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3363Y1 - 크레인용 케이블트렌치 - Google Patents

크레인용 케이블트렌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3363Y1
KR200443363Y1 KR2020080012013U KR20080012013U KR200443363Y1 KR 200443363 Y1 KR200443363 Y1 KR 200443363Y1 KR 2020080012013 U KR2020080012013 U KR 2020080012013U KR 20080012013 U KR20080012013 U KR 20080012013U KR 200443363 Y1 KR200443363 Y1 KR 20044336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crane
trench
pair
cable tren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1201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0127U (ko
Inventor
윤한주
Original Assignee
(주)홍주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홍주산업 filed Critical (주)홍주산업
Priority to KR202008001201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3363Y1/ko
Publication of KR2009000012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012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336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336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12Arrangements of means for transmitting pneumatic, hydraulic, or electric power to movable parts of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aying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utsid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바닥면에 형성되는 레일을 따라 이동이 가능한 크레인에 연결되는 케이블을 수용하기 위하여 상기 크레인의 이동방향을 따라 연속하여 형성되는 크레인용 케이블트렌치에 있어서 : 크레인의 이동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마련되는 한쌍의 측벽 ; 상기 크레인의 이동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면서 복수로 마련되며, 양단이 상기 한쌍의 측벽에 각각 고정되는 연결대와 상기 연결대가 삽입되어 상기 연결대를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가능하게 마련되는 회전관으로 이루어지는 케이블 지지봉 ;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한 쌍의 측벽은 상기 케이블이 상기 한 쌍의 측벽 사이로 안착되는 것을 안내할 수 있도록 그 상부가 벌어진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에 의하여 케이블트렌치에 이물질이 누적되지 않기 때문에 그 유지 보수가 매우 편리하며, 케이블의 이동시 케이블과 연동하여 회전관이 회전함으로써 제품의 내구성을 높일 수 있으며, 종래의 매입형 케이블트렌치에 비하여 매우 간단한 구조로서 보다 저렴한 가격에 의하여 제조 및 설치될 수 있다.

Description

크레인용 케이블트렌치{CABLE TRENCH FOR A CRANE}
본 고안은 크레인용 케이블트렌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육상의 바닥면에 마련되는 레일 위를 이동하는 크레인에 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크레인용 케이블을 수용하기 위한 케이블트렌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부두 등에서 컨테이너 등의 화물을 선적 또는 양하하기 위한 크레인은 바닥면에 형성되는 레일위를 이동가능하도록 설계된다. 이는 부두 등에 입항한 화물선 등의 위치에 근접하여 화물의 선적 등을 보다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크레인을 이동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도 1은 일반적인 크레인, 상기 크레인에 연결되는 케이블 및 상기 케이블이 수납되는 케이블트렌치를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레일위를 이동 가능한 크레인(40)에는 전력공급용 케이블(20)이 연결되어 상기 크레인(40)에 전력을 공급하게 된다. 상기 케이블(20)의 일단은 외부의 전원공급소스(미도시)에 연결되는데, 상기 크레인(40)은 레일위를 이동하므로 상기 케이블(20)도 상기 크레인(40)이 이동함에 따라 상기 크레인(40)에 마련되는 케이블 휠(10)에 감기거나 상기 케이블 휠(10)에 감긴 케이블(20)이 풀리게 된다. 미설명한 부호 30은 상기 크 레인(40)의 이동에 따라 상기 케이블(20)이 원활하게 바닥에 형성되는 케이블트렌치(50)내로 유도되도록 하는 케이블가이드륜(30)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종래의 케이블트렌치의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케이블트렌치의 구조를 살펴보면, 주로 콘크리트로 형성되는 바닥면(60)에 케이블(20)을 수납하기 위한 케이블 실장홈(65)이 마련되고 상기 케이블 실장홈(65)에 상기 케이블(20)이 삽입된 후 보호덮개(70)가 상기 케이블 실장홈(65)의 개구부를 막아 상기 케이블(20)이 외부의 이물질 등으로부터 보호되도록 하고 있다. 상기 보호덮개(70) 일측부의 상면에는 요철부(90)가 마련되어 상기 보호덮개(70)의 개폐를 용이하게 하며, 상기 보호덮개(70)는 앵커볼트(80)에 의하여 바닥면(60)에 고정된다.
그러나, 전술한 종래의 케이블트렌치는 콘크리트 바닥(60) 내에 직접 홈을 형성하여 상기 케이블(20)을 수용하므로 케이블(20)이 상기 케이블 실장홈(65)에 수용되거나 상기 케이블 실장홈(65)으로 부터 빠져나갈때 상기 케이블 실장홈(65)의 모서리나 벽면 등에 긁히게 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과정이 오랫동안 반복되면 결국에는 상기 케이블(20)이 파손될 수 있는 위험이 있다. 또한, 상기 보호덮개(70)의 하면이 직접 콘크리트 바닥면(60)과 닿으면서 개폐되는 과정을 반복하므로 오랫동안 사용할 경우 상기 보호덮개(70)가 빨리 닳게 된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보호덮개(70)를 고정하기 위한 상기 앵커볼트(80)는 상기 케이블트렌치를 따라 다수개가 마련되는데, 많은 수의 앵커볼트(80)를 콘크리트 바닥면(60)에 고정하기 위해서는 시공시간이 오래걸리고 불편하다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은 국내 실용신안등록 제20-0359401호 "크레인용 케이블트렌치 구조" 및 국내 실용신안등록 제20-0383082호를 제안한 바 있다.
본 고안은 상기의 종래 크레인용 케이블트렌치 구조를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특별한 언급이 없다면 상기의 종래 크레인용 케이블트렌치 구조는 본 명세서에 일체화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들이 가지는 기능들을 그대로 유지하면서도, 보다 저렴하게 제작되어, 더욱 유지 관리가 편리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케이블트렌치를 제안하고자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바닥면에 형성되는 레일을 따라 이동이 가능한 크레인에 연결되는 케이블을 수용하기 위하여 상기 크레인의 이동방향을 따라 연속하여 형성되는 크레인용 케이블트렌치에 있어서 : 크레인의 이동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마련되는 한쌍의 측벽 ; 상기 크레인의 이동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면서 복수로 마련되며, 양단이 상기 한쌍의 측벽에 각각 고정되는 연결대와 상기 연결대가 삽입되어 상기 연결대를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가능하게 마련되는 회전관으로 이루어지는 케이블 지지봉 ;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한 쌍의 측벽은 상기 케이블이 상기 한 쌍의 측벽 사이로 안착되는 것을 안내할 수 있도록 그 상부가 벌어진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연결대는, 상기 회전관에 삽입되어 양단이 각각 상기 측벽을 관통하는 스터드 볼트와 상기 스터드 볼트의 양단에 나사체결되어 상기 스터드 볼트와 상기 측벽을 고정시키는 너트들로 이루어지는 것일 수 있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측벽의 일측에, 상기 케이블트렌치를 레일 기초에 지지하기 위한 트렌치 지지대가 부착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은, 케이블트렌치에 이물질이 누적되지 않기 때문에 그 유지 보수가 매우 편리하다.
또한 본 고안은 케이블의 이동시 케이블과 연동하여 회전관이 회전함으로써 제품의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종래의 매입형 케이블트렌치에 비하여 매우 간단한 구조로서 보다 저렴한 가격에 의하여 제조 및 설치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일 실시례에 따라 그 구성과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일 실시례인 케이블트렌치가 설치된 상태의 종단면도이며, 도 4는 도 3의 케이블트렌치의 정면도이며, 도 5는 도 3의 케이블트렌치의 저면도이며, 도 6은 도 3의 케이블트렌치의 측면도이며, 도 7은 케이블 지지봉의 단면을 보이기 위한 도면이다.
본 케이블트렌치(100)는 크게 한 쌍의 측벽(110, 120)과 상기 측벽(110, 120)을 연결하는 복수의 케이블 지지봉(130)으로 이루어진다.
측벽(110, 120)은 크레인의 이동방향을 따라, 즉 바닥면에 형성되는 레일(1)의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마련된다.
한 쌍의 측벽(110, 120)은 상부가 벌어진 형태로 형성되어 케이블(20)이 용이하게 측벽(110, 120) 사이로 안착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측벽(110, 120)은 하부에 마련된 케이블 지지봉(130)에 의하여 연결된다.
케이블 지지봉(130)은 측벽(110, 120) 사이에 위치되는 케이블(20)을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케이블 지지봉(130)은, 한쌍의 측벽(110, 120) 사이에서 한쌍의 측벽과 직접 고정되는 연결대(132)와, 상기 연결대(132)가 삽입되어 회전가능하게 마련되며 또한 케이블(20)과 접하게 되는 파이프 형태의 회전관(131)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연결대(132)는 양단이 한쌍의 측벽(110, 120)을 각각 관통하는 스터드 볼트(132a)와 상기 스터드 볼트(132a)의 양단을 측벽(110, 120) 각각에 고정시키기 위한 너트(132b)들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케이블트렌치(100)는, 크레인용 레일(1)이 마련되는 침목 등의 레일 기초(2) 측면에 트렌치 지지대(200)를 마련한 후, 상기 트렌치 지지대(200)에 본 케이블트렌치(100)를 볼팅 혹은 용접 등에 의하여 부착함으로써 설치되며, 따라서 본 실시례의 케이블트렌치(100)는 매립되는 것이 아니라 침목용 자갈 등의 상부에 개방된 형태로 사용된다.
물론 실시례에 따라서는 레일(1)을 따라 케이블트렌치(100)를 지지하기 위한 별도의 구조물을 마련한 후 상기 구조물에 본 케이블트렌치(100)를 설치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케이블트렌치(100)가 자갈 등의 상부에 개방된 형태로 설치되며, 또한 케이블 지지봉(130)이 크레인의 이동방향을 따라 서로 간격을 두고 복수로 마련됨으로써, 케이블 지지봉(130) 사이에는 이물질, 즉 돌멩이, 모래 및 흙 등이 쉽게 빠질 뿐만 아니라 우수시에도 물이 차지 않게 되는 개방된 간격이 형성된다.
따라서 본 실시례의 케이블트렌치는 종래의 케이블트렌치의 큰 문제점인 이물질의 청소로 인한 유지 관리의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본 케이블트렌치의 케이블 지지봉(130)의 회전관(131)은 케이블(20)이 움직일 때 케이블(20)의 움직임에 따라 연동하여 회전하게 되므로, 케이블(20)의 이송이 더욱 원활하게 될 뿐만 아니라 케이블(20) 혹은 회전관(131)의 손상 가능성이 거의 없다. 따라서 본 케이블트렌치를 사용함으로써 제품의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케이블트렌치의 구조는 종래의 매입형 케이블트렌치에 비하여 매우 간단하여, 보다 저렴한 가격에 의하여 제조 및 설치될 수 있다.
상기의 실시례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례일 뿐이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내지 조정되어 실시될 수 있다. 이러한 변형 내지 조정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이용한다면 이는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육상의 바닥면에 마련되는 레일 위를 이동하는 크레인에 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크레인용 케이블을 수용하기 위한 케이블트렌치로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크레인, 상기 크레인에 연결되는 케이블 및 상기 케이블이 수납되는 케이블트렌치를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케이블트렌치의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일 실시례인 케이블트렌치가 설치된 상태의 종단면도,
도 4는 도 3의 케이블트렌치의 정면도,
도 5는 도 3의 케이블트렌치의 저면도,
도 6은 도 3의 케이블트렌치의 측면도,
도 7은 케이블 지지봉의 단면을 보이기 위한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케이블트렌치 110 : 측벽
120 : 측벽 130 : 케이블 지지봉
131 : 회전관 132 : 연결대
132a : 스터드 볼트 132b : 너트

Claims (3)

  1. 바닥면에 형성되는 레일을 따라 이동이 가능한 크레인에 연결되는 케이블을 수용하기 위하여 상기 크레인의 이동방향을 따라 연속하여 형성되는 크레인용 케이블트렌치에 있어서 :
    크레인의 이동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마련되는 한쌍의 측벽 ;
    상기 크레인의 이동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면서 복수로 마련되며, 양단이 상기 한쌍의 측벽에 각각 고정되는 연결대와 상기 연결대가 삽입되어 상기 연결대를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가능하게 마련되는 회전관으로 이루어지는 케이블 지지봉 ;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한 쌍의 측벽은 상기 케이블이 상기 한 쌍의 측벽 사이로 안착되는 것을 안내할 수 있도록 그 상부가 벌어진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용 케이블트렌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대는, 상기 회전관에 삽입되어 양단이 각각 상기 측벽을 관통하는 스터드 볼트와 상기 스터드 볼트의 양단에 나사체결되어 상기 스터드 볼트와 상기 측벽을 고정시키는 너트들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용 케이블트렌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의 일측에, 상기 케이블트렌치를 레일 기초에 지지하기 위한 트렌치 지지대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용 케이블트렌치.
KR2020080012013U 2008-09-03 2008-09-03 크레인용 케이블트렌치 KR20044336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2013U KR200443363Y1 (ko) 2008-09-03 2008-09-03 크레인용 케이블트렌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2013U KR200443363Y1 (ko) 2008-09-03 2008-09-03 크레인용 케이블트렌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4847 Division 2007-06-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0127U KR20090000127U (ko) 2009-01-07
KR200443363Y1 true KR200443363Y1 (ko) 2009-02-06

Family

ID=412790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12013U KR200443363Y1 (ko) 2008-09-03 2008-09-03 크레인용 케이블트렌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336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2667B1 (ko) * 2016-04-06 2016-08-31 김상옥 높이 가변형 크레인 케이블 가이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310993B (zh) * 2014-12-22 2018-12-18 王金 一种用于电缆沟道的输送车架及其工作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2667B1 (ko) * 2016-04-06 2016-08-31 김상옥 높이 가변형 크레인 케이블 가이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0127U (ko) 2009-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40115003A1 (en) Floating river debris skimmer
JP5170060B2 (ja) 基礎ボルトの交換方法
US6230644B1 (en) Dock and buoyant module adapted to be connected to a pile
KR101351061B1 (ko) 상하 분리가 가능한 이중 구조의 레이디얼 게이트 및 이를 개폐하기 위한 권양기
KR200443363Y1 (ko) 크레인용 케이블트렌치
KR100984124B1 (ko) 크레인용 케이블트렌치
CN210238583U (zh) 可调式防沉降检查井调节环与井盖组合结构
KR101783754B1 (ko) 지면 노출형 구조의 케이블트렌치
KR101511689B1 (ko) 인양 용이형 부잔교용 도교
JP5087154B2 (ja) 水域構造物の足場構築工法及び足場構造
KR200465218Y1 (ko) 맨홀 조립체
KR101177440B1 (ko) 원거리 원통형 매트 포설 공법
KR200383082Y1 (ko) 크레인용 케이블트렌치 구조
CN211368578U (zh) 一种板桩高桩组合码头结构
KR100862884B1 (ko) 선박용 크레인의 지지기둥 보강장치
KR100591195B1 (ko) 교량 우물통 기초의 세굴방지대
CN210712857U (zh) 一种易装拆式基坑支护结构
KR200436686Y1 (ko) 맨홀뚜껑 잠금장치
CN208076409U (zh) 一种轨道车辆车底检测用沉箱及系统
KR100402438B1 (ko) 교량의 교각 기초의 터파기 굴착 장치
CN216551526U (zh) 用于浮桥固定的伸缩桩
CN219825346U (zh) 塔吊基础与筏板一体化结构
JP2014240566A (ja) 排水溝被覆構造
JP4033391B2 (ja) アンカーブロック、水中構造体、水中構造体の設置方法
CN205348187U (zh) 一种布料机的喂料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4

Year of fee payment: 9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