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1326Y1 - 단자 블록 - Google Patents

단자 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1326Y1
KR200491326Y1 KR2020190002717U KR20190002717U KR200491326Y1 KR 200491326 Y1 KR200491326 Y1 KR 200491326Y1 KR 2020190002717 U KR2020190002717 U KR 2020190002717U KR 20190002717 U KR20190002717 U KR 20190002717U KR 200491326 Y1 KR200491326 Y1 KR 20049132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w
terminal
terminal block
hole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271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0329U (ko
Inventor
홍경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스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스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스테크
Publication of KR2020000032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032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132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132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22Bases, e.g. strip, block, panel
    • H01R9/24Terminal blocks

Landscapes

  • Connection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Conduct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단자 블록으로, 단자 블록의 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되고, 일측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나사공을 구비한 단자와, 하우징의 일측면으로부터 내부로 관통 연장되어 형성된 나사 수용 홀을 관통하여 나사공에 체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나사를 포함하되, 나사 수용홀은 적어도 하나의 나사가 직립된 상태로 체결되도록 이동 안내하는 나사 가이드 홀 및 나사공 사이를 구획하는 나사 가이드편 중 적어도 하나가 형성된다.

Description

단자 블록{Terminal Block}
전력량계와 같은 전자 기기에 연결되는 단자를 수용하는 단자 블록에 관한 기술이다.
단자 블록은 대부분 전력량계의 베이스에 연결된 구조이며, 전력량계에 전압,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전력선을 결선하기 위한 단자를 감싸 보호, 고정하는 기구물이다.
도 1은 일반적인 단자 블록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단자 블록의 하우징(10)은 내부에 복수의 단자(1) 들이 상호간에 나란한 배치 형태를 갖도록 수용하고, 단자(1) 들 각각에 대응되도록 전선 삽입공(11)들 및 구획된 나사 수용홀(12)들이 형성된다.
이러한 하우징(10)의 전선 삽입공(11)에 전선(3)에서 피복(3b)이 제거되어 노출된 도체부(3a)가 삽입되면, 나사(2)의 조임 정도에 따라서 도체부(3a)가 단자(1)와 결선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일반적으로 베이스에 단자 블록이 연결된 상태에서는, 나사(2)가 체결을 위해 이동하는 방향이 수직 방향이 아니라 수평 방향이므로 별도의 고정 수단 없이는 나사(2)의 머리가 하방으로 쓰러지게 된다. 보통 이러한 상황에서는 손가락과 같은 고정 수단을 통해 나사(2)를 고정하면서 체결하게 된다.
그런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사 수용홀(12)은 일반적으로 나사(2)를 한 두개 수용할 수 있는 길이와 폭을 갖는 직사각형을 밑면으로 하고, 절연을 위한 규정에 따라 소정 높이를 갖는 직육면체 형태의 홀이다. 따라서, 이러한 나사 수용홀(12) 내에서 나사(2)를 체결하게 될 경우, 나사(2)는 나사 수용홀(12) 내에서 고정될 수가 없어 쓰러지거나, 체결이 용이하지 않게 된다. 이는 작업자로 하여금 나사(2) 체결의 작업 진도를 지연시키는 원인이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전선의 도체부를 단자에 결선시키기 위해 나사를 체결할 때, 나사공에 수직 방향으로 고정되어 체결될 수 있도록 하는 나사 가이드 홀이나 나사 가이드 편이 구비된 단자 블록을 제공한다.
본 고안은 단자 블록으로, 단자 블록의 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되고, 일측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나사공을 구비한 단자와, 하우징의 일측면으로부터 내부로 관통 연장되어 형성된 나사 수용 홀을 관통하여 나사공에 체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나사를 포함하되, 나사 수용홀은 적어도 하나의 나사가 직립된 상태로 체결되도록 이동 안내하는 나사 가이드 홀 및 나사공 사이를 구획하는 나사 가이드 편 중 적어도 하나가 형성된다.
본 고안에서는 단자 블록의 하우징에 나사가 체결될 때, 나사를 고정시켜 체결 방향으로 가이딩시키는 기능하는 나사 가이드 홀 또는 나사 가이드 편을 구비하여, 나사 체결 작업 시 나사가 쓰러지거나 빠지지 않고, 나사공에 삽입된 상태가 되어 체결 작업이 용이하게 된다.
이로써, 작업자의 나사 체결 용이성을 확보하여 작업 속도 향상을 통한 작업 공정시간 축소 작업 공정시간 축소에 생산 비용 절감 가능하다.
도 1은 일반적인 단자 블록의 사시도이다.
도 2a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나사 가이드 홀이 구비된 단자 블록의 단자 블록의 사시도이다.
도 2b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나사 가이드 홀이 구비된 단자 블록의 정면도이다.
도 3a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단자의 사시도의 일 예이다.
도 3b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단자의 단면도의 일 예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나사 가이드 홀이 구비된 단자 블록의 단면도이다.
도 5a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나사 가이드 홀이 구비된 단자 블록의 사시도이다.
도 5b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나사 가이드 홀이 구비된 단자 블록의 정면도이다.
도 5c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나사 가이드 홀이 구비된 단자 블록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나사 가이드 편이 구비된 단자 블록의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고안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기술하기로 한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 실시예들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본 고안 명세서 전반에 걸쳐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사용자 또는 운용자의 의도, 관례 등에 따라 충분히 변형될 수 있는 사항이므로, 이 용어들의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2a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나사 가이드 홀이 구비된 단자 블록의 사시도이고, 도 2b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나사 가이드 홀이 구비된 단자 블록의 정면도이다.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단자 블록의 하우징(20)은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단자(1)를 수용한다. 단자(1)가 복수일 경우 상호간에 나란한 형태로 배치될 수 있는데, 하우징(20)은 복수의 나란한 단자(1) 들 간을 분리하여 절연되도록 할 수 있는 구획벽(24)이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20)에는 단자(1)에 대응되도록 전선 삽입공(21) 및 나사 수용홀이 형성되는데, 일 실시 예에 따라 나사 수용홀은 나사 가이드 홀(22)의 형태로 형성된다.
나사 가이드 홀(22)은 하우징(20)의 일 측면(23)으로부터 내부로 관통 연장되어 형성되어, 나사가 체결될 때 직립된 상태로 이동 방향으로 나사를 안내하는 기능을 한다. 즉, 나사 가이드홀(22)은 나사를 감싸는 형태이므로, 나사 체결시 나사가 쓰러지지 않도록 지지하는 기능을 한다.
일 양상에 따라, 나사 가이드 홀(22)은 나사 머리 형상을 밑면으로 하는 통 현상일 경우 원형, 육각형 및 팔각형인 다양한 형태의 나사 머리가 수용되도록 원기둥 또는 다각 기둥의 형태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으며, 또한, 나사 가이드 홀(22)은 하우징(20)의 일 측면(23)으로부터 돌출 연장된 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나사 가이드 편(43)은 2개 이상의 나사 사이에 형성되어, 나사가 체결될 때 쓰러지지 않도록 지지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나사 가이드 홀(22)은 전선과 단자(1)간의 결선을 견고히 하기 위해, 하나의 단자(1) 각각에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일 실시 예에 따라, 나사 가이드 홀(22)들은 연결 부분이 개방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a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단자의 사시도의 일 예이고, 도 3b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단자의 단면도의 일 예이다. 그러나, 이러한 단자의 형태는 본 고안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 예일 뿐,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본 고안에 적용되는 단자는 다양한 형태로 수용될 수 있다.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단자(1)는 전선(3)이 삽입되는 접속 터널(1a)이 하부의 저면으로부터 상면을 향해 형성된 통 형상의 부재로써, 이러한 단자(1)는 예컨대 황동 등과 같은 금속으로 만들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른 임의의 전도성 재질로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단자(1)는 실질적으로 전선의 피복이 제거되어 노출된 도체부와 접촉하는 부재로서, 전선과의 접촉면적을 증대시키기 위해 그 단면의 형상은 다각형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반원 단면 혹은 오목한 홀을 가진 단면의 형상이어도 된다.
이러한 단자(1)에는 일측벽을 관통하고 그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나사공(1b)이 마련되어 있다. 단자(1)에는 상면으로부터 돌출 연장되어 전력량계 등에 단자(1)를 고정시키기 위한 접속부(1c)가 형성되는데, 접속부(1c)의 일측면에는 나사공(1d)이 형성된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나사 가이드 홀이 구비된 단자 블록의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단자(1)는 그 접속부(1c)가 하우징(20) 내부에 수용되고, 하우징의 상측벽(26)에 형성된 관통공(17)을 통해 관통하여 하우징(20)에 고정된다. 이 관통공(27)의 중심축선은 나사공(1b)이 갖는 중심축선에 대해 대략 직각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단자(1)는 하우징(20)이 성형될 때 이 하우징(20)에 삽입된 채로 성형되어 설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전력량계 내부의 와이어(미도시)와 연결되면서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면 다른 임의의 방법으로 설치되어도 무방하다. 예를 들어, 단자(1)는 인서트 사출을 통하여 절연체인 플라스틱 재질의 하우징(2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전선(3)의 피복이 제거되어 노출된 도체부(3a)가 하우징(20)의 삽입공(21)을 통과하여 단자(1)의 접속 터널(1a) 내로 삽입되고, 나사(2)가 단자(1)의 나사 삽입공(1b)를 통해 체결됨에 따라, 전선(3)의 도체부(3a)는 단자(1)와 접촉되어 결선된다.
여기서, 나사(2)는 전선(3)의 도체(3a)를 고정하기 위한 힘(토크)에 충분히 견딜 수 있는 재질의 나사부재이다. 이러한 나사(2)는 자성(磁性)을 가질 수 있는데, 이는 예를 들어 작업자가 자성이 있는 공구를 활용할 때 나사(2)가 공구에 부착되어 수월하게 조이거나 그 조임을 해제할 수 있는 편의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도 5a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나사 가이드 홀이 구비된 단자 블록의 사시도이고, 도 5b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나사 가이드 홀이 구비된 단자 블록이 설치된 상태의 정면도이고, 도 5c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나사 가이드 홀이 구비된 단자 블록의 단면도이다.
도 5a 내지 도 5c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나사 가이드 홀이 구비된 단자 블록을 설명하되, 전술한 일 실시 예에 따른 나사 가이드 홀이 구비된 단자 블록과 동일한 내용은 생략하고 차이점만을 기술하기로 한다.
도 5a 내지 도 5c를 참조하면, 단자 블록의 하우징(30)은 내부에 복수의 단자(1) 들이 상호간에 나란한 배치 형태를 갖도록 수용하고, 단자(1) 들 각각에 대응되도록 전선 삽입공(31)들 및 구획된 나사 가이드 홀(32)이 형성된다.
여기서, 다른 실시 예에 따라, 나사 가이드 홀(32)은 하우징(20)의 일 측벽(33)으로부터 삽입되어 형성된 홀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 예에 따라, 나사 가이드 홀(32)은 전선과 단자(1)간의 결선을 견고히 하기 위해, 하나의 단자(1) 각각에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일 실시 예에 따라, 나사 가이드 홀(32)들은 간에 나사 가이드 편(43)이 형성되어 나사 체결 시 나사가 쓰러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전선 삽입공(31)은 하우징(30)의 하면(38)으로부터 돌출 연장된 돌출부(미도시)를 가질 수 있다.
도 6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나사 가이드 편이 구비된 단자 블록의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단자 블록의 하우징(40)은 내부에 복수의 단자(1) 들이 상호간에 나란한 배치 형태를 갖도록 수용하고, 단자(1) 들 각각에 대응되도록 전선 삽입공(41)들 및 구획된 나사 수용홀(42)들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나사 수용홀(42)들 각각에는 나사 가이드편(43)이 형성되어 복수의 나사(2)들 각각을 체결 시 나사가 쓰러지거나 빠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첨부된 도면에 의해 참조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이러한 기재로부터 후술하는 실용신안등록 청구범위에 의해 포괄되는 범위내에서 본 고안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20, 30 : 단자 블록의 하우징
1: 단자
2: 나사
22, 32: 나사 가이드 홀
43: 나사 가이드 편

Claims (4)

  1. 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되고, 일측에 수직 방향으로 형성된 복수의 나사공을 구비한 단자와,
    하우징의 일측면으로부터 내부로 관통 연장되어 형성된 나사 수용 홀을 관통하여 복수의 나사공에 체결되는 복수의 나사를 포함하되,
    나사 수용홀은 나사가 직립된 상태로 체결되도록 이동 방향으로 안내하는 복수의 나사 가이드 홀 및 복수의 나사공 사이를 구획하여 나사가 쓰러지지 않는 상태로 체결될 수 있게 지지하는 나사 가이드편 중 적어도 하나가 형성되는 단자 블록.
  2. 제1 항에 있어서, 나사 가이드 홀은
    원기둥 또는 다각 기둥인 단자 블록.
  3. 제1 항에 있어서, 나사 가이드 홀은
    하우징의 일측면으로부터 돌출 연장된 돌출부를 더 포함하는 단자 블록.
  4. 제1 항에 있어서, 하우징은
    단자의 길이 방향과 수직한 타측면에 전선의 도체부가 관통 삽입되는 전선 삽입공이 형성되되,
    전선 삽입공은
    타측면으로부터 돌출 연장된 돌출부를 더 포함하는 단자 블록.
KR2020190002717U 2018-07-31 2019-06-28 단자 블록 KR200491326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80003549 2018-07-31
KR2020180003549 2018-07-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0329U KR20200000329U (ko) 2020-02-10
KR200491326Y1 true KR200491326Y1 (ko) 2020-03-20

Family

ID=694941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2717U KR200491326Y1 (ko) 2018-07-31 2019-06-28 단자 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1326Y1 (ko)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5724Y1 (ko) * 2007-10-17 2009-08-27 주식회사보림전자 전원 연결용 단자 하우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0329U (ko) 2020-0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609647A (en) Electrical receptacle
US7034222B1 (en) Electrical junction system
US6831222B2 (en) Weatherproof junction box
US8779284B2 (en) Open back box with ground screw bump
US8097806B2 (en) Cable protector for electrical outlet box
KR200491326Y1 (ko) 단자 블록
KR200443915Y1 (ko) 결선이 용이한 배전선로용 케이블 접속함
JP2004263859A (ja) ボタン式固定デバイス
US20030032332A1 (en) Fuse box
US20060035532A1 (en) Screw radial connector for electric wires
US9490618B2 (en) Electrical splice box
JP4974173B2 (ja) 電気接続箱
KR101303366B1 (ko) 전선 홀더
US10069286B2 (en) Insulation structure for splice portion, harness mounting plate, and wiring unit
US7871287B2 (en) Branching device for an electric line
KR102250426B1 (ko) 보호 컨덕터 브리지를 갖는 플러그
KR200390311Y1 (ko) 접지 장치 및 접지 장치가 내부에 설치된 접지함체
JP2008235005A (ja) コネクタの固定構造
KR200259338Y1 (ko) 단자대 지지홀더
US10014143B2 (en) Fuse unit
KR101480102B1 (ko) 나사가 수용된 멀티 탭
JP4176618B2 (ja) 配線器具固定用ビスを備えた配線用ボックス
JP4842080B2 (ja) 配線用ボックス
EP2814119B1 (en) An electrical component
KR102220193B1 (ko) 불규칙 배열의 단자 간 연결이 가능한 버스 바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