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1596Y1 - 교체형 토출 헤드를 구비한 열풍 솔더링 장치 - Google Patents

교체형 토출 헤드를 구비한 열풍 솔더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1596Y1
KR200441596Y1 KR2020080000790U KR20080000790U KR200441596Y1 KR 200441596 Y1 KR200441596 Y1 KR 200441596Y1 KR 2020080000790 U KR2020080000790 U KR 2020080000790U KR 20080000790 U KR20080000790 U KR 20080000790U KR 200441596 Y1 KR200441596 Y1 KR 20044159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air
discharge head
fixed
soldering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079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채열
Original Assignee
임채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채열 filed Critical 임채열
Priority to KR202008000079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159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159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159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00Tools, devices, or special appurtenances for soldering, e.g. brazing, or unsolde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methods
    • B23K3/02Soldering irons; Bits
    • B23K3/029Solder or residue remov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00Tools, devices, or special appurtenances for soldering, e.g. brazing, or unsolde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methods
    • B23K3/08Auxiliary devices therefor
    • B23K3/085Cooling, heat sink or heat shielding mea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4Mounting of components, e.g. of leadless components
    • H05K13/0486Replacement and removal of compon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3/00
    • H05K2203/04Soldering or other types of metallurgic bonding
    • H05K2203/0445Removing excess solder on pads; removing solder bridges, e.g. for repairing or rewor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Electric Connection Of Electric Components To Printed Circui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고정된 피씨비로 열풍을 토출시키기 위한 솔더링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피씨비에 열풍을 가해 납땜 부위를 녹여(De-Soldering) 상기 피씨비의 각종 칩을 떼어내어 저장데이타를 복구하거나 다시 납땜(Soldering)하여 재생하기 위한 솔더링 장치로써,
상기 피씨비로 토출되는 열풍의 집중을 돕고 더불어 열풍 토출형태를 변형시킬 수 있는 토출헤드를 각종 고정수단에 의하여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하는 교체형 토출 헤드를 구비한 열풍 솔더링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교체형 토출 헤드를 구비한 열풍 솔더링 장치는, 열풍공급부; 피씨비 고정어셈블리를 갖는 작업대; 상기 열풍공급부와 연결호스를 통하여 이어진 노즐; 및 상기 노즐 단부에 구비되어 열풍의 집중을 돕거나 열풍 토출형태를 변형하도록 고정수단에 의하여 장착되고, 단열 파지부를 갖는 토출헤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솔더링 장치, 솔더링 머신, 피씨비 고정장치, 토출헤드

Description

교체형 토출 헤드를 구비한 열풍 솔더링 장치{SOLDERING MACHINE EQUIPPEND WITH HOT AIR DISCHARGE HEAD}
본 고안은 고정된 피씨비로 열풍을 토출시키기 위한 솔더링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피씨비에 열풍을 가해 납땜 부위를 녹여(De-Soldering) 상기 피씨비의 각종 칩을 떼어내어 저장데이타를 복구하거나 다시 납땜(Soldering)하여 재생하기 위한 솔더링 장치로써,
상기 피씨비로 토출되는 열풍의 집중을 돕고 더불어 열풍 토출형태를 변형시킬 수 있는 토출헤드를 각종 고정수단에 의하여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하는 교체형 토출 헤드를 구비한 열풍 솔더링 장치에 관한 것이다.
피씨비에 납땜처리된 각종 칩을 떼어내기 위하여 납땜 부분을 녹여 제거하기 위한 장치로는,
대한민국특허공보 제86-001106호(1986년08월07일, 공보) "회로판으로부터 전자소자를 제거하기 위한 장치"에 제시되어 있고,
피씨비에 솔더링된 각종 칩을 열풍으로써 디솔더링 처리한 후 떼어내어 저장된 데이타를 복구하거나, 복구된 칩을 피씨비에 재생토록 하는 솔더링 장치는,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0492904호(2005년05월24일, 등록) "메모리 기판 재생장치"에 제시되어 있다.
특히, 각종 전자제품의 피씨비 중 휴대폰에 내장된 피씨비를 복구, 재생하기 위하여, 노즐을 통해 피씨비 고정어셈블리에 고정된 피씨비로 열풍을 가해 솔더링된 부위를 녹여 피씨비로부터 칩을 떼어내어 복구장치로 옮겨 복구하게 된다.
이때, 칩의 모양과 크기에 따라 적절한 열풍을 가할 수 있도록 상기 노즐에서 토출된 열풍을 변형시키기 위한 토출헤드가 요구되고,
더불어 다양한 모양과 크기를 갖는 칩에 적합한 토출헤드를 선택하여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는 고정수단이 요구된다.
본 고안은 열풍공급부와 연결호스를 통하여 이어진 노즐에 장착되어 열풍의 집중을 돕고 더불어 열풍 토출형태를 변형하도록 한 토출헤드를 구비하는 교체형 토출 헤드를 구비한 열풍 솔더링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고안은 상기 노즐에 상기 토출헤드가 교체가 용이하게 장착될 수 있도록 하는 고정수단을 더 구비하는 교체형 토출 헤드를 구비한 열풍 솔더링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본 고안은 고온의 토출헤드를 작업자가 안전하게 파지하여 교체할 수 있도록 상기 토출헤드에 단열 파지부를 더 구비하는 교체형 토출 헤드를 구비한 열풍 솔더링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해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교체형 토출 헤드를 구비한 열풍 솔더링 장치는,
열풍공급부;
피씨비 고정어셈블리를 갖는 작업대;
상기 열풍공급부와 연결호스를 통하여 이어진 노즐; 및
상기 노즐 단부에 구비되어 열풍의 집중을 돕거나 열풍 토출형태를 변형하도록 고정수단에 의하여 장착되고, 단열 파지부를 갖는 토출헤드;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본 고안에 따른 일 예의 상기 토출헤드의 고정수단은 헤드 내면에 구비된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스프링은 단절부를 갖는 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토출헤드 내면에는 상기 스프링이 안착되는 환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체형 토출 헤드를 구비한 열풍 솔더링 장치.
한편,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예의 상기 토출헤드의 고정수단은 상기 헤드 상부에 구비되고, 손잡이가 구비되어 있어 가압시 벌어지는 링형 판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또 다른 예의 상기 토출헤드의 고정수단은 토출헤드의 나사공에 결합된 볼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마지막으로, 상기 토출헤드는, 상기 노즐 수용부, 상기 노즐 단면보다 좁은 단면을 갖는 토출부, 그리고 상기 수용부와 상기 토출부를 연결하고 테이퍼 진 이음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교체형 토출 헤드를 구비한 열풍 솔더링 장치의 가장 큰 특징은,
다양한 형태의 토출부를 갖는 토출헤드를 구비함으로써 여러 가지 크기와 모양을 갖는 메모리칩에 적합한 토출헤드를 선택하여 노즐에 장착함으로써 열풍의 집중과 열풍 토출형태를 변형할 수 있고,
상기 노즐에 토출헤드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고정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적합한 토출헤드를 선택해 손쉽고 신속하게 교체할 수 있으며,
상기 토출헤드에 단열 파지부를 더 구비함으로써 작업자가 안전하게 파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솔더링 장치의 전체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솔더링 장치의 전체 결합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솔더링 장치의 전체 측면 부분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솔더링 장치의 일 예의 고정수단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솔더링 장치의 다른 예의 고정수단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솔더링 장치의 또 다른 예의 고정수단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솔더링 장치의 토출헤드에 단열 파지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솔더링 장치의 고정어셈블리를 나타낸 분해도이며,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솔더링 장치의 고정어셈블리를 나타낸 결합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솔더링 장치의 고정어셈블리를 나타낸 배면도이며, 도 11은 본 고안에 솔더링 장치의 고정어셈블리에 변측부를 갖는 피씨비를 위한 고정체의 상대적 이동을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7에서는 고정어셈블리에 대한 도면부호 "F" 만을 도시하였으며, 도 8 내지 도 11에서 상기 고정어셈블리에 대한 구성요소 및 작동상태를 상세하게 도시하였다.
도 1 내지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교체형 토출 헤드를 구비한 열풍 솔더링 장치는,
크게 열풍공급부(100), 작업대(200), 노즐(300) 및 토출헤드(400)로 나누어진다.
1) 열풍공급부 (100)
내재되는 열원발생부(110)와,
상기 열원발생부(110)를 제어하기 위한 마이컴(120)과,
상기 마이컴(120)으로 조작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외부조작부(130)와,
각종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140)와,
상기 노즐(300) 또는 상기 토출헤드(400)가 결합된 노즐(300)을 거치하기 위한 보조거치대(150)와,
외부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공기흡입부(160)와,
상기 노즐(300)과 연결된 연결호스(H)의 일단이 결합되는 호스연결부(1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외부조작부(130)는 상세하게는,
전원을 온/오프하기 위한 전원스위치(130a)와,
상기 열원발생부(110)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온도조절부(130b)와,
상기 연결호스(H)를 통해 상기 노즐(300)로 공급되는 열풍량을 조절하기 위한 열풍공급량 조절부(130c)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열풍공급부(100)는 데스크탑 형상의 구조로 이동이 용이하게 이루어져 작업테이블 위에 올려놓고 사용할 수 있으나, 작업 환경과 특성에 따라 고정시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이동식 또는 고정식으로 구성할 수 있는 것으로, 이동식일 경우 상면 또는 측면에 파지부(180)를 두어 이동의 용이성을 돕게 된다.
2) 작업대(200)
상면에 설치되는 피씨비(P) 고정어셈블리(F)와,
상기 고정어셈블리(F)에 고정된 피씨비(P)로 열원을 공급하기 위한 열원공급 수단(2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작업대(200)에는 상기 열풍공급부(100)의 마이컴(120), 디스플레이부(140), 외부조작부(130) 및 공기흡입부(160) 등을 설치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겠다.
3) 노즐(300)
일단에 열풍이 토출되기 위한 복수의 토출공(310)이 형성된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노즐(300)의 타단에 손잡이부(320)가 형성되며, 상기 손잡이부(320)의 끝단에 상기 열풍공급부(100)의 호스연결부(170)에 연결된 연결호스(H)가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열풍공급부(100)의 열원발생부(110)에서 발생되는 열풍이 상기 연결호스(H)로 전달되고, 상기 손잡이부(320) 내부를 통과한 후 상기 노즐(300)의 토출공(310)으로 토출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손잡이부(320)를 작업자가 직접 파지하여 작업대(200) 상의 고정어셈블리(F)에 고정된 피씨비(P)와 노즐(300) 간의 소정 거리를 유지하면서 직접 열풍을 토출시킬 수 있고,
상기 노즐(300)이 상기 작업대(200) 상의 고정어셈블리(F) 상부로 소정 거리 이격되게 고정시켜 위치할 수 있도록,
상기 노즐(300)이 삽입되는 삽입홀(610a)을 갖고, 상기 삽입홀(610a)의 선단에 상기 손잡이부(320)의 단턱이 걸려 안착되는 거치부(610)와,
상기 거치부(610)를 상하로 승하강시키는 높이조절부(6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거치대(60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높이조절부(620)의 하단에는 바닥면과 접촉하는 지지대(630)가 구비되고, 상기 지지대(630)에 설치수단(미도시)에 의하여 바닥면(작업테이블 등)에 고정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열풍공급부(100)의 측단에 설치수단(미도시)에 의하여 고정 설치될 수 있거나 탈착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거치부(610)에는 상기 삽입홀(610a)에 삽입된 노즐(300)의 외주면에 접촉되어 간섭함으로써 상기 노즐(300)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노즐고정볼트(610b)가 상기 거치부(610)의 측단에 체결되어 상기 삽입홀(610a)로 관통 체결된다.
아울러, 상기 높이조절부(620)는 상기 지지대(630)의 상면에 소정 길이를 갖는 가이드봉(620a)과,
상기 가이드봉(620a)에 승하강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거치부(610)가 장착되는 승하강부재(620b)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승하강부재(620b)에는 상기 가이드봉(620a)의 외주면에 접촉되어 간섭함으로써 상기 승하강부재(620b)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승하강부재고정볼트(630c)가 구비된다.
4) 토출헤드 (400)
상기 노즐(300) 단부에 구비되어 열풍의 집중을 돕거나 열풍 토출형태를 변형하도록 고정수단(500 : 510, 520, 530)에 의하여 장착되는 것으로,
상기 토출헤드(400)는,
상기 노즐(300)이 삽입되는 수용부(410)와,
상기 노즐(300) 단면 보다 좁은 단면을 갖는 토출부(420)와,
상기 수용부(410)와 상기 토출부(420)를 연결하고 테이퍼 진 이음부(430)로 이루어진다.
상기 토출부(420)는 열풍의 집중을 돕게 되고,
더불어 상기 토출부(420)는 도면에서 원기둥 형상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하고 열풍 토출형태를 변형할 수 있도록 다양한 형상을 갖게 된다.
한편, 상기 토출헤드(400)가 상기 노즐(300)에 교체가 가능하도록 상기 고정수단(500)에 의하여 장착되는데,
본 고안에 따른 일 예의 상기 토출헤드(400)의 고정수단(510)은,
상기 토출헤드(400) 내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프링(510a)이 구비되되, 상기 스프링(510a)은 단절부(510b)를 갖는 링이고,
상기 스프링(510a)이 안착되기 위하여 상기 토출헤드(400) 내면에는 즉 상기 토출헤드(400)의 수용부(410) 내면에는 환홈(410a)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환홈(410a)에 안착되는 스프링(510a)에 의하여 간섭받으면서 상기 토출헤드(400)가 상기 노즐(300)에 억지끼움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스프링(510a)의 내경은 상기 노즐(300)의 외경보다 작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스프링(510a)의 단면은 사각의 모서리부가 라운딩 처리된 형상이거나, 원형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예의 상기 토출헤드(400)의 고정수단(520)은,
상기 토출헤드(400) 상부에 구비되고, 손잡이(520b)가 구비되어 있어 가압시 벌어지는 링형 판스프링(520a)이다.
즉, 상기 토출헤드(400)를 상기 노즐(300)에 삽입시 상기 손잡이(520b)를 가압하여 판스프링(520a)을 벌려 삽입한 후, 상기 손잡이(520b)를 풀면 상기 판스프링(520a)이 상기 노즐(300)을 가압함으로써 장착되는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또 다른 예의 상기 토출헤드(400)의 고정수단(530)은,
상기 노즐(300)에 장착된 상기 토출헤드(400)에 관통 체결되는 볼트(530a)와,
상기 볼트(530a)의 일단에 형성되는 볼트손잡이(530b)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볼트(530a)가 체결될 수 있도록 상기 토출헤드(400)의 소정 위치에 나사공(410b)이 형성된다. 즉, 상기 토출헤드(400)의 수용부(410)에 관통 형성되는 나사공(410b)이 형성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노즐(300)의 크기와 직경에 따라서 복수의 볼트(530a)가 요구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상기 토출헤드(400)에는 적정한 위치에 나사공(410b)이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토출헤드(400)에는 단열 파지부(440)가 더 구비되는데,
상기 단열 파지부(440)는 상기 토출헤드(400)의 외주면에 실리콘을 이용하여 단열층을 형성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따라서, 작업자가 상기 토출헤드(400)를 파지하여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돕게 되는 것이다.
5) 고정어셈블리 (F)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상기 고정어셈블리(F)의 구성 및 작동상태를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지지체(10); 상기 지지체(10)에 고정된 둘 이상의 가이드바(20); 상기 각 가이드바(20)를 따라 슬라이딩 되는 둘 이상의 고정분체(30a)(30b)(30c)(30d)가 하나의 고정세트(30A)(30B)를 이루고, 양 고정세트(30A)(30B) 사이에 위치한 피씨비(P)를 물어 고정하고, 동일 고정세트(30A)의 각 고정분체(30a)(30b) 접면에는 장홈(3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장홈(32)에는 슬라이딩볼(34)이 내장되어 있는 고정체(30); 및 상기 지지체(10)와 상기 고정분체(30a)(30b)(30c)(30d) 사이, 또는 하나의 고정세트(30A)의 고정분체((30a)(30b)와 다른 고정세트(30B)의 고정분 체(30c)(30d) 사이, 또는 이들 모두에 배열되어 상호 밀어내는 방향으로 탄성을 발휘하는 탄성수단(40);을 포함하는 고정어셈블리(F)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 본 고안의 첨부된 도면을 설명하기 앞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명확하게 하기 위해 도 8을 기준으로 본 고안을 이루는 각 구성의 위치 및 방향을 특정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지면을 기준으로 좌측 지지체는 10A 이고, 우측 지지체는 10B 이며, 상기 좌측 지지체(10A)를 기준으로 우측의 고정세트, 상부 분체 및 하부 분체는 각각 30A, 30a, 30b 이고,
상기 고정세트(30A)을 기준으로 다른 고정세트, 상부 분체 및 하부 분체는 각각 30B, 30c, 30d 이고,
지면을 기준으로 상부 가이드바는 20A 이고, 하부 가이드바는 20B 로 각각 특정된다.
상기와 같이 특정된 위치 및 방향을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명확하게 하기 위한 편의적인 것으로 본 고안의 보호범위가 상기와 같이 특정되는 것을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본 고안에 따른 피씨비 고정장치에서, 상기 지지체(10)(10A)(10B)는
둘 이상의 가이드바(20) 즉 상부 가이드바(20A)와 하부 가이드바(20B)와 각각 고정되며 상기 각 지지체(10)(10A)(10B)와 상기 각 가이드바(20)(20A)(20B)는 상호 나사결합방식 등에 의하여 고정되는 것이 보다 안정적인 지지를 위하여 바람직하며,
상기 지지체(10)(10A)(10B)는 이하에서 설명하게 될 상기 지지체(10)(10A)(10B)를 포함하는 고정어셈블리(F)의 하부에 구비된 상부판(50)과 하부판(60)으로 이루어진 베이스(B)와 결합하게 되되,
상기 지지체(10)(10A)(10B) 하부에는 삽입돌기(70)가 각각 지지체(10A)(10B)의 둘 이상 구비되어, 상기 베이스(B)의 상부판(50)에 형성된 삽입홈(72)이 형성되어 상기 각 지지체(10A)(10B)의 삽입돌기(70)와 상기 상부판(50)의 삽입홈(72)가 결합되어 피씨비 작업시 고정어셈블리(F)의 흔들림 등의 불안요소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에 따른 피씨비 고정장치에서, 상기 가이드바(20)(20A)(20B)는
상기 각 지지체(10A)(10B)에 고정되도록 둘 이상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바(20)(20A)(20B)는 상부 가이드바(20A)와 하부 가이드바(20B)로 나눠지며 각 가이드바(20A)(20B)의 양단에는 나사산이 구비되어 상기 각 지지체(10A)(10B)의 해당 위치에 구비된 체결공에 형성되 나사산에 의하여 나사체결방식으로 체결되어 상기 고정어셈블리(F)의 기본적인 프레임을 이루게 된다.
본 고안에 따른 피씨비 고정장치에서, 상기 고정체(30)은
상기 각 가이드바(20A)(20B)를 따라 슬라이딩 되는 둘 이상의 고정분 체((30a)(30b) 또는 (30c)(30d))가 하나의 고정세트((30A) 또는 (30B))를 이루고, 양 고정세트(30A)(30B) 사이에 위치한 피씨비(P)를 물어 고정하고, 동일 고정세트(30A)의 각 고정분체(30a)(30b) 접면에는 장홈(3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장홈(32)에는 슬라이딩볼(34)이 내장된다.
즉 상기 고정체(30)는 상기 각 가이드바(10A)(10B)를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형성되되,
상기 고정체(30)를 이루는 하나의 고정세트((30A) 또는 (30B))는 둘 이상의 고정분체((30a)(30b) 또는 (30c)(30d))로 이루어지고,
양 고정세트(30A)(30B) 사이에 위치하는 피씨비(P)를 물어 고정하게 된다.
그리고,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고정체(30)의 동일 고정체((30A) 또는 (30B))의 각 고정분체((30a)(30b) 또는 (30c)(30d)) 접면에는 장홈(32)이 형성되되,
상기 장홈은 각 고정분체((30a)(30b)(30c)(30d)) 접면에 상호 대응하는 위치에 이동방향에 평행하게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각 고정분체((30a)(30b)(30c)(30d))에 각각 둘 이상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딩볼(34)를 각각 내장함으로써 슬라이딩 이동시 서로의 이동을 상호 보완할 수 있어 보다 안정되고 부드러운 슬라이딩이 가능하게 된다.
또 상기 각 고정분체((30a)(30b)(30c)(30d))의 접면의 간극은 각 고정분체의 상호 이동을 유지할 수 있는 최소 간극으로 이루어져 작업시 발생할 수 있는 먼지나 이물질 등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장홈(32) 및 슬라이딩 볼(34)에 이물질 등의 침투로 인한 작동오차 및 이동의 불안정성을 줄일 수 있어 보다 효율적인 장비관리 및 정밀성을 추구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각 고정분체((30a)(30b)(30c)(30d))가 서로 대면하는 위치(즉 하나의 고정세트(30A)의 고정분체(30a)와 다른 고정세트(30B)의 고정분체(30c), 하나의 고정세트(30A)의 고정분체(30b)와 다른 고정세트(30B)의 고정분체(30d)))에 피씨비(P)를 위한 요홈부(36a)를 갖는 고정돌기(36)가 각각 구비되어 상기 각 고정돌기(36)의 요홈부(36a) 사이에 피씨비(P)의 각 측부를 지지하여 피씨비(P)의 수평을 고르게 하고 흔들림을 방지하게 되며,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각 고정돌기(36)의 요홈부(36a)는 상기 각 고정분체((30a)(30b)(30c)(30d))에 각각 둘 이상 형성되어 더욱 견고한 지지를 보장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른 피씨비 고정장치에서, 상기 탄성수단(40)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지지체(10A)(10B)와 상기 각 고정분체(30a)(30b)(30c)(30d) 사이, 또는 하나의 고정세트(30A)의 고정분체(30a)(30b)와 다른 고정세트(30B)의 고정분체(30c)(30d) 사이, 또는 이들 모두에 배열되어 상호 밀어내는 방향으로 탄성을 발휘하게 된다.
즉 상기 좌측 지지체(10A)와 상기 각 고정분체(30a)(30b) 사이와 상기 우측 지지체(10B)와 상기 각 고정분체(30c)(30d) 사이, 또는 하나의 고정세트(30A)의 고정분체(30a)(30b) 사이와, 다른의 고정세트(30B)의 고정분체(30c)(30d) 사이, 또는 이들 모두에 탄성스프링(40a)이 각각 배열되어 상호 밀어내는 방향 즉 상기 각 가이드바(20A)(20B)를 분획하는 상기 각 지지체(10A)(10B)와 상기 각 고정세트(30A)(30B)에 의하여 형성되는 각 구간마다에 상기 탄성스프링(40a)이 각각 끼워지거나 또는 선별된 구간에 각각 끼워져 상기 각 가이드바(20A)(20B)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밀어내는 방향으로 탄성을 발휘하여 가압함으로써 상기 고정어셈블리(F)의 고정체(30)에 고정되는 피씨비(P)의 지지를 보장하여 작업의 안정성 및 제품불량 발생의 요소인 장치의 흔들림 등을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에 따른 피씨비 고정장치에서, 상기 베이스(B)는
도 8 내지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고정어셈블리(F)의 하부에 구비되며 상부판(50)과 하부판(60)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고정어셈블리가(F)각 상기 상부판(50)에 얹혀지고
상기 상부판(50)과 하부판(60) 사이에는 일정한 각도로 선회가능한 각도조절수단(53)이 구비된다.
상기 각도조절수단(53)은 상기 상부판(50)의 하면부와 상기 하부판(60)의 상면부의 각각 대향하는 위치에 방사상으로 배열되는 다수의 수용홈(54)(64)과, 상기 하부판(60)에는 상기 수용홈(64)을 잇는 환형의 글루브(groove)(66)와, 상기 상부판(60) 수용홈(54)에 수용되어 상기 글루브(66)상을 활주하는 안내볼(65)과, 그리고 상기 상부판(50)의 수용홈(54)에 수용되어 상기 안내볼(65)을 가압하는 코일스 프링(55)으로 이루어져 상기 글루브(66)상을 활주하는 각 안내볼(65)이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상기 하부판(60)의 수용홈(64)에 안착됨으로써 상기 상부판(50)이 하부판(60)에 대하여 선회하며 작업시 필요로 하는 일정한 각도로 조절할 수 있도록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각도조절수단(53)의 선회를 보다 안정적으로 안내하기 위해 상기 상부판(50)과 하부판(60) 사이에는 스러스트 베어링(thrust bearing)(58)이 배열되고, 그리고 상기 상부판(50)과 하부판(60)에는 상기 스러스트 베어링(58)을 위한 안내부(57)(67)가 상기 글루브(66)의 위치보다 내측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판(50) 저면에 상기 하부판(60)이 선회 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해 상기 상부판(50)의 저면에 형성된 결합홈(미도시)과 상기 하부판(60)에는 상기 결합홈에 대응하는 결합공(88)이 형성되어, 상기 결합공(88)을 통해 상기 결합홈(미도시)에 결합되기 위해 결합노브(86)가 상기 하부판(60)에서 상부판(50)으로 결합되며, 또 결합노브(86)에 의한 선회를 위한 보조 스러스트베어링(87)이 상기 하부판(60)과 상기 결합노브(86) 사이에 개재된다.
한편,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고정어셈블리(F)의 각 지지체(10A)(10B) 하부에는 다수의 삽입돌기(12)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판(50)의 상면부에는 상기 삽입돌기(12)에 대응하는 위치에 삽입홈(52)가 형성되어,
상기 각 삽입돌기(12)와 각 삽입홈(52)이 결합되어 상기 상부판(50)의 선회시 상기 고정어셈블리(F)의 흔들림을 방지함과 동시에 안정적 지지를 할 수 있도록 보장하게 된다.
또한,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하부판(60)의 하면부에는 PCB 고정장치와 맞닿는 지면과의 접촉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미끄럼 방지를 위한 지지부재(62) 다수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피씨비 고정장치에서,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고정어셈블리(F)의 각 고정분체(30a)(30b)(30c)(30d)에는 상기 가이드바에 고정분체를 고정하는 볼트(80)가 관통 결합되되,
상기 각 고정분체(30a)(30b)(30c)(30d)의 각 접면을 제외한 각 단면부에는 상기 볼트(80)가 관통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바(20)을 가압할 수 있도록 관통공(38)이 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각 고정분체(30b)(30d)의 각 접면을 제외한 각 단면부에만 상기 볼트(80)가 관통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바(20)을 가압할 수 있도록 관통공(38)이 형성되어,
상기 볼트(80)가 상기 각 고정분체(30a)(30b)(30c)(30d)(또는 상기 각 고정분체(30b)(30d))의 각 단부면에 형성된 관통공(38)을 통해 관통 결합되어 상기 각 가이드바(20A)(20B)(또는 상기 가이드바(20B))의 외주면을 가압하여 고정함으로써 상기 각 고정분체(30a)(30b)(30c)(30d)(또는 상기 각 고정분체(30b)(30d))의 움직 임을 제한하여 보다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작업을 보장할 수 있게 된다.
더 나아가 상기 고정어셈블리(F)의 각 고정분체(30a)(30b)(30c)(30d) 또는 상기 지지체(10)(10A)(10B), 또는 이들 모두에는 손잡이(82)가 구비되되,
상기 각 고정분체(30a)(30b)(30c)(30d)의 경우에는 각 단부면 형성된 상기 관통공(38)과 연결되는 볼트(80)가 상기 각 가이드바(20A)(20B)를 가압함과 동시에 상기 손잡이(82)로서 이용될 수 있으며
상기 각 지지체(10)(10A)(10B)의 단부면에는 상기 손잡이(82)를 위해 형성된 수용홈(14)이 형성되며, 상기 손잡이(82)와 상기 수용홈(14)에는 상호 대응하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나사결합방식을 취하거나 또는 억지끼움방식을 통해 끼워지는 등 여러가지 결합방식을 통한 구현이 가능하다.
본 고안에 따른 피씨비 고정장치에서,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고정어셈블리(F)의 각 고정분체(30a)(30b)(30c)(30d)에는 상기 가이드바(20)(20A)(20B)와의 접면에 베어링(85)이나 볼부싱(85)가 구비되어 상기 각 고정분체(30a)(30b)(30c)(30d)가 상기 각 가이드바(20A)(20B)를 따라 슬라이딩하는 것을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하고 이동시의 흔들림에 더욱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각 고정분체(30a)(30b)(30c)(30d)(또는 상기 각 고정분체(30b)(30d))에 형성된 관통공(38)과 연통되도록 상기 베어링(85)이나 볼부싱(85)에는 상기 볼트(80)가 드나들며 상기 가이드바(20A)(20B)(또는 상기 가이드 바(20B))를 가압하여 상기 각 고정분체(30a)(30b)(30c)(30d)를 고정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고정어셈블리(F)는 본 고안에서 작업대(200)의 열원공급수단(220)으로부터 열원이 상기 고정어셈블리(F)에 고정된 피씨비(P)로 직접 전달될 수 있도록, 상기 상부판(50) 및 상기 하부판(60)에 개구부(89)를 더 형성시켜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본 고안인 교체형 토출 헤드를 구비한 열풍 솔더링 장치에 대해 작동 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a) 작업대(200)의 고정어셈블리(F)에 피씨비(P)를 고정한다.
b) 작업대(200)에 내재된 열원공급수단(220)을 구동시켜 피씨비(P)의 하부로 열원을 공급한다.
c) 열풍공급부(100)의 외부조작부(130)를 조작하여 적정 온도, 적정 열풍공급량 등을 세팅하고, 구동시킨다.
d) 거치부(610)에 노즐(300)의 손잡이부(320)를 안착하고, 거치대(600)의 높이조절부(620)를 통해 거치부(610)의 높낮이를 조절한다.(직접 노즐(300)의 손잡이부(320)를 파지하고 작업할 경우는 생략한다.)
e) 열풍은 열풍공급부(100)의 호스연결부(170)에 연결된 연결호스(H)를 지나 손잡이부(320)를 통과한 후 노즐(300)을 통해 토출되고, 노즐(300)에는 토출헤드(400)가 장착되어 있어 노즐(300)을 통해 토출된 열풍의 집중률과 토출형태를 변 형시키기 된다.
f) 열원공급수단(220)의 열원과 노즐(300)의 열풍으로 인하여 피씨비(P)에 솔더링된 메모리칩은 디솔더링(De-Soldering)이 이루어지게 된다.
g) 디솔더링된 메모리칩을 탈거한다.
작업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고정수단(500 : 510, 520, 530)을 통해 토출헤드(400)를 교체할 수 있게 된다.
탈거된 메모리칩은 복구장치를 통해 메모리칩에 저장된 데이타를 복구하게 되고, 복구가 완료된 메모리칩은 피씨비(P)에 솔더링하여 재생하게 된다.
상기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a)~g) 순서는 하나의 예로써,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이상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교체형 토출 헤드를 구비한 열풍 솔더링 장치"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고안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솔더링 장치의 전체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솔더링 장치의 전체 결합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솔더링 장치의 전체 측면 부분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솔더링 장치의 일 예의 고정수단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솔더링 장치의 다른 예의 고정수단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솔더링 장치의 또 다른 예의 고정수단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솔더링 장치의 토출헤드에 단열 파지부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솔더링 장치의 고정어셈블리를 나타낸 분해도,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솔더링 장치의 고정어셈블리를 나타낸 결합사시도,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솔더링 장치의 고정어셈블리를 나타낸 배면도,
도 11은 본 고안에 솔더링 장치의 고정어셈블리에 변측부를 갖는 피씨비를 위한 고정체의 상대적 이동을 나타내는 배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열풍공급부
110 : 열원발생부 120 : 마이컴
130 : 외부조작부 140 : 디스플레이부
150 : 보조거치대 160 : 공기흡입부
170 : 호스연결부 180 : 파지부
200 : 작업대
220 : 열원공급수단
300 : 노즐
310 : 토출공 320 : 손잡이부
400 : 토출헤드
410 : 수용부 420 : 토출부
430 : 이음부 440 : 단열 파지부
500 : 고정수단
510 : 고정수단
510a : 스프링 510b : 단절부
520 : 고정수단
520a : 판스프링 520b : 손잡이
530 : 고정수단
530a : 볼트 530b : 볼트손잡이
600 : 거치대
610 : 거치부
610a : 삽입홀 610b : 노즐고정볼트
620 : 높이조절부
620a : 가이드봉 620b : 승하강부재
620c : 승하강부재고정볼트
630 : 지지대
H : 연결호스
P : 피씨비
F : 고정어셈블리
B : 베이스 10,10A,10B : 지지체
12 : 삽입돌기 14 : 수용홈
20,20A,20B : 가이드바 30 : 고정체
30A,30B ; 고정세트 30a,30b,30c,30d : 고정분체
32 : 장홈 34 : 슬라이딩볼
36 : 고정돌기 36a : 요홈부
38 : 관통공 40 : 탄성수단
40a : 탄성스프링 50 : 상부판
52 : 삽입홈 53 : 각도조절수단
54, 64 : 수용홈 55 : 코일스프링
57, 67 : 안내부 58 : 스러스트 베어링
60 : 하부판 65 : 안내볼
66 : 글루브 80 : 볼트
82 : 손잡이 85 : 베어링, 볼부싱
86 : 결합노브 87 : 보조 스러스트베어링
88 : 결합공 89 : 개구부

Claims (8)

  1. 열풍공급부;
    피씨비 고정어셈블리를 갖는 작업대;
    상기 열풍공급부와 연결호스를 통하여 이어진 노즐; 및
    상기 노즐 단부에 구비되어 열풍의 집중을 돕거나 열풍 토출형태를 변형하도록 고정수단에 의하여 장착되고, 단열 파지부를 갖는 토출헤드;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교체형 토출 헤드를 구비한 열풍 솔더링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헤드의 고정수단은 헤드 내면에 구비된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체형 토출 헤드를 구비한 열풍 솔더링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은 단절부를 갖는 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체형 토출 헤드를 구비한 열풍 솔더링 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헤드 내면에는 상기 스프링이 안착되는 환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체형 토출 헤드를 구비한 열풍 솔더링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헤드의 고정수단은 상기 헤드 상부에 구비되고, 손잡이가 구비되어 있어 가압시 벌어지는 링형 판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체형 토출 헤드를 구비한 열풍 솔더링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헤드의 고정수단은 토출헤드의 나사공에 결합된 볼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체형 토출 헤드를 구비한 열풍 솔더링 장치.
  7. 삭제
  8.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헤드는,
    상기 노즐 수용부,
    상기 노즐 단면보다 좁은 단면을 갖는 토출부, 그리고
    상기 수용부와 상기 토출부를 연결하고 테이퍼 진 이음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체형 토출 헤드를 구비한 열풍 솔더링 장치.
KR2020080000790U 2008-01-18 2008-01-18 교체형 토출 헤드를 구비한 열풍 솔더링 장치 KR20044159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0790U KR200441596Y1 (ko) 2008-01-18 2008-01-18 교체형 토출 헤드를 구비한 열풍 솔더링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0790U KR200441596Y1 (ko) 2008-01-18 2008-01-18 교체형 토출 헤드를 구비한 열풍 솔더링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1596Y1 true KR200441596Y1 (ko) 2008-08-27

Family

ID=416459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0790U KR200441596Y1 (ko) 2008-01-18 2008-01-18 교체형 토출 헤드를 구비한 열풍 솔더링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1596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045265A (zh) * 2020-09-15 2020-12-08 威海颢福自动化设备有限公司 一种远近端热风焊接机系统及方法
KR102658226B1 (ko) * 2023-07-24 2024-04-16 김나현 스테인드 글라스 솔더링용 작업대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045265A (zh) * 2020-09-15 2020-12-08 威海颢福自动化设备有限公司 一种远近端热风焊接机系统及方法
CN112045265B (zh) * 2020-09-15 2021-05-18 威海颢福自动化设备有限公司 一种远近端热风焊接机系统及方法
KR102658226B1 (ko) * 2023-07-24 2024-04-16 김나현 스테인드 글라스 솔더링용 작업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41596Y1 (ko) 교체형 토출 헤드를 구비한 열풍 솔더링 장치
CN111774877A (zh) 一种机械类加工用具有可移动式的钻孔与切割一体装置
CN112157330B (zh) 一种电路板焊接台
JPH06155397A (ja) ドリル準備装置
CN113412175A (zh) 机床的刀库
JP2004188554A (ja) ツール交換装置及びツール
JP2008126359A (ja) 複合加工装置
CN214684805U (zh) 一种带有保护结构的激光切割头
US7273080B2 (en) Power tool support fixture
CN219004755U (zh) 一种三通管加工用切割设备
JP2008126346A (ja) 卓上複合加工装置
US20050152755A1 (en) Laser device for helping an intended point on a work piece located exactly opposite the sharp point of a drill
CN214236668U (zh) 一种电路板焊接装置
CN213135368U (zh) 一种鼠标集成电路板的焊接设备
CN211162848U (zh) 一种具有翻转功能的连接器加工装置
JP2008126345A (ja) 卓上加工装置
CN214161473U (zh) 一种间隔套用钻孔装置
JP3875615B2 (ja) 工作機械
CN214443076U (zh) 一种3d打印去支撑的粉末回收装置
CN215345516U (zh) 一种超长高频钻孔印制板
CN113798557B (zh) 一种激光定位刀闸连接件打孔装置及使用方法
CN219598129U (zh) 一种便于装夹的数控钻床
CN220782792U (zh) 一种多功能焊接台
JP2000218420A (ja) 穴明機のワーク押え装置
CN212677572U (zh) 一种集成电路封装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8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