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8217Y1 - 음용수 흡입장치에서의 꼭지구조 - Google Patents

음용수 흡입장치에서의 꼭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8217Y1
KR200438217Y1 KR2020060032190U KR20060032190U KR200438217Y1 KR 200438217 Y1 KR200438217 Y1 KR 200438217Y1 KR 2020060032190 U KR2020060032190 U KR 2020060032190U KR 20060032190 U KR20060032190 U KR 20060032190U KR 200438217 Y1 KR200438217 Y1 KR 20043821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nking water
coupling
tap
spring
pet bott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3219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우용
Original Assignee
이우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우용 filed Critical 이우용
Priority to KR202006003219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821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821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821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20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38Devices for discharging contents
    • B65D25/40Nozzles or spou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흡입관의 단부에 결합된 꼭지를 손이나 이로 당긴 후 페트병 등과 같은 용기에 담긴 음용수를 흡입하고 음용수를 섭취하지 않을 때에는 다시 꼭지를 원상태로 이동시켜야 하는 종래 기술과는 달리 본 고안은 페트병 등과 같은 용기에 담긴 음용수를 흡입관을 통해 섭취하는 과정에서 꼭지를 이로 문 상태에서만 꼭지가 개방되도록 함으로써 이로 꼭지에 적은 힘을 가하고도 페트병 등과 같은 용기에 담긴 음용수를 흡입할 수 있을뿐더러 꼭지를 물고 있던 이를 떼는 것만으로도 흡입관을 통해 꼭지까지 올라왔던 음용수가 다시 페트병 등과 같은 용기로 역류하지 않는다.
흡입관, 꼭지, 음용수, 페트병, 역류.

Description

음용수 흡입장치에서의 꼭지구조{knob structure in drink water suction apparatus}
도1은 본 고안에 의한 음용수 흡입장치의 사시도이다.
도2는 본 고안에 의한 음용수 흡입장치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3 및 도4는 페트병에 흡입관을 고정하기 위한 마개 또는 보조 마개의 결합구조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5 및 도6은 클립이나 집게에 의해 흡입관을 고정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7은 본 고안에 의한 음용수 흡입장치의 꼭지부분을 보인 확대 사시도이다.
도8은 본 고안에 의한 음용수 흡입장치의 꼭지부분을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9 및 도10은 본 고안에 의한 음용수 흡입장치의 꼭지부분의 작동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11 및 도12는 본 고안에 의한 음용수 흡입장치의 꼭지부분의 작동상태를 보인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흡입관 11 : 마개
12 : 보조 마개 13 : 꼭지
14 : 단부 15 : 클립
16 : 체크 밸브 17, 20 : 관통공
18, 23, 39 : 내주면 19, 25, 36 : 외주면
21, 24 : 상단부 22 : 하단부
26 : 페트병 27 : 고정고리
28 : 배낭 끈 29, 48 : 고정 홈
30 : 고정 밴드 31 : 체결수단
32 : 집게 33 : 연결관
34 : 커버 35 : 결합관
37 : 제한 턱 38, 45 : 스프링
40 : 실리콘 마개 41 : 걸림 턱
42 : 결합 턱 43 : 결합 홈
44, 48 : 고정 홈 46 : 지지대
47 : 고정판 49 : 절개홈
50, 51 : 두꺼운 막 52 : 얇은 막
본 고안은 음용수 흡입장치에서의 꼭지구조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고안은 페트병 등과 같은 용기에 담긴 음용수를 흡입관을 통해 섭취하는 과정에서 꼭지를 이로 문 상태에서만 꼭지가 개방되도록 하는 음용수 흡입장치에서의 꼭지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탄산음료나 주스, 우유, 주류 등과 같은 각종 음용수들은 종이 팩이나 유리/플라스틱병 또는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캔 등과 같은 용기에 수용되어 유통 및 판매되고 있다.
이러한 음용수들을 수용하는 용기들은 비교적 가볍고 가공성이 좋으며 밀폐성이 매우 우수하며 다른 용기에 비해 파손의 위험성이 적으며 재활용도가 뛰어나야 함은 물론이고 사용자가 입으로 음용수를 마시기에 편리한 구조를 가져야 한다.
상기한 용기 중 음용수 용기로 가장 널리 사용되는 용기는 유리나 플라스틱재질로 제작된 병 형태인데, 이는 원통 형상으로서 상부에는 긴 목 부분이 형성되고 그 목 부분에는 뚜껑이 분리 결합 가능하도록 나사 결합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의 음용수 병에 수용된 음용수를 마시고자 할 때 사용자는 먼저 뚜껑을 강제로 열어 음용수 병의 목을 개방한다. 그 다음에 음용수 병의 목 부분이 하방을 향하도록 기울여서 음용수 병에 수용된 음용수가 중력에 의해 흘러나오도록 함으로써 사용자는 목 부분에 입을 대고 음용수를 마시거나 컵 등과 같은 다른 용기에 음용수를 따라 마실 수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의 음용수 병은 음용수를 마실 때마다 음용수 병을 기울여야 하므로 음용수 병에 중량의 음용수가 수용된 경우 이를 자유롭게 취급하기가 어렵다. 따라서 종래에는 음용수 병의 용량을 취급이 용이한 정도로 줄이는 한편 빨대로 음용수를 마실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음용수를 흡입하여 마 실 수 있는 빨대가 뚜껑과 일체형으로 이루어진 음용수 병까지도 등장하였다.
하지만, 움직이면서 빨대를 이용하여 음용수를 마시는 경우 음용수가 병 밖으로 흘러넘칠 우려가 있다. 또한, 뚜껑과 일체형으로 구성된 빨대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일정량의 음용수를 마시고 나면 음용수 병의 내부압력이 높아져 음용수를 흡입하기가 어렵다. 뿐만 아니라, 실수로 입안에 들어있던 음식물들이 빨대를 타고 음용수 병 내로 역류하게 되면, 본인은 물론이고 다른 사람들이 병에 수용된 음용수를 다시 마실 수 없다.
이에 종래에는 자전거를 타거나 운전을 할 때 혹은 등산을 하는 중에도 음용수를 쉽게 섭취할 수 있도록 페트병 등과 같은 용기에 흡입관을 결합하고, 이 흡입관의 단부에 꼭지를 두어 꼭지를 입에 물고 페트병 등과 같은 용기에 담긴 음용수를 마실 수 있도록 하고 있으나, 이는 흡입관의 단부에 결합된 꼭지를 손이나 이로 당긴 후 페트병 등과 같은 용기에 담긴 음용수를 흡입하고 음용수를 섭취하지 않을 때에는 다시 꼭지를 원상태로 이동시켜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은 페트병 등과 같은 용기에 담긴 음용수를 흡입관을 통해 섭취하는 과정에서 이로 꼭지에 적은 힘을 가하고도 페트병 등과 같은 용기에 담긴 음용수를 흡입할 수 있고 꼭지를 물고 있던 이를 떼는 것만으로도 흡입관을 통해 꼭지까지 올라왔던 음용수가 다시 페트병 등과 같은 용기로 역류하지 않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음용수 흡입장치에서의 꼭지구조는, 페트병과 같은 용기에 담긴 음용수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관과, 상기 흡입관을 페트병과 같은 용기에 결합하는 마개 및 상기 흡입관의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페트병과 같은 용기에 담긴 음용수를 흡입할 때마다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꼭지를 포함하는 음용수 흡입장치에서의 꼭지구조에 있어서, 상기 꼭지는, 상기 흡입관에 결합되는 연결관; 상기 연결관에 결합되고 중간 부분의 외주면에는 결합턱이 형성되고 중간부분의 내주면에는 걸림 턱이 형성되고 상부에는 두 개의 지지대가 연장되며 상기 지지대의 상부에 고정판이 결합된 결합관; 상기 연결관과 상기 결합관의 걸림 턱 사이에 스프링에 탄지되어 내재된 실리콘 마개; 상기 고정판과 상기 실리콘 마개 사이에 탄지된 스프링; 및 상기 지지대와 스프링을 수용되고 하단부 내면에 상기 결합관의 결합 턱과의 결합을 위한 결합 홈이 형성되며 상면에 절개홈이 형성된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 내면에는 상기 실리콘 마개의 하부에 위치한 스프링의 하강을 제한하기 위한 제한 턱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 마개의 상면과 상기 고정판의 저면에는 상기 스프링의 단부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 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은, 원호형으로 절곡된 두 개의 판 형상의 스프링의 단부가 결합된 구조로서 중앙을 부분을 누름에 따라 길이방향으로 늘어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변형이 용이한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지 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에 의한 음용수 흡입장치는 도1 및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시되지 않은 페트병 등과 같은 용기에 담긴 음용수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관(10)의 단부(14) 즉, 용기 내에 투입되는 흡입관(10)의 단부(14)가 경사지게 절단되어 있으므로 흡입관(10)을 페트병 등과 같은 용기에 결합하였을 때 흡입관(10)의 단부(14)가 용기의 바닥면에 밀착되지 않아 용기 내의 음용수를 흡입하기 용이하다.
또한 마개(11) 또는 마개(11)와 보조 마개(12)가 흡입관(10)에 끼워져 있는데, 이는 흡입관(10)을 페트병 등과 같은 용기에 결합하기 위함이다. 이때 마개(11)와 흡입관(10) 그리고 마개(11)와 보조 마개(12)는 용기에 담긴 음용수를 외부로 누수되지 않도록 서로 밀착된 구조를 갖는다.
상기 흡입관(10)의 단부에는 입에 물을 수 있는 꼭지(13)가 결합되어 있는데, 이 꼭지(13)는 페트병과 같은 용기에 담긴 음용수를 흡입할 때마다 선택적으로 개폐된다. 상기 흡입관(10)에 분리 결합되는 클립(15)은 도6에 도시한 집게와 함께 흡입관(10)을 벨트나 배낭 등에 고정해 주는 역할을 한다.
도3 및 도4는 서로 다른 직경의 상단부(24)를 가지는 페트병(26)에 흡입관(10)을 고정하기 위한 마개(11) 또는 보조 마개(12)의 결합구조를 보인 것으로서 도3에서는 마개(11)가 직경이 28 mm인 페트병(26)의 상단부(24)에 흡입관(10)을 연결시켜 주고 있으며, 도4에서는 보조 마개(11)가 마개(11)와 직경이 30 mm인 페트병(26) 상단부(24)를 연결시켜 주고 있다.
즉, 보조 마개(12) 하단부(22)의 내경이 페트병(26) 상단부(24)의 외경에 맞도록 제작함으로써 페트병(26) 상단부(24)의 외경에 관계없이 하나의 마개(11)와 페트병(26) 상단부(24)의 외경에 맞는 내경을 가지는 보조 마개(12)에 의해 페트병(26)의 상단부(24)에 흡입관(10)을 결합할 수 있다.
페트병(26)에 흡입관(10)을 고정하기 위한 페트병(26)과 마개(11)와의 결합은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페트병(26) 상단부(24)의 외주면(25)과 마개(11)의 내주면(18)과의 나사 결합에 의해 이루어진다.
따라서 마개(11)에 의해 페트병(26)의 상단부(24)에 흡입관(10)이 고정된다.
또한 페트병(26)에 흡입관(10)을 고정하기 위한 페트병(26)과 마개(11) 및 보조 마개(12)와의 결합은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페트병(26) 상단부(24)의 외주면(25)에 보조 마개(12) 하단부(22)의 내주면이 나사결합되고, 이 보조 마개(12) 상단부(21)의 외주면(19)과 마개(11)의 내주면(18)과의 나사 결합에 의해 이루어진다. 물론, 보조마개(12)의 중앙에는 흡입관(10)을 페트병(26)의 바닥까지 내리기 위한 관통공(20)이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마개(11)와 보조 마개(12)에 의해 페트병(26)의 상단부(24)에 흡입관(10)이 고정된다.
여기서, 마개(11)에 형성된 체크 밸브(16)는 페트병(26)에 담긴 음용수가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하고 페트병(26) 내의 압력변화에 따라 외부공기가 페트병(26) 내로 흡입되도록 하는 통로이다.
도5 및 도6은 클립이나 집게에 의해 흡입관을 고정한 상태를 보인 것으로서 도5에서와 같이 배낭 끈(28)이나 벨트 등을 클립(15)의 사방에 위치한 고정 홈(29)에 끼운 후 이 클립(15)의 고정 고리(27)에 흡입관(10)에 끼워 고정하거나 도6에서와 같이 흡입관(10)을 감싸고 있는 고정 밴드(30)를 체결수단(31)으로 고정한 후 고정 밴드(30)의 단부에 고정된 집게(32)로 옷깃이나 배낭 등에 고정한다.
도7은 본 고안에 의한 음용수 흡입장치의 꼭지부분을 보인 확대 사시도로서 흡입관(10)의 단부에 'ㄱ'자 형상으로 절곡된 연결관(34)이 결합되고, 이 연결관(34)의 단부에 사용자가 입에 물고 꼭지(13)를 여닫을 수 있는 결합관(35)과 커버(35)가 결합되어 있다.
도8은 본 고안에 의한 음용수 흡입장치의 꼭지부분을 보인 분해 사시도로서 연결관(33)의 외주면(36)에는 결합관(35)과의 나사 결합을 위한 나사가 형성되어 있고, 연결관(33)의 내면에는 스프링(38)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제한 턱(37)이 형성되어 있다. 특히, 스프링(38)이 끼워지는 연결관(33)의 내경이 제한 턱(37)으로부터 단부로 갈수록 커지므로 연결관(33) 내에 스프링(38)을 장착하기가 용이하다.
상기 연결관(33) 외주면(36)과의 나사 결합을 위해, 결합관(35)의 내주면(39)에는 나사가 형성되어 있고, 이 결합관(35)의 중간 부분, 즉 원기둥 형상이 끝나는 부분의 결합관(35) 안쪽에는 실리콘 마개(40)의 상승을 제한하기 위한 걸림 턱(41)이 형성되어 있으며, 원기둥 형상이 끝나는 부분의 결합관(35) 외곽에는 커버(34)와의 결합을 위한 결합 턱(42)이 형성되어 있다.
연결관(33)의 제한 턱(37)과 결합관(35)의 걸림 턱(41) 사이에 스프링(38)에 탄지된 상태로 내재된 실리콘 마개(40)는 스프링(45)과 스프링(38)의 작동에 따라 상하로 이동하면서 흡입관과 외부를 연결해 주는 결합관(35)을 개폐하는 밸브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실리콘 마개(40)가 결합관(35)의 걸림 턱(41)에 닿았을 때 실리콘 마개(40)와 결합관(35)의 걸림 턱(41) 사이에 빈 틈이 생기지 않도록 실리콘 마개(40) 상단의 모서리가 경사지게 가공되어 있다. 특히 실리콘 마개(40)의 상부에는 스프링(45)의 단부가 움직이지 않도록 잡아주기 위한 고정 홈(4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결합관(35)의 상부에는 커버(34)가 원통 형상을 유지할 수 있도록 두 개의 지지대(46)가 일정간격을 두고 위쪽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이 지지대(46)의 상부에는 스프링(34)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판(47)이 결합되어 있으며, 이 고정판(47)의 저면에는 스프링(45)의 단부가 움직이지 않도록 잡아주기 위한 고정 홈(48)이 형성되어 있다.
위에서와 같이 고정판(47)의 고정 홈(48)과 실리콘 마개(40)의 고정 홈(44) 사이에 스프링(45)이 탄지되어 있는데, 이 스프링(45)은 원호형으로 절곡된 판 형상의 두 개의 스프링의 단부가 접착된 구조를 가지므로 중간 부분을 눌렀을 때 스프링(45)이 길이방향으로 늘어난다.
상기 결합관(35)의 상부에는 지지대(46)와 스프링(45)을 감싸고 있는 커버(34)가 씌워지는데, 이 커버(34)는 사용자가 이로 물었을 때 스프링(45)과 함께 안쪽으로 오므라들 수 있는 실리콘 등과 같이 변형이 용이한 재질로 구성된다.
또한 커버(34) 하단부 내면에는 결합관(35)의 걸림 턱(42)과의 결합을 위한 결합 홈(43)이 형성되어 있고, 커버(34)의 상부에는 연결관(33)과 결합관(35)을 통해 올라온 음용수를 흡입하기 위한 절개 홈(49)이 형성되어 있다. 특히 커버(34)의 상부가 두꺼운 막(50)(51)과 얇은 막(52)으로 이루어지고 두꺼운 막(51)에 절개홈(49)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커버(34)의 측면에 압력이 가해지지 않았을 때에는 절개홈(49)이 닫힌 상태를 유지하고, 커버(34)의 측면에 압력이 가해졌을 때에는 절개홈(49)이 열린 상태를 유지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음용수 흡입장치의 꼭지(13)는 도9 및 도10에서와 같이 작동한다.
즉, 꼭지(13)에 압력이 가해지지 않은 평상시에는 스프링(45)이 원 상태를 유지하므로 도9에서와 같이 스프링(38)의 탄발력에 의해 실리콘 마개(40)의 상부가 결합관(35)의 걸림 턱(41)에 밀착되므로 페트병 등과 용기에 담긴 음용수를 흡입할 수 없다.
물론 꼭지(13) 상면의 절개홈(49) 역시 도11에서와 같이 꼭지(13)의 측면에 압력이 가해지지 않기 때문에 닫힌 상태를 유지한다.
반면에 사용자가 페트병에 담긴 음용수를 흡입하기 위해 꼭지(13)를 이로 무는 경우에는 스프링(45)이 길이방향으로 늘어나므로 도10에서와 같이 실리콘 마개(40)가 스프링(38)을 누르면서 아래로 내려가 실리콘 마개(40)의 상부가 결합관(35)의 걸림 턱(41)으로부터 떨어지므로 페트병 등과 용기에 담긴 음용수를 흡입할 수 있다.
물론 꼭지(13) 상면의 절개홈(49) 역시 도12에서와 같이 꼭지(13)의 측면에 압력이 가해지기 때문에 열린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면, 흡입관의 단부에 결합된 꼭지를 손이나 이로 당긴 후 페트병 등과 같은 용기에 담긴 음용수를 흡입하고 음용수를 섭취하지 않을 때에는 다시 꼭지를 원상태로 이동시켜야 하는 종래기술과는 달리 본 고안은 페트병 등과 같은 용기에 담긴 음용수를 흡입관을 통해 섭취하는 과정에서 꼭지를 이로 문 상태에서만 꼭지가 개방되도록 함으로써 이로 꼭지에 적은 힘을 가하고도 페트병 등과 같은 용기에 담긴 음용수를 흡입할 수 있을뿐더러 꼭지를 물고 있던 이를 떼는 것만으로도 흡입관을 통해 꼭지까지 올라왔던 음용수가 다시 페트병 등과 같은 용기로 역류하지 않는다.

Claims (5)

  1. 페트병과 같은 용기에 담긴 음용수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관과, 상기 흡입관을 페트병과 같은 용기에 결합하는 마개 및 상기 흡입관의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페트병과 같은 용기에 담긴 음용수를 흡입할 때마다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꼭지를 포함하는 음용수 흡입장치에서의 꼭지구조에 있어서,
    상기 꼭지는,
    상기 흡입관에 결합되는 연결관;
    상기 연결관에 결합되고 중간 부분의 외주면에는 결합턱이 형성되고 중간부분의 내주면에는 걸림 턱이 형성되고 상부에는 두 개의 지지대가 연장되며 상기 지지대의 상부에 고정판이 결합된 결합관;
    상기 연결관과 상기 결합관의 걸림 턱 사이에 스프링에 탄지되어 내재된 실리콘 마개;
    상기 고정판과 상기 실리콘 마개 사이에 탄지된 스프링; 및
    상기 지지대와 스프링을 수용되고 하단부 내면에 상기 결합관의 결합 턱과의 결합을 위한 결합 홈이 형성되며 상면에 절개홈이 형성된 커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용수 흡입장치에서의 꼭지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 내면에는 상기 실리콘 마개의 하부에 위치한 스프링의 하강을 제한하기 위한 제한 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용수 흡입장치에서의 꼭지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 마개의 상면과 상기 고정판의 저면에는 상기 스프링의 단부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용수 흡입장치에서의 꼭지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은, 원호형으로 절곡된 두 개의 판 형상의 스프링의 단부가 결합된 구조로서 중앙을 부분을 누름에 따라 길이방향으로 늘어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용수 흡입장치에서의 꼭지구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변형이 용이한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용수 흡입장치에서의 꼭지구조.
KR2020060032190U 2006-12-21 2006-12-21 음용수 흡입장치에서의 꼭지구조 KR20043821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32190U KR200438217Y1 (ko) 2006-12-21 2006-12-21 음용수 흡입장치에서의 꼭지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32190U KR200438217Y1 (ko) 2006-12-21 2006-12-21 음용수 흡입장치에서의 꼭지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8217Y1 true KR200438217Y1 (ko) 2008-01-29

Family

ID=413391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32190U KR200438217Y1 (ko) 2006-12-21 2006-12-21 음용수 흡입장치에서의 꼭지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8217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9712B1 (ko) * 2016-04-21 2016-08-19 이완균 물통의 밸브구조물
CN109330389A (zh) * 2018-12-11 2019-02-15 东方河马(北京)科技有限公司 一种通用胶塞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9712B1 (ko) * 2016-04-21 2016-08-19 이완균 물통의 밸브구조물
CN109330389A (zh) * 2018-12-11 2019-02-15 东方河马(北京)科技有限公司 一种通用胶塞
CN109330389B (zh) * 2018-12-11 2024-02-20 东方河马(北京)科技有限公司 一种通用胶塞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56253B2 (en) Single-piece paper cup sip adaptor
RU2012112841A (ru) Непроливающие устройства для питья
US9480625B2 (en) Infant feeding system
JP4940129B2 (ja) 飲用容器通気システムおよび飲用容器
US20090301990A1 (en) Stainless steel container and plastic cap with finger loop and stainless steel plug
JP4662970B2 (ja) 飲料サーバー
US20070138121A1 (en) Drinking devices for children with integrated valve
JP2010521388A (ja) 飲用容器
US20070034594A1 (en) Vented no-spill drinking bottle, bottle cap and associated bottle and pouch system
US20110198361A1 (en) Flip straw bottle cap with loop handle storage spout
US9932155B2 (en) Devices for controlling fluid outflow from a bottle
TW201105276A (en) Leak resistant drinking cup and diaphragm therefor
KR200438217Y1 (ko) 음용수 흡입장치에서의 꼭지구조
CN215884724U (zh) 一种瓶盖及水瓶
JP3188291U (ja) ボトル用先口器具
KR200415307Y1 (ko) 페트병에 수용된 음용수를 섭취하기 위한 장치
KR200489129Y1 (ko) 빨대를 갖는 일회용 음료컵
CN102366350B (zh) 吸取组件及应用该吸取组件的奶瓶
WO2014201847A1 (zh) 宝特瓶及其瓶盖
KR102108267B1 (ko) 용기 마개장치
US20060151426A1 (en) A reusable spill-resistant sip cap that fits beverage bottles of any size.
KR102239659B1 (ko)
KR20100137828A (ko) 빨대 고정용 하우징
CN111169796B (zh) 饮料容器及盖组件
JP3139066U (ja) 飲料サーバ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