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5315Y1 - 다이어트용 운동기구 - Google Patents

다이어트용 운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5315Y1
KR200445315Y1 KR20070013698U KR20070013698U KR200445315Y1 KR 200445315 Y1 KR200445315 Y1 KR 200445315Y1 KR 20070013698 U KR20070013698 U KR 20070013698U KR 20070013698 U KR20070013698 U KR 20070013698U KR 200445315 Y1 KR200445315 Y1 KR 20044531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et
exercise
coupled
fixed shaft
bel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7001369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1679U (ko
Inventor
정철주
Original Assignee
정철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철주 filed Critical 정철주
Priority to KR2007001369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5315Y1/ko
Publication of KR2009000167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167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531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531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the abdomen, the spinal column or the torso muscles related to shoulders (e.g. chest muscles)
    • A63B23/0205Abdomen
    • A63B23/0227Abdomen moving torso or lower limbs laterally, i.e. substantially in the frontal plane

Abstract

본 고안은 신체의 허리부위 및 뱃살부위에 대한 지방분해와 근육발달을 집중적으로 운동할 수 있는 것으로, 특히, 신체의 상체와 하체를 좌,우방향으로 흔들어 스트레칭에 의한 운동효과를 높일 수 있으며, 좁은 실내공간에서도 누구라도 쉽고 간편, 용이하게 다이어트를 위한 운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고안은 신체의 뱃살부위나 허리부위에 대한 다이어트를 위해 구성된 운동기구에 있어서, 사각판형태로 저면에는 전,후방으로 거치다리가 결합되고, 상면 중앙에는 일측면에 스토퍼가 형성된 고정축이 소정 높이를 갖도록 수직되게 결합된 베이스와; "⊂"자 모양을 이루도록 절곡되고 링형태로 내면에 걸림턱이 형성된 결합체에 의해 고정축에 끼워져 결합되는 제 1, 2본체가 구비되되, 제 1본체의 양쪽단부에는 무릎거치대가 구성되고, 제 2본체의 양쪽단부에는 손잡이가 구성된 것이다.
운동기구, 다이어트, 베이스, 제 1본체, 고정축

Description

다이어트용 운동기구{EXERCISING MACHINE FOR DIET}
본 고안은 다이어트용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신체의 허리부위 및 뱃살부위에 대한 지방분해와 근육발달을 집중적으로 운동할 수 있고, 특히, 신체의 상체와 하체를 좌,우방향으로 흔들어 스트레칭에 의한 운동효과를 높일 수 있으며, 좁은 실내공간에서도 누구라도 쉽고 간편, 용이하게 다이어트를 위한 운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운동기구는 신체의 균형적인 발달과 근육 및 관절부위에 대한 강화를 위해 사용되는 기구로서, 주로, 사용자가 운동하고자 하는 신체 부위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운동기구가 사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비만이 인해 많은 질병(성인병)의 원인으로 대두 되고 있으며, 특히, 현대인의 생활습관 및 특성상 뱃살부위나 허리 부위에 대한 비만도가 높게 나타나고 있으며, 뱃살부위에 대한 비만으로 인해 정상적인 생활이 어렵고 달리기 등의 유산소 운동이 요구되지만 과다한 체중으로 인해 무릎이나 척추 등의 관절부위에 대한 부담이 우려되므로 다이어트를 위한 운동이 원활하지 못한 실정이다.
종래에는 복근이나 허리부위에 대한 근육을 강화하기 위한 운동기구로 윗몸일으키기 운동기구 및 사용자가 제자리에서 걷기 운동을 수행하는 스탭퍼 등의 운 동기구가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운동기구로 사용되고 있는 윗몸일으키기 등의 운동기구는 복근이나 허리부위에 대한 근육을 강화하여 허리의 유연성을 높이기 위한 것으로, 신체의 복근을 중심으로 강화하는 운동효과가 있으나, 비만으로 인해 뱃살부위 및 허리부위에 과다한 지방층으로 인해 정상적인 운동이 원활하지 않고, 특히, 뱃살부위에 대한 지방층 제거 즉, 다이어트효과는 거의 없이 근육강화에 대한 운동효과만이 부각되므로, 효율적인 전신운동 효과가 거의 없고, 비만으로 인한 뱃살과 허리부위에 대한 군살 등의 제거를 위한 다이어트 운동에 대한 효율성이 떨어지는 등의 문제점을 안고 있다.
특히, 종래의 운동기구는 신체를 전,후방으로 굽히거나 곧게 펴는 상태로 운동이 이루어지므로, 좌,우방향 즉, 측면운동이 거의 이루어지지 못하므로, 전체적인 신체의 균형적인 운동이 이루어지지 않는 폐단을 갖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폐단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신체의 허리부위와 뱃살에 대한 지방층 및 군살 등을 제거하기 위하여, 상체와 하체를 좌,우 측방으로 흔들거나 변형시켜 상체와 하체가 좌,우측방으로 흔들리는 과정에서 허리부위 및 뱃살에 대한 근육강화는 물론, 다이어트를 위한 지방층과 군살을 제거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형태의 다이어트용 운동기구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허리부위나 뱃살부위에 대한 다이어트를 위한 운동과정이 쉽고 간편, 용이하며, 좁은 실내공간에서 나이에 구애받지 않고 누구나 편리하게 다이어트를 위한 운동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신체의 뱃살부위나 허리부위에 대한 다이어트를 위해 구성된 운동기구에 있어서, 사각판형태로 저면에는 전,후방으로 거치다리가 결합되고, 상면 중앙에는 일측면에 스토퍼가 형성된 고정축이 소정 높이를 갖도록 수직되게 결합된 베이스와; "⊂"자 모양을 이루도록 절곡되고 링형태로 내면에 걸림턱이 형성된 결합체에 의해 고정축에 끼워져 결합되는 제 1, 2본체가 구비되되, 제 1본체의 양쪽단부에는 반원형태의 거치홈이 형성된 무릎거치대가 구성되고, 제 2본체의 양쪽단부에는 손잡이가 구성된 특징을 갖는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서, 상기 고정축에 결합되는 제 1, 2본체 사이에는 일측 방으로 고정쇠가 돌출된 위치고정체가 위치되도록 결합된 특징을 갖는다.
상기 위치고정체의 고정쇠에는 끼움공이 형성되고, 고정쇠 상방에 위치되는 제 2본체의 대응되는 위치에는 통공이 관통되며, 두부를 갖는 고정핀이 제 2본체의 통공을 관통하여 고정쇠에 형성된 끼움공에 결합되어 제 2본체의 위치고정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특징을 갖는다.
본 고안에 따른 다이어트용 운동기구를 이용함에 따라, 신체의 상체와 하체를 좌,우 측방으로 흔들거나 'S'자 모양으로 반복운동시켜 신체의 허리부위와 뱃살에 대한 지방층 및 군살 등을 분해할 수 있고, 상체와 하체가 좌,우측방으로 흔들리는 과정에서 허리부위 및 뱃살에 대한 근육강화는 물론, 다이어트를 위한 지방층과 군살을 제거할 수 있으며, 허리부위나 뱃살부위에 대한 다이어트를 위한 운동과정이 쉽고 간편 용이하며, 좁은 실내공간에서도 크게 나이에 구애받지 않고 누구나 편리하게 다이어트를 위한 운동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다이어트용 운동기구(1)는 베이스(2), 고정축(3), 제 1, 2본체(10, 20) 및 위치고정체(30)로 구성되는 것으로서, 베이스(2)는 사각판형태로 저면에는 전,후방으로 거치다리(4)가 결합되고, 상면 중앙에는 고정축(3)이 소정 높이를 갖도록 결합되며, 고정축(3)의 일측면에는 스토퍼(5)가 형성되어 구성된 것이다.
제 1, 2본체(10, 20)는 "⊂"자 모양을 이루도록 절곡되되, 제 1본체(10)의 양쪽단부에는 무릎거치대(11)가 결합되고, 제 2본체(20)의 양쪽단부에는 손잡이(21)가 결합되어 구성되며, 각각의 제 1, 2본체(10, 20)는 내면에 걸림턱(12, 22)이 형성된 링 형태의 결합체(13, 23)에 의해 고정축(3)에 끼워져 결합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 1, 2본체(10, 20)는 고정축(3)에 결합된 상태에서, 좌,우방향으로 회전되며, 고정축(3)에 형성된 스토퍼(5)와 결합체(13, 23) 내면에 형성된 걸림턱(12, 22)에 의해 각각의 제 1, 2본체(10, 20)에 대한 회전각도 범위가 설정되고, 상기 무릎거치대(11)의 상면에는 반원형태의 거치홈(11')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고정축(3)에 제 1, 2본체(10, 20)가 결합되는 과정에서, 이들 사이에는 위치고정체(30)가 위치되도록 결합 되는바, 위치고정체(30)에는 끼움공(31)이 형성된 고정쇠(32)가 측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고정쇠(32)는 제 2본체(20)의 하방에 위치되어 고정핀(33)에 의해 제 2본체(20)의 위치를 고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즉, 상기 위치고정체(30)의 고정쇠(32)에는 끼움공(31)이 형성되고, 고정쇠(32) 상방에 위치되는 제 2본체(20)의 대응되는 위치에는 통공(34)이 관통되며, 고정핀(33)이 제 2본체(20)의 통공(34)을 관통하여 고정쇠(32)에 형성된 끼움공(31)에 결합되어 제 2본체(20)의 위치고정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 지지다리(4)의 끝단부 및 고정축(3)의 상단부에는 연질의 합성수지 또는, 고무재질로 이루어진 마감캡(6)이 결합되어 마감처리가 이루어지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다이어트용 운동기구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다이어트용 운동기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다이어트용 운동기구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다이어트용 운동기구를 나타내는 평면도로서, 베이스(2)의 저면에 전,후방을 향하도록 지지다리(4)가 결합되고 상면 중앙에는 소정 높이를 갖도록 고정축(3)이 일체로 형성되거나 용접에 의해 고정되며, 제 1, 2본체(10, 20)는 "⊂"자 모양을 이루도록 절곡되어 링 형태의 결합체(13, 23)에 의해 고정축(3)에 결합된 상태에서 좌,우방향으로 회전되도록 결합된다.
상기 제 1, 2본체(10, 20)는 결합체(13, 23)에 용접되어 고정된 상태에서, 고정축(3)에 결합되며, 결합체(13, 23)의 내면에는 소정 각도 범위에 걸쳐 걸림턱(12, 22)이 형성되고, 고정축(3)에는 일측면에 스토퍼(5)가 돌출되어 구성되므로, 결합체(13, 23)가 고정축(3)에 결합되어 회전되는 과정에서, 결합체(13, 23) 내면에 형성된 걸림턱(12, 22)이 스토퍼(5)와 맞대어져 간섭됨에 따라, 회전 각도, 즉, 제 1, 2본체(10, 20)의 좌,우방향으로 회전 범위가 제한적으로 설정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제 1, 2본체(10, 20)가 결합체(13, 23)에 의해 고정축(3)에 결합된 상태에서, 좌,우방향으로 회전되어 구성되되, 상기 제 1, 2본체(10, 20)의 사이에는 위치고정체(30)가 위치되도록 결합되고, 위치고정체(30)에는 끼움공(31)이 형성된 고정쇠(32)가 제 2본체(20)의 하방에 위치되도록 구성되며, 각각에 형성된 통공(34)과 끼움공(31)에는 고정핀(33)이 결합되어 제 2본체(20)의 회전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지지다리(4)는 통상적인 연결수단(보울트)에 의해 베이스(2)에 분해 조립이 용이하도록 결합된다.
도 5(a), 5(b)는 본 고안에 따른 다이어트용 운동기구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로서, 베이스(2) 상면에 고정된 고정축(3)에 결합체(13, 23)에 의해 제 1, 2본체(10, 20)가 좌,우방향으로 회전되도록 결합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신체의 허리부위나 뱃살부위에 대한 다이어트를 위해 운동기구를 이용하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이어트용 운동기구(1)를 이용하려면, 먼저, 제 1본체(10)의 양쪽단부에 형성된 무릎거치대(11)에 무릎이 얹혀지도록 자세를 취한 상태에서, 상체를 구부려 제 2본체(20)에 형성된 손잡이(21)를 양손으로 파지하게 되면, 다이어트 운동을 위한 준비가 완료되는 것이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무릎이 얹혀진 제 1본체(10)를 측방으로 밀듯이 하체에 힘을 가하게 되면, 도 5(a)에 따른 사용상태와 같이, 제 1본체(10)가 측방으로 회전되어 하체가 위치 이동되고, 양손으로 제 2본체(20)를 파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상체를 측방으로 움직여 위치이동시키게 되면, 상체와 하체가 측방으로 위치 이동되면서, S자 모양을 취하며 반복운동이 이루어지게 되며, 신체, 특히, 옆구리 좌,우 갈비뼈 부분의 근육이 신축 이완되고, 뱃살부위에 대한 군살이나 지방층이 분해되는 다이어트 효과를 얻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무릎거치대(11)에는 거치홈(11')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사용자가 무릎을 거치한 상태에서, 좌,우방향으로 움직이는 과정에서, 안정감을 부여하게 되 어 운동 중 사용자의 무릎이 무릎거치대(11)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이어트 운동기구(1)는 신체의 상체와 하체가 좌,우방향으로 흔들리듯 움직이며 운동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허리부위나 뱃살에 대한 운동 뿐만 아니라, 신체 전체부위가 흔들리게 되므로 근육발달과 지방분해는 물론, 전신운동에 의한 유산소 운동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도 5(b)에 따른 사용상태에서와 같이, 제 1, 2본체(10, 20)를 좌,우방향으로 흔들어 다이어트를 위한 운동을 행함에 있어서, 상체는 움직이지 않고 하체만을 움직여 운동을 하고자 할 경우에는 고정핀(33)을 제 2본체(20)에 형성된 통공(34)에 끼워 관통시키게 되면, 고정핀(33)이 제 2본체(20) 하방에 위치된 위치고정체(30)의 고정쇠(32)에 형성된 끼움공(32)에 끼워져 결합됨에 따라, 제 2본체(20)의 회전이 멈추게 되고, 제 1본체(10)만이 회전되면서 하체부위에 대한 운동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 위치고정체(30)는 고정축(3)에 결합된 상태에서, 내면에 형성된 결합홈(35)이 고정축(3)의 스토퍼(5)와 동일한 위치에 맞물려지도록 형성되어 있으므로, 결합된 상태에서, 좌,우방향으로의 회전이 불가능한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다이어트용 운동기구는 고정축(3)에 결합된 상태에서 좌,우방향으로 회전되는 제 1, 2본체(10, 20)에 의해 사용자의 상체와 하체의 동시 운동이 가능하며, 특히, 허리부위나 뱃살 부위에 대한 군살 및 지방층을 효과적으로 분해할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다이어트용 운동기구(1)는 제 1, 2본체(10, 20)의 좌,우방향에 대한 원활한 회전을 위해 베어링이나 부싱 등과 같이, 회전을 위해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도구를 이용하게 되는 것으로, 이에 대한 도면 표기는 생략하였다.
사용자가 직접 제 1, 2본체(10, 20)를 이용하여 신체를 구부린 상태에서, 좌,우방향으로 힘을 가하여 움직이게 되는 수동방식에 의한 운동이 이루어지도록 함은 물론, 필요에 따라서는 베이스(2)의 저면 중앙에 전동장치(도면에 도시되지 않음)를 설치하여 고정축(3)을 수작업이 아닌 전동장치에 의한 전동방식에 회전시켜 사용할 수도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다이어트용 운동기구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다이어트용 운동기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다이어트용 운동기구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다이어트용 운동기구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5(a), 5(b)는 본 고안에 따른 다이어트용 운동기구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운동기구 2:베이스
3:고정축 4:지지다리
5:스토퍼 10:제 1본체
11:무릎거치대 12, 22:걸림턱
13, 23:결합체 30:위치고정체

Claims (3)

  1. 신체의 뱃살부위나 허리부위에 대한 다이어트를 위해 구성된 운동기구에 있어서,
    사각판형태로 저면에는 전,후방으로 거치다리가 결합되고, 상면 중앙에는 일측면에 스토퍼가 형성된 고정축이 소정 높이를 갖도록 수직되게 결합된 베이스와;
    "⊂"자 모양을 이루도록 절곡되고 링형태로 내면에 걸림턱이 형성된 결합체에 의해 고정축에 끼워져 결합되는 제 1, 2본체가 구비되되, 제 1본체의 양쪽단부에는 상면에 거치홈이 형성된 무릎거치대가 구성되고, 제 2본체의 양쪽단부에는 손잡이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어트용 운동기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축에 결합되는 제 1, 2본체 사이에는 일측방으로 고정쇠가 돌출된 위치고정체가 위치되도록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어트용 운동기구.
  3. 삭제
KR20070013698U 2007-08-17 2007-08-17 다이어트용 운동기구 KR20044531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013698U KR200445315Y1 (ko) 2007-08-17 2007-08-17 다이어트용 운동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013698U KR200445315Y1 (ko) 2007-08-17 2007-08-17 다이어트용 운동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1679U KR20090001679U (ko) 2009-02-20
KR200445315Y1 true KR200445315Y1 (ko) 2009-07-20

Family

ID=412990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70013698U KR200445315Y1 (ko) 2007-08-17 2007-08-17 다이어트용 운동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5315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94795A (ja) * 2002-12-17 2004-07-15 Kazuomi Ouchi 運動器具
KR20040104944A (ko) * 2004-10-28 2004-12-13 김재철 전신운동이 가능한 트위스트 운동기구
KR100828099B1 (ko) 2007-04-13 2008-05-08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회전운동기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94795A (ja) * 2002-12-17 2004-07-15 Kazuomi Ouchi 運動器具
KR20040104944A (ko) * 2004-10-28 2004-12-13 김재철 전신운동이 가능한 트위스트 운동기구
KR100828099B1 (ko) 2007-04-13 2008-05-08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회전운동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1679U (ko) 2009-0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79533A (en) Swivel platform with detachable backrest and resilient exercise cords
US9643047B1 (en) Sit-up bench apparatus
JP3168541U (ja) 開脚運動器
US9199121B2 (en) Exercising device for lower-body
KR101044094B1 (ko) 하체 근력강화 운동기구
JP2010504802A (ja) 多目的運動器具
JP2009502262A (ja) 運動装置及び運動方法
US20050170939A1 (en) Yoga balance trainer
CN102170943A (zh) 肩部运动用器具
US10881895B2 (en) Leg training fitness device with dumbbell quick attach mechanism
US20050026755A1 (en) Exercise apparatus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JP2010057892A (ja) トレーニング装置
KR200445315Y1 (ko) 다이어트용 운동기구
KR20170001181U (ko) 아암부독립복합운동기구
KR200469528Y1 (ko) 로윙 운동이 가능한 윗몸일으키기 운동기구
US9364705B2 (en) Abdominal exercise apparatus
KR20140065772A (ko) 직립형 재활 운동장치
KR20020056859A (ko) 윗몸일으키기 운동기구
KR101974454B1 (ko) 다용도 운동기구
JP2750398B2 (ja) 足用ダンベルの保持具
TWM586157U (zh) 律動機
KR200289276Y1 (ko) 다기능 슬라이딩 운동기
KR102247749B1 (ko) 수중 운동용 반신욕 장치
KR200434032Y1 (ko) 전신 운동 기구
KR920005166Y1 (ko) 운동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