 삽결부(530)에 천공된 돌출고정체결합구(532)에 체결되며, 체결된 고정결합체(450)는 장착내부공간부(535)에 구비된 고정탄성체(533)의 팽창에 의해 지지판(534)이 진출하여 고정결합체(450)의 이탈을 방지함으로써 고정될 수 있도록 하였다. 조끼부(600)는 양측면에 양팔이 관통하여 신체에 체결될 수 있는 팔관통부(610)와; 조끼부(600) 상면에 우산장착부(500)가 삽결될 수 있는 개방부(620)와; 개방부(620)를 개폐할 수 있는 지퍼(630)와; 각기 상이한 사용자의 신체에 대응하여 조끼부(600)를 사용자의 신체에 밀착 고정시킬 수 있도록 조끼부(600)의 하단에 구비된 조절밸트(640)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개방부(620)는 우산장착부(500) 뿐만 아니라 휴대 가능한 다양한 물품을 보관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어 사용자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100. 우산부
110. 캐노피
120. 우산대
121. 상부우산대
122. 하부우산대
123. 상부우산대공간부
124. 상부우산대탄성체
125. 하부우산대걸림체
126. 상부우산대걸림구
127. 하부우산대결합구
128. 하부우산대공간부
130. 우산손잡이
131. 우산손잡이돌출버튼
132. 우산손잡이탄성체삽결부
133. 우산손잡이탄성체
134. 우산손잡이걸림체
135. 걸림촉
136. 관통구
200. 지팡이부
210. 지팡이대
211. 상부지팡이대
212. 하부지팡이대
213. 상부지팡이대걸림체
214. 하부지팡이대걸림구
215. 하부지팡이대공간부
216. 제1결합부
217. 하부지팡이대결합구
220. 지팡이손잡이
221. 제2결합부
222. 지팡이손잡이결합구
223. 지팡이손잡이돌출버튼
224. 지팡이손잡이탄성체삽결부
225. 지팡이손잡이탄성체
226. 지팡이손잡이걸림체
230. 제1마찰체
231. 제2마찰체
232. 제1결합스크류
233. 제2결합스크류
300. 우산체결부
310. 개방구
320. 고정돌출부
321. 우산체결부탄성체삽결부
322. 우산체결부탄성체
330. 걸림볼
400. 결합부
410. 볼결합부
420. 홀더스크류
430. 스크류체결부
440. 볼고정부
450. 고정결합체
451. 돌출고정체
500. 우산장착부
510. 상부거치부
520. 길이조절부
521. 내부공간부
522. 조절손잡이
523. 고정체
524. 조절손잡이삽결구
525. 고정체삽결부
526. 이동부
527. 회전톱니부
528. 조절탄성체삽결부
529. 조절탄성체
530. 삽결부
531. 삽입구
532. 돌출고정체결합구
533. 고정탄성체
534. 지지판
535. 장착내부공간부
600. 조끼부
610. 팔관통부
620. 개방부
630. 지퍼
640. 조절밸트

Claims (12)

  1. 우산 내에 지팡이가 삽결될 수 있도록 지팡이를 구비한 우산을 거치할 수 있는 조끼형 우산거치대에 있어서, 지팡이를 구비한 우산은 우천 시 빗물을 차단할 수 있는 캐노피,상부우산대와 상부우산대보다 직경이 작으며 상부우산대내부에 형성된 상부우산대공간부에 삽결되는 하부우산대로 구성된 우산대 및 하부우산대 말단에 결합된 우산손잡이로 구성된 우산부와;상기 우산대에 형성된 내부공간부에 탈장착될 수 있도록 상부지팡이, 상부지팡이대 보다 직경이 큰 하부지팡이대로 구성되어 있으며 사용자의 손이 거치되어 지팡이부를 잡을 수 있는 지팡이손잡이, 지면과의 마찰을 통해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는 지팡이대 상단에 결속되는 제1마찰체 및 지팡이손잡이 하단에 결합되는 제2마찰체를 구비한 지팡이부와;
    우산부 또는 우산부에 삽결된 지팡이부의 말단이 체결될 수 있는 우산체결부와;차양각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우산체결부가 장착되는 결합부와;상기 결합부가 탈장착될 수 있으며 한쌍의 상부거치부를 구비한 우산장착부와;상기 우산장착부가 삽결될 수 있으며 양팔을 이용하여 착용함으로써 사용자의 신체에 체결될 수 있는 조끼부와;
    상기 조끼부에 우산장착부가 삽결될 수 있는 개방부와; 상기 개방부를 개폐할 수 있는 지퍼와; 각기 상이한 사용자의 신체에 대응하여 조끼부를 사용자의 신체에 밀착 고정시킬 수 있도록 조끼부의 하단에 구비된 조절밸트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팡이를 구비한 우산을 거치할 수 있는 조끼형 우산거치대.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부지팡이대 하단 일측면에 구비된 상부지팡이대걸림체와; 하부지팡이대 상단 일측면에 천공된 하부지팡이대걸림구를; 더 포함하여, 상기 상부지팡이대걸림체가 하부지팡이대걸림구에 삽결되어 사용자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팡이를 구비한 우산을 거치할 수 있는 조끼형 우산거치대.
  4. 제 1항에 있어서,
    하부우산대 하단 일측면에는 천공된 하부우산대결합구와; 우산손잡이내부에 형성된 우산손잡이탄성체삽결부와; 상기 우산손잡이탄성체삽결부에 설치된 우산손잡이탄성체와; 우산손잡이 일측 상단에 구비된 우산손잡이돌출버튼과; 우산손잡이걸림체를; 더 포함하여, 상기 우산손잡이돌출버튼을 가압하면 우산손잡이탄성체삽결부 내의 우산손잡이탄성체가 수축함과 동시에 우산손잡이걸림체가 후퇴하여 우산손잡이가 하부우산대로부터 탈리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팡이를 구비한 우산을 거치할 수 있는 조끼형 우산거치대.
  5. 제 1항에 있어서,
    하부우산대에 천공된 하부우산대결합구와; 우산체결부는 우산대 또는 우산대에 삽결된 지팡이대가 체결될 수 있도록 우산체결부의 상면에 천공된 개방구와; 우산체결부 일측면에 구비된 고정돌출부로; 구성되어 있어, 하부우산대를 우산체결부에 견고하게 체결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팡이를 구비한 우산을 거치할 수 있는 조끼형 우산거치대.
  6. 제 1항에 있어서,
    우산손잡이 저면 일측에 천공된 관통구와; 상기 관통구를 통하여 돌출되어 있는 걸림촉과; 상기 걸림촉과 맞물릴 수 있도록 지팡이손잡이 상면에 성형된 지팡이손잡이결합구를; 더 포함하여, 걸림촉과 지팡이손잡이결합구를 이용하여 우산대에 삽입된 지팡이를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팡이를 구비한 우산을 거치할 수 있는 조끼형 우산거치대.
  7. 제 1항에 있어서,
    하부지팡이대 하단 일측면에는 성형되어 있는 하부지팡이대결합구와; 지팡이손잡이 일측 상단에 구비되어 지팡이손잡이 내부에 형성된 지팡이손잡이탄성체삽결부내의 지팡이손잡이탄성체를 수축시켜, 지팡이손잡이걸림체를 후퇴시킬 수 있는 지팡이손잡이돌출버튼을; 더 포함하여, 하부지팡이대로부터 지팡이손잡이를 분리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팡이를 구비한 우산을 거치할 수 있는 조끼형 우산거치대.
  8. 제 1항에 있어서,
    우산체결부 하단에 구형으로 성형된 걸림볼과; 상기 걸림볼이 관통하여 체결될 수 있도록 중앙이 천공되어 링 형태로 형성된 볼결합부와;볼결합부 저면에 하향 돌출 성형된 홀더스크류와;홀더스크류의 저면에 회동 결합할 수 있도록 함몰되어 있는 스크류체결부와;볼결합부(410)에 체결 후 차양각이 조절된 걸림볼을 고정 할 수 있도록 하는 볼고정부와; 볼결합부의 일측면에 구비되어 우산장착부에 체결될 수 있는 고정결합체를; 더 포함하여, 결합부에 우산체결부의 걸림볼 체결 시 볼결합부 저면에서 상면 방향으로 걸림볼 삽입 및 차양각 조절 후 볼결합부 저면에 구비된 홀더스크류와 그 저면에 스크류체결부를 회동 결합함으로써 차양각이 조절된 볼결합부의 체결 및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팡이를 구비한 우산을 거치할 수 있는 조끼형 우산거치대.
  9. 삭제
  10. 삭제
  11. 제 1항에 있어서,
    각기 상이한 사용자의 신체에 대응할 수 있도록 상부거치부간의 간격 조절이 가능하도록 길이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팡이를 구비한 우산을 거치할 수 있는 조끼형 우산거치대.
  12. 제 1항에 있어서,
    우산장착부에 결합부를 결합하기 위하여, 결합부 일측에 설치되어 있는 고정결합체와; 상기 고정결합체의 일측에 부착결합되는 지지판와; 우산장착부의 전면 일측 상부거치부에 장착내부공간부에서 형성되어 있고 고정탄성체가 설치되어 있어 완충작용을 할 수 있도록 형성된 삽결부를; 더 포함하여 결합부가 고정결합체를 통하여,상부거치부의 삽결부에 결합할 수 있도록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팡이를 구비한 우산을 거치할 수 있는 조끼형 우산거치대.
KR1020150069750A 2014-11-20 2015-05-19 지팡이를 구비한 우산을 거치할 수 있는 조끼형 우산거치대 KR1016355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9750A KR101635507B1 (ko) 2015-05-19 2015-05-19 지팡이를 구비한 우산을 거치할 수 있는 조끼형 우산거치대
PCT/KR2015/012524 WO2016080800A2 (ko) 2014-11-20 2015-11-20 지팡이를 구비한 우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9750A KR101635507B1 (ko) 2015-05-19 2015-05-19 지팡이를 구비한 우산을 거치할 수 있는 조끼형 우산거치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5507B1 true KR101635507B1 (ko) 2016-07-11

Family

ID=564995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9750A KR101635507B1 (ko) 2014-11-20 2015-05-19 지팡이를 구비한 우산을 거치할 수 있는 조끼형 우산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550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1967B1 (ko) 2017-07-27 2018-06-29 한인석 다기능 등판패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42823A (ja) * 2000-11-08 2002-05-21 Nanjiro Shinohara 傘取付け用具
KR20130000098U (ko) * 2011-06-23 2013-01-03 조학도 길이 신축을 용이하게 한 알루미늄스틱
KR101482915B1 (ko) * 2014-10-27 2015-01-16 정민시 우산거치대
KR101510999B1 (ko) * 2014-11-20 2015-04-09 정민시 지팡이를 구비한 우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42823A (ja) * 2000-11-08 2002-05-21 Nanjiro Shinohara 傘取付け用具
KR20130000098U (ko) * 2011-06-23 2013-01-03 조학도 길이 신축을 용이하게 한 알루미늄스틱
KR101482915B1 (ko) * 2014-10-27 2015-01-16 정민시 우산거치대
KR101510999B1 (ko) * 2014-11-20 2015-04-09 정민시 지팡이를 구비한 우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1967B1 (ko) 2017-07-27 2018-06-29 한인석 다기능 등판패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30214022A1 (en) Hands Free Electronic Device Holder
EP2999373B1 (en) Equipment for use when sitting and when walking, skiing or the like
US8678019B2 (en) Umbrella engaged with a back pack
TW201703748A (zh) 拐杖
KR101245881B1 (ko) 가방 우산
KR101482915B1 (ko) 우산거치대
KR101635507B1 (ko) 지팡이를 구비한 우산을 거치할 수 있는 조끼형 우산거치대
CN204717306U (zh) 便携式手机自拍杆
CN112600966B (zh) 一种手机固定台
US7870981B2 (en) Bracelet donning assistance device
US20150041612A1 (en) ToweLock
KR200438289Y1 (ko) 우산 케이스, 이 우산 케이스에 장착될 수 있는 우산 및이들이 결합된 우산 어셈블리
FR3014646B1 (fr) Ensemble baton / dragonne
US20210401132A1 (en) Universal pack-a-rella anchoring support
KR101868080B1 (ko) 지팡이를 구비한 우산
CN210276303U (zh) 一种旅游用多功能背包
FR3026295A1 (fr) Bretelles souples de maintien de bequilles
KR20090004298A (ko) 휴대용 차양구
CN210783197U (zh) 一种随身伞
KR200470570Y1 (ko) 양우산 휴대구
KR101578852B1 (ko) 어깨 거치식 링거대
CN211630216U (zh) 一种腕带式手机自拍装置
CN204761520U (zh) 手机自拍的固定座
CN204812460U (zh) 登山伞
KR200340590Y1 (ko) 배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