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1827Y1 - 자동 김밥말이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 김밥말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1827Y1
KR200441827Y1 KR2020070008237U KR20070008237U KR200441827Y1 KR 200441827 Y1 KR200441827 Y1 KR 200441827Y1 KR 2020070008237 U KR2020070008237 U KR 2020070008237U KR 20070008237 U KR20070008237 U KR 20070008237U KR 200441827 Y1 KR200441827 Y1 KR 20044182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ce
gimbap
seasoning
laver
mo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823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주동
Original Assignee
김주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주동 filed Critical 김주동
Priority to KR202007000823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182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182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182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96Products in which the original granular shape is maintained, e.g. parboiled ric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20/00Coating of foodstuffs; Coatings therefor; Making laminated, multi-layered, stuffed or hollow foodstuffs
    • A23P20/20Making of laminated, multi-layered, stuffed or hollow foodstuffs, e.g. by wrapping in preformed edible dough sheets or in edible food contain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ereal-Derived Produc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 김밥말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밥과 양념 및 야채가 각각 별도로 공급 이송되면서 일체로 합체된 후에 자동으로 공급되어 원통형으로 말려 있는 김 내측으로 양념 및 야채와 합체된 밥이 진입하면서 자동으로 김밥이 성형되도록 하는 것으로, 본체 일측에서 김밥성형을 위한 밥이 공급되는 밥투입구와 양념 및 야채가 공급되도록 설치된 양념 및 야채투입구; 상기 밥투입구와 양념 및 야채투입구의 내측에 설치되어 투입된 밥과 양념 등을 본체 내측으로 밀어내도록 설치된 밥과 양념 및 야채공급스크루; 밥이송관과 양념 및 야채이송관을 통해 공급된 밥과 양념 등이 하나로 합체되어 배출되도록 양측 이송관의 말단부에 설치되는 일정길이의 성형배출관; 외주연측에서 낱장으로 공급되는 김을 원통형으로 감아 대기하다가 상기 성형배출관을 통해 공급된 밥이 배출되는 시점에 김을 밀어내어 양념 등이 포함된 성형밥을 배출되는 원통형 김 내측에 채워지도록 하여 김밥을 성형시키는 김밥성형부; 상기 각부의 구동 및 제어가 가능하도록 복수개의 조작스위치와 제어회로가 구비된 조작 및 제어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김밥, 김밥성형부, 밥투입구, 양념 및 야채투입구, 공급스크루, 히팅부

Description

자동 김밥말이 장치{An auto manufacturing device of rice rolled in dried laver}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 김밥 말이장치의 외관사시도,
도 2는 도 1의 자동 김밥 말이장치의 절단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자동 김밥 말이장치의 주요부인 김 감김롤러의 횡단면도,
도 4는 김 감김롤러와 김공급트레이부의 종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변형 실시예에 따른 자동 김밥 말이장치의 절단단면도,
도 6은 도 5에서 주요부의 단면확대도,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실시예에 따른 자동 김밥말이장치의 사용상태단면도,
도 8은 김밥성형관에 공급된 김이 말려 있는 단면상태도,
도 9는 본 고안에 다른 자동 김밥 말이장치에 의해 말아진 김밥의 외관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10 : 본체 12 : 밥투입구
14 : 양념 및 야채투입구 15 : 양념 및 야채 공급스크류
16 : 밥 17 : 밥공급스크류
18 : 양념 및 야채 20 : 조작 및 제어부
30 : 김 적재부 31 : 트레이
32 : 김공급롤러 34 : 스프링
40 : 김밥성형부 42 : 김밥성형관
43 : 내관(內棺) 44 : 김말이회전관
45 : 외관(外棺) 46 : 김이동감지센서
47 : 김감김부재 48 : 김 투입구
49 : 김이동롤러 50, 51 : 히팅부
55 : 절단 및 개폐기 60 : 이송부
70 : 액체공급부 80 : 김
90 : 김밥
본 고안은 자동 김밥말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밥과 양념 및 야채가 각각 별도로 공급 이송되면서 일체로 합체된 후에 자동으로 공급되어 원통형으로 말려 있는 김 내측으로 양념 및 야채와 합체된 밥이 진입하면서 자동으로 김밥이 성형되도록 하는 자동 김밥말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 김밥은 야외 행사 및 야외 활동시에 식사대용으로 많이 이용하고 있으나, 일반 가정에서 김밥을 싸는 것은 많은 재료를 준비하여야 하고 김밥을 싸는 과정이 번거러워 근래에는 전문점에서 판매하는 김밥을 구매하여 취식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김밥은 재료를 준비하는 것도 어렵지만 펼쳐진 김 위에 야채나 양념 및 밥을 바르게 펼쳐 놓은 후에 바닥면의 김을 둥그렇게 말아서 김밥을 성형하게 되는데, 이때 초보자들의 경우 반듯하게 김밥을 말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김이 터지는 경우가 많이 있고, 이로 인해 내용물이 빠져나와 미관이 좋지 않을 뿐만 아니라 먹기도 불편하며, 김밥을 싸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었다.
물론, 김밥 전문점을 이용할 경우 전문가에 의해 김밥을 싸게 되면 외관도 미려하고 시간도 많이 소요되지 않은 장점은 있으나, 김밥전문점의 경우 많은 김밥을 말게 되므로 음식물의 변질우려가 있을 뿐만 아니라 많은 사람들이 출입하기 때문에 개인 위생관리에 불편함이 많았다.
따라서, 이러한 단점을 해소하고 개인 위생관리가 용이한 자동 김밥말이 장치가 종래에도 일부 안출된 바 있으나, 그 구조가 복잡하여 제작하기 어려워 실제 상용화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었다.
본 고안은 종래 김밥을 싸는데 발생했던 어려움과 종래의 자동 김밥말이장치 가 갖는 단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은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이 용이하고 효과적으로 김밥을 말수 있도록 하는 자동 김밥말이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본 고안은 평상의 김밥 대신에 밥을 약간 누르게 하여 누룽지 맛을 가진 김밥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여 다양한 소비자의 입맛에 맞출 수 있는 자동 김밥말이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 김밥말이 장치는 본체의 일측에 밥과 양념 또는 야채를 공급할 수 있는 밥투입구와 양념 및 야채 투입구가 각각 구비되고, 상기 밥과 양념 및 야채투입구의 내측에는 공급된 밥과 양념 및 야채를 본체 내측으로 밀어내도록 일정길이의 공급스크루가 각각 설치되며, 각각 공급된 밥과 양념 및 야채가 본체의 내측에서 합류되어 일체로 합체된 후에 별도로 본체의 일측에서 공급되어 원통형으로 말려 있는 김이 준비된 김밥성형부를 통과하면서 밥과 김이 일체로 결합된 후에 김밥이 자동으로 성형 배출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김밥성형부의 일측으로 성형된 김밥이 낙하되어 일정거리 이동될 수 있는 이송부가 추가로 설치되며, 본체의 일측에는 각부의 동작과 상기 밥공급스크루와 양념 및 야채공급스크루 및 이송부의 이송컨베이어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조작스위치가 각각 구비된 조작 및 제어부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밥과 양념 및 야채가 합체되어 배출되는 성형배출관의 말단에는 밥의표면을 약간 누르게 하는 히팅부가 구비되어 필요에 따라 히팅부의 열선에 전원을 공급하여 공급되는 밥을 누루게 하여 누룽지 김밥을 제조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김밥성형부에도 공급된 김의 표면에 소정의 열을 가하여 김이 구워지도록 하는 히팅부가 추가로 구비되어 김밥의 맛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며, 상기 김밥성형부 상단에는 김밥성형부를 빠져 나오는 김밥의 표면에 물이나 기름을 떨어뜨려 겹쳐진 김 사이에 소정의 점착력이 발생되도록 하여 김 상호간에 달라붙을 수 있도록 하는 액체공급부도 추가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성형배출관의 하단부에는 김밥성형부로 빠져 나가는 밥을 일시 차단하거나 일정크기로 절단 공급할 수 있도록 제어 및 조작부에 의해 제어되는 소정의 구동모터로 동작되는 절단 및 개폐기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김밥성형부의 말단 외측에는 배출되는 김밥의 표면을 가압하여 밥의 표면에 원통형 김이 달라붙을 수 있도록 하는 가압부재가 김밥성형부의 중심부를 향해 경사지도록 일단이 힌지 고정된 구조로 설치되며, 상기 김밥의 모양을 결정하는 김밥성형관은 단순한 원통형은 물론 삼각형이나 사각형 등 다양한 단면형태의 관을 이용하여 제작될 있다.
또한, 상기 밥과 양념 및 야채가 공급되는 관은 다중관으로 구성하여 중심부에 양념 및 반찬이 채워지고 그 외측으로 밥이 채워지며, 상기 밥 외측으로 또 다른 밥이 채워져 이중이상의 다층밥이 말아진 김밥이 만들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중이상의 다층 밥이 구비된 김밥을 만드는 경우 그 경계부의 관에는 열선이 감겨져 어느 한 층의 밥을 누르게 하여 김밥을 만들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면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구성 및 구조에 대하여 더욱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1실시예
도 1 내지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김밥말이 장치의 일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는 것으로, 도 1 및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김밥말이 장치의 외관사시도와 내부구성을 간략히 도시한 절단단면도를 각각 도시하고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자동 김밥말이 장치는 일정 크기의 본체(10) 상면에 밥을 투입할 수 있는 밥투입구(12)와, 김밥에 들어갈 양념이나 야채를 공급하기 위한 양념 및 야채투입구(14)가 각각 구비되어 있다.
상기 밥투입구(12)에는 지어진 밥이 공급되는 곳이며, 상기 양념 및 야채투입구(14)는 액상은 물론 분말상태나 고형상태 및 가공되지 않은 야채를 모두 투입할 수 있으며, 각 투입구의 내측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 및 수직으로 밥과 양념 및 야채를 원활히 본체 내측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밥과 양념 및 야채공급수단이 설치되는 것으로, 첨부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밥과 양념 및 야채공급수단으로 밥공급스크류(15)와 양념 및 야채공급스크루(17)가 각각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스크루 타입의 공급수단 이외에도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이내에서 다양한 방식의 공급수단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양념 및 야채공급스크루(15)는 양념 및 야채이송관(15a)의 내주연과 일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구성되어 가공되지 않은 신선한 야채도 용이하게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양념 및 야채이송관(15a)의 하단부는 테이퍼진 형태로 이루어져 분말이나 액체류의 양념 등을 공급할 경우 한꺼번에 많은 양이 공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밥공급스크루(17)는 본체 내부의 설치구조에 따라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스크루로 구성될 수 있지만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진 경우에도 하나의 구동부에 의해 구동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 것이 장치의 간단화를 위해 바람직하며, 중간 굴절부에는 유니버셜죠인트 등의 연결수단을 채택하여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밥투입구(14)와 양념 및 야채투입구(12)를 통해 투입된 밥과 양념 및 야채 등은 본체의 내부에 설치된 밥이송관(17a)과 양념 및 야채이송관(15a)을 통해 이동된 후에 성형배출관(17b)에서 하나로 합체되는데, 상기 양념 및 야채이송관(15a)의 말단부가 밥이송관(17a)의 중심부에 위치되도록 설치되어 중심부에 위치하는 양념 및 야채 외측으로 밥이 둘러싸도록 구성되며, 양념 및 야채와 밥이 만나서 일체로 합체된 밥(이하, ‘성형밥’이라 함)은 그 말단에 연결 설치된 김밥성형부(40)로 공급된다.
상기 김밥성형부(40)는 다중관 구조로 이루어져 그 중심 내측으로 성형배출관(17b)을 빠져 나온 성형밥이 통과하면서 김밥이 만들어지는 곳으로, 외부로부터 김이 공급되고, 공급된 김은 내측에서 둥글게 말려 대기상태로 있다가 관 내부를 통과하여 배출되는 성형밥과 함께 김밥이 만들어지면서 배출되며, 상기 김밥성형부(40)의 말단에는 성형된 김밥을 일정거리 이동 배출시키는 이송부(60)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김밥성형부(40)의 말단 외측에는 다중관 구조의 김밥성형관(42)에서 둥글게 말린 김이 상호 겹치는 부위에서 김 표면 상호간에 일정한 점착력이 발생되어 달라 붙을 수 있도록 소정의 액체, 예를 들면 물이나 기름 등을 미세하게 분사시키거나 낙하시키기 위한 액체공급부(70)가 분배관(72)에 의해 연결 설치되어 김밥성형관 내부로 공급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도 3 및 도 4는 상술한 김밥성형부(40)의 주요부 구성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다중관 구조의 김밥성형관(42)의 횡단면도와 일측 종단면도를 각각 발췌 도시하고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김밥성형관(42)은 양념 및 야채가 포함된 성형밥이 그 내측 중심부로 통과하는 내관(43)과, 상기 내관(43)의 외측으로 일정간격 이격 설치되어 상기 조작 및 제어부(20)의 신호에 따라 별도의 구동수단에 의해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김말이 회전관(44)과, 상기 김말이 회전관(44)의 외주연에 결합되어 외부에서 공급된 김의 일단부가 끼어져 회전시 원통형으로 감길 수 있도록 유도하는 김감김안내부재(47)와, 상기 김말이 회전관(44)의 내측으로 김을 공급할 수 있도록 일단부에 김투입구(48)가 형성되어 상기 김말이회전관(44)의 외측으로 설치되는 외관(45)과, 상기 김말이 회전관(44)의 외주연측과 상기 외관(45)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김말이회전관(44)에 의해 원통형으로 감긴 김을 일단으로 이 동시키기 위해 김밥성형관(42)의 길이방향으로 회전가능하도록 원주방향에 복수개가 설치되는 김이동롤러(49)와, 상기 외관(45)의 김투입구(48) 외측으로 연결 설치되어 내부에 적재된 김을 상기 조작 및 제어부(20)의 신호에 따라 하나씩 공급하는 김적재부(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김이동롤러(49)는 김밥성형관(42)의 외주연측에서 김밥성형관(42)의 길이방향을 향해 회전할 수 있도록 외관(45)의 원주방향으로 복수개가 일정간격으로 설치되어 김말이회전관(44)의 외주연과 외관(45) 사이에서 원통형으로 감겨져 있는 김을 김밥성형관(42)의 말단측으로 위치 이동시키는 것으로, 스프링이 구비되어 탄성적으로 가압 동작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또한 상기 외관(45)의 내측에는 원통형으로 말린 김이 이동되는 것을 감지하여 새로운 김이 말릴 수 있도록 하는 김 이동감지센서(46)가 한개 이상 설치되어 있으며, 김밥성형관(42)의 말단 외주연측에는 배출되는 밥의 표면에 원통형 김이 달라붙을 수 있도록 가압하는 가압부재(57)가 김밥성형관의 중심부를 향해 경사지도록 일단이 힌지 고정되어 있다.
상기 성형밥이 배출되는 내관(43)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져 있어 통상의 원통형 김밥이 성형될 수 있도록 구성되지만, 상기 내관(43)은 원통형으로 한정되지 않고 삼각형이나 사각형 단면을 갖는 관으로 제작 설치됨으로써 다양한 모양의 김밥을 성형할 수 있도록 하며, 이러한 다양한 형태의 내관은 김밥성형관 전체를 교체하여 바꾸거나 또는 내관 단품만을 교체하여 바꿀 수 있으나, 사용자의 교체편리와 장치의 고장발생을 줄이기 위해 김밥성형부(40) 전체를 교체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김밥성형관(42)의 외주연 일측단에 설치된 김적재부(30)는 일정량의 김을 펼쳐서 적재할 수 있는 크기로 이루어진 트레이(31)와, 상기 트레이(31)의 말단과 김밥성형관(42)의 외측면 사이에 상기 트레이(31)에 적재된 김을 한장씩 김밥성형관(42)의 내측으로 공급하기 위한 김공급롤러(32)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트레이(31)의 하단에는 트레이(31)에 적재된 김의 양에 상관없이 항상 트레이의 말단부를 김공급롤러(32)의 하단측으로 밀어부쳐 회전하는 김공급롤러(32)의 표면에 김이 밀착되어 김의 원활한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소정의 스프링(34)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김밥성형관(42)의 내부에 설치된 김이동감지센서(46)는 원통형으로 김이 말린 것을 감지함은 물론 원통형으로 감긴 김이 일측으로 이동되는 것을 감지하여 상기 조작 및 제어부(20)에 일정한 전기적 신호를 보냄으로써 상기 김적재부(30)의 김공급롤러(32)가 회전되어 새로운 김이 공급될 수 있도록 하거나 상기 김이송롤러(44)가 회전될 수 있도록 상호 연관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와 같은 전기적인 구성은 통상의 기술수단으로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으므로, 본 고안에서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며, 도면에 도시된 m, m1, m2 및 M은 각 부재의 구동수단으로 상기 조작 및 제어부(20)에 의해 동작이 제어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2실시예
도 5 및 도 6은 본 고안의 제 1실시예를 변형한 제 2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는 것으로, 도 5는 본 고안의 제 2실시예에 대한 일부 종단면도이고, 도 6은 주요부의 발췌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자동 김밥말이 장치는 전체적인 구성이나 구조는 상술한 제 1실시예와 동일하지만, 공급된 양념 및 야채가 밥과 합체되어 배출되는 성형배출관(17b)의 하단 또는 김밥성형관(42)의 내주연 일단에 그 내부를 통과하는 밥의 표면을 약간 눌러 붙게 하여 누룽지 맛을 낼 수 있도록 하는 소정의 히팅부(50)가 추가로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도면에서는 성형배출관(17b)의 하단에 설치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으며, 또한 김밥성형관(42) 말단의 외관(45) 내주연에도 원통형으로 감긴 김이 이동하면서 약간 구워진 상태로 배출될 수 있도록 소정의 히팅부(51)가 추가로 설치된 특징적인 구조로 이루어진다.
또한, 외부에서 공급되는 밥과 양념 및 야채(반찬)가 일체로 합체되는 상기 성형배출관(17b)은 단관 구조가 아니라 이중관 구조로 이루어져 복층 구조로 밥이 공급되고, 복층으로 밥이 공급되는 경우 안쪽으로 공급되는 내층(內層)의 밥 표면이 누룰 수 있도록 내측관의 내주연에는 또 다른 히팅부가 구비되어 독특한 누룽지맛을 갖는 김밥을 제조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체(10)의 상단 일측에 구비된 조작 및 제어부(20)에는 상기 히팅부(50)(51)의 온도를 제어할 수 있는 온도조절계(22)와 온도표시장치(24)가 구비되어 사용자의 편리한 조작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이하에서는 도 7 내지 도 9를 참고하면서 본 고안에 따른 자동 김밥말이 장치의 동작과 그 작용 및 효과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자동 김밥말이 장치는 양념 및 야채(반찬)공급관에 김밥에 필요한 양념이나 야채(반찬)를 채워 넣고, 밥투입구에는 김밥을 쌀만한 양의 밥을 채워 넣은 후에 조작 및 제어부를 조작하여 각 투입구에 구비된 공급스크루를 회전시킨다.
각 투입구에 채워진 밥과 양념 및 야채는 공급스크루의 회전으로 양념 및 야채와 밥이 본체 내부의 각 이송관으로 공급되며, 각 이송관을 빠져 나온 양념 및 야채(반찬)와 밥은 성형배출관(17b)에서 하나로 합체되는데, 이때 양념 및 야채가 밥의 중심부로 들어오고 밥은 야채의 주변을 둘러싸면서 성형배출관(17b)을 통과하게 된다.
성형배출관(17b)의 통과시 본 고안의 제 2실시예의 경우, 성형배출관(17b)의 하단부 또는 김밥성형관(42)의 내주연 일단에 구비된 히팅부(50)의 가열로 밥의 외표면이 누르게 되며, 성형배출관(17b)을 빠져 나온 밥은 그 말단에 연속 설치된 김밥성형부(40)로 진입하게 된다. 또한, 성형배출관(17b)이 이중관 구조로 이루어져 밥이 이층으로 공급되는 경우에도 내측으로 공급된 밥의 표면이 누룽지형태로 누르게 하고 외측으로 공급된 밥은 누룽지가 형성되지 않은 채 공급되어 김밥성형부(40)로 진입하게 된다.
성형밥이 김밥성형부(40)로 진입하여 통과되는 동안 조작 및 제어부(20)의 신호에 따라 공급된 김이 김밥성형관(42)의 내측에서 원통으로 감긴 후에 일측으로 이동 대기하면서 약간 구워진 후에 김밥성형관(42)의 말단부로 성형밥이 빠져 나올때 김밥성형관(42)의 외주연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된 복수개의 김이동롤러(49)의 회전동작에 따라 원통형으로 감긴 김이 성형배출관(42)의 말단으로 동시에 빠져 나오게 되면서 밥이 원통형으로 말린 김 내부로 채워지면서 김밥이 만들어지게 된다.
원통형으로 감긴 김이 밥과 함께 김밥성형관(42)의 말단으로 빠져 나옴과 동시에 김밥성형관(42)의 상단부에 설치된 액체공급부(70)에서는 일정량의 액체가 분배관(72)을 통해 김밥성형관 내부로 낙하되어 원통형으로 감긴 김의 겹치는 부위가 적시게 되어 김 상호간에 소정의 점착력이 발생되어 상호 달라붙어 원통형으로 감긴 김이 쉽게 풀어지는 것을 예방한다.
밥이 공급되는 동안 김적재부(30)에서는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계속해서 트레이(31)에 적재된 김(80)이 한장씩 낱장 공급되어 김밥성형관(42)의 내부로 공급되어 김감김부재(47)의 회전에 의해 원통형으로 감기고, 김이송롤러(44)의 회전으로 김밥성형관(42)의 일측으로 이동 대기하는 상태가 반복적으로 이루어지면서 배출되는 밥과 일체로 합체되어 김밥이 만들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김밥성형관(42)의 말단으로 밥이 빠져나옴과 동시에 원통형으로 감긴 김이 인출되면서 자연스럽게 김 내측에 밥이 위치하게 되고, 김밥성형관(42)의 말단부에 구비된 소정의 가압부재(57)에 의해 김이 그 내측으로 진입한 성형밥의 표면에 밀착되어 원통형으로 감긴 김의 내측면과 긴밀하게 접촉이 이루어지며, 이렇게 성형된 김밥이 완성되어 일정 크기로 절단된 상태가 도 9와 같으며, 이렇게 성형배출되는 김밥은 취식하기 용이하도록 더 작은 크기로 절단하면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자동 김밥말이 장치는 구조가 간단하게 이루어져 그 제작이 용이함은 물론 특별한 어려움 없이 손쉽게 조작하여 필요시에 김밥을 간단히 제조가능하여 개인위생관리가 용이함은 물론 누구나 쉽게 김밥을 만들 수 있도록 하며, 김밥제조시 양념이나 야채 및 밥의 특히 장치 내부에 소정의 히팅부가 구비되어 있어 밥의 표면을 약간 눌러 붙게 하여 누룽지 맛을 가진 김밥을 제조하여 누구나 부담없이 맛있는 김밥을 즐길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야외 행사시에 김밥의 이용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성형밥이 통과되는 김밥성형관의 내관을 기본적인 원통형은 물론 삼각형이나 사각형 단면을 갖는 관으로 교체 사용시 다양한 형태의 김밥을 만들 수 있어 다양한 소비자의 취향에 알맞는 김밥 제조가 가능하도록 한다.
한편, 상술한 본 고안의 실시예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내용과 범위를 쉽게 설명하기 위한 하나의 예시일 뿐, 이에 의해 본 고안의 기술적 범위가 한정되는 것을 아니며, 이러한 실시예에 기초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이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 의해 당연하다 할 것이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자동 김밥말이 장치는 구조가 간단하여 양산이 용이하고, 양산 후 이용시에도 특별히 다루는데 어려움이 없어 누 구나 손쉽게 사용할 수 있고 필요시에 적당량의 준비된 야채(반찬)나 양념 및 밥을 투입하여 깁밥을 만들 수 있어 개인위생관리를 철저히 할 수 있도록 하며, 양념과 야채 등을 다양하게 공급할 수 있어 다양한 맛의 김밥을 성형할 수 있도록 하며, 특히 공급된 밥이 표면을 눌러 붙게 하여 누룽지 맛을 갖는 김밥의 제공도 가능하여 다양한 소비자의 취향에 더욱 알맞는 김밥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Claims (9)

  1. 일정크기의 본체 일측에 설치되어 김밥성형을 위한 밥이 공급되는 밥투입구와, 상기 본체의 일측에 설치되어 김밥 내측에 구비되는 양념 및 야채가 공급되도록 설치된 양념 및 야채투입구;
    상기 밥투입구와 양념 및 야채투입구의 내측에 설치되어 투입된 밥과 양념 및 야채를 밥이송관과 양념 및 야채이송관을 통해 본체 내측으로 밀어내도록 설치된 일정길이의 밥공급스크루와 양념 및 야채공급스크루;
    상기 밥이송관과 양념 및 야채이송관을 통해 공급된 밥과 양념 및 야채가 하나로 합체되어 배출되도록 상기 양측 이송관의 말단부에 설치되는 일정길이의 성형배출관;
    조작 및 제어부에서 전달된 신호에 따라 외측으로부터 김을 낱장으로 공급하여 원통형으로 감아 대기하다가 상기 성형배출관을 통해 배출되는 시점에 원통형으로 말아진 김을 밀어내어 양념 및 야채가 포함된 성형밥이 원통형의 김 내측에 채워지도록 하여 김밥을 성형시키는 김밥성형부;
    상기 각부의 구동 및 제어가 가능하도록 본체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는 복수개의 조작스위치와 제어회로가 구비된 조작 및 제어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자동 김밥말이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김밥성형부는 복수개의 관이 내·외측으로 결합된 다중관구조의 김밥성형관으로 이루어지되, 양념 및 야채가 포함된 성형밥이 통과하도록 내측 중심부에 설치되는 내관;
    상기 내관의 외측으로 일정간격 이격 설치되어 상기 조작 및 제어부의 신호에 따라 별도의 구동수단에 의해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김말이 회전관;
    상기 김말이 회전관의 외주연에 결합되어 외부에서 공급된 김의 일단부가 끼어져 회전시 원통형으로 감길 수 있도록 유도하는 김감김안내부재;
    상기 김말이 회전관의 외주연측으로 김을 공급할 수 있도록 일단부에 김투입구가 형성되어 상기 김말이 회전관의 외측으로 설치되는 외관;
    상기 김말이 회전관의 외주연측과 상기 외관의 내측 사이의 원주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김말이회전관에 의해 원통형으로 감긴 김을 김밥성형관의 일단으로 수평 이동시키도록 복수개가 설치되는 김이동롤러;
    상기 김이동롤러에 의해 이동되는 김을 감지하여 조작 및 제어부에 김 이송신호를 보내도록 외관의 외주연에 설치되는 김이동감지센서;
    상기 외관의 김투입구 외측으로 연결 설치되어 내부에 적재된 김을 상기 조작 및 제어부의 신호에 따라 한장씩 외관 내측으로 공급하는 김적재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김밥말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배출관의 하단부 또는 김밥성형부의 내관 내주연 일단에는 상기 조작 및 제어부에 의해 인가된 전원으로 가열되어 배출되는 밥을 약간 눌러 붙게 하는 히팅부가 설치된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김밥말이 장치.
  4.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김밥성형관의 외관 말단부 내주연에는 상기 조작 및 제어부에서 전달된 신호에 의해 전원이 공급되어 원통형으로 감겨 이동된 김을 구워지도록 하는 히팅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김밥말이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김밥성형부의 말단 상부에는 성형된 김밥의 표면에 소정의 액체를 떨어뜨리거나 분사시켜 겹쳐진 김 표면 사이에 소정의 점착력을 발생시켜 김 표면 상호간에 달라붙도록 하는 액체공급부가 추가로 설치되고, 상기 김밥성형부의 말단에는 배출되는 김밥을 받아 이송시키는 이송부가 설치된 구조로 이루어진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김밥말이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배출관의 하단부에는 배출되는 성형밥을 차단하거나 일정 길이별로 절단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조작 및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는 절단 및 개폐기 설치된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김밥말이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김밥성형부의 말단 외측에는 배출되는 김밥의 표면을 가압하여 밥의 표면에 원통형 김이 달라붙을 수 있도록 하는 가압부재가 김밥성형부의 중심부를 향해 경사지도록 일단이 힌지 고정된 구조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김밥말이 장치.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밥이송관 또는 성형배출관은 밥을 분리 공급하여 복층구조의 이층밥이 성형되도록 이중관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김밥말이 장치.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배출관이 내·외측의 이중관구조로 이루어진 경우 어느 일측 성형배출관의 내주연에는 히팅부가 구비된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김밥말이 장치.
KR2020070008237U 2007-05-18 2007-05-18 자동 김밥말이 장치 KR20044182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8237U KR200441827Y1 (ko) 2007-05-18 2007-05-18 자동 김밥말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8237U KR200441827Y1 (ko) 2007-05-18 2007-05-18 자동 김밥말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1827Y1 true KR200441827Y1 (ko) 2008-09-09

Family

ID=416499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8237U KR200441827Y1 (ko) 2007-05-18 2007-05-18 자동 김밥말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1827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8802B1 (ko) 2010-01-04 2010-08-30 정훈진 튀김용 김말이의 제조장치
KR101590857B1 (ko) 2014-05-12 2016-02-02 주식회사 사옹원 김말이 접착제 자동분사 구조를 갖는 김말이 성형장치
KR20190109780A (ko) * 2018-03-19 2019-09-27 이우주 공장 자동화용 줄김밥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줄김밥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8802B1 (ko) 2010-01-04 2010-08-30 정훈진 튀김용 김말이의 제조장치
KR101590857B1 (ko) 2014-05-12 2016-02-02 주식회사 사옹원 김말이 접착제 자동분사 구조를 갖는 김말이 성형장치
KR20190109780A (ko) * 2018-03-19 2019-09-27 이우주 공장 자동화용 줄김밥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줄김밥
KR102056229B1 (ko) * 2018-03-19 2020-01-14 이우주 공장 자동화용 줄김밥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202898T3 (es) Envase para productos alimenticios de soporte manual.
EP2816901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 preparation of flat bread using capsules comprising a portion of dough
KR200441827Y1 (ko) 자동 김밥말이 장치
US20090274799A1 (en) Seasoning Bag
EA000907B1 (ru) Коническое пищевое изделие и способ его изготовления
CN103796928B (zh) 用于食物的填装和装饰的完全一次性烹饪器具
CN101461387A (zh) 全自动鸡蛋煎饼机
KR102082841B1 (ko) 떡볶이 핫도그의 제조방법
US20100255158A1 (en) Packaged Food Product and Method of Heating on a Roller Grill
CN113920651A (zh) 加热组件和自动售餐机
JP6203847B2 (ja) 乾燥食品の電子レンジ加熱用パッケージ
KR20080051566A (ko) 제면부와 증숙부를 구비한 즉석 자동 라면면발 제조장치
CN201088114Y (zh) 冷饮用防潮型双层脆筒
KR102329827B1 (ko) 짜조 제조설비
KR101570021B1 (ko) 생면을 이용한 면요리 제조장치
US20180055059A1 (en) Flatbread machine with an automatic flatbread preparation method based on dough capsules and a packaging system
WO2018172167A1 (en) System for delivering extruded food products
JP2020110383A (ja) 可食ストロー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413301Y1 (ko) 이중진공 김밥포장용기
TWM444981U (zh) 食品自動分量裝置
CN103407258B (zh) 用于冰箱的除味膜及具有它的冰箱
CN102960392A (zh) 多层素菜夹心馍、饼工业化流水线生产工艺
CN201064156Y (zh) 春卷皮自动成型机
US20230023336A1 (en) Edible straw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3213741U (ja) ライスメ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3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