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0102B1 - 나사가 수용된 멀티 탭 - Google Patents

나사가 수용된 멀티 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0102B1
KR101480102B1 KR20120102836A KR20120102836A KR101480102B1 KR 101480102 B1 KR101480102 B1 KR 101480102B1 KR 20120102836 A KR20120102836 A KR 20120102836A KR 20120102836 A KR20120102836 A KR 20120102836A KR 101480102 B1 KR101480102 B1 KR 1014801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w
receiving groove
main body
body case
t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201028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36571A (ko
Inventor
안문상
Original Assignee
안문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문상 filed Critical 안문상
Priority to KR201201028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0102B1/ko
Publication of KR201400365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65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01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01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73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to apparatus or structures, e.g. to a wall
    • H01R13/74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in openings of a panel
    • H01R13/748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in openings of a panel using one or more screw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5/00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 H01R25/003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the coupling part being secured only to wires or cables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멀티 탭을 벽면이나 바닥면에 고정시켜야 할 때, 별도로 나사를 준비할 필요없이 바닥면에 수용되어 있는 나사를 이용하여 멀티 탭을 고정할 수 있도록 한 나사가 수용된 멀티 탭을 제공한다.
이를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면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플러그 소켓이 구비되고 그 양측으로는 나사체결구멍이 관통 형성된 본체케이스로 이루어진 멀티 탭에 있어서, 상기 본체 케이스의 바닥면에는 나사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나사수용홈에는 상기 나사체결구멍에 끼워지는 나사가 수용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나사가 수용된 멀티 탭{MULTI TAP}
본 발명은 멀티 탭에 관련되는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멀티 탭의 바닥면에 나사를 수용하여 멀티 탭을 벽면이나 바닥면에 고정시켜야 할 때, 별도로 나사를 준비할 필요없이 바닥면에 수용되어 있는 나사를 이용하여 멀티 탭을 고정할 수 있도록 한 나사가 수용된 멀티 탭에 관한 것이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멀티 탭은 여러개의 전기전자제품(이하에서는 전자기기라 칭함)들을 하나의 콘센트에 연결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고안된 멀티 콘센트를 말한다.
이러한 멀티탭은 다수의 전자기기들의 플러그가 꽂아지는 커넥터가 내장된 플러그 삽입부가 바디에 병렬상으로 다수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바디에는 상기 커넥터로의 전류공급을 단속하는 전원스위치가 하나 이상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바디에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은 주전원에 연결되는 통상의 전원코드를 구비한 일정 길이의 케이블이 마련되어 있다.
한편, 이러한 구조를 가지는 멀티탭은 필요에 따라 벽면이나 바닥면에 고정시킬 경우가 있는 데, 종래 멀티탭은 따로 고정시키기 위한 구조가 채택되지 못해 멀티탭 고정에 어려움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로 인해 멀티탭을 고정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브라켓을 멀티탭에 부착하여 브라켓의 조임에 의해 멀티탭을 고정시키는 방법이 제안되고 있으나, 이는 브라켓이라는 불필요한 구성요소를 사용함에 따라 제품단가를 상승시킴은 물론 브라켓 조립에 따른 작업의 불편함을 초래하게 된다.
한편, 근래에는 브라켓의 사용보다는 가장 보편화된 체결수단인 나사를 이용하여 멀티탭을 벽면이나 바닥면에 고정시키기 위한 구조가 제시되고는 있으나, 이 역시 멀티탭을 고정하기 위해서는 나사를 반드시 휴대하여야 함으로서 사용에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휴대한 나사가 멀티탭의 체결구멍과 맞지 않을 경우에는 또다시 다른 나사를 찾아야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멀티 탭의 바닥면에 나사를 수용하여 멀티 탭을 벽면이나 바닥면에 고정시켜야 할 때, 별도로 나사를 준비할 필요없이 바닥면에 수용되어 있는 나사를 이용하여 멀티 탭을 고정할 수 있도록 한 나사가 수용된 멀티 탭을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면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플러그 소켓이 구비되고 그 양측으로는 나사체결구멍이 관통 형성된 본체케이스로 이루어진 멀티 탭에 있어서, 상기 본체 케이스의 바닥면에는 나사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나사수용홈에는 상기 나사체결구멍에 끼워지는 나사가 수용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나사수용홈의 내주면에는 상기 나사수용홈에 수용된 나사의 머리부에 탄력적으로 걸려지는 스토퍼가 돌출 형성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나사수용홈의 일측에는 일자 또는 십자드라이버가 통과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인출홈이 형성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나사수용홈의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멀티 탭의 바닥면에 수용된 나사를 통해 멀티 탭을 벽면이나 바닥면에 고정시켜야 할 때, 바닥면에 수용되어 있는 나사를 이용하여 멀티 탭을 고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따로 나사를 준비할 필요없이 간편하게 멀티 탭을 벽면이나 바닥면에 고정할 수 있는 효과를 구현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멀티 탭의 구성을 입체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서 도시하고 있는 멀티 탭의 저면을 입체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일자드라이버를 이용하여 나사수용홈에서 나사를 빼내는 동작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십자드라이버를 이용하여 나사수용홈에서 나사를 빼내는 동작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나사수용홈에 나사가 나사식으로 체결되며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후술 될 상세한 설명에서는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해 본 발명에 있어 대표적인 실시 예를 제시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으로 제시될 수 있는 다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구성에서 설명으로 대체한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멀티 탭의 구성을 입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서 도시하고 있는 멀티 탭의 저면을 입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과 도 2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멀티 탭(100)은 여러 개의 전자기기들을 하나의 전원콘센트에 연결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고안된 것으로서, 직육면체 형태를 가진 본체케이스(10)로 외형을 구성한다.
상기 본체케이스(10)에는 전원플러그(14)가 케이블(12)로 연결 구성되며, 상기 전원플러그(14)는 외부의 전류 공급처인 콘센트에 끼워지며 전류를 본체케이스(10)로 공급하게 된다.
상기 본체케이스(10)의 상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플러그 소켓(16)이 구비되며, 상기 플러그 소켓(16)에는 전술한 각종 전자기기에 구비되어 있는 플러그(미 도시 함)가 끼워지게 된다.
상기 본체케이스(10)의 내부에는 전원플러그(14)와 전기적으로 연결 구성되는 단자(미 도시 함)가 내설된다. 상기 단자는 상기 본체케이스(10)의 플러그 소켓(16) 아래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플러그소켓(16)에 끼워지는 각종 전자기기의 플러그와 전기적으로 결합되며 전자기기로 전류를 공급하게 된다.
상기 본체케이스(10)의 양측에는 복수개의 나사체결구멍(18)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나사체결구멍(18)으로는 멀티 탭(100)을 벽면이나 바닥면에 고정시켜야 할 때, 체결수단인 나사가 끼워지도록 하여 벽면이나 바닥면에 멀티 탭을 고정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본체케이스(10)의 바닥면(20) 양측에는 복수개의 나사수용홈(22)이 함몰 형성되고, 상기 나사수용홈(22)에는 나사(30)가 삽입된 상태로 보관된다. 상기 나사수용홈(22)에 수용되어 있는 나사(30)는 멀티 탭(100)을 벽면이나 바닥면에 고정시켜야 할 때, 별도로 나사를 준비하지 않더라도 상기 나사수용홈(22)에 수용되어 있는 나사(30)를 빼내 멀티 탭(100) 고정을 위한 체결수단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나사수용홈(22)의 상단에는 스토퍼(24)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스토퍼(24)는 휨이 자유롭도록 탄성력을 가지도록 하며 상기 나사수용홈(22)에 나사(30)가 수용되고 나면 상기 수용된 나사(30)의 머리부(32) 상면(32a)에 걸려지며 사용과정에서 나사(30)가 나사수용홈(22)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한다.
상기 나사수용홈(22)의 일측에는 상기 스토퍼(24)와 직각되는 방향으로 인출홈(26)이 더 함몰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인출홈(26)은 상기 나사수용홈(22)과 연결 구성된다. 상기 인출홈(26)은 나사수용홈(22)에 삽입된 상태에서 스토퍼(24)에 걸려져 있는 나사(30)를 외부로 빼내고자 할 때, 일자드라이버(40) 또는 십자드라이버(50)가 나사(30)의 머리부(32) 하면(32b)으로 들어갈 수 있도록 공간을 제공하게 된다.
즉, 상기 인출홈(26)을 통해 도 3과 도 4에서와 같이 나사(30)의 머리부(32) 하면(32b)으로 일자드라이버(40) 또는 십자드라이버(50)를 끼워넣은 상태에서 상기 일자 또는 십자드라이버(40, 50)를 젖혀주면 나사(30)는 스토퍼(24)의 탄력성을 통해 손 쉽게 외부로 빠져나올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나사가 수용된 멀티 탭의 작용을 첨부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기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멀티 탭(100)을 벽면이나 바닥면에 고정시키고자 할 때에는 멀티 탭(100)인 본체케이스(10)의 바닥면(20)에 형성되어 있는 나사수용홈(22)에서 나사(30)를 빼낸 다음, 빼내어진 나사(30)를 본체케이스(10)의 양측에 형성되어 있는 나사체결구멍(18)으로 끼워넣어 멀티 탭(100)을 벽면이나 바닥면에 고정시키게 된다.
이때 나사(30)를 나사수용홈(22)에서 빼낼 때에는 도 3, 4에서와 같이 일자드라이버(40) 또는 십자드라이버(50)를 나사수용홈(22)의 일측에 함몰 형성되어 있는 인출홈(26)으로 밀어넣게 되면 상기 일자드라이버(40) 또는 십자드라이버(50)는 상기 나사수용홈(22)에 수용되어 있는 나사(30)의 머리부(32) 아래에 위치하게 되고, 이 상태에서 일자드라이버(40) 또는 십자드라이버(50)를 위로 젖혀주면 나사(30)는 탄력성을 가진 스토퍼(24)에서 벗어나며 외부로 빠져나올 수 있게 된다.

한편, 첨부된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나사수용홈의 다른 실시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에서와 같이 나사수용홈(22)은 전술한 실시 예와 같이 스토퍼(24) 및 인출홈(26)을 형성하지 않고 나사수용홈(22)의 내주면에 나사산(23)을 형성하여 상기 나사수용홈(22)에 나사(30)를 삽입할 때, 상기 나사(30)가 나사식으로 체결되며 삽입될 수 있도록 하여 스토퍼(24)를 형성하지 않더라도 나사(30)를 고정할 수 있도록 한 것에 특징을 가진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10: 본체케이스 16: 플러그소켓
18: 나사체결구멍 22: 나사수용홈
24: 스토퍼 26: 인출홈
30: 나사

Claims (4)

  1. 상면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플러그 소켓이 구비된 본체케이스(10)와, 상기 본체케이스(10)의 양측에 관통 형성되며 상기 본체케이스(10)를 벽면이나 바닥면에 고정시키는 나사(30)가 체결되어 지는 나사체결구멍(18)을 포함하여 구성한 멀티 탭에 있어서,
    상기 본체 케이스(10)의 바닥면에는 나사수용홈(22)이 형성되고, 상기 나사수용홈(22)에는 상기 나사체결구멍(18)에 끼워져 상기 본체케이스(10)를 벽면이나 바닥면에 고정시키게 되는 상기 나사(30)가 수용되며;
    상기 나사수용홈(22)의 내주면에는 상기 나사수용홈(22)에 수용된 상기 나사(30)의 머리부(32) 상면(32a)에 탄력적으로 걸려지는 스토퍼(24)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나사수용홈(22)의 일측에는 상기 스토퍼(24)에 탄력적으로 걸려져 있는 상기 나사(30)를 빼내기 위해 상기 나사(30)의 머리부(32) 하면(32b)으로 일자 드라이버(40) 또는 십자드라이버(50)가 들어가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인출홈(26)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나사가 수용된 멀티 탭.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20120102836A 2012-09-17 2012-09-17 나사가 수용된 멀티 탭 KR1014801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102836A KR101480102B1 (ko) 2012-09-17 2012-09-17 나사가 수용된 멀티 탭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102836A KR101480102B1 (ko) 2012-09-17 2012-09-17 나사가 수용된 멀티 탭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6571A KR20140036571A (ko) 2014-03-26
KR101480102B1 true KR101480102B1 (ko) 2015-01-12

Family

ID=506457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20102836A KR101480102B1 (ko) 2012-09-17 2012-09-17 나사가 수용된 멀티 탭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010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8444B1 (ko) * 2019-11-13 2020-06-03 박성욱 원통형 멀티탭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2607U (ko) * 1989-06-23 1991-02-08
KR200198559Y1 (ko) 2000-04-20 2000-10-02 송금태 전화 멀티 콘센트 및 개별 스위치를 구비한 책상부착형멀티탭
KR20100009029U (ko) * 2009-03-06 2010-09-15 조경군 멀티탭
KR101105893B1 (ko) * 2011-09-07 2012-01-16 주식회사 위너스 방수성이 강화된 콘센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2607U (ko) * 1989-06-23 1991-02-08
KR200198559Y1 (ko) 2000-04-20 2000-10-02 송금태 전화 멀티 콘센트 및 개별 스위치를 구비한 책상부착형멀티탭
KR20100009029U (ko) * 2009-03-06 2010-09-15 조경군 멀티탭
KR101105893B1 (ko) * 2011-09-07 2012-01-16 주식회사 위너스 방수성이 강화된 콘센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6571A (ko) 2014-03-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9398B1 (ko) 플러그
CA2449182A1 (en) Electrical connector
US8777642B2 (en) Electrical connector
KR101480102B1 (ko) 나사가 수용된 멀티 탭
WO2015035962A1 (zh) 一种电连接器
JP6342475B2 (ja) 取り付けやすい照明器具
CN208539138U (zh) 一种接线端子以及接线导电结构
EP2413433A1 (en) Connector arrangement for an electrical lighting device
US9078356B2 (en) Electrical component device
CN204315768U (zh) 按压式接线盒
JP2013030291A (ja) コネクタ保持構造、電子機器、電動機制御装置
JP6566342B2 (ja) コネクタ、電源装置、及び照明器具
CN202695848U (zh) 一种插头防脱落装置
WO2013131290A1 (zh) 一种灯管固定装置
CN104916944A (zh) 插接件及针脚
KR200416558Y1 (ko) 전원 연결장치
CN201048186Y (zh) 插拔式电源连接器
CN210838354U (zh) 便携式两用功能插头
RU140834U1 (ru) Контактный узел
CN105958274A (zh) 电子接插件
US20140210455A1 (en) Voltage tap device
CN105762548A (zh) 按压式接线盒
CN204333417U (zh) 一种墙体插座
KR101445307B1 (ko) 전기접속용 단자대
US20160104980A1 (en) Connecting apparatus for electronic applian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