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9947Y1 - 발코니 난간의 방범장치 - Google Patents

발코니 난간의 방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9947Y1
KR200439947Y1 KR2020070002374U KR20070002374U KR200439947Y1 KR 200439947 Y1 KR200439947 Y1 KR 200439947Y1 KR 2020070002374 U KR2020070002374 U KR 2020070002374U KR 20070002374 U KR20070002374 U KR 20070002374U KR 200439947 Y1 KR200439947 Y1 KR 20043994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fe guard
grate
balcony
guard
rai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237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정화
Original Assignee
한정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정화 filed Critical 한정화
Priority to KR202007000237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994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994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994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1Balustrades
    • E04F11/1851Filling panels, e.g. concrete, sheet metal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1Balustrades
    • E04F11/1817Connections therefor
    • E04F2011/1823Connections therefor between balustrade filling members, e.g. balusters or panels, and horizontal or sloping balustrade members
    • E04F2011/1825Connections therefor between balustrade filling members, e.g. balusters or panels, and horizontal or sloping balustrade members between balustrade filling members, e.g. balusters or panels, and handr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teps, Ramps, And Handrai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외부로부터의 불량 침입을 방지하기 위한 발코니 난간의 방범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건축물의 발코니 샤시에 고정되며 다수 창살을 갖는 난간을 포함하며, 상기 난간의 창살 중에서 적어도 3개씩의 창살을 연속하여 연결 고정하는 다수의 세이프가드를 설치하되, 상기 세이프가드는 인너세이프가드와 아우터세이프가드로 분리 구성되고, 인너세이프가드와 아우터세이프가드는 결합볼트 및 너트를 이용하여 맞춤 결합되며, 각각의 창살이 삽입되는 적어도 3곳의 홀딩부를 구비하되, 상기 홀딩부는 인너세이프가드와 아우터세이프가드의 맞춤 결합에 의해 조립 형성되도록 구성한다.
Figure R2020070002374
발코니, 베란다, 창살, 난간, 세이프가드, 홀딩부, 인너지지부

Description

발코니 난간의 방범장치{Safety apparatus of balcony balustrade}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발코니 난간을 도시한 전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발코니 난간의 방범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설치 구조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설치 구조를 보인 단면도이다.
본 고안은 외부로부터의 불량 침입을 방지하기 위한 발코니 난간의 방범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건축물의 발코니 샤시, 문틀 및 창틀 등에 장착되어 불량 침입을 방지하고, 아울러 유아의 안전사고를 방지하는 기능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한 고정식 방범장치에 관한 것이다.
아파트 또는 연립의 경우 여름철과 같이 날씨가 더울 때 에어콘 등의 냉방시설이 없거나 이를 이용하기에 적합하지 않은 날씨, 또는 환기를 위하여 창문을 개방하고자 할 때, 외부 침입의 위험에 노출될 우려가 있기 때문에 창문을 개방하지 못하는 실정이다. 특히 아파트의 경우에는 통풍이 잘되지 않을 때 낯 시간 동안 만이라도 창문을 열어 환기를 시키고 싶어하지만, 그렇게 하지 못하는 것이 현실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여러 종류의 방범창이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어, 붙박이형 고정 방범창은 외부와 내부를 완전 차단하여 고정시킴으로써 외부로부터의 침입을 막을 수 있다.
또 다른 형태로서는 상하 슬라이드 혹은 좌우 여닫이 이동식 개폐 방범창이 있다. 이동식 개폐 방범창은 방범창 자체를 손으로 위, 아래 혹은 좌, 우로 움직여 개방할 수 있어, 화재등의 비상시에도 실내에서 외부로의 탈출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상기 고정 방범창에 비해서 개량된 고안이라고 할 수 있다.
상기한 고정식 및 이동식 방범창은 통상적으로 발코니의 난간 상측에 설치되며, 대략 4각형 모양의 프레임을 틀로하여, 그 프레임의 내측에 창살 즉, 가드바를 설치하여 구성되고, 이렇게 구성된 방범창은 건축물의 발코니 샤시나 창틀에 고정 설치되어진다.
상술한 방범창이 설치된 건축물 및 발코니는 방범에 대하여 어느정도 안전성을 확보하고 있다.
그러나 방범창이 설치되지 않은 부분, 예를 들어 발코니의 난간 부분은 구조적으로 취약하여 절단 공구를 사용할 경우 쉽게 침입 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통상 난간은 철구조물로 창살을 만들어 구성하게 되는데, 창살은 장시간 경과시 녹이 발생되어 강한 외력에 의해 쉽게 절단되며, 절단 공구나 기타 도구를 사용할 경우에는 빠른 시간 내에 실내로 침입이 가능한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발코니의 난간은 창살의 간격이 10cm로 구성되며, 창살 하나만 제거하더라도 충분히 침입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에서는 발코니의 난간 창살 3개를 묶어 동시에 결합 고정함으로써, 창살의 제거를 불가능하게 하고 불량 침입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아울러 본 고안에서는 난간 창살을 3개씩 함께 연결하여 커버함으로써, 유아의 추락사고 등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에 다른 목적을 두고 있다.
상기 목적에 따라, 본 고안에서는 건축물의 발코니 샤시에 고정되며 다수 창살을 갖는 난간을 포함하고, 상기 난간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난간의 창살 중에서 적어도 3개의 창살을 연속하여 연결 고정하는 다수의 세이프가드(safe guard)를 포함하여 구성된 발코니 난간의 방범장치를 제안한다.
여기서 상기한 세이프가드는 인너세이프가드와 아우터세이프가드로 분리 구성되며, 인너세이프가드와 아우터세이프가드는 결합볼트 및 너트를 이용하여 맞춤 결합되고, 3개의 창살이 각각 삽입되는 적어도 3곳의 홀딩부를 구비하되, 상기 홀딩부는 인너세이프가드와 아우터세이프가드의 맞춤 결합에 의해 조립 형성되어 진 다.
바람직하게, 상기 아우터세이프가드는 외부에서의 강제 탈거를 방지하기 위하여, 결합볼트가 삽입되어 숨겨지도록 하는 인너지지부를 내면에 형성하고 있으며, 아울러 양측 단부에 결합부를 구비하여 인너세이프가드의 양측 단부가 삽입되어 숨겨지도록 구성하고 있다.
이하,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발코니 난간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고 있으며, 도 2 내지 도 4는 본 고안의 발코니 난간의 방범장치를 보여주고 있다. 도면에서는 생략되었지만 난간(1)의 상부에는 통상의 방범창을 설치할 수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발코니 난간의 방범장치는 건축물의 발코니 외측(혹은 내측)에 설치되는 난간(1)에 장착되는 것으로서, 불량 침입자가 난간(1)의 창살(1a)을 뜯어냄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 및 구조로 갖추어진다.
난간(1)의 창살(1a)은 통상 10cm 간격으로 설치되는데, 하나의 창살(1a)을 제거하면 성인이라도 충분히 통과할 수 있는 공간이 생기게 된다. 본 고안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고려하여, 적어도 3개의 창살(1a)을 하나의 방범장치로 연결하여 결합시키고, 이어서 다른 3개의 창살(1a)을 같은 방법으로 결합시킴으로써, 낱개 창살(1a)의 뜯어냄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아울러 본 고안의 방범장치는 도 1과 같이 난간(1)의 아래쪽으로부터 절반 이상의 높이로 설치됨으로써, 유아의 추락사고 등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에 다른 특징을 두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고안에서는 적어도 3개의 창살(1a)을 연결하여 묶고, 연속하여 인접한 3개의 창살(1a)을 다시 묶어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다수의 세이프가드(3)를 설치하는 것이다.
도 2의 상세 구조를 통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세이프가드(3)는 난간(1)의 내측에 위치되는 인너세이프가드(5)와 난간(1)의 외측에 배치되는 아우터세이프가드(7)로 분리 및 결합 가능하게 구성된다.
인너세이프가드(5)와 아우터세이프가드(7)는 모두 적어도 3개의 창살(1a)을 동시에 커버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며, 창살(1a)을 사이에 두고 안쪽과 바깥쪽에서 상호 결합되는 것이고, 상기 창살(1a)을 수납하기 위하여 적어도 3곳의 홀딩부(9)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아우터세이프가드(7)의 양측 단부에는 단면이 'U'자 모양으로 된 결합부(11)를 형성하여 인너세이프가드(5)의 양측 단부가 1차로 결합되고 숨겨지도록 한다. 이후, 인너세이프가드(5)와 아우터세이프가드(7)는 결합볼트(13) 및 너트(15)에 의해 2차로 견고하게 결합되어 진다.
결합볼트(13) 및 너트(15)는 외부의 불량 침입시 강제 탈거를 방지하기 위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를 위하여 상기 너트(15)는 발코니 내측으로 배치되고, 특히 결합볼트(13)의 머리 부분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아우터세이프가드(7)의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한다.
즉, 아우터세이프가드(7)의 내측에는 결합볼트(13)의 머리 부분이 삽입되어 숨겨지도록 하는 인너지지부(17)를 형성하고 있다. 인너지지부(17)는 도면과 같이 상하로 길게 슬롯 모양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볼트 머리와 일치하도록 육각 홈의 형태로 형성할 수도 있다.
이때, 결합볼트(13)의 머리 부분은 인너지지부(17)를 따라 승강될 수 있고, 나사산 부분은 인너세이프가드(5)에 미리 천공된 구멍(19)으로 삽입 지지되며, 너트(15)에 의해 체결되는 것이다.
한편, 인너세이프가드(5) 및 아우터세이프가드(7)의 내면에는 다양한 창살(1a)의 직경에 대응하기 위하여 신축성이 있는 패킹돌기 및 패킹부재를 더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세이프가드(3) 즉 아우터세이프가드(7)의 외측에는 미관을 좋게하고 광고 효과를 달성하기 위하여 별개의 로고표시판을 설치할 수도 있다. 로고표시판에는 건축회사나 건축물의 이름 및 기타 광고 문구를 기록하여 표시하는 것이 좋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 형태를 통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발코니 난간의 방범장치는 발코니 난간의 창살을 적어도 3개씩 묶어 서로 연결함으로써 창살의 제거를 불가능하게 할 뿐 아니라, 하나의 창살을 강제로 뜯어 제거하더라도 상호 연결 구조에 의해 불량 침입을 차단하며, 그 결과 방범 특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더욱, 본 고안에서는 아우터세이프가드의 내측으로 결합볼트를 수납하여 숨겨지도록 하고, 또한 인너세이프가드의 단부가 아우터세이프가드의 결합부로 삽입 되어 숨겨지도록 함으로써, 외부의 침입 시도를 원천적으로 봉쇄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고안의 발코니 난간의 방범장치는 방범 기능뿐 아니라, 난간 창살을 3개씩 함께 연결하여 커버함으로써, 유아의 추락사고 등을 방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의 발코니 난간의 방범장치는 난간 창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샤시, 문 및 창 등의 창살에도 동일한 구조로 적용할 수 있다.

Claims (3)

  1. 건축물의 발코니 샤시에 설치되며 다수 창살을 포함하여 구성된 난간;
    상기 난간의 창살 중에서 적어도 3개씩의 창살을 연속하여 연결 고정하는 다수의 세이프가드;
    상기 세이프가드는 인너세이프가드와 아우터세이프가드로 분리 구성되고 결합볼트 및 너트를 이용하여 맞춤 결합되며, 창살이 각각 삽입되는 적어도 3곳의 홀딩부를 구비하되, 상기 홀딩부는 인너세이프가드와 아우터세이프가드의 맞춤 결합에 의해 조립 형성되고;
    상기 아우터세이프가드는 결합볼트가 용이하게 삽입되고 숨겨지도록 하는 상하로 길게 형성된 인너지지부를 내면에 형성하며, 양측 단부에 인너세이프가드의 양측 단부가 삽입되어서 숨겨지도록 하는 결합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발코니 난간의 방범장치.
  2. 삭제
  3. 삭제
KR2020070002374U 2007-02-08 2007-02-08 발코니 난간의 방범장치 KR20043994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2374U KR200439947Y1 (ko) 2007-02-08 2007-02-08 발코니 난간의 방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2374U KR200439947Y1 (ko) 2007-02-08 2007-02-08 발코니 난간의 방범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9947Y1 true KR200439947Y1 (ko) 2008-05-15

Family

ID=416386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2374U KR200439947Y1 (ko) 2007-02-08 2007-02-08 발코니 난간의 방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994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23275A (zh) * 2019-03-04 2019-05-07 重庆金科建筑设计研究院有限公司 快捷装配式防护栏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23275A (zh) * 2019-03-04 2019-05-07 重庆金科建筑设计研究院有限公司 快捷装配式防护栏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7133B1 (ko) 공동주택용 비상대피 난간
US20090148236A1 (en) Flood and combustion air vent
US6505669B2 (en) Hinged window screen with cover
DE69912426D1 (de) Sicherheitsbarriere für kinder
KR200439947Y1 (ko) 발코니 난간의 방범장치
KR101584618B1 (ko) 이탈방지 스톱퍼부를 갖는 미닫이 창문
KR101904347B1 (ko) 다층 페어글라스 창호 시스템
KR100935160B1 (ko) 커튼 어셈블리와 안전난간대가 매입된 단열이중창
KR102053623B1 (ko) 방범 및 방충 창호
KR200443972Y1 (ko) 개폐식 방범창
KR200425125Y1 (ko) 발코니 난간 부착형 방화유리틀
KR200450445Y1 (ko) 발코니 난간의 방범장치
JP2011163085A (ja) 建物の引き戸またはドア
KR101558513B1 (ko) 2중 망사구조를 갖는 그물형 방범창 구조체
JP3172548U (ja) 換気機能付き内窓
KR200438632Y1 (ko) 발코니 난간의 방범장치
JP6929679B2 (ja) 装飾格子の取付け装置
EP2453074A2 (en) Post and panel assembly and method, e.g. for glazed parapet
JP4735445B2 (ja) 住宅建物の遮蔽壁構造
KR101825824B1 (ko) 방범 방충망용 프로파일
KR100577587B1 (ko) 추락을 방지하기 위한 베란다 창문의 구조
KR20130006584U (ko) 확장형 창틀 시스템에 사용가능한 난간대 겸용 손스침 부재
JP2006124919A (ja) 一体型防犯用サッシ枠
CN202249592U (zh) 带防盗防蚊钢网窗扇的推拉式防盗窗
JP4800029B2 (ja) 地震災害時の避難対応ドア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