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5724Y1 - 전원 연결용 단자 하우징 - Google Patents

전원 연결용 단자 하우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5724Y1
KR200445724Y1 KR2020070016806U KR20070016806U KR200445724Y1 KR 200445724 Y1 KR200445724 Y1 KR 200445724Y1 KR 2020070016806 U KR2020070016806 U KR 2020070016806U KR 20070016806 U KR20070016806 U KR 20070016806U KR 200445724 Y1 KR200445724 Y1 KR 20044572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wire
terminal housing
fastening hole
cuto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1680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3722U (ko
Inventor
임정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보림전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보림전자 filed Critical 주식회사보림전자
Priority to KR202007001680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5724Y1/ko
Publication of KR2009000372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372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572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572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 H01R4/30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crew or nut clamping member

Landscapes

  • Connection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Conductors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원 연결용 단자 하우징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전선을 연결하는 단자핀이 수용되도록 소정 공간을 갖는 전선접속구가 복수 개 구비되는 몸체부와, 상기 단자핀을 체결볼트로 고정하기 위한 체결공 및 상기 단자핀의 탄성편 일부를 가압하기 위한 절개부가 상기 몸체부의 전선접속구마다 형성되는데, 이때 상기 전선접속구 중 전원라인이 연결되는 전선접속구는 한쌍의 단자핀이 수용가능하도록 다른 전선접속구보다 공간이 크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체결공 주위에는 일부가 절개 형성된 상태로 소정 높이의 돌출편이 형성되며, 이 체결공을 씌우는 보호캡이 구비된다. 아울러 상기 몸체부 하면에는 상대물의 가이드홈에 슬라이딩 이동하여 손쉽게 고정할 수 있는 가이드부재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르면, 하나의 전원 연결용 단자 하우징만으로 보다 많은 램프기구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고, 또 보호캡 사용으로 안전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전원 연결용 단자, 전선 접속구, 전원라인 점프, 보호캡

Description

전원 연결용 단자 하우징{TERMINAL HOUSING FOR CONNECTION OF POWER LINE}
본 고안은 전원 연결용 단자 하우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한 쌍의 단자핀이 수용 가능하도록 하우징의 전선접속구 공간 크기가 확장되고, 단자핀을 고정하는 체결공 상부에 보호캡이 장착되는 전원 연결용 단자 하우징에 관한 것이다.
통상 전원 연결용 단자 하우징(이하 '하우징'이라 칭함)에는 복수의 전선접속구가 마련된다. 도 1에는 이와 같은 하우징이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살펴보면, 하우징의 골격을 몸체(1)가 형성한다.
상기 몸체(1)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공간부(3)가 구비된다. 상기 공간부(3)는 단자핀(7)이 각각 안착/고정되도록 동일한 사이즈로 나뉘게 되어 전선접속구(5a)(5b)(5c)를 각각 형성한다. 상기 단자핀(7)은 상기 전선접속구(5a)(5b)(5c)의 양측에서 전선이 삽입되었을 때 이를 가압하여 고정시키기 위한 탄성편(7a)이 형성된다. 이 단자핀의 구조는 일반적 구조에 속하기 때문에,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전선접속구(5a)(5b)(5c)는 도면에서 봤을 때 전단이 상기 단자핀(7)이 삽입될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후단은 전선이 결속될 수 있을 정도로 결속 홈(19)이 형성된다(도 2참조).
상기 몸체(1) 상면에는 상기 단자핀(7)이 전선접속구(5a)(5b)(5c)내에서 체결볼트(11)에 의해 고정되도록 체결공(13)과, 그리고 상기 단자핀(7)의 탄성편(7a) 일부를 가압할 수 있도록 절개부(15)가 상기 전선접속구(5a)(5b)(5c)의 갯수에 비례하여 형성된다.
상기 체결공(13)은 상단면에서 소정 높이 돌출되어 형성되는데, 이는 체결공(13)에 체결되는 체결볼트(11)의 일부가 다른 전선이나 도체가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몸체(1)를 금속 프레임과 같은 대상물(미도시)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볼트용 체결공(17)이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하우징은 도면에서 봤을 때 제일 좌측의 전선접속구(5a)에 전원라인이 연결되는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나머지 전선접속구(5b)(5c)는 상기 전원라인의 갯수에 따라 형광등과 같은 램프기구 등을 연결하는 연결라인이 연결된다.
하지만 하나의 하우징에서 사용 가능한 램프기구보다 초과된 더 많은 램프기구를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2와 같이 다른 하우징을 추가로 제공하고, 전원라인을 점프시켜 연결하여 사용할 수밖에 없었다.
이때 다른 하우징과 점프 연결하고자 하는 전원라인이 추가로 삽입/연결되어야 하는데, 만약 상기 하우징의 결속홈(19)에 전원라인이 이미 많이 연결되어 있는 경우, 전원라인을 손쉽게 연결할 수 없다.
또 체결볼트가 하우징의 체결공에 체결될 때 상기 하우징 주위에 돌출된 부위보다 낮게 위치되기 때문에 안전하다고 할 수 있지만, 대부분 도체인 체결볼트가 외부에 그대로 노출되어 있어, 작업시 다른 전선이나 도체가 접촉될 수 있어 여전히 안전성을 개선하지 못하였다.
이에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전원 연결용 단자 하우징 상호간에 전원라인을 점프 연결시키는 것을 개선하여 하나의 전원 연결용 단자 하우징만으로 보다 많은 램프 기구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전원 연결용 단자 하우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전원 연결용 단자 하우징의 상부에 체결되는 체결 볼트를 외부와 차단시켜 안전성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전선을 연결하는 단자핀이 수용되도록 소정 공간을 갖는 전선접속구가 복수 개 구비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전선접속구마다 상기 단자핀을 체결볼트로 고정하기 위한 체결공 및 상기 단자핀의 탄성편 일부를 가압하기 위한 절개부가 포함되어 구성되며, 상기 전선접속구 중 전원라인이 연결되는 전선접속구는 한쌍의 단자핀이 수용가능하도록 다른 전선접속구보다 공간이 크게 형성된다.
상기 체결공 주위에는 소정 높이의 돌출편이 형성되고, 상기 돌출편은 일부가 절개 형성된다.
상기 체결공과 절개부 중 적어도 하나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캡이 더 구비된다. 상기 보호캡은, 상기 체결공 상부에 씌여지는 제1보호부재와, 상기 제1보호부재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상기 절개부와 대향되는 하면에 돌출부가 형성되는 제2보호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몸체부 하면에는 상대물의 가이드홈에 슬라이딩 이동하여 고정되는 가이드부재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전원 연결용 단자 하우징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즉, 전원 연결용 단자 하우징에 형성된 전선접속구 중 전원라인이 연결되는 전선접속구의 사이즈를 크게 형성하여 한쌍의 단자핀을 수용하도록 함으로써, 단자 하우징의 용량보다 초과되는 많은 램프기구를 연결해야 하는 경우 종래 다른 단자 하우징을 사용하여 전원라인을 점프해서 사용하는 번거로운 점을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전원 연결용 단자 하우징의 상부에 체결되는 체결공에 보호캡이 씌여지기 때문에, 이 체결공에 체결된 체결볼트가 외부와 차단됨으로써 작업시 다른 전선이 나 도체가 접촉되는 소지를 개선하여 안전성이 향상되는 기대가 있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전원 연결용 단자 하우징의 구조를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에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전원 연결용 단자 하우징의 정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도 4에는 도 3의 배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본 실시 예의 전원 연결용 단자 하우징은 종래 기술에 기재된 전원 연결용 단자 하우징의 외관과 전체적으로 유사함에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본 실시 예에서 설명하는 전원 연결용 단자 하우징은 전선접속구가 4개 형성되어 있는 4구 형태이지만, 그 전선접속구의 갯수는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도 3 및 도 4를 설명하면, 전원 연결용 단자 하우징의 골격을 몸체(100)가 형성한다. 상기 몸체(100)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소정 공간으로 나뉘어진 전선접속구(102a)(102b)(102c)(102d)가 형성된다.
상기 전선접속구(102a)(102b)(102c)(102d) 중 전원라인이 결속되는 전선접속구(이하 '제1전선접속구'라 함)(102a)의 공간이 다른 전선접속구(102a)(102b)(102c)(102d)의 공간보다 크게 형성된다. 즉, 제1전선접속구(102a)는 2개의 단자핀(200)이 서로 대칭되게 결합되어 한쌍으로 결합되어져서 끼워질 수 있을 정도의 공간을 갖는다. 그리고 나머지 전선접속구(102b)(102c)(102d)들은 1개 의 단자핀이 끼워지는 공간으로 형성된다. 상기 전선접속구(102b)(102c)(102d)에는 연결선이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전선접속구(102a)(102b)(102c)(102d)는 전단은 상기 단자핀(200)이 삽입될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후단은 전선이 결속될 수 있을 정도로 결속홈(112)이 형성되어 있다.
다음, 상기 단자핀(200)이 전선접속구(102a)(102b)(102c)(102d)에 각각 끼워진 상태에서 전선접속구(102a)(102b)(102c)(102d)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볼트 체결공(104)과, 상기 단자핀(200)에 형성된 탄성편 일부를 가압할 수 있도록 절개부(106)가 형성된다.
상기 볼트 체결공(104) 주위에는 일정 높의의 돌출편(104a)이 형성된다. 상기 돌출편(104a)은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된다. 이는 체결 볼트(108)의 머리부분이 볼트 체결공(104) 직경보다 큰 경우에도 체결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상기 돌출편(104a)는 탄성이 있어야 한다.
상기 볼트체결공(104)에는 보호캡(110)이 장착된다. 상기 보호캡(110) 장착으로 인해 단자핀(200) 고정을 위해 체결된 체결 볼트(108) 일부가 외부와 완전하게 차단되기 때문에, 실수로 상기 체결 볼트(108)에 다른 전선이 접촉하거나 도체가 접촉하는 것이 방지된다. 또 전선접속구(102a)(102b)(102c)(102d)의 내부로 습기가 침투되는 것이 방지되기 때문에 습기로 인한 누전과 같은 사고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보호캡(110)은 본 실시 예에서는 전선접속구(102a)(102b)(102c)(102d) 갯수와 일치되어 일체로 형성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전선접속구(102a)(102b)(102c)(102d)마다 별도의 보호캡을 따로 형성하여 씌울수도 있다. 즉, 이는 상기 전선접속구(102a)(102b)(102c)(102d) 중 일부 전선접속구가 사용되지 않는 경우에는 보호캡을 씌울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상기 단자핀(200)이 삽입 안착된 전선접속구만을 선택하여 보호캡을 씌울 수 있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단자핀을 설명한다.
단자핀(200)은 서로 대칭되게 위치하고, 마주보는 면이 일정 체결수단에 의해 결합된다. 체결수단이라 함은 다양한 방식이 적용가능하다. 예컨대, 하나의 단자핀 일면에 형성된 체결후크와, 다른 단자핀 일면에 이에 대응되어 형성된 걸림편에 의해 체결할 수 있고, 또 걸림돌기와 걸림홈에 의해 체결할 수도 있고, 또 체결 나사을 사용하여 체결할 수도 있다. 다시 말해, 본 실시 예에서 단자핀(200)은 전선접속구(102a)에 안착되었을 때 상호간 전류가 도통되는 상태이기만 하면 된다. 이러한 구조를 갖도록 하는 이유는 단자핀이 서로 체결되어야지만 어느 하나의 단자핀에 전원선이 연결될 때 다른 단자핀과 서로 도통될 수 있기 때문이다.
즉, 종래에는 본 실시 예에서와 같이 전선접속구의 공간이 크게 형성되어 있지 않았기 때문에, 전원라인이 연결되는 단자핀이 하나만 장착가능하였고, 따라서 보다 많은 램프기구를 연결하기 위해서는 추가로 단자 하우징을 사용해야 했지만, 본 실시 예에서는 크기가 확장된 전선접속구(102a)에 단자핀(200)이 2개가 설치되기 때문에, 종래에서와 같이 단자 하우징을 추가 사용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제거할 수 있게 되었다.
한편, 도 5에는 도 3에서 다른 구조의 보호캡이 제공되고 있는 배면 사시도 가 도시되어 있다.
도 5에는 보다 향상된 절연을 위해 보호캡(120)이 몸체(100) 상면을 덮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즉 보호캡(120)는 볼트체결공(104)상에 씌어져서 체결 볼트(108)를 외부와 완전히 차단하도록 제1보호부(122)와, 상기 제1보호부(122)의 측면에 연장 형성되고 몸체(100)의 절개부(106)에 씌어지는 제2보호부(124)로 이루어진다. 특히 제2보호부(124)는 상기 절개부(106)와 대향되는 하면에 돌출부(124a)가 형성되어, 그 돌출부(124a)가 절개부(106)로 삽입 안착되기 때문에, 이물질이 상기 절개부(106)내로 들어가는 것이 방지되어 절연 효과가 향상된다. 물론 상기 제2보호부(124) 하면에 상기 돌출부(124a)가 반드시 형성될 필요는 없다. 예컨대 상기 절개부(106)를 외부와 차단하는 구조이기만 하면 된다.
다시 말해, 상기 몸체(100) 상면에 형성된 볼트체결공(104) 및 절개부(106)를 외부와 차단시켜, 전선이 접촉하거나 도체가 삽입되는 것을 방지함은 몰론 습기가 스며드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성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것이다. 그래서 만약 상기 몸체(100) 상면에 상기 볼트체결공(104) 및 절개부(106) 이외의 다른 체결공이나 절개부가 형성된다 할지라도, 이를 보호할 수 있는 형상의 보호캡을 제공할 수 있어, 전선/도체가 접촉되는 소지를 완전히 차단하게 된다.
도 6에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가이드 부재가 전원 연결용 단자 하우징 하부에 형성된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6을 살펴보면, 몸체부(100) 하부에 가이드부재(300)가 일체 형성되어 있 다. 이에 따라 단자 하우징이 설치되는 대상물에 이와 대응하는 가이드 홈이 형성된 경우, 단자 하우징의 가이드부재(300)를 상기 가이드 홈에 슬라이딩 이동시켜 쉽게 설치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몸체부(100)의 소정 부분에 종래 기술에서와 같이 고정볼트용 체결공을 형성하고, 여기에 고정볼트를 사용하여 금속의 프레임 등의 대상물에 설치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의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들에 불과하며, 본 고안의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요지 및 범위에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다양한 변형, 변경 및 균등한 타 실시 예들이 가능하다는 것을 명백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인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전원 연결용 단자 하우징 사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라 전원 연결용 단자 하우징을 점프시켜 사용하는 사용 상태도.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전원 연결용 단자 하우징의 정면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배면 사시도.
도 5는 도 3에서 다른 구조의 보호캡이 제공되고 있는 배면 사시도.
도 6은 도 3의 전원 연결용 단자 하우징 하부에 가이드 부재가 형성된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몸체부 102 : 전선접속구
104 : 체결공 104a : 돌출편
106 : 절개부 110 : 보호캡
112 : 결속홈 200 : 단자핀
300 : 가이드 부재

Claims (5)

  1. 전선을 연결하는 단자핀이 수용되도록 상기 단자핀보다 큰 공간을 갖는 전선접속구가 복수 개 구비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전선접속구에 수용되는 상기 단자핀을 체결볼트로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단자핀과 동일한 개수로 형성되는 체결공과,
    상기 몸체부의 전선접속구에 수용되는 상기 단자핀의 탄성편 일부를 가압하기 위하여 형성되는 절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전선접속구 중 전원라인이 연결되는 전선접속구는 한 쌍의 단자핀이 수용가능하도록 다른 전선접속구보다 공간이 크게 형성되고,
    상기 전원라인이 연결되는 전선접속구에는 상기 절개부가 한 개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연결용 단자 하우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공 주위에는, 상기 체결공에 체결되는 체결볼트의 일부가 다른 전선 및 도체와 접촉이 되지 않도록 상기 체결볼트를 보호하기 위한 돌출편이 일정 높이만큼 상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돌출편은 일부가 절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연결용 단자 하우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공과 절개부 중 적어도 하나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캡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연결용 단자 하우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캡은, 상기 체결공 상부에 씌여지는 제1보호부재와, 상기 제1보호부재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상기 절개부와 대향되는 하면에 그 절개부 내로 삽입안착되는 돌출부가 형성되는 제2보호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연결용 단자 하우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 하면에는 단자 하우징이 설치되는 대상물에 형성된 가이드홈에 슬라이딩 이동하여 고정되는 가이드부재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연결용 단자 하우징.
KR2020070016806U 2007-10-17 2007-10-17 전원 연결용 단자 하우징 KR20044572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6806U KR200445724Y1 (ko) 2007-10-17 2007-10-17 전원 연결용 단자 하우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6806U KR200445724Y1 (ko) 2007-10-17 2007-10-17 전원 연결용 단자 하우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3722U KR20090003722U (ko) 2009-04-22
KR200445724Y1 true KR200445724Y1 (ko) 2009-08-27

Family

ID=412893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16806U KR200445724Y1 (ko) 2007-10-17 2007-10-17 전원 연결용 단자 하우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5724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1326Y1 (ko) * 2018-07-31 2020-03-20 주식회사 엠스테크 단자 블록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6294U (ko) * 1997-01-10 1998-10-15 이하한 전원 접속용 단자
JPH1167296A (ja) 1997-08-13 1999-03-09 Nec Eng Ltd 端子台及びノイズ低減方法
KR200256202Y1 (ko) 2001-08-30 2001-12-13 이강일 전원분배 컨넥터
KR200391525Y1 (ko) 2005-05-17 2005-08-03 만 석 김 분전반의 넥스트 단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6294U (ko) * 1997-01-10 1998-10-15 이하한 전원 접속용 단자
JPH1167296A (ja) 1997-08-13 1999-03-09 Nec Eng Ltd 端子台及びノイズ低減方法
KR200256202Y1 (ko) 2001-08-30 2001-12-13 이강일 전원분배 컨넥터
KR200391525Y1 (ko) 2005-05-17 2005-08-03 만 석 김 분전반의 넥스트 단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3722U (ko) 2009-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13781B2 (ja) 電気接続箱
JP5123027B2 (ja) ねじ締め用端子の係止構造
CN101552390B (zh) 具有护套支座的插接连接器
JP2009056992A (ja) バッテリ直付けヒュージブルリンクユニットの保護カバー取付構造
KR20180017204A (ko) 전기 플러그 커넥터
US9564703B2 (en) Screw block installation structure for a junction box
JPH06295774A (ja) 短絡部材付きコネクタ
JP3533930B2 (ja) 収容ブロック及び該収容ブロックを備えた電気接続箱
KR200445724Y1 (ko) 전원 연결용 단자 하우징
WO2012111299A1 (en) Electric junction box having divisible block
KR101855845B1 (ko) 단자대 안전커버
JP4303577B2 (ja) 電気接続箱
KR100532561B1 (ko) 개선된 단자 구조를 갖는 표면 장착 커넥터
KR950004646A (ko) 전선연결용 코넥터
KR20210093355A (ko) 복수의 공간적 방향으로 접속시키기 위한 플러그 커넥터 부품
KR102270013B1 (ko) 고전압 커넥터
CN108621983B (zh) 汽车线束插件
JP7410094B2 (ja) 電気接続箱
KR100568073B1 (ko) 차량용 다기능 컨넥터
KR200410014Y1 (ko) 커넥터
JP4177247B2 (ja) バスバーのヒューズ接続構造とそれを備える電気接続箱
KR960007093Y1 (ko) 케이블 커넥터 보호 캡
KR101202404B1 (ko) 배전반용 접속장치
KR200442660Y1 (ko) 조광형 스위치의 단자 커버구조
JP2015154649A (ja) 保護ケー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1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5

Year of fee payment: 9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