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9712B1 - 물통의 밸브구조물 - Google Patents

물통의 밸브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9712B1
KR101649712B1 KR1020160048969A KR20160048969A KR101649712B1 KR 101649712 B1 KR101649712 B1 KR 101649712B1 KR 1020160048969 A KR1020160048969 A KR 1020160048969A KR 20160048969 A KR20160048969 A KR 20160048969A KR 101649712 B1 KR101649712 B1 KR 1016497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water
hole
hose
inha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89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완균
Original Assignee
이완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완균 filed Critical 이완균
Priority to KR10201600489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971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97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97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20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0Travelling or camp articles;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16Water-bottles; Mess-tins; Cups
    • A45F3/18Water-bottles; Mess-tins; Cups of rigid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5/00Check valves
    • F16K15/14Check valves with flexible valve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2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 F16K27/0209Check valves or pivoted va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통의 밸브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물이 저장되는 수용부재의 개구부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밀폐부재에 장착되고 내부에는 상기 수용부재의 물을 배출할 수 있도록 물 이송통로가 형성되는 밸브 고정구; 및 상기 밸브 고정구에 일 측이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고, 내부에는 상기 물 이송통로에서 공급되는 물을 전달할 수 있도록 물 배출통로가 형성되며, 반대 측에는 외력 작용 여부에 따라 개방 또는 밀폐되는 절개부가 형성되는 흡입기가 장착되는 밸브 조절구;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수용부재와 결합되는 밀폐부재에 밸브 고정구를 장착하고, 상기 밸브 고정구에는 외력 작용시 개방되고 외력 제거시 원상복귀되어 밀폐되는 흡입기가 구비된 밸브 조절구를 장착하여, 간단한 조작을 통해 상기 수용부재에 저장된 물을 배출하거나 또는 물을 보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힘이 상대적으로 약한 어린이나 노약자들도 손쉽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물통의 밸브구조물{Valve structure of water bottle}
본 발명은 물이 저장되는 수용부재를 개방 또는 차단하는 밀폐부재에 장착되는 물통의 밸브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수용부재와 결합되는 밀폐부재의 분리 없이 외력 작동시 수용부재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키고, 외력 제거시에는 수용부재의 내부와 외부를 차단할 수 있도록 한 물통의 밸브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 주 5일제가 확대됨에 따라 사람들의 여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운동을 하거나 여행, 등산, 낚시, 골프 등의 야외 활동을 즐기는 사람들이 많아지고 있다.
이렇게 야외 활동을 하는 사람들, 건설이나 공사현장에서 일하는 사람들, 농경지 등에서 일하는 사람들은 갈증을 느낄 때, 손쉽게 물을 구할 수 있는 방법이 없기 때문에 물을 물통에 넣어서 다니게 된다.
이때 상기 물통에 저장된 물을 마시고자할 경우에는, 컵을 별도로 준비하거나 또는 물통에 입을 대고 마셔야하기 때문에 물을 마시는데 많은 시간이 걸리고 컵을 별도로 준비해야하게 때문에 컵을 분실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물통은 본체와 커버가 나사결합방식으로 밀폐됨으로써, 밀폐시 사용자의 과도한 힘이 커버로 전달되거나 개폐되는 횟수가 증가함으로 인하여 상기 본체와 커버에 변형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물통은 본체에 커버가 회전작동함에 따라서 상기 본체와 커버가 맞닿는 부분에 응력집중 및 마모가 발생되어 밀폐효율이 점진적으로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물통은 사용자가 물을 마시기 위해서는 물이 수용된 물통을 입까지 들어올려야 하는데, 이 경우에 체력이 약한 어린이나 노약자들은 무거워서 물통을 올바로 들어올리지 못할 뿐만 아니라 상기 물통에 수용되는 물을 마실 때 입 주변으로 물이 흘러내려서 옷이나 주변 환경의 물질이 물이 젖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물통의 내부에 수용되는 내용물이 커피나 과즙 음료 또는 탄산 음료인 경우에는 이를 세척하기 위해서는 세척수 또는 물티슈가 요구될 뿐만 아니라 이 과정에 옷이나 주변 환경의 물질은 2차 오염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92380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2-00712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수용부재와 결합되는 밀폐부재에 밸브 고정구를 장착하고, 상기 밸브 고정구에는 외력 작용시 개방되고 외력 제거시 원상복귀되어 밀폐되는 흡입기가 구비된 밸브 조절구를 장착하여, 간단한 조작을 통해 상기 수용부재에 저장된 물을 배출하거나 또는 물을 보관할 수 있는 물통의 밸브구조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밸브 고정구와 밸브 조절구의 사이에 일 측 끝단에 호스 연결구가 장착되고 반대 측 끝단에는 호스 결합구가 장착되는 연결호스를 장착하여 물이 저장된 수용부재를 가방에 보관한 상태에서도 흡입기의 간단한 조작을 통해 물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물통의 밸브구조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본원발명인 물통의 밸브구조물은 물이 저장되는 수용부재의 개구부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밀폐부재에 장착되고 내부에는 상기 수용부재의 물을 배출할 수 있도록 물 이송통로가 형성되는 밸브 고정구; 및 상기 밸브 고정구에 일 측이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고, 내부에는 상기 물 이송통로에서 공급되는 물을 전달할 수 있도록 물 배출통로가 형성되며, 반대 측에는 외력 작용 여부에 따라 개방 또는 밀폐되는 절개부가 형성되는 흡입기가 장착되는 밸브 조절구;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밸브 고정구는 일 측에 밸브 조절구가 결합되는 조절구 장착공간이 형성되고 반대 측에는 관 결합부가 형성되며, 상기 관 결합부에는 수용부재에 저장된 물을 흡입할 수 있도록 흡입관이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흡입관은 다수개의 가변부재를 수용부재의 수용공간 높이에 맞춰 나선 또는 끼움 결합하여 형성되고, 상기 흡입관의 최하단에 위치한 가변부재에는 수용부재의 하부에 위치한 물을 유입할 수 있도록 유입 캡이 착·탈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밸브 고정구와 밸브 조절구의 사이에는 일 측 끝단에 상기 밸브 고정구와 결합되는 호스 결합구가 장착되고 반대 측에는 상기 밸브 조절구와 결합되는 호스 연결구가 장착되는 연결호스가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호스 결합구는 내부에 물 이송통로가 형성되고, 일 측에는 밸브 고정구와 결합되는 고정구 결합부가 형성되며, 반대 측에는 연결호스와 결합되는 호스 결합부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호스 연결구는 내부에 물 이송통로가 형성되고, 일 측에는 연결호스와 결합되는 호스 결합부가 형성되며, 반대 측에는 조절구 장착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밸브 조절구에 장착되는 흡입기는 경사지게 절곡형성될 수 있고, 상기 밸브 조절구와 흡입기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흡입기는 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로 형성되고 일 측에는 흡입기 통로를 통해 전달되는 물을 배출 또는 보관하는 절개부가 형성되되, 상기 절개부는 절단면이 형성되는 수평면과 상기 수평면의 외측에 형성되고 가압시 지렛대의 원리를 이용하여 상기 절단면을 개방시키는 가압면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밸브 고정구를 구성하는 조절구 장착공간에는 동일선상으로 스토퍼 장착공이 형성되고, 상기 스토퍼 장착공에는 조절구 장착공간에 삽입되는 밸브 조절구의 조절구 결합구를 고정할 수 있도록 고정스토퍼가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밀폐부재의 상부에는 밸브 고정구와 흡입기가 장착되는 밸브 조절구를 외부 영향으로부터 보호받을 수 있도록 보호 캡이 더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수용부재와 결합되는 밀폐부재에 밸브 고정구를 장착하고, 상기 밸브 고정구에는 외력 작용시 개방되고 외력 제거시 원상복귀되어 밀폐되는 흡입기가 구비된 밸브 조절구를 장착하여, 간단한 조작을 통해 상기 수용부재에 저장된 물을 배출하거나 또는 물을 보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힘이 상대적으로 약한 어린이나 노약자들도 손쉽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밸브 고정구와 밸브 조절구의 사이에 일 측 끝단에 호스 연결구가 장착되고 반대 측 끝단에는 호스 결합구가 장착되는 연결호스를 장착하여 물이 저장된 수용부재를 가방에 보관한 상태에서도 흡입기의 간단한 조작을 통해 물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운동, 등산, 여행, 낚시 등의 야외활동 등에 폭넓게 사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및 2는 본 발명에 따른 물통의 밸브구조물을 나타낸 사시도 및 단면도.
도 3 및 4는 본 발명에 따른 물통의 밸브구조물을 구성하는 밸브 고정구와 밸브 조절구 및 흡입기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및 조립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A - A선 단면도.
도 6(a) 및 6(b)은 본 발명에 따른 물통의 밸브구조물을 구성하는 밸브 조절구의 실시 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물통의 밸브구조물을 구성하는 흡입기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8 내지 11은 본 발명에 따른 물통의 밸브구조물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
도 12 및 13은 본 발명에 따른 물통의 밸브구조물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면, 도 1 및 2는 본 발명에 따른 물통의 밸브구조물을 나타낸 사시도 및 단면도이고, 도 3 및 4는 본 발명에 따른 물통의 밸브구조물을 구성하는 밸브 고정구와 밸브 조절구 및 흡입기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및 조립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A - A선 단면도이고, 도 6(a) 및 6(b)은 본 발명에 따른 물통의 밸브구조물을 구성하는 밸브 조절구의 실시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물통의 밸브구조물을 구성하는 흡입기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8 내지 11은 본 발명에 따른 물통의 밸브구조물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본원발명인 물통의 밸브구조물(100)은 물이 저장되는 수용부재(200)의 개구부(220)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밀폐부재(300)에 장착된다.
즉 상기 물통의 밸브구조물(100)은 수용부재(200)와 결합되는 밀폐부재(300)에 장착되어 상기 수용부재(200)의 내부에 저장된 물이 외부로 배출하거나 또는 물을 보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본원발명에서 상기 수용부재(200)는 소정의 크기를 가지며, 내부에는 물을 수용할 수 있도록 수용공간(210)이 형성되고, 상부에는 물의 유입과 배출될 수 있도록 개구부(220)가 형성된다.
즉 상기 수용부재(200)는 상부에 형성되는 개구부(220)를 통해 수용공간(210)에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수용부재(200)의 형상은 도시된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수용부재(200)는 반투명 또는 수용공간(210)에 저장되는 물의 양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하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수용부재(200)의 상부 외면에는 밀폐부재(300)와 원활한 결합을 위하여 나선부(230)가 형성된다.
상기 밀폐부재(300)는 수용부재(200)의 개구부(220)에 장착되어 상기 수용부재(200)의 개구부(220)를 차단 또는 개방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밀폐부재(300)는 수용부재(200)와 원활한 결합을 위하여 하부가 개방되고, 내면에는 나선부(310)가 형성되며, 상부에는 고정구 장착공(320)이 형성된다.
즉 상기 밀폐부재(300)는 하부가 개방되는 원통 형상으로 내면에 나선부(310)를 형성하고 상부에는 고정구 장착공(320)을 형성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밀폐부재(300)의 형상과 구조는 도시된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수용부재(200)의 형상 및 미관 향상을 위하여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음을 밝힌다.
다음으로 상기 밀폐부재(300)의 상부에는 밸브 고정구(400)와 흡입기(600)가 장착되는 밸브 조절구(500)를 보호할 수 있도록 보호 캡(900)이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다.
즉 상기 보호 캡(900)은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형성되면서 밀폐부재(300)의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밸브 고정구(400)와 흡입기(600)가 장착된 밸브 조절구(500)를 외부 영향으로부터 보호하면서도 먼지 등의 이물질이 흡입기(600)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게 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본원발명인 물통의 밸브구조물(100)은 밀폐부재(300)에 결합되고 내부에는 물 이송통로가 형성되는 밸브 고정구(400)와 상기 밸브 고정구(400)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고 일 측에는 외력의 작용 여부에 따라 개방 또는 폐쇄되는 절개부가 형성되는 흡입기(600)가 장착되는 밸브 조절구(500)로 구성된다.
즉 상기 물통의 밸브구조물(100)은 밀폐부재(300)의 고정구 장착공(320)에 물 이송통로가 형성된 밸브 고정구(400)를 장착하고, 상기 밸브 고정구(400)에 절개부가 형성되는 흡입기(600)가 장착되는 밸브 조절구(500)를 장착하여, 외력 작용시 상기 흡입기(600)의 절개부가 개방되어 물을 배출하고 외력 제거시에는 상기 흡입기(600)의 절개부가 원상복귀되면서 밀착되어 물의 배출을 차단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밸브 조절구(500)와 흡입기(600)는 고무재질로 제작되면서 일체로 형성될 수 있음을 밝힌다.
상기 밸브 고정구(400)는 밀폐부재(300)의 고정구 장착공(320)에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밸브 고정구(400)는 내부에 물 이송통로(410)가 형성되고, 일 측에는 조절구 장착공간(420)이 형성되며, 반대 측에는 관 결합부(430)가 형성된다.
즉 상기 밸브 고정구(400)는 수용부재(200)에서 공급되는 물을 배출할 수 있도록 내부를 관통형성하고, 일 측에는 밸브 조절구(500)와 결합을 위하여 조절구 장착공간(420)을 형성하며, 반대 측에는 물의 유입과 후설 할 흡입관과 결합을 위하여 관 결합부(430)를 돌출형성한 것이다.
본원발명에서 상기 밸브 고정구(400)는 원통 형상으로 상부에 조절구 장착공간(420)을 형성하고 하부에는 연속 쐐기 형상의 관 결합부(430)가 형성되는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밸브 고정구(400)를 구성하는 조절구 장착공간(420)에는 동일선상으로 스토퍼 장착공(440)과 핀 고정공(442)이 형성되고, 상기 스토퍼 장착공(440)에는 조절구 장착공간(420)에 삽입되는 밸브 조절구(500)의 조절구 결합구(520)를 고정할 수 있도록 고정스토퍼(450)가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스토퍼(450)는 중공형상으로 일 측에 고정돌기(452)가 형성되는 스토퍼 결합부(451)와, 상기 고정돌기(452)의 반대 측에 위치한 스토퍼 결합부(451)에 일체로 형성되는 가압작동부(453)와, 상기 밸브 고정구(400)에 일 측이 지지되고 반대 측이 가압작동부(453)에 지지되는 스프링(454)으로 구성된다.
즉 상기 고정스토퍼(450)는 조절구 장착공간(420)에 스토퍼 결합부(451)를 삽입시킨 후 상기 스토퍼 결합부(451)의 내부에 조절구 결합구(520)가 결합하여 고정한 것이다.
이때 상기 고정스토퍼(450)는 고정돌기(452)가 핀 고정공(442)에 고정됨으로써 상기 조절구 결합구(520)의 결합시 위치가 변동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스프링(454)은 밸브 조절구(500)의 배출시 고정스토퍼(450)가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밸브 조절구(500)는 밸브 고정구(400)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밸브 조절구(500)는 내부에 물 배출통로(510)가 형성되며, 일 측에는 상기 밸브 고정구(400)의 조절구 장착공간(420)에 삽입장착되는 조절구 결합부(520)가 형성되고, 반대 측에는 흡입기(600)와 결합되는 흡입기 결합부(530)가 형성되며, 상기 조절구 결합부(520)와 흡입기 결합부(530)의 사이에는 밸브 고정구(400)에 지지될 수 있도록 단턱지지부(540)가 수평방향으로 돌출형성된다.
즉 상기 밸브 조절구(500)는 내부에 밸브 고정구(400)의 물 이송통로(410)에서 공급되는 물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물 배출통로(510)를 형성하고, 일 측에는 밸브 고정구(400)와 결합을 위하여 조절구 결합부(520)를 형성하며, 반대 측에는 흡입기(600)와 결합을 위하여 흡입기 결합부(530)를 형성하고, 상기 조절구 결합부(520)와 흡입기 결합부(530)의 사이에는 단턱지지부(540)를 수평방향으로 돌출형성한 것이다.
이를 좀더 보충설명하면, 상기 밸브 조절구(500)는 밸브 고정구(400)의 조절구 장착공간(420)에 조절구 결합부(520)를 밸브 고정구(400)의 끝단에 접촉되는 단턱지지부(540)의 거리만큼 삽입한 후 상기 물 이송통로(410)에서 공급되는 물을 물 배출통로(510)를 통해 흡입기(600)의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밸브 고정구(400)와 결합되는 밸브 조절구(500)의 외면에는 밀봉을 위하여 오링(550)이 장착된다.
즉 상기 오링(550)은 밸브 고정구(400)의 조절구 장착공간(420)에 장착되는 밸브 조절구(500)의 조절구 결합부(520)의 외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장착되어 상기 물 이송통로(410)를 통해 공급되는 물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조절구 결합부(520)는 흡입기(600)를 원하는 방향으로 회전작동시킬 수 있도록 밸브 고정구(400)의 조절구 장착공간(420)에 장착된다.
즉 상기 밸브 조절구(500)와 흡입기(600)를 자유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물이 수용되는 수용부재(200)의 회전 없이 상기 밸브 조절구(500)와 흡입기(600)만을 회전작동시켜 상기 수용부재(200)의 수용공간(210)에 저장된 물을 용이하게 흡입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조절구 결합부(520)는 외면에 장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오링(550)을 통하여 상기 조절구 결합부(520)가 결합되는 조절구 장착공간(420)으로 물이 배출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밸브 조절구(500)의 흡입기 결합부(530)는 대상물에 따라서 도시된 도 6(a) 및 6(b)와 같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밸브 조절구(500)의 흡입기 결합부(530)에 결합되는 대상물이 흡입기(600)인 경우에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하고, 상기 밸브 조절구(500)의 흡입기 결합부(530)에 결합되는 대상물이 연결호스인 경우에는 결합력을 높일 수 있도록 쐐기형상으로 형성한 것이다.
상기 흡입기(600)는 밸브 조절구(500)에 장착되고 외력 작동시 개방되고 외력 제거시 밀폐된다.
여기서 상기 흡입기(600)는 환경 및 목적 등에 따라 도시된 도 1 및 2와 같이 경사지게 형성되거나 도시된 도 8과 같이 수직으로 형성되고, 본원발명에서 상기 흡입기(600)는 먼지 등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경사지게 절곡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흡입기(600)는 원상복귀가 가능한 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로 형성되고, 내부에는 물의 이동을 위해 흡입기 통로(610)가 형성되고, 일 측에는 외력의 작용 여부에 따라 개방 또는 폐쇄되는 절개부(620)가 형성된다.
즉 상기 흡입기(600)는 밸브 조절구(500)의 흡입기 결합부(530)에 결합되어 수용부재(200)에서 전달되는 물을 공급받으며, 상기 흡입기(600)에 전달된 물은 절개부(620)의 외력 전달에 따른 개방시 외부로 배출되고 외력 미전달시 내부에 수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절개부(620)는 중앙에 절단면(622)이 형성되는 수평면(621)과, 상기 수평면(621)의 외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되고 가압시 수평면(621)의 절단면(622)을 개방시키는 가압면(623)으로 형성된다.
즉 상기 절개부(620)는 외력 전달시 가압면(623)을 기준으로 수평면(621)이 연동작동하여 절단면(622)을 분리시키고, 외력 제거시에는 수평면(621)과 지지면(622)이 탄성에 의하여 원상복귀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흡입관(700)은 밸브 고정구(400)에 장착된 후 수용부재(200)의 내부에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흡입관(700)은 중공형상으로 소정의 길이 및 지름을 가지며 합성수지 또는 금속재질로 형성된다.
즉 상기 흡입관(700)은 밸브 고정구(400)를 구성하는 관 결합부(430)에 결합되어 상기 수용부재(200)의 수용공간(210)에 저장된 물을 용이하게 배출함과 동시에 하부에 위치함 물도 용이하게 배출하게 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흡입관(700)의 하부에는 중앙에 관 결합공(742)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간격을 높이 조절부(744)가 형성되는 유입 캡(740)이 장착될 수 있다.
즉, 상기 유입 캡(740)은 흡입관(700)의 하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수용부재(200)의 수용공간(210) 하부에 위치한 물을 용이하게 흡입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흡입관(700)은 도시된 도 9와 같이 다수개의 가변부재(720)를 수용부재(200)의 수용공간 높이에 맞춰 나선 또는 끼움 결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흡입관(700)을 수용부재(200)의 수용공간(210)에 따라 가변부재(720)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상기 수용부재(200)의 수용공간(210)에 수용된 물을 용이하게 흡입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가변부재(720)의 하부에는 상기 유입 캡(740)이 선택적으로 장착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물통의 밸브구조물(100)은 도시된 도 10 및 11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
즉 도시된 도 10 및 11의 물통의 밸브구조물(100)은 산행 등과 같은 야외활동시 가방 등에 보관되는 수용부재(200)에 저장된 물을 외부로 간단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 연결호스(800)가 장착되는 예를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 상기 연결호스(800)가 도시된 도 13과 같이 사용되는 경우에는, 상기 연결호스(800)의 고정 등을 위하여 어깨 멜빵 등이 부재에 선택적으로 고정될 수 있음을 밝힌다.
그리고 상기 연결호스(800)의 일 측 끝단에는 상기 밸브 고정구(400)와 결합되는 호스 결합구(820)가 장착되고 반대 끝단에는 상기 밸브 조절구(500)와 결합되는 호스 연결구(840)가 장착된다.
이때 상기 연결호스(800)는 연성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되고 길이와 내부 지름의 크기는 목적 및 환경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호스 결합구(820)는 내부에 물 이송통로(821)가 형성되고, 일 측에는 밸브 고정구(400)와 결합되는 고정구 결합부(822)가 형성되며, 반대 측에는 연결호스(800)와 결합되는 호스 결합부(823)가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호스 연결구(840)는 내부에 물 이송통로(841)가 형성되고, 일 측에는 연결호스(800)와 결합되는 호스 결합부(842)가 형성되며, 반대 측에는 조절구 장착공간(843)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호스 연결구(840)에는 물의 이동 또는 차단을 위하여 밸브(860)가 선택적으로 장착된다.
즉 상기 호스 연결구(840)에 장착되는 밸브(860)는 물통의 밸브구조물(100)의 미사용시 물의 이동을 차단함과 동시에 이동시 사용자의 부주의 또는 외부 물체의 충돌에 의하여 흡입기(600)가 작동하여 외부로 물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때 상기 밸브(860)는 도시된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내부 통로를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는 공지된 밸브가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 있음을 밝힌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물통의 밸브구조물의 실시 예를 참조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소정의 크기를 가지며, 내부에는 물을 수용할 수 있도록 수용공간(210)이 형성되고, 상부에는 물의 유입과 배출될 수 있도록 개구부(220)가 형성되는 수용부재(200)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수용부재(200)의 개구부(220)에 수용부재(200)와 원활한 결합을 위하여 하부가 개방되고, 내면에는 나선부(310)가 형성되며, 상부에는 고정구 장착공(320)이 형성되는 밀폐부재(300)를 장착한다.
다음으로 상기 밀폐부재(300)의 고정구 장착공(320)에 물 이송통로(410)가 내부에 형성되고, 일 측에는 조절구 장착공간(420)이 형성되며, 반대 측에는 관 결합부(430)가 형성되는 밸브 고정구(400)를 장착한다.
이때 상기 조절구 장착공간(420)에는 동일선상으로 스토퍼 장착공(440)과 핀 고정공(442)이 형성되고, 상기 스토퍼 장착공(440)에는 조절구 장착공간(420)에 삽입되는 밸브 조절구(500)의 조절구 결합구(520)를 고정할 수 있도록 고정스토퍼(450)가 장착된다.
상기 관 결합부(430)에는 중공형상으로 소정의 길이 및 지름을 가지는 흡입관(700)을 장착한다.
그리고 상기 조절구 장착공간(420)으로 내부에 물 배출통로(510)가 형성되며, 일 측에는 상기 밸브 고정구(400)의 조절구 장착공간(420)에 삽입장착되는 조절구 결합부(520)가 형성되고, 반대 측에는 흡입기 결합부(530)가 형성되며, 상기 조절구 결합부(520)와 흡입기 결합부(530)의 사이에는 밸브 고정구(400)에 지지될 수 있도록 단턱지지부(540)가 수평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밸브 조절구(500)를 장착한다.
다음으로 상기 밸브 조절구(500)의 흡입기 결합부(530)에 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로 형성되면서 경사지게 절곡형성되고, 내부에는 물의 이동을 위해 흡입기 통로(610)가 형성되고, 일 측에는 외력의 작용 여부에 따라 개방 또는 폐쇄되는 절개부(620)가 형성되는 흡입기(600)를 장착하면 물통의 밸브구조물(100)은 완료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물통의 밸브구조물의 조립순서는 상기와 다르게 구성될 수 있음을 밝힌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물통의 밸브구조물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수용부재(200)의 나선부(230)와 결합된 밀폐부재(300)의 나선부(310)를 회전작동시켜서 분리시킨다.
이때 상기 밀폐부재(300)에 장착된 밸브 고정구(400)와 밸브 조절구(500) 및 흡입기(600) 등도 밀폐부재(300)를 따라 수용부재(200)에서 분리된다.
그리고 상기 수용부재(200)의 개구부(220)를 통해 수용공간(210)으로 물을 저장한 후 상기 수용부재(200)의 나선부(230)에 밸브 고정구(400)와 밸브 조절구(500) 및 흡입기(600) 등이 장착된 밀폐부재(300)의 나선부(310)를 회전작동시켜 고정결합한다.
이때 상기 수용부재(200)에는 음용수가 저장되는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상기 음용수가 저장된 물통의 밸브구조물(100)을 휴대하고 야외활동(운동, 산책, 낚시 등)을 즐기다, 상기 물통의 밸브구조물(100)의 수용부재(200)에 저장된 음용수를 마시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흡입기(600)를 컵 또는 입 등의 상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흡입기(600)의 절개부(620)에 외력을 전달하면 된다.
즉 상기 흡입기(600)의 절개부(620)에 외력이 전달되면, 상기 절개부(620)는 가압면(623)을 기준으로 수평면(621)이 연동작동하여 절단면(622)을 분리되어 음용수를 외부로 전달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밸브 고정구(400)의 관 결합부(430)에 흡입관(700)이 장착된 경우에는, 상기 흡입기(600)를 입안에 삽입한 후 빨면 손쉽게 수용부재(200)의 수용공간(210)에 저장된 음용수를 마실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외부로 배출되는 음용수를 차단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흡입기(600)의 절개부(620)에 외력을 제거하면 되는 것이다.
즉 상기 흡입기(600)의 절개부(620)에 외력이 제거되면, 상기 절개부(620)를 구성하는 수평면(621)과 가압면(623)이 탄성에 의하여 원위치되고 상기 수평면(621)의 절단면(622)은 밀착되어 음용수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발명인 물통의 밸브구조물을 설명함에 있어 특정형상 및 방향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물통의 밸브구조물, 200 : 수용부재,
210 : 수용공간, 220 : 개구부,
230 : 나선부, 300 : 밀폐부재,
310 : 나선부, 320 : 고정구 장착공,
400 : 밸브 고정구, 410 : 물 이송통로,
420 : 조절구 장착공간, 430 : 관 결합부,
440 : 스토퍼 장착공, 450 : 고정스토퍼,
500 : 밸브 조절구, 510 : 물 배출통로,
520 : 조절구 결합부, 530 : 흡입기 결합부,
540 : 단턱지지부, 550 : 오링,
600 : 흡입기, 610 : 흡입기 통로,
620 : 절개부, 700 : 흡입관,
800 : 연결호스, 820 : 호스 결합구,
840 : 호스 연결구, 860 : 밸브.

Claims (10)

  1. 물이 저장되는 수용부재의 개구부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밀폐부재에 장착되고 내부에는 상기 수용부재의 물을 배출할 수 있도록 물 이송통로가 형성되는 밸브 고정구; 및 상기 밸브 고정구에 일 측이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고, 내부에는 상기 물 이송통로에서 공급되는 물을 전달할 수 있도록 물 배출통로가 형성되며, 반대 측에는 외력 작용 여부에 따라 개방 또는 밀폐되는 절개부가 형성되는 흡입기가 장착되는 밸브 조절구; 로 구성하고,
    상기 흡입기는 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로 형성되고 일 측에는 흡입기 통로를 통해 전달되는 물을 배출 또는 보관하는 절개부가 형성되되,
    상기 절개부는 절단면이 형성되는 수평면과 상기 수평면의 외측에 형성되고 가압시 지렛대의 원리를 이용하여 상기 절단면을 개방시키는 가압면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통의 밸브 구조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고정구는 일 측에 밸브 조절구가 결합되는 조절구 장착공간이 형성되고 반대 측에는 관 결합부가 형성되며,
    상기 관 결합부에는 수용부재에 저장된 물을 흡입할 수 있도록 흡입관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통의 밸브구조물.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관은 다수개의 가변부재를 수용부재의 수용공간 높이에 맞춰 나선 또는 끼움 결합하여 형성되고, 상기 흡입관의 최하단에 위치한 가변부재에는 수용부재의 하부에 위치한 물을 유입할 수 있도록 유입 캡이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통의 밸브 구조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고정구와 밸브 조절구의 사이에는 일 측 끝단에 상기 밸브 고정구와 결합되는 호스 결합구가 장착되고 반대 측에는 상기 밸브 조절구와 결합되는 호스 연결구가 장착되는 연결호스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통의 밸브 구조물.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 결합구는 내부에 물 이송통로가 형성되고, 일 측에는 밸브 고정구와 결합되는 고정구 결합부가 형성되며, 반대 측에는 연결호스와 결합되는 호스 결합부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호스 연결구는 내부에 물 이송통로가 형성되고, 일 측에는 연결호스와 결합되는 호스 결합부가 형성되며, 반대 측에는 조절구 장착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통의 밸브 구조물.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조절구에 장착되는 흡입기는 경사지게 절곡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통의 밸브 구조물.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조절구와 흡입기는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통의 밸브 구조물.
  8. 삭제
  9. 제 1항에 있어서,
    밸브 고정구를 구성하는 조절구 장착공간에는 동일선상으로 스토퍼 장착공이 형성되고, 상기 스토퍼 장착공에는 조절구 장착공간에 삽입되는 밸브 조절구의 조절구 결합구를 고정할 수 있도록 고정스토퍼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통의 밸브 구조물.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부재의 상부에는 밸브 고정구와 흡입기가 장착되는 밸브 조절구를 외부 영향으로부터 보호받을 수 있도록 보호 캡이 더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통의 밸브구조물.
KR1020160048969A 2016-04-21 2016-04-21 물통의 밸브구조물 KR1016497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8969A KR101649712B1 (ko) 2016-04-21 2016-04-21 물통의 밸브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8969A KR101649712B1 (ko) 2016-04-21 2016-04-21 물통의 밸브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9712B1 true KR101649712B1 (ko) 2016-08-19

Family

ID=568751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8969A KR101649712B1 (ko) 2016-04-21 2016-04-21 물통의 밸브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9712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75596A (ja) * 2003-03-18 2004-10-07 Showa Denko Plastic Products Co Ltd 飲料用ストローおよびこの製造方法ならびに飲料入り飲料容器
KR20060086800A (ko) * 2005-01-26 2006-08-01 이광복 빨대
KR200438217Y1 (ko) * 2006-12-21 2008-01-29 이우용 음용수 흡입장치에서의 꼭지구조
KR20100111655A (ko) * 2010-09-27 2010-10-15 김인배 기능성 물통
KR20120000712A (ko) 2010-06-28 2012-01-04 (주)네오플램 휴대용 물통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75596A (ja) * 2003-03-18 2004-10-07 Showa Denko Plastic Products Co Ltd 飲料用ストローおよびこの製造方法ならびに飲料入り飲料容器
KR20060086800A (ko) * 2005-01-26 2006-08-01 이광복 빨대
KR200438217Y1 (ko) * 2006-12-21 2008-01-29 이우용 음용수 흡입장치에서의 꼭지구조
KR20120000712A (ko) 2010-06-28 2012-01-04 (주)네오플램 휴대용 물통
KR101192380B1 (ko) 2010-06-28 2012-10-17 (주)네오플램 휴대용 물통
KR20100111655A (ko) * 2010-09-27 2010-10-15 김인배 기능성 물통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599861T3 (es) Botellas de bebida con boquilla accionada por mordida
CA2959635C (en) Liquid dispensing tap, particularly for dispensing liquids with higher densities from rigid vessels
ES2274638T3 (es) Grifo dispensador de liquidos.
US8403168B2 (en) Cup assembly
US20050205587A1 (en) Cup assembly
US6101974A (en) Combination pet water bottle and bowl
US4440323A (en) Device for dispensing metered quantities of fluid from a container
US20140353275A1 (en) Valved cap for beverage containers
US20090255944A1 (en) Beverage container
US20070138121A1 (en) Drinking devices for children with integrated valve
CN101730492A (zh) 涉及饮用器皿的发明
CA2256823A1 (en) A spill-protecting drinking vessel top
EP1627586B1 (en) Cup with a valve for drinking juice
US20120012597A1 (en) Check Valve Drinking Device
KR200463135Y1 (ko) 스포이드형 용기
US4180106A (en) Device for dispensing measured quantities of a liquid from a bottle
KR101649712B1 (ko) 물통의 밸브구조물
WO2002066171A1 (en) Bi-directional flow spout attachment
KR101565236B1 (ko) 스트로우를 구비한 음료용기
US6766915B2 (en) Drink container for small children
US20080073363A1 (en) Drinking cup and cover with flow directing assembly
US689468A (en) Measuring-faucet.
KR101311949B1 (ko) 스트로우를 구비한 음료 용기
US8297483B2 (en) Liquid dispenser
KR101157492B1 (ko) 음료 용기 마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