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1705Y1 - 슬리퍼 변형 신발 - Google Patents

슬리퍼 변형 신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1705Y1
KR200441705Y1 KR2020070000920U KR20070000920U KR200441705Y1 KR 200441705 Y1 KR200441705 Y1 KR 200441705Y1 KR 2020070000920 U KR2020070000920 U KR 2020070000920U KR 20070000920 U KR20070000920 U KR 20070000920U KR 200441705 Y1 KR200441705 Y1 KR 20044170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pper
shoes
modified
deformation
cutt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092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02789U (ko
Inventor
이승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컬처메이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컬처메이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컬처메이커
Priority to KR202007000092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1705Y1/ko
Publication of KR2008000278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278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170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170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24Collapsible or convertible
    • A43B3/242Collapsible or convertible characterised by the upper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10Low shoes, e.g. comprising only a front strap; Slippers
    • A43B3/101Slippers, e.g. flip-flops or thong sandals
    • A43B3/102Slippers, e.g. flip-flops or thong sandals leaving the heel of the foot bare 
    • A43B3/105Slippers, e.g. flip-flops or thong sandals leaving the heel of the foot bare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layout of the toestrap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운동화, 구두 등의 일반 신발의 뒤축의 굽힘과 펴짐 변형이 자유로운 슬리퍼 변형 신발에 관한 것으로서, 신발에 있어서, 갑피의 중심축 상측에서 뒤축 하단까지 절삭부(110)가 형성되어 슬리퍼 형상을 이루는 갑피본체(100)와; 신축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갑피본체(100)와 일체로 상기 절삭부(110)에 결합되는 후면내피(200)와; 상기 갑피본체(100)와 동일한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절삭부(110)의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되되, 상기 절삭부(110)의 크기보다는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로 형성되어, 상기 후면내피(200) 외표면에 결합되는 슬리퍼변형갑피(300)와; 상기 후면내피(200) 상에 형성되며, 상기 갑피본체(100) 단부와 상기 슬리퍼변형갑피(300) 단부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슬리퍼변형갑피(300) 단부를 따라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상기 슬리퍼변형갑피(300)를 상기 갑피본체(100) 내측으로 자유절곡시키는 절곡예정갑피(4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리퍼 변형 신발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 이에 따라 운동화, 구두 등의 일반 신발의 뒤축의 굽힘과 펴짐 변형이 자유로워 필요에 의해 슬리퍼로도 일반 신발로도 사용할 수 있으며, 갑피 뒤축이 완전히 절삭되어 자유자재의 굽힘과 펴짐 변형에도 불구하고 접혀진 흔적이 전혀 남아 있지 않아 신발의 고유 형태를 보존시키면서 오랫동안 신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신발 갑피 슬리퍼 변형 흔적

Description

슬리퍼 변형 신발{shoes changing slippers}
도 1 - 본 고안에 따른 슬리퍼 변형 신발에 대한 사시도(일반 신발의 형태).
도 2 - 본 고안에 따른 슬리퍼 변형 신발에 대한 사시도(슬리퍼 변형 형태).
<도면에 사용된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100 : 갑피본체 110 : 절삭부
200 : 후면내피 300 : 슬리퍼변형갑피
400 : 절곡예정갑피 500 : 변형보조고리
본 고안은 운동화, 구두 등의 일반 신발의 뒤축의 굽힘과 펴짐 변형이 자유로운 슬리퍼 변형 신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자유자재의 굽힘과 펴짐 변형에도 불구하고 본래 신발의 형태가 보존되는 슬리퍼 변형 신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발은 밑창과 밑창 상측에 결합되어 발을 끼우고 발등이 덮히도록 형성된 갑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신발은 일반적으로 뒤축이 막혀있고 발을 끼울 수 있는 공간이 좁아서 신발을 신을 때 구두 주걱이나 손가락 등을 뒤축과 발꿈치 사이에 대고 신발을 신게 된다.
그러나, 생활습관상 또는 급한 용무에 의해 신발을 급히 신을 때, 신발의 뒤축을 갑피 내측으로 접어서 신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게 된다. 이 경우에 신발을 바로 신었을 때도 뒤축 부위에 접혀진 흔적이 남아 있어 신발의 형태가 흩트려 지거나, 신발이 빨리 낡게 되며, 또한 접혀진 상태에서 장시간 신게 되면 신발의 볼이 넓어져 헐거워지는 문제점이 있다.
종래의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슬리퍼 겸용 신발이 나와 있으나, 이러한 신발은 접히는 부분이 완전히 접히지 않고 발의 가압력에 의해 접히는 부분이 있어, 갑피 내측으로 접혀져 슬리퍼 형상을 만든 후 다시 이를 펼쳤을 때, 갑피 뒤축에 흔적이 여전히 남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갑피 뒤축이 완전히 절삭되어 슬리퍼변형갑피와 절곡예정갑피에 의해 자유자재의 굽힘과 펴짐 변형에도 불구하고 본래 신발의 형태가 보존되는 슬리퍼 변형 신발의 제공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 달성을 위해 본 고안은, 신발에 있어서, 갑피의 중심축 상측에서 뒤축 하단까지 절삭부가 형성되어 슬리퍼 형상을 이루는 갑피본체와; 신축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갑피본체의 절삭부의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되고, 상기 갑피본체와 일체로 상기 절삭부에 결합되는 후면내피와; 상기 갑피본체와 동일한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절삭부의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되되, 상기 절삭부의 크기보 다는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로 형성되어, 상기 후면내피 외표면에 결합되는 슬리퍼변형갑피와; 상기 후면내피 상에 형성되며, 상기 갑피본체 단부와 상기 슬리퍼변형갑피 단부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슬리퍼변형갑피 단부를 따라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상기 슬리퍼변형갑피를 상기 갑피본체 내측으로 자유절곡시키는 절곡예정갑피;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리퍼 변형 신발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
또한, 상기 슬리퍼변형갑피 상측에는 변형보조고리가 더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운동화, 구두 등의 일반 신발의 뒤축의 굽힘과 펴짐 변형이 자유로워 필요에 의해 슬리퍼로도 일반 신발로도 사용할 수 있으며, 갑피 뒤축이 완전히 절삭되어 자유자재의 굽힘과 펴짐 변형에도 불구하고 접혀진 흔적이 전혀 남아 있지 않아 신발의 고유 형태를 보존시키면서 오랫동안 신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일반 신발의 형태인 본 고안에 따른 슬리퍼 변형 신발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2는 슬리퍼 형태로 변형된 경우의 본 고안에 따른 슬리퍼 변형 신발에 대한 사시도에 관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슬리퍼 변형 신발은, 일반적인 밑창 및 갑피로 이루어진 운동화, 구두 등의 신발에 있어서, 갑피본체(100), 후면내피(200), 슬리퍼변형갑피(300), 절곡예정갑피(400)로 크게 구성된다.
먼저, 상기 갑피본체(100)는 상기 갑피의 중심축 상측에서 뒤축 하단까지 절 삭부(110)가 형성되어 슬리퍼 형상으로 형성된 것으로, 일반 신발의 갑피에 있어서, 갑피의 중심축에서부터 뒤축 측으로 아래로 기운 사선의 방향으로 뒤축 부분이 완전히 제거된 형상을 이루고 있다.
상기 갑피본체(100)는 갑피에서 뒤축이 없는 형상이며, 일반적으로 신발을 접어 신게 될 때 뒤축 부위가 자연스럽게 접혀지게 되는 부분의 형상에 대응되어 형성된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후면내피(200)는 상기 갑피본체(100)의 절삭부(110)의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되고, 상기 갑피본체(100)와 일체로 상기 절삭부(110)에 결합되는 것으로, 신축재질이나 꾸김이 발생하지 않으면서 내구성이 뛰어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재질로써 탄성밴드 재질이나 통풍을 위한 망사재질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후면내피(200)의 형상은 전체적으로 신발 고유의 형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갑피본체(100)의 단부와 일체감 있게 제작되며, 상기 갑피본체(100)의 내피와 동일한 재질로 연속적으로 형성되거나, 다른 재질로 재봉되어도 무방하다.
다음으로, 상기 슬리퍼변형갑피(300)는 상기 갑피본체(100)의 절삭부(110)에 결합된 후면내피(200) 외표면 중심에 결합된 것으로서, 신발에 있어서 뒤축부위가 되는 부분이다. 상기 슬리퍼변형갑피(300)는 상기 갑피본체(100)와 동일한 재질로 일체감 있도록 형성되어 슬리퍼변형갑피(300)와 상기 갑피본체(100)에 의해 일반 신발의 느낌이 그대로 살려지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슬리퍼변형갑피(300)는 상기 절삭부(110)의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되되 상기 절삭부(110)의 크기보다는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로 형성되어 상기 후면내피(200) 외표면에 결합되므로, 상기 갑피본체(100) 단부와 상기 슬리퍼변형갑피(300) 단부 사이가 이격되게 형성된다. 이 부분은 후술할 절곡예정갑피가 되어 상기 슬리퍼변형갑피(300)의 상기 갑피본체(100) 내측으로의 절곡이 자유자재로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절곡예정갑피(400)는 상기 후면내피(200) 상에 형성되며, 상기 갑피본체(100) 단부와 상기 슬리퍼변형갑피(300) 단부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슬리퍼변형갑피(300) 단부를 따라 라운드지게 형성된다.
상기 절곡예정갑피(400)는 상기 슬리퍼변형갑피(300)가 상기 갑피본체(100)의 절삭부(110)보다 크기가 작게 형성되어 상기 후면내피(200) 상에 자연스럽게 형성되는 부분으로써, 절곡예정갑피(400)에 의해 상기 슬리퍼변형갑피(300)가 상기 갑피본체(100) 내측으로 절곡되어 슬리퍼 형태로 신발의 변형이 용이하게 된다.
상기 절곡예정갑피(400)는 신발의 외측에서 보면 후면내피(200) 상에 상기 슬리퍼변형갑피(300)가 형성되지 않은 영역으로써, 탄성재질이나 신축재질로 형성된 상기 후면내피(200)로만 이루어진 영역이며, 이에 의해 상기 슬리퍼변형갑피(300)의 절곡이 자유롭게 구현되는 것이다.
여기에서 상기 슬리퍼변형갑피(300)의 절곡이라 함은 상기 본체갑피(100) 내측으로 상기 슬리퍼변형갑피(300)가 굽혀지거나 외측으로 펴지는 것을 말하며, 이에 의해 상기 본체갑피 본래의 형상인 슬리퍼 형상으로 변형 또는, 일반 신발 형상으로의 변형이 되게 되는 것이며, 상기 절곡예정갑피(400)에 의해 상기 슬리퍼변형 갑피(300)의 굽힘과 펴짐이 자유자재로 가능하며, 반복적인 굽힘과 펴짐에도 흔적이 전혀 없이 신발 전체의 형상을 보존하게 된다.
또한, 상기 슬리퍼변형갑피(300) 상측에는 변형보조고리(500)가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변형보조고리(500)는 상기 슬리퍼변형갑피(300) 상측 중심부에 결합되며, 상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슬리퍼변형갑피(300)가 갑피본체(100) 내측으로 굽혀졌을 때 이를 용이하게 외측으로 펼 수 있도록 보조하는 것으로, 사용자는 이 부분을 잡고 본래 신발의 형태를 형성하여 신을 수 있으며, 또한 상기 변형보조고리(500)는 신발을 신고 벗을 때도 용이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슬리퍼 변형 신발은 사용자의 필요나 생활습관에 의해 슬리퍼 형상으로 신을 수도 있으며, 운동화나 구두로써 신을 수도 있어 편리하면서도 신발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게 되는 이점이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한 본 고안은, 운동화, 구두 등의 일반 신발의 뒤축의 굽힘과 펴짐 변형이 자유로워 필요에 의해 슬리퍼로도 일반 신발로도 사용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하며, 갑피 뒤축이 완전히 절삭되어 자유자재의 굽힘과 펴짐 변형에도 불구하고 접혀진 흔적이 전혀 남아 있지 않아 신발의 고유 형태를 보존시키면서 오랫동안 신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신발에 있어서,
    갑피의 중심축 상측에서 뒤축 하단까지 절삭부(110)가 형성되어 슬리퍼 형상을 이루는 갑피본체(100)와;
    신축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갑피본체(100)와 일체로 상기 절삭부(110)에 결합되는 후면내피(200)와;
    상기 갑피본체(100)와 동일한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절삭부(110)의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되되, 상기 절삭부(110)의 크기보다는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로 형성되어, 상기 후면내피(200) 외표면에 결합되는 슬리퍼변형갑피(300)와;
    상기 후면내피(200) 상에 형성되며, 상기 갑피본체(100) 단부와 상기 슬리퍼변형갑피(300) 단부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슬리퍼변형갑피(300) 단부를 따라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상기 슬리퍼변형갑피(300)를 상기 갑피본체(100) 내측으로 자유절곡시키는 절곡예정갑피(4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리퍼 변형 신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퍼변형갑피(300) 상측에는 변형보조고리(500)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리퍼 변형 신발.
KR2020070000920U 2007-01-18 2007-01-18 슬리퍼 변형 신발 KR20044170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0920U KR200441705Y1 (ko) 2007-01-18 2007-01-18 슬리퍼 변형 신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0920U KR200441705Y1 (ko) 2007-01-18 2007-01-18 슬리퍼 변형 신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2789U KR20080002789U (ko) 2008-07-23
KR200441705Y1 true KR200441705Y1 (ko) 2008-09-03

Family

ID=414908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0920U KR200441705Y1 (ko) 2007-01-18 2007-01-18 슬리퍼 변형 신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1705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55130A1 (ko) * 2018-09-10 2020-03-19 양준호 샌들이나 슬리퍼로 변환되는 신발
KR20230155067A (ko) 2022-05-02 2023-11-10 주식회사 앵거스 슬리퍼로 변형이 가능한 신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2159B1 (ko) * 2012-03-30 2013-01-14 이종영 슬리퍼 기능을 가지는 신발 및 그 제조방법
KR102416454B1 (ko) 2018-09-10 2022-07-05 양준호 샌들이나 슬리퍼로 변환되는 신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55130A1 (ko) * 2018-09-10 2020-03-19 양준호 샌들이나 슬리퍼로 변환되는 신발
KR20230155067A (ko) 2022-05-02 2023-11-10 주식회사 앵거스 슬리퍼로 변형이 가능한 신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2789U (ko) 2008-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2249744A (ja) シューズのカウンター構造
JP5269293B2 (ja) 舌革が設けられている靴のための伸縮性有するバンドつき覆い部
KR101826077B1 (ko) 슬리퍼 기능용 신발
KR200441705Y1 (ko) 슬리퍼 변형 신발
JP3195071U (ja) 靴べら機能付き靴
KR101092246B1 (ko) 착용 보조기구가 내장된 신발
JP6638957B2 (ja) フットカバー
JP6081732B2 (ja) フットカバー
JP2015047266A (ja)
JP6077859B2 (ja) フットカバー
JP3117585U (ja) ストッキング
JP4619056B2 (ja) 履物製品とそのソール部材及びソールパッド
KR200314694Y1 (ko) 슬리퍼 기능을 갖는 구두
KR101333730B1 (ko) 굴곡성 중창 및 이를 이용한 구두
KR101801510B1 (ko) 다기능 신발 뒤축 보조구
JP7439351B2 (ja) フットカバー
JP7371875B2 (ja) フットカバー
CN210581217U (zh) 一种易折弯的舞蹈鞋
JP3213544U (ja) 足カバー
JP6382394B2 (ja) フットカバー
JP3212225U (ja) スリッパカバー
JP6352458B2 (ja) フットカバー
JP2007105072A (ja)
JP2015100616A (ja)
JP2023021105A (ja) 中敷き、レッグウェア及び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9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