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0172Y1 - 차량용 네비게이션의 보조 전원 공급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네비게이션의 보조 전원 공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0172Y1
KR200440172Y1 KR2020070018440U KR20070018440U KR200440172Y1 KR 200440172 Y1 KR200440172 Y1 KR 200440172Y1 KR 2020070018440 U KR2020070018440 U KR 2020070018440U KR 20070018440 U KR20070018440 U KR 20070018440U KR 200440172 Y1 KR200440172 Y1 KR 20044017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power
unit
output voltage
navig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1844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관열
Original Assignee
유관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관열 filed Critical 유관열
Priority to KR202007001844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017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017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017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B60R16/03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al cells or batter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4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 H02J9/06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with automatic change-over, e.g. UPS systems
    • H02J9/061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with automatic change-over, e.g. UPS systems for DC powered lo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40/00Control parameters of input or output; Target parameters
    • B60L2240/60Navigation input
    • B60L2240/62Vehicle position
    • B60L2240/622Vehicle position by satellite navig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avigation (AREA)
  • Stand-By Power Supply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의 시동을 끄고 주유하거나 또는 잠깐의 주정차할 경우에 차량의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하는 네비게이션에 전원이 차단되더라도, 충전용 배터리를 통해 네비게이션으로 보조 전원을 공급하여, 차량의 시동과 함께 목적지 경로를 다시 재부팅해야 하는 문제점을 개선하고, 휴대하기 쉽고, 설치가 간편하며, 충전용 배터리의 잔량을 LED로 단계별로 표시해 줄 수 있는 차량용 네비게이션의 보조 전원공급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네비게이션, 보조 전원연결장치, 시거잭 삽입구, 보조 전원공급모듈

Description

차량용 네비게이션의 보조 전원 공급 장치{THE APPARATUS OF POWER SUPPLY IN NAVIGATION}
본 고안은 차량의 시동을 끄고 주유하거나 또는 잠깐의 주정차할 경우에 차량의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하는 네비게이션에 전원이 차단되더라도, 충전용 배터리를 통해 네비게이션으로 보조 전원을 공급하여, 차량의 시동과 함께 목적지 경로를 다시 재부팅해야 하는 문제점을 개선한 차량용 네비게이션의 보조 전원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 설치되는 네비게이션(Navigation) 장치는 위성을 통해 수신되는 정보를 이용하여 도로 지도와 차량의 현재 위치 및 목적지까지의 교통정보를 표시하고, 경로 내에 있는 위험요소나 주의사항 등의 교통정보를 제공하는 장치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차량용 네비게이션의 블록도로서, 이는 맵 데이터가 저장되는 맵 저장부(2)와; 위성으로부터 제공되는 정보와 상기 맵 데이터를 이 용하여 도로 지형과 차량의 현재 위치 및 목적지까지의 교통정보 등을 화면에 표시하기 위한 네비게이션 모듈(3)과; 상기 네비게이션 모듈(3)에서 출력되는 도로 지형과 차량의 현재 위치 및 목적지까지의 교통정보 등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4)와; 차량의 전원장치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차량용 네비게이션에서 필요로 하는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5)로 구성된다.
여기서, 전원공급부(5)는 일명 차량용 시거잭에 해당되는 것으로서, 이는 차량의 전원장치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차량용 네비게이션에서 필요로 하는 소정 레벨의 직류전압을 공급한다.
그런데, 종래 차량용 네비게이션의 전원공급 회로에 있어서는, 주유를 완료한 후 차량의 시동을 켰을 때 차량 전원장치로부터 네비게이션에 공급되는 전원이 순간적으로 차단되었다.
이때 네비게이션는 초기화 작업을 수행하므로, 사용자가 다시 목적지 경로를 셋팅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고안에서는 차량의 시동을 끄고 주유하거나 또는 잠깐의 주정차할 경우에 차량용 네비게이션에 보조 전원을 공급하여 이중으로 부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휴대하기 쉽고, 설치가 간편하며, 충전용 배터리의 잔량을 LED로 단계별로 표시해 줄 수 있는 차량용 네비게이션의 보조 전원공급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네비게이션의 보조 전원 공급 장치는,
차량의 시동을 끄고 주유하거나 또는 잠깐의 주정차할 경우에 차량용 네비게이션에 보조 전원을 공급하는 장치로 이루어지고,
상기 보조 전원공급장치는 담배갑 크기의 박스형상으로 이루어진 본체(10)와,
그 본체(10)의 전면에 차량용 네비게이션과 연결된 차량용 시거잭 플러그가 삽입되는 원통형상의 시거잭 삽입구(20)와,
본체의 내면에 PCB 기판으로 내장되어 차량의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충전하여 차량의 시동을 끄고 주유하거나 또는 잠깐의 주정차할 경우에 차량용 네비게이션에 보조 전원이 공급되도록 제어하는 보조 전원공급모듈(30)과,
그 보조 전원공급모듈 일측에 연결되어 차량의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복수개의 충전용 배터리로 충전시키고, 차량용 네비게이션에 보조 전원을 공급하는 충전용 배터리부(40)와,
본체의 후면에 형성되어 차량의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도록 차량용 시거잭에 연결시키는 차량용 시거잭 플러그(50)가 포함되어 구성됨으로서 달성된다.
상기 몸체(10)는 외측에 복수개의 삽입홈이 천공되어 나란히 형성되고, 그 삽입홈에 네비게이션 보조전원 공급여부 및 충전배터리 잔량을 LED로 표시하는 표시램프부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조 전원공급모듈(30)은 차량용 시거잭에 시거잭 플러그를 꽂아 차량의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입력받도록 하는 차량전원 입력부(31)와,
그 차량전원 입력부로부터의 전원공급이 차단될 때 네비게이션에 계속적으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입력 전원을 충전용 배터리부로 충전시키는 비상전원 충전부(32)와,
차량전원 입력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충전하고, 그 충전전원을 이용하여 출력전압 선택부의 출력전압 선택동작을 제어하는 출력전압 선택제어부(33)와,
그 출력전압 선택제어부에 의해, 차량전원 입력부로부터 전원이 공급될 때 출력전압을 선택하고, 차량전원 입력부로부터의 전원공급이 순간적으로 차단될 때 비상전원 충전부의 출력전압을 선택하여 차량전원 출력부로 출력하는 출력전압 선 택부(34)와,
본체의 전면에 형성된 원통형상의 시거잭 삽입구로 차량용 네비게이션과 연결된 차량용 시거잭 플러그가 삽입되었는지 여부를 체크한 후, 출력전압 선택부에 의해 차량의 배터리로부터 차량용 네비게이션으로 전원을 공급하거나 또는 비상전원 충전부로부터 차량용 네비게이션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차량전원 출력부(35)와,
그 출력전압 선택부의 선택신호를 체크하여 외부의 표시램프부로 표시하도록 제어하거나, 또는 충전용 배터리의 잔량을 체크하여 단계별로 외부의 표시램프부로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마이컴부(36)가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드린 바와 같이, 본 고안에서는 본 고안에서는 차량의 시동을 끄고 주유하거나 또는 잠깐의 주정차할 경우에 차량용 네비게이션에 보조 전원을 공급하여 이중으로 부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휴대하기 쉽고, 설치가 간편하며, 충전용 배터리의 잔량을 LED로 단계별로 표시해 줄 수 있는 좋은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네비게이션의 보조 전원 공급 장치의 사시도 에 관한 것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네비게이션의 보조 전원 공급 장치의 분해사시도에 관한 것으로, 이는 본체(10), 시거잭 삽입구(20), 보조 전원공급모듈(30), 충전용 배터리부(40), 차량용 시거잭 플러그(50)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10)는 담배갑 크기의 박스형상으로 이루어져서, 전면 일측에 시거잭 삽입구(20)가 형성되고, 내부에 보조 전원공급모듈(30)과 충전용 배터리부(40)가 형성되며, 후면 일측에 차량용 시거잭 플러그(50)가 형성된다.
그리고, 본체(10)의 재질은 알루미늄 또는 가벼운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시거잭 삽입구(20)는 본체의 전면에 차량용 네비게이션과 연결된 차량용 시거잭 플러그가 삽입되는 것으로, 원통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본 고안에 따른 시거잭 삽입구(20)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두개의 시거잭 삽입구 이외에도 한개의 시거잭 삽입구 타입인 원(one)구형으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세개의 시거잭 삽입구인 쓰리(three)구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시거잭 삽입구(20)는 내부에 접속단자가 구성되어 있어, 상기 차량용 네비게이션(60)과 연결된 차량용 시거잭 플러그(미도시)가 삽입되면, 보조 전원공급모듈(30)의 차량전원 출력부(35)에서 차량용 네비게이션(60)과 연결된 차량용 시거잭 플러그(미도시)가 삽입되었는지 여부를 체크한 후, 출력전압 선택 부(34)에 의해 차량의 배터리로부터 차량용 네비게이션(60)으로 전원을 공급하거나 또는 비상전원 충전부(32)로부터 차량용 네비게이션(60)으로 전원을 공급한다.
여기서, 차량용 네비게이션(60)과 연결된 차량용 시거잭 플러그(미도시)가 제대로 삽입되지 않으면, 네비게이션 보조전원 공급여부를 표시하는 표시램프부(11)의 LED 1이 0.5초~1초를 주기로 깜박이면서 동작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보조 전원공급모듈(30)은 본체의 내면에 PCB 기판으로 내장되어 차량의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충전하여 차량의 시동을 끄고 주유하거나 또는 잠깐의 주정차할 경우에 차량용 네비게이션에 보조 전원이 공급되도록 제어하는 것으로, 이는 도 7 및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차량전원 입력부(31), 비상전원 충전부(32), 출력전압 선택제어부(33), 출력전압 선택부(34), 차량전원 출력부(35), 마이컴부(36)로 구성된다.
차량전원 입력부(31)는 차량용 시거잭에 시거잭 플러그를 꽂아 차량의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입력받는 곳으로, 이는 접속단자(+,-)와, 다이오드 D1으로 구성된다.
비상전원 충전부(32)는 차량전원 입력부(31)로부터의 전원공급이 차단될 때 네비게이션에 계속적으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입력 전원을 충전용 배터리부로 충전시키는 곳으로, 이는 다이오드 D2, D3가 병렬로 연결되고, 저항 R1을 통해 스위 칭부(37)와 연결되며, 복수개의 충전용 배터리와 연결되어 구성된다.
출력전압 선택제어부(33)는 차량전원 입력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충전하고, 그 충전전원을 이용하여 출력전압 선택부의 출력전압 선택동작을 제어하는 곳으로, 이는 다이오드 D4와, 병렬로 연결된 저항 R2, R3 그리고, 캐패시터 C1으로 구성된다.
출력전압 선택부(34)는 출력전압 선택제어부에 의해, 차량전원 입력부로부터 전원이 공급될 때 출력전압을 선택하고, 차량전원 입력부로부터의 전원공급이 순간적으로 차단될 때 비상전원 충전부의 출력전압을 선택하여 차량전원 출력부로 출력하는 곳으로, 이는 출력전압선택용 릴레이(RY1)와 스위치(RY11)로 구성된다.
차량전원 출력부(35)는 본체의 전면에 형성된 원통형상의 시거잭 삽입구로 차량용 네비게이션과 연결된 차량용 시거잭 플러그가 삽입되었는지 여부를 체크한 후, 출력전압 선택부에 의해 차량의 배터리로부터 차량용 네비게이션으로 전원을 공급하거나 또는 비상전원 충전부로부터 차량용 네비게이션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곳으로, 이는 일측이 마이컴부의 입력단자 일측과 연결되고, 접속단자(+,-)와, 다이오드 D5와 연결되어 구성된다.
마이컴부(36)는 출력전압 선택부의 선택신호를 체크하여 외부의 표시램프부 로 표시하도록 제어하거나, 또는 충전용 배터리의 잔량을 체크하여 단계별로 외부의 표시램프부로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곳으로, 이는 PIC16C711 마이컴칩으로 이루어지며, 입력단자 일측이 출력전압선택용 릴레이(RY1), 충전용 배터리부, 출력전압 선택제어부와 연결되고, 출력단자 일측으로 LED 표시 램프부가 연결되어 구성된다.
즉, 마이컴부의 입력단자 RA0는 저항 R10을 통해 출력전압선택제어부의 캐패시터 C1과 연결되고, 입력단자 RA1은 저항 R9를 통해 충전용 배터리부의 배터리와 연결되며, 입력단자 RA2는 저항 R8를 통해 출력전압선택용 릴레이(RY1)와 연결되고, 출력단자 RB0에 저항 R4를 연결하여 보조 전원 공급여부를 표시하거나, 접속불량을 표시하는 LED 1과 연결되며, 출력단자 RB1에 저항 R5를 연결하여 배터리 잔량이 3.85V~4.25V(잔류전압 90%이상을 나타내는 "상(上)"표시)을 나타내는 LED 2와 연결되고, 출력단자 RB2에 저항 R6을 연결하여 배터리 잔량이 3.65V~3.84V(잔류전압 50%이상을 나타내는 "중(中)"표시)을 나타내는 LED 3와 연결되며, 출력단자 RB3에 저항 R7을 연결하여 배터리 잔량이 2.45V~3.25V(잔류전압 20%이상을 나타내는 "하(下)"표시)을 나타내는 LED 4와 연결되어 구성된다.
상기 충전용 배터리부(40)는 보조 전원공급모듈(30) 일측에 연결되어 차량의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복수개의 충전용 배터리로 충전시키고, 차량용 네비게이션에 보조 전원을 공급하는 곳으로, 이는 도 3 및 도 10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의 표면 일측에 슬라이드식 커버(41)를 구성하고, 그 슬라이드식 커버 내부에 내장시켜 차량의 시동을 끄고 주유하거나 또는 잠깐의 주정차할 경우에 차량 용 네비게이션에 보조 전원을 공급한다.
상기 차량용 시거잭 플러그(50)는 본체의 후면에 형성되어 차량의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도록 차량용 시거잭에 연결시키는 곳으로, 이는 전원인가용 전선과 함께 연결되어 구성된다.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시거잭 플러그(50)는 차량용 시거잭에 꽂아 연결시켜 보조 전원공급모듈(30)을 통해 네비게이션(60)에 전원을 바로 공급하거나, 또는 충전용 배터리부(40)로 충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본 고안에서는 본체의 외측에 복수개의 삽입홈이 천공되어 나란히 형성되고, 그 삽입홈에 네비게이션 보조전원 공급여부 및 충전배터리 잔량을 LED로 표시하는 표시램프부(11)가 구성된다.
표시램프부(11)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네비게이션 보조전원 공급여부를 표시하는 LED1과, 충전배터리 잔류전압을 상, 중, 하로 표시하는 LED2, LED3, LED4로 구성된다.
표시램프부의 LED1은 차량의 배터리를 통해 네비게이션으로 전원이 인가될 때에는 오프(Off)된 상태로 있다가, 네비게이션으로 보조전원이 공급되면 온(On) 상태로 되며, 특히, 기존 네비게이션과 연결된 시거잭 플러그가 시거잭 삽입구로 잘못 연결되거나, 차량용 시거잭으로 시거잭 플러그가 잘못 연결되어 접속 불량일 때에는 0.5초~1초 주기로 깜박거리게 된다.
본 고안에 따른 표시램프부(11)는 마이컴부의 제어를 받아 충전용 배터리의 잔류전압을 표시해 주는 곳으로, 이는 마이컴부에서 충전용 배터리의 잔류전압을 입력받아 마이컴부에서 기준설정치와 비교하여 배터리 잔류전압이 3.85V~4.25V일 경우에는 LED 2로 구동신호를 보내어 배터리 잔류전압이 약 90%이상을 나타내는 "상(上)"을 표시하고, 배터리 잔류전압이 3.65V~3.84V일 경우에는 LED 3로 구동신호를 보내어 배터리 잔류전압이 약 50%이상을 나타내는 "중(中)"을 표시하며, 배터리 잔류전압이 2.45V~3.25V일 경우에는 LED 4로 구동신호를 보내어 배터리 잔류전압이 약 20%이상을 나타내는 "하(下)"를 표시하게 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네비게이션의 보조 전원 공급 장치의 구체적인 동작과정에 관해 설명한다.
먼저,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네비게이션의 보조 전원 공급 장치를 기존의 차량용 네비게이션과 장비와 연결한다.
즉, 도 9에서 도시한 바와 가팅, 본체의 표면에 "NAVIGATION ON"이라는 문구로 씌어진 부분쪽에 위치한 시거잭 삽입구에 기존 차량용 네비게이션과 연결된 시거잭 플러그를 삽입하여 연결하고, 본 고안에 따른 보조 전원 공급 장치의 후면에 구성된 시거잭 플러그를 차량용 시거잭과 연결한다.
도 7 및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보조 전원 공급모듈(30)은 PCB 기판으로 하나의 모듈로 구성되는 것으로, 평상시에는 스위칭부의 슬라이드 스위치(SW)의 접점이 a,b로 이루어진다.
운전자가 차량에 탑승하여 운전대에 설치된 메인키박스에 차량키를 삽입한 후, 시계방향으로 연속해서 두 스텝 회전시키게 되는데, 이에 의해 차량의 엔진에 시동이 걸려 엔진이 구동되기 시작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차량의 시거잭에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시거잭 플러그를 연결시키면, 차량의 배터리로부터 시거잭 전원입력단자(Vin)에 전원이 입력된다.
상기 전원입력단자(Vin)를 통해 입력되는 전압은 차량전원 입력부의 다이오드(D1)를 통해 출력전압선택용 릴레이(RY1)의 스위치(RY11)에 전달된다.
이와는 별도로, 상기 전원입력단자(Vin) 및 차량전원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전압이 출력전압 선택제어부의 다이오드(D4) 및 저항(R2)를 통해 콘덴서(C1)에 충전되고, 그 충전전압이 저항(R3)을 통해 상기 출력전압선택용 릴레이(RY1)의 코일을 통해 흐르게 된다.
이에 의해 상기 출력전압선택용 릴레이(RY1)가 구동되어 그의 스위치(RY11)가 단락된다.
따라서, 상기 차량전원 입력부(21)의 다이오드(D1)를 통해 입력되는 전압이 상기 출력전압선택용 릴레이(RY1)의 스위치(RY11) 및 차량전원 출력부를 통해 네비게이션에 전달되어 그 네비게이션이 부팅된다.
이에 따라, 운전자는 네비게이션로부터 운전에 필요한 지리정보 등을 서비스 받을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차량전원 입력부의 다이오드(D1)를 통해 입력되는 전압이 다른 한편으로는 비상전원 충전부(32)의 다이오드(D2) 및 저항(R1)을 통한 후 상기 슬라이드 스위치(SW)의 접점(a,b)을 통해 충전용 배터리(BAT)에 충전된다.
상기 충전용 배터리(BAT)에 충전된 전압이 상기 슬라이드 스위치(SW)의 접점(a,b)을 통해 다이오드(D3)에 전달되지만, 이 다이오드(D3)의 캐소우드측 전압이 상기 다이오드(D1)의 캐소우드측 전압보다 낮으므로, 그 충전된 전압이 그 다이오드(D3)에 의해 차단된다.
여기서, 마이컴부(36)에서는 표시램프부(11)의 LED1이 오프된 상태가 되도록 제어 신호를 보내어 정상적으로 차량의 배터리를 통해 네비게이션으로 전원이 인가되었음을 표시한다.
한편, 차량의 시동을 끄고 주유하거나 또는 잠깐의 주정차할 경우에 관해 설명한다.
운전자가 차량키를 빼내면, 차량의 엔진이 멈추게 되고, 이때 상기 전원입력단자(Vin) 및 차량전원 입력부의 다이오드(D1)를 통해 입력되는 전압이 순간적으로 차단된다.
이어서, 상기 충전용 배터리(BAT)에 충전된 전압이 상기 슬라이드 스위치(SW)의 접점(a,b) 및 다이오드(D3)를 통해 상기 출력전압선택용 릴레이(RY1)의 스위치(RY11)에 전달된다.
이때, 상기 출력전압 선택제어부(23)의 콘덴서(C1)에 충전된 소정 레벨의 전압이 상기 출력전압선택용 릴레이(RY1)의 코일을 통해 흐르게 된다.
이어서, 상기 비상전원 충전부의 충전용 배터리(BAT)에 충전된 전압이 상기 슬라이드 스위치(SW)의 접점(a,b), 다이오드(D3) 및 상기 출력전압선택용 릴레이(RY1)의 스위치(RY11)를 통해 계속해서 차량전원 출력부에 출력된다.
본 고안에서는 충전용 배터리의 용량 및 릴레이 스위치의 동작에 의해 2분~5분 동안 계속해서 네비게이션에 보조전원을 공급할 수가 있다.
이때, 마이컴부에서는 표시램프부의 LED1이 온(On) 상태가 되도록 제어 신호를 보내어 충전용 배터리를 통해 네비게이션으로 보조전원이 인가되었음을 표시한다.
그리고, LED2(상), LED3(중), LED4(하)를 통해 충전용 배터리에 얼마만큼 배터리 용량이 남아있는지를 알려줄 수가 있다.
본 고안에서는 주유 후 차량의 엔진에 시동이 걸릴 때 차량의 전원장치로부터 시거잭 전원입력단자(Vin)에 입력되는 전압이 순간적으로 차단되지만, 상기 비상전원 충전부의 충전용 배터리(BAT)에 충전된 전압이 상기 슬라이드 스위치(SW)의 접점(a,b), 다이오드(D3) 및 상기 출력전압선택용 릴레이(RY1)의 스위치(RY11)를 통해 계속해서 상기 차량전원 출력부에 출력된다.
그리고, 시동이 완료되면, 상기 충전용 배터리(BAT)에 충전된 전압이 상기 출력전압 선택용 릴레이(RY1)의 스위치(RY11)를 통해 상기 전원출력단자(Vout)에 출력되는 동작이 종료됨과 동시에, 상기 전원입력단자(Vin)를 통해 차량의 전원장치로부터 입력되는 전압이 그 출력전압선택용 릴레이(RY1)의 스위치(RY11)를 통해 그 차량전원 출력부에 출력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차량용 네비게이션의 블록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네비게이션의 보조 전원 공급 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네비게이션의 보조 전원 공급 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네비게이션의 보조 전원 공급 장치의 본체 측면 일측에 표시램프부가 구성된 것을 도시한 일실시예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네비게이션의 보조 전원 공급 장치 중 시거잭 삽입구가 원(one) 타입으로 형성된 것을 도시한 일실시예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네비게이션의 보조 전원 공급 장치 중 시거잭 삽입구가 쓰리(three) 타입으로 형성된 것을 도시한 일실시예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네비게이션의 보조 전원 공급 장치 중 보조 전원공급모듈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블럭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네비게이션의 보조 전원 공급 장치 중 보조 전원공급모듈의 회로도,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네비게이션의 보조 전원 공급 장치의 실제 사진,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네비게이션의 보조 전원 공급 장치의 구성요소를 분해한 실제 사진.
※ 도면 부호의 간단한 설명 ※
10 : 본체 20 : 시거잭 삽입구
30 : 보조 전원공급모듈 40 : 충전용 배터리부
50 : 차량용 시거잭 플러그

Claims (4)

  1. 차량의 시동을 끄고 주유하거나 또는 잠깐의 주정차할 경우에 차량용 네비게이션에 보조 전원을 공급하는 장치로 이루어지고,
    상기 보조 전원공급장치는 담배갑 크기의 박스형상으로 이루어진 본체(10)와,
    그 본체(10)의 전면에 차량용 네비게이션과 연결된 차량용 시거잭 플러그가 삽입되는 원통형상의 시거잭 삽입구(20)와,
    본체의 내면에 PCB 기판으로 내장되어 차량의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충전하여 차량의 시동을 끄고 주유하거나 또는 잠깐의 주정차할 경우에 차량용 네비게이션에 보조 전원이 공급되도록 제어하는 보조 전원공급모듈(30)과,
    그 보조 전원공급모듈 일측에 연결되어 차량의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복수개의 충전용 배터리로 충전시키고, 차량용 네비게이션에 보조 전원을 공급하는 충전용 배터리부(40)와,
    본체의 후면에 형성되어 차량의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도록 차량용 시거잭에 연결시키는 차량용 시거잭 플러그(50)가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보조 전원공급모듈(30)은 차량용 시거잭에 시거잭 플러그를 꽂아 차량의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입력받도록 하는 차량전원 입력부(31)와,
    그 차량전원 입력부로부터의 전원공급이 차단될 때 네비게이션에 계속적으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입력 전원을 충전용 배터리부로 충전시키는 비상전원 충전부(32)와,
    차량전원 입력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충전하고, 그 충전전원을 이용하여 출력전압 선택부의 출력전압 선택동작을 제어하는 출력전압 선택제어부(33)와,
    그 출력전압 선택제어부에 의해, 차량전원 입력부로부터 전원이 공급될 때 출력전압을 선택하고, 차량전원 입력부로부터의 전원공급이 순간적으로 차단될 때 비상전원 충전부의 출력전압을 선택하여 차량전원 출력부로 출력하는 출력전압 선택부(34)와,
    본체의 전면에 형성된 원통형상의 시거잭 삽입구로 차량용 네비게이션과 연결된 차량용 시거잭 플러그가 삽입되었는지 여부를 체크한 후, 출력전압 선택부에 의해 차량의 배터리로부터 차량용 네비게이션으로 전원을 공급하거나 또는 비상전원 충전부로부터 차량용 네비게이션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차량전원 출력부(35)와,
    그 출력전압 선택부의 선택신호를 체크하여 외부의 표시램프부로 표시하도록 제어하거나, 또는 충전용 배터리의 잔량을 체크하여 단계별로 외부의 표시램프부로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마이컴부(36)가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네비게이션의 보조 전원 공급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마이컴부(36)는 입력단자 RA0에 저항 R10을 통해 출력전압선택제어부의 캐패시터 C1과 연결되고, 입력단자 RA1에 저항 R9를 통해 충전용 배터리부의 배터리와 연결되며, 입력단자 RA2에 저항 R8를 통해 출력전압선택용 릴레이(RY1)와 연결되고, 출력단자 RB0에 저항 R4를 연결하여 보조 전원 공급여부를 표시하거나, 접속불량을 표시하는 LED 1과 연결되며, 출력단자 RB1에 저항 R5를 연결하여 배터리 잔량이 3.85V~4.25V(잔류전압 90%이상을 나타내는 "상(上)"표시)을 나타내는 LED 2와 연결되고, 출력단자 RB2에 저항 R6을 연결하여 배터리 잔량이 3.65V~3.84V(잔류전압 50%이상을 나타내는 "중(中)"표시)을 나타내는 LED 3와 연결되며, 출력단자 RB3에 저항 R7을 연결하여 배터리 잔량이 2.45V~3.25V(잔류전압 20%이상을 나타내는 "하(下)"표시)을 나타내는 LED 4와 연결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네비게이션의 보조 전원 공급 장치.
KR2020070018440U 2007-11-15 2007-11-15 차량용 네비게이션의 보조 전원 공급 장치 KR20044017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8440U KR200440172Y1 (ko) 2007-11-15 2007-11-15 차량용 네비게이션의 보조 전원 공급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8440U KR200440172Y1 (ko) 2007-11-15 2007-11-15 차량용 네비게이션의 보조 전원 공급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0172Y1 true KR200440172Y1 (ko) 2008-05-28

Family

ID=416449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18440U KR200440172Y1 (ko) 2007-11-15 2007-11-15 차량용 네비게이션의 보조 전원 공급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017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8085B1 (ko) 2009-11-20 2011-06-01 백성원 차량용 다기능 전압 분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8085B1 (ko) 2009-11-20 2011-06-01 백성원 차량용 다기능 전압 분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3934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liably supplying electrical energy to an electrical system
CN201025205Y (zh) 汽车辅助启动装置
US8694185B2 (en) Discharge control apparatus for electric vehicle
JP3182855U (ja) 車両用補助給電装置
JPS60241736A (ja) 電池充電器
US20150054336A1 (en) Mobile Power Bank
JP2015115979A (ja) 車両用補助給電装置
KR101315645B1 (ko) 듀얼 배터리 제어시스템 및 방법
WO2014142759A1 (en) Battery pack
KR100765829B1 (ko) 차량과 차량에서 소비되는 에너지를 보충하는 충전소 및 충전량 계산 방법
KR100804626B1 (ko) 차량용 네비게이션 장치의 전원 공급 회로
WO2018189537A1 (en) Power generating apparatus
KR200440172Y1 (ko) 차량용 네비게이션의 보조 전원 공급 장치
JP3185027U (ja) 可搬型補助給電装置用のブースタケーブル
CN108899962B (zh) 车用usb充电模块及其充电方法
KR102086848B1 (ko) 방전된 차량에서의 역전류 감지 시 전원을 자동 차단하는 비상시동장치
CN108879813B (zh) 接近检测装置及方法
NL8801744A (nl) Reservebatterij.
CN104712444B (zh) 发动机控制装置
JP2015165219A (ja) 鉛蓄電池の状態判定装置、車両及び鉛蓄電池の状態判定方法
CN217294443U (zh) 一种启动电池控制系统和汽车
KR100840917B1 (ko) 충전기
CN116210132A (zh) 一种车辆启动方法、电源及车辆
CN111327096A (zh) 车载充电器
KR100494588B1 (ko) 자동차용 배터리 점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1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