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3754B1 - 지면 노출형 구조의 케이블트렌치 - Google Patents

지면 노출형 구조의 케이블트렌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3754B1
KR101783754B1 KR1020170035989A KR20170035989A KR101783754B1 KR 101783754 B1 KR101783754 B1 KR 101783754B1 KR 1020170035989 A KR1020170035989 A KR 1020170035989A KR 20170035989 A KR20170035989 A KR 20170035989A KR 101783754 B1 KR101783754 B1 KR 1017837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guide
guide wall
holes
spaced apart
guide wal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59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동기
Original Assignee
(주)홍주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홍주산업 filed Critical (주)홍주산업
Priority to KR10201700359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375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37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37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12Arrangements of means for transmitting pneumatic, hydraulic, or electric power to movable parts of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9/00Cranes comprising trolleys or crabs running on fixed or movable bridges or gantries
    • B66C19/007Cranes comprising trolleys or crabs running on fixed or movable bridges or gantries for contai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측 각각에는 좌우 한 쌍의 제1체결공(22)이 형성되는 판상 구조로 이루어지되, 상호 간에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인접하는 제1, 2단위가이드벽(11, 16) 각각의 하단 부위와 일정 간격 이격되어 하부에 위치하는 지지판(20); 상측 부위에는 좌우 한 쌍의 제2체결공(32)이 형성되고 하측 부위에는 좌우 한 쌍의 제3장공(34)이 형성되는 ㄴ 자 앵글로 이루어지되, 제1볼트(33)에 의해 제2체결공(32) 각각이 상호 간에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인접하는 제1단위가이드벽(11) 각각의 제1장공(12) 및 제2단위가이드벽(16) 각각의 제2장공(17)과 결합되는 하부신축조절단(30); 하부신축조절단(30)의 제3장공(34) 및 지지판(20)의 제1체결공(22) 각각을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하부신축조절단(30)과 지지판(20) 상호 간을 결합하되, 그 일측 부위가 지면에 고정 결합되어 지지되는 수직높이조절봉(40); 상면 일측 부위에는 제3체결공(72)이 형성되고 상면 타측 부위에는 제4장공(74)이 형성되는 ㄱ 자 앵글로 이루어지되, 제2볼트(73)에 의해 제3체결공(72)은 인접하는 일측의 제1, 2단위가이드벽(11, 16) 각각의 상단 부위에 결합되고, 제3볼트(75)에 의해 제4장공(74)은 인접하는 타측의 제1, 2단위가이드벽(11, 16) 각각의 상단 부위에 결합되는 상부신축조절단(7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지면 노출형 구조의 케이블트렌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지면 노출형 구조의 케이블트렌치{Structure of cable-trench for crane type of exposed to the ground}
본 발명은 케이블트렌치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컨테이너 야적장에서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크레인에 전력을 공급하는 케이블을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하며 보다 안전하게 수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시공비용 및 시공기간을 현저히 줄일 수 있는 지면 노출형 구조의 케이블트렌치에 관한 것이다.
부두나 항만 등에는 선박에 선적하거나 선박에서 양하한 컨테이너의 일시 보관을 위한 야적장이 마련되는데, 이러한 컨테이너의 선적이나 양하는 도 4와 같이 컨테이너 야적장의 바닥을 따라 설치되는 레일 위를 활주하는 크레인(40)에 의해 이루어지며, 크레인(40)에의 전력은 케이블(20)을 통해 공급된다.
한편, 크레인(40)에 전력을 공급하는 케이블(20)은 휠(10)에 권취된 상태에서 크레인(40)이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과정에서 조금씩 풀리게 되며, 휠(10)에서 풀려나간 케이블은 레일의 일측으로 일정 거리 떨어져 마련되는 케이블트렌치(50) 내부에 순차적으로 수납됨으로써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된다.
도 5는 본 출원인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984124호로 제안한 케이블트렌치로서, 이 기술은 U 자 구조로 이루어져 지면에 일정 깊이로 설치되는 케이블트렌치 프레임(100)과, 케이블트렌치 프레임(100) 상단 부위에 마련되되 지면과 수평하게 위치하는 좌우 한 쌍의 브러쉬(220a, 220b)로 이루어지는 특징이 있다. 하지만, 이 기술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일정 깊이의 구덩이를 일렬로 일정 길이만큼 파헤친 다음에 케이블트렌치를 설치해야 한다는 점에서 공사기간 및 공사비가 현저히 증대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와 달리, 본 출원인이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0443363호로 제안한 바 있는 도 6과 같은 기술은 별도로 구덩이를 파헤치지 않고 케이블트렌치(100)를 지면에 직접 설치할 수 있다는 점에서 도 5에 비해 그 설치가 매우 편리한 장점이 있다. 하지만, 이 기술은 ㄴ 자 앵글을 이용하여 케이블트렌치(100)의 일측 부위를 지면에 단순 고정하는 구성이라는 점에서 케이블트렌치(100)에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 케이블(20)의 안정적인 수납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게다가, 금속재질의 케이블트렌치(100)가 장시간 외부로 노출되면 열팽창현상에 따라 신축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럴 경우 레일을 따라 일렬로 설치된 케이블트렌치 자체가 뒤틀리는 문제가 발생한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0359401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0443363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984124호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시공비용 및 시공기간을 현저히 줄일 수 있으면서도 장시간 케이블을 안정적으로 수납하여 보호할 수 있는 지면 노출형 구조의 케이블트렌치를 제안함에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바닥면에 설치되는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크레인에 전력을 공급하는 케이블의 수납을 위한 트렌치 구조로서, 각각이 일정 길이를 가지며 상호 간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일렬로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제1단위가이드벽(11)으로 이루어지며, 각 제1단위가이드벽(11)의 좌우 양측 하단 부위에는 제1장공(12)이 형성되고, 제1장공(12) 사이에는 일정 간격 이격되는 복수 개의 제1삽입공(13)이 형성되는 제1가이드벽; 각각이 일정 길이를 가지며 상호 간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제1단위가이드벽(11)과 대향한 상태로 일렬로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제2단위가이드벽(16)으로 이루어지며, 각 제2단위가이드벽(16)의 좌우 양측 하단 부위에는 제2장공(17)이 형성되고, 제2장공(17) 사이에는 일정 간격 이격되는 복수 개의 제2삽입공(18)이 형성되는 제2가이드벽; 양측 각각에는 좌우 한 쌍의 제1체결공(22)이 형성되는 판상 구조로 이루어지되, 상호 간에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인접하는 제1, 2단위가이드벽(11, 16) 각각의 하단 부위와 일정 간격 이격되어 하부에 위치하는 지지판(20); 상측 부위에는 좌우 한 쌍의 제2체결공(32)이 형성되고 하측 부위에는 좌우 한 쌍의 제3장공(34)이 형성되는 ㄴ 자 앵글로 이루어지되, 제1볼트(33)에 의해 제2체결공(32) 각각이 상호 간에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인접하는 제1단위가이드벽(11) 각각의 제1장공(12) 및 제2단위가이드벽(16) 각각의 제2장공(17)과 결합되는 하부신축조절단(30); 하부신축조절단(30)의 제3장공(34) 및 지지판(20)의 제1체결공(22) 각각을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하부신축조절단(30)과 지지판(20) 상호 간을 결합하되, 그 일측 부위가 지면에 고정 결합되어 지지되는 수직높이조절봉(40); 양측 부위가 상호 대향하는 제1, 2단위가이드벽(11, 16) 각각의 제1, 2삽입공(13, 18)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가로대(52)와, 각 가로대(52) 외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관(54)으로 이루어지는 케이블가이드(50); 일측 부위는 제1단위가이드벽(11)의 상단 부위에 고정결합되고 타측 부위는 일 방향으로 수평하게 연장되는 제1브러쉬(62)와, 일측 부위는 제2단위가이드벽(16)의 상단 부위에 고정결합되고 타측 부위는 제1브러쉬(61)의 타측 부위와 일정 폭 겹치도록 타 방향으로 수평하게 연장되는 제2브러쉬(66)로 이루어지는 브러쉬(60); 상면 일측 부위에는 제3체결공(72)이 형성되고 상면 타측 부위에는 제4장공(74)이 형성되는 ㄱ 자 앵글로 이루어지되, 제2볼트(73)에 의해 제3체결공(72)은 인접하는 일측의 제1, 2단위가이드벽(11, 16) 각각의 상단 부위에 결합되고, 제3볼트(75)에 의해 제4장공(74)은 인접하는 타측의 제1, 2단위가이드벽(11, 16) 각각의 상단 부위에 결합되는 상부신축조절단(7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그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신축조절단(70)의 제3체결공(72)은 일정 폭의 장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별도의 땅파기 작업 없이 케이블트렌치를 지면에 직접 설치할 수 있다는 점에서 케이블트렌치 시공에 따른 비용 및 기간을 현저히 단축할 수 있으며, 나아가 단위가이드벽 사이를 일정 간격 이격시키되 이들을 장공이 형성된 앵글로서 결합하는 방식을 제안함으로써 지면에 노출된 케이블트렌치의 열팽창 및 열수축에 따른 신축을 자연스럽게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트렌치가 레일 인접지점에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단면구성도.
도 2는 도 1에 있어 케이블트렌치 부분의 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트렌치의 개략적인 결합구성도.
도 4는 종래 케이블이 장착된 크레인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구성도.
도 5는 종래 지면 매립형 구조의 케이블트렌치 구성도.
도 6은 종래 지면 노출형 구조의 케이블트렌치 구성도.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은데,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술함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과 직접적인 관련성이 없거나,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사항에 대해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도 1에 개시된 것과 같이, 미도시된 크레인에 전력을 공급하는 케이블의 수납을 위한 지면 노출형 구조의 케이블트렌치로서, 컨테이너 야적장의 바닥면에 일렬로 설치되는 레일(1)과 일정거리 떨어져 지면에 설치된다. 즉, 지면에 일정 깊이로 매립되는 구조가 아닌 지면 상부로 노출되는 특징이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가이드벽(10), 지지판(20), 하부신축조절단(30), 수직높이조절봉(40), 케이블가이드(50), 브러쉬(60), 상부신축조절단(70)으로 이루어지는 구조를 제안한다. 이들 각 구성을 도 2 및 도 3 각각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가이드벽(10)은 상호 대향하는 제1, 2가이드벽으로 분리 구성된다. 제1가이드벽은 일정 길이를 가지며 상호 간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일렬로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제1단위가이드벽(11)으로 이루어진다. 제1단위가이드벽(11)에는 제1장공(12) 및 제1삽입공(13)이 형성된다.
제1장공(12)은 제1단위가이드벽(11)의 좌우 양측 하단 부위에 좌우 한 쌍으로 형성된다. 제1삽입공(13)은 제1장공(12) 사이에서 일정 간격 이격되는 복수 개로 형성되며, 각 제1삽입공(13)은 도면과 같이 제1장공(12)의 형성 지점에 비해 상방으로 일정 수직 높이만큼 올라간 지점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가이드벽은 제1가이드벽과 일정 간격 이격되어 대향하며, 제1가이드벽과 동일하게 일정 길이를 가지며 상호 간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일렬로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제2단위가이드벽(16)으로 이루어진다. 제2단위가이드벽(16)에는 제2장공(17) 및 제2삽입공(18)이 형성된다. 제2장공(17) 및 제2삽입공(18)은 제1장공(12) 및 제1삽입공(13) 구성과 대동소이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이 제1, 2가이드벽을 구성함에 있어 각각을 제1, 2단위가이드벽으로 분리 구성한 상태에서, 인접하는 제1, 2단위가이드벽 각각을 일정 간격만큼 이격시켜 배치한 이유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는 단위가이드벽의 특성을 감안하여 열팽창에 따른 신축을 보상하기 위함이다. 구체적인 간격은 사용되는 재질의 특성 및 두께 등을 감안해서 결정할 일이나, 제1, 2장공의 폭보다는 작게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1, 2단위가이드벽(11, 16) 각각은 도면에 개시된 것과 같이 상측 부위가 바깥 방향으로 일정 각도로 벌어지는 구조로 이루지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럴 경우 미도시된 케이블이 제1, 2가이드벽 내부공간으로 삽입될 때의 수납 가능한 범위를 최대한으로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다.
지지판(20)은 사각 판상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양측 각각에는 좌우 한 쌍의 제1체결공(22)이 형성된다. 지지판(20)은 도 2와 같이 상호 간에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인접하는 제1, 2단위가이드벽(16) 각각의 하부에 위치하되, 제1, 2단위가이드벽(16) 각각의 하단 부위와 일정 간격 이격되어 위치한다.
하부신축조절단(30)과 후술할 상부신축조절단(70) 각각은 상호 인접하여 위치하는 제1, 2단위가이드벽(11, 16) 각각의 상호 결합함과 동시에 열팽창 및 열수축으로 인해 제1, 2단위가이드벽(11, 16) 각각에서 발생하는 신축 정도를 조절하는 수단이다.
하부신축조절단(30)은 ㄴ 자 구조의 앵글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2체결공(32) 및 제3장공(34)이 형성된다. 제2체결공(32)은 좌우 한 쌍으로 이루어져 ㄴ 자 구조의 앵글 상측 부위를 이루는 수직면에 형성되며, 제3장공(34) 역시 좌우 한 쌍으로 이루어지며 ㄴ 자 구조의 앵글 하측 부위를 이루는 수평면에 형성된다.
이때, 제2체결공(32) 각각은 제1볼트(33)에 의해 상호 간에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인접하는 제1단위가이드벽(11) 각각의 제1장공(12) 및 제2단위가이드벽(16) 각각의 제2장공(17)과 결합된다. 이에 따라, 인접하는 제1단위가이드벽(11) 및 제2단위가이드벽(16) 각각의 하단 부위는 일체화된다.
제1볼트(33)에 의해 제2체결공(32)이 제1, 2장공(12, 17) 각각과 결합된 상태에서 제1, 2단위가이드벽(11, 16)에 열팽창 및 열수축이 발생하게 되면, 위치가 고정된 제1볼트(33)를 기점으로 제1, 2단위가이드벽(11, 16) 각각이 제1, 2장공(12, 17)에 대해 상대적으로 좌우 방향으로 이동을 하면서 신축이 조절되는 것이다.
수직높이조절봉(40)은 지면으로부터의 케이블트렌치 수직 높이를 조절하는 수단이다. 수직높이조절봉(40)은 하부신축조절단(30)의 제3장공(34) 및 지지판(20)의 제1체결공(22) 각각을 순차적으로 관통하며, 그 일측 부위가 지면에 고정 결합된다. 수직높이조절봉(40)은 통상적인 앵커 볼트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도면과 같이 별도의 너트를 매개함으로써 지지판(20)과 지면 사이의 수직 높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케이블가이드(50)는 제1, 2가이드벽 사이 공간으로 수납되는 케이블을 지지하는 수단으로, 가로대(52) 및 가이드관(54)으로 이루어진다. 가로대(52)는 양측 부위가 상호 대향하는 제1, 2가이드벽(11, 16) 각각의 제1, 2삽입공(13, 18)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부분이다. 가로대(52)는 통상적인 스터드 볼트 및 너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가이드관(54)의 각 가로대(5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를 위해, 가이드관(54)의 내경은 각 가로대(52)의 외경보다 크게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케이블이 가이드관(54) 상측에 수납되면 케이블의 전후 방향 이동에 따라 가이드관(54)이 자연스럽게 회전하게 되어, 마찰에 따른 케이블 피복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가이드관은 금속이나 합성수지 재질 중의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브러쉬(60)는 제1, 2가이드벽 사이의 수납공간으로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수단으로, 제1단위가이드벽(11)의 상단 부위에 고정결합되는 제1브러쉬(61) 및 제2단위가이드벽(16)의 상단 부위에 고정결합되는 제2브러쉬(66)로 이루어진다. 이때, 제1브러쉬(61)의 단부와 제2브러쉬(66)의 단부위는 일정 폭만큼 겹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면과 같이 제1브러쉬(61)의 일측 부위는 제1가이드벽(11)의 상단 부위에 고정결합하고 타측 부위는 일 방향으로 수평하게 연장하며, 제2브러쉬(66)의 일측 부위는 제2가이드벽(16)의 상단 부위에 고정결합하고 타측 부위는 제1브러쉬(61)의 타측 부위와 일정 폭 겹치도록 타 방향으로 수평하게 연장하는 것이다. 이럴 경우, 제1, 2브러쉬 사이를 통해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더욱 완전하게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제1, 2브러쉬(61, 66) 각각은 제1, 2고정스트립(64, 68) 각각에 매개되어 제1, 2단위가이드벽(11, 16) 상단 부위에 고정결합될 수 있다. 즉, 도면과 같이 제1, 2브러쉬(61, 66) 각각의 일단 부위를 단면이 U 자 구조로 이루어지는 제1, 2고정스트립(64, 68) 각각의 내부에 삽입하여 고정한 상태에서, 제1, 2단위가이드벽(11, 16) 각각의 상단 부위에 제1, 2고정스트립(64, 68) 각각을 ⊂ 및 ⊃로 위치시켜 고정결합하는 것이다.
제1, 2브러쉬(61, 66) 각각이 제1, 2고정스트립(64, 68)에 매개되어 제1, 2단위가이드벽(11, 16) 각각의 상단 부위에 고정결합되는 경우, 제1, 2단위가이드벽(11, 16) 각각의 상단 부위는 도면과 같이 안치단(도면부호 미도시)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2고정스트립(64, 68)에 있어 도면부호 65, 69 각각은 제1, 2단위가이드벽 각각에의 결합을 위한 제4체결공이다.
상부신축조절단(70)은 전술한 하부신축조절단(30)과 더불어, 상호 인접하여 위치하는 제1, 2단위가이드벽(11, 16) 각각의 상호 결합함과 동시에 열팽창 및 열수축으로 인해 제1, 2단위가이드벽(11, 16) 각각에서 발생하는 신축 정도를 조절하는 수단이다.
상부신축조절단(70)은 ㄱ 자 구조의 앵글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3체결공(72) 및 제4장공(74)이 형성된다. 제3체결공(72)은 ㄱ 자 구조의 앵글 상면 일측 부위에는 형성되고, 제4장공(74)은 ㄱ 자 구조의 앵글 상면 타측 부위에 형성된다. 제3체결공(72) 및 제4장공(74) 각각은 도면과 같이 2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제3체결공(72)은 제2볼트(73)에 의해 상호 간에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인접하는 일측의 제1, 2단위가이드벽(11, 16) 각각의 상단 부위에 결합되고, 제4장공(74)은 제3볼트(75)에 의해 상호 간에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인접하는 타측의 제1, 2단위가이드벽(11, 16) 각각의 상단 부위에 결합된다.
만일, 제1, 2브러쉬(61, 66) 각각이 제1, 2고정스트립(64, 68)에 매개되어 제1, 2단위가이드벽(11, 16) 각각의 상단 부위에 고정결합되면, 제3체결공(72)은 도 3과 같이 제2볼트(73)에 의해 상호 간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인접하고 있는 일측의 제1, 2단위가이드벽(11, 16) 상단 부위에 위치하는 제1, 2고정스트립(64, 68)의 제4체결공(65, 69)를 통해 제1, 2단위가이드벽에 고정 결합된다.
또한, 제4장공(74)은 제3볼트(75)에 의해 상호 간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인접하고 있는 타측의 제1, 2단위가이드벽(11, 16) 상단 부위에 위치하는 제1, 2고정스트립(64, 68)의 제4체결공(65, 69)를 통해 제1, 2단위가이드벽에 고정 결합된다. 이에 따라, 인접하는 제1단위가이드벽(11) 및 제2단위가이드벽(16) 각각의 상단 부위는 일체화된다.
제2볼트(73)에 의해 제3체결공(72)이 제1, 2고정스트립(64, 68)의 제4체결공(65, 69)을 통해 제1, 2단위가이드벽(11, 16) 상단 부위에 결합된 상태에서 제1, 2단위가이드벽 각각에 열팽창 및 열수축이 발생하게 되면, 위치가 고정된 제3볼트(77)를 기점으로 제1, 2단위가이드벽(11, 16) 각각이 제4장공(74)에 대해 좌우 방향으로 상대 이동을 하면서 신축 정도가 조절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부신축조절단(70)의 제3체결공(72) 자체가 일정 폭을 가지는 장공으로 이루어지는 경우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럴 경우, 제1, 2단위가이드벽 각각에 열팽창 및 열수축이 발생하게 되면, 위치가 고정된 제2볼트(73) 및 제3볼트(77) 각각을 기점으로 제1, 2단위가이드벽(11, 16) 각각이 제3체결공(72) 및 제4장공(74) 각각에 대해 좌우 방향으로 상대 이동을 할 수 있다는 점에서 신축 조절이 더욱 용이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한정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이며,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 다양한 방법으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으며, 나아가 개시된 기술적 사상에 기초하여 별도의 기술적 특징이 부가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10 : 가이드벽 20 : 지지판
30 : 하부신축조절단 40 : 수직높이조절봉
50 : 케이블가이드 60 : 브러쉬
70 : 상부신축조절단

Claims (2)

  1. 바닥면에 설치되는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크레인에 전력을 공급하는 케이블의 수납을 위한 트렌치 구조로서,
    각각이 일정 길이를 가지며 상호 간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일렬로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제1단위가이드벽(11)으로 이루어지며, 각 제1단위가이드벽(11)의 좌우 양측 하단 부위에는 제1장공(12)이 형성되고, 제1장공(12) 사이에는 일정 간격 이격되는 복수 개의 제1삽입공(13)이 형성되는 제1가이드벽;
    각각이 일정 길이를 가지며 상호 간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제1단위가이드벽(11)과 대향한 상태로 일렬로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제2단위가이드벽(16)으로 이루어지며, 각 제2단위가이드벽(16)의 좌우 양측 하단 부위에는 제2장공(17)이 형성되고, 제2장공(17) 사이에는 일정 간격 이격되는 복수 개의 제2삽입공(18)이 형성되는 제2가이드벽;
    양측 각각에는 좌우 한 쌍의 제1체결공(22)이 형성되는 판상 구조로 이루어지되, 상호 간에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인접하는 제1, 2단위가이드벽(11, 16) 각각의 하단 부위와 일정 간격 이격되어 하부에 위치하는 지지판(20);
    상측 부위에는 좌우 한 쌍의 제2체결공(32)이 형성되고 하측 부위에는 좌우 한 쌍의 제3장공(34)이 형성되는 ㄴ 자 앵글로 이루어지되, 제1볼트(33)에 의해 제2체결공(32) 각각이 상호 간에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인접하는 제1단위가이드벽(11) 각각의 제1장공(12) 및 제2단위가이드벽(16) 각각의 제2장공(17)과 결합되는 하부신축조절단(30);
    하부신축조절단(30)의 제3장공(34) 및 지지판(20)의 제1체결공(22) 각각을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하부신축조절단(30)과 지지판(20) 상호 간을 결합하되, 그 일측 부위가 지면에 고정 결합되어 지지되는 수직높이조절봉(40);
    양측 부위가 상호 대향하는 제1, 2단위가이드벽(11, 16) 각각의 제1, 2삽입공(13, 18)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가로대(52)와, 각 가로대(52) 외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관(54)으로 이루어지는 케이블가이드(50);
    일측 부위는 제1단위가이드벽(11)의 상단 부위에 고정결합되고 타측 부위는 일 방향으로 수평하게 연장되는 제1브러쉬(62)와, 일측 부위는 제2단위가이드벽(16)의 상단 부위에 고정결합되고 타측 부위는 제1브러쉬(61)의 타측 부위와 일정 폭 겹치도록 타 방향으로 수평하게 연장되는 제2브러쉬(66)로 이루어지는 브러쉬(60);
    상면 일측 부위에는 제3체결공(72)이 형성되고 상면 타측 부위에는 제4장공(74)이 형성되는 ㄱ 자 앵글로 이루어지되, 제2볼트(73)에 의해 제3체결공(72)은 인접하는 일측의 제1, 2단위가이드벽(11, 16) 각각의 상단 부위에 결합되고, 제3볼트(75)에 의해 제4장공(74)은 인접하는 타측의 제1, 2단위가이드벽(11, 16) 각각의 상단 부위에 결합되는 상부신축조절단(7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지면 노출형 구조의 케이블트렌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신축조절단(70)의 제3체결공(72)은 일정 폭의 장공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면 노출형 구조의 케이블트렌치.
KR1020170035989A 2017-03-22 2017-03-22 지면 노출형 구조의 케이블트렌치 KR1017837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5989A KR101783754B1 (ko) 2017-03-22 2017-03-22 지면 노출형 구조의 케이블트렌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5989A KR101783754B1 (ko) 2017-03-22 2017-03-22 지면 노출형 구조의 케이블트렌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83754B1 true KR101783754B1 (ko) 2017-10-10

Family

ID=601899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5989A KR101783754B1 (ko) 2017-03-22 2017-03-22 지면 노출형 구조의 케이블트렌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375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2223B1 (ko) * 2018-11-27 2019-03-26 주영일 케이블 수납 장치
CN110203827A (zh) * 2019-07-04 2019-09-06 安徽国祯生态科技有限公司 行车起重机供电装置
US11487044B2 (en) 2017-12-05 2022-11-01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s And Mineral Resources Trench cross-section reference line setting device and trench cross-section analysis method using the sam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4124B1 (ko) * 2009-12-02 2010-09-28 (주)홍주산업 크레인용 케이블트렌치
KR101652667B1 (ko) * 2016-04-06 2016-08-31 김상옥 높이 가변형 크레인 케이블 가이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4124B1 (ko) * 2009-12-02 2010-09-28 (주)홍주산업 크레인용 케이블트렌치
KR101652667B1 (ko) * 2016-04-06 2016-08-31 김상옥 높이 가변형 크레인 케이블 가이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87044B2 (en) 2017-12-05 2022-11-01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s And Mineral Resources Trench cross-section reference line setting device and trench cross-section analysis method using the same
KR101962223B1 (ko) * 2018-11-27 2019-03-26 주영일 케이블 수납 장치
CN110203827A (zh) * 2019-07-04 2019-09-06 安徽国祯生态科技有限公司 行车起重机供电装置
CN110203827B (zh) * 2019-07-04 2024-04-09 安徽国祯生态科技有限公司 行车起重机供电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3754B1 (ko) 지면 노출형 구조의 케이블트렌치
KR101587272B1 (ko) 지중 배전선로 보호관
KR102243984B1 (ko) 자립형 거푸집을 이용한 합벽 순타 시공용 무지주 거푸집 시스템 및 이의 시공 방법
KR101696450B1 (ko) 교량 상부구조물 리프팅 장치와 이를 이용한 교량받침 교체 시공방법 및 교량 하부구조물 교량받침 시공방법
JP6490637B2 (ja) トラフ支持部材、トラフ支持部材の敷設方法およびトラフ橋
KR20150062284A (ko) 레일이 매립된 개별 빔과 그 하부의 지지말뚝을 이용한 철도궤도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0969429B1 (ko) 가시설용 띠장
KR101988528B1 (ko) 앵커를 이용한 자립식 말뚝 구조
KR200389266Y1 (ko) 슬라이드 레일식 흙막이 장치
JP2019148158A (ja) 壁高欄施工方法と壁高欄
KR101740025B1 (ko) 지지부를 구비한 블럭 옹벽용 개비온
JP2018117412A (ja) トラフ本体のトラフ支持杭への固定方法、トラフ線路の敷設方法、トラフ本体とトラフ支持杭との固定構造
JP5432318B2 (ja) 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及びその連結構造並びに連結方法
JP6370167B2 (ja) 立て起こし具及び立て起こし方法
KR101495318B1 (ko) 토목 및 건축 구조물 설치용 지지대
JP2017193857A (ja) 横部材の取付構造と防護柵
JPS61162645A (ja) 樹脂製u字溝
KR100650510B1 (ko) 건축용 내외장 석재패널 고정구조물
JP6103600B2 (ja) 太陽光発電ユニットの設置方法
JP2005213852A (ja) ガードレール用の基礎ブロック
KR100968222B1 (ko) 지보장치
JP2019199698A (ja) 壁高欄埋設管路用作業空間の構造、構築方法及び構築に用いる型枠
JP2022072523A (ja) タワークレーンの設置構造
KR102035227B1 (ko) 거푸집 이어치기 벽체 지지 브라켓 및 이를 이용한 거푸집 이어치기 벽체 지지 구조
JP2005105560A (ja) レール敷設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