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11655A - 기능성 물통 - Google Patents

기능성 물통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11655A
KR20100111655A KR1020100093088A KR20100093088A KR20100111655A KR 20100111655 A KR20100111655 A KR 20100111655A KR 1020100093088 A KR1020100093088 A KR 1020100093088A KR 20100093088 A KR20100093088 A KR 20100093088A KR 20100111655 A KR20100111655 A KR 201001116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cket
water
valve
drinking water
drin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30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93101B1 (ko
Inventor
김인배
Original Assignee
김인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인배 filed Critical 김인배
Priority to KR10201000930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3101B1/ko
Publication of KR201001116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16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31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31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02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65D1/0223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characterised by shape
    • B65D1/023Neck construction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0Travelling or camp articles;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16Water-bottles; Mess-tins; Cups
    • A45F3/18Water-bottles; Mess-tins; Cups of rigid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22Details
    • B65D77/24Inserts or accessori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filling of containers
    • B65D77/28Cards, coupons, or drinking stra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능성 물통에 관한 것으로, 물통(300)과, 상기 물통(300)속의 물이 물통밖으로 흘러내리지 않게 물통 입구에 설치되는 커버(380)와, 상기 물통(300)속의 물을 흡입할 수 있게 상부에는 사용자가 입속에 넣는 음수용 캡(340)이 설치되고, 하부에는 물통(300)속의 물을 흡입하는 밸브(360)가 설치된 식수관(320)으로 구성되어, 사용자가 상기 식수관(320)을 통해 물통(300)속의 물을 마실 수 있는 물통(300)에 있어서, 상기 물통(300)속의 밸브(360)에는 무게추(330)가 설치되어, 등산 등의 야외활동 시, 배낭에 든 물통(300)이 흔들리더라도 식수관(320)에 연결된 물통(300)속의 밸브(360)가 상기 무게추(330)에 의해 항상 물통(300) 바닥에 위치함으로써, 사용자가 손으로 물통(300)을 파지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용이하게 식수를 마실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기능성 물통{FUNTIONAL WATER BOTTLE}
본 발명은 물통에 관한 것으로, 등산 등의 야외 활동 시, 사용자가 손으로 물통을 파지하지 않더라도 용이하게 물통에 든 식수를 마실 수 있게 구성된 기능성 물통에 관한 것이다.
물은 인간이 생명을 유지하는데 가장 필수적인 성분으로, 정상적인 체력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음료와 식사 조리용 등으로 물이 최소한 하루에 수 리터는 필요하다
따라서 물을 쉽게 구할 수 없는 장소에서 먼 거리를 이동 또는 활동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물통이 필요하다.
종래기술인 휴대용 물통은 실용신안등록번호 20-0399196의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물통(100)은 액상의 물질을 저장할 수 있는 물통(110) 및 물통(110)의 입구를 개폐하는 뚜껑(140)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물통(110)은 몸체의 임의의 위치에 물통(110)의 몸체의 외주면을 일주하면서 형성된 홈(180)이 복수개 형성되어, 상기 홈(180)에 휴대용 고리(160)를 설치할 수 있으며, 물통(110)의 일측면은 타측보다 안쪽으로 들어가게 구성되어 있으며, 그 하단은 밖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돌출된 하단에 빨대 또는 호스(200)를 끼울 수 있는 호스고정부(110)가 형성된다.
상기 돌출된 하단은, 그 내부가 물통(110)의 내부 공간과 일체로 형성되어 호스고정부(120)에 형성된 음료배출구(122)를 통해 물통(110)에 저장된 음료를 빨대 또는 호스(200)를 통해 사용자가 마실 수 있다.
뚜껑(140)에는 빨대 또는 호스(200)를 물통(110) 내부에 삽입할 수 있는 호스삽입구(144)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호스삽입구(144)에 삽입된 빨대 또는 호스(200)를 통하여 물통(110) 내부에 저장된 음료를 마시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공기구멍(142)이 더 형성되어 있다. 호스삽입구(144)는 테이퍼지게 형성되어, 음료의 불필요한 방출을 막는 것이다.
또한, 뚜껑(140)에 형성된 호스삽입구(144)를 통해 음료를 마시지 않을 경우에는 물통(110)에 저장된 음료의 방출을 막기 위한 호스삽입구 뚜껑(146)이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뚜껑(140)의 크기는 시중에서 볼 수 있는 생수병 또는 패트병에 사용되는 뚜껑의 크기와 일치하여, 본 발명의 물통(110) 외에도 일반 매장에서 구입할 수 있는 생수병 또는 음료병에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뚜껑(140)에 형성된 호스삽입구(144) 또는 물통(110)의 하단에 형성된 호스고정부(120)에 사용되는 빨대 또는 호스(200)는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상기 호스삽입구(144)에 삽입되거나 호스고정부(120)에 결합되는 면의 타단에 끼움결합되는 보조기구(202)를 더 포함한다. 이때, 보조기구(202)는 빨대 또는 호스(200)와 결합되는 면의 타측이 상기 빨대 또는 호스(200)와 결합되는 면보다 넓게 형성되는 것이다.
종래기술의 또 다른 실시례로 워터백이 있는데, 상기 워터백은 얇은 물주머니 형태로 되어 있기 때문에 항상 같은 부피를 차지하는 일반 물통과 달리 물을 담지 않았을 때에는 작게 접거나 말아서 배낭에 보관할 수 있고, 자체 중량이 가벼워서 휴대가 편리하다.
워터백의 한 종류로서 도 2에 종래기술로 도시된 실용신안등록번호 20-0406351인 휴대용 물병은 링거 줄(20)이 달려있는 비닐 팩(10)과, 상기 링거줄(20)을 삽입시켜 고리형상(30)으로 하여 고정하는 고정구(35)를 포함하고 상기 링거줄(20)의 단부에는 빨대가 연결된 흡입구(50)가 마련되며, 상기 비닐 팩(10)의 소정 부위에는 허리띠를 삽입하여 착용할 수 있도록 고리부(50)를 마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 2에서, 상기 비닐 팩(10)은 물 등 음료수를 수용하는 부분으로, 상기 비닐 팩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일정량의 물을 먹은 후 플라스틱 물병 내에 진공 상태가 발생하여 음압으로 물이 잘 나오지 않았고, 물이 줄어들면서 물병 내의 물이 출렁거려 불편한 점을 해소하여 물이 빠져나간 만큼 부피가 줄어들어 음압의 발생이 없으며, 또한 출렁임 없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링거줄(20)은 상기 비닐 팩(10)과 일체로 연결되어 있거나, 상기 링거줄에 병뚜껑을 연결하여 비닐 팩과 연결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고리 형상은 상기 링거줄(20)을 구부린 후 고정구(35)에 삽입시켜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고정구(35)는 물병 뚜껑 등을 이용하여 만들 수 있으며, 상기 고정구(35)에 만들어진 고리 형상(30)은 달리거나 자전거를 타면서도 물을 마실 수 있도록 상기 빨대가 연결된 흡입구(40)를 사용하기에 편리하게끔 목이나 귀에 걸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링거줄(20)에는 조절 레버(25)를 부착하여 빨대가 부착된 흡입구(40)에서 흡입되는 물의 양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물통이나 워터백은 등산 등의 야외활동시, 배낭에 든 물통이 흔들릴 경우 식수관에 연결되며, 물통속 하부에 위치하는 밸브가 따라서 요동하여 물통 상부나 좌우 측에 치우치게 되어, 물 대신에 공기가 공급되는 등, 물의 공급이 원활하지 않게 되는 단점이 있었다.
그리고 상기 종래의 워터백은 식수를 많이 채우면, 워터백 내부의 호스에 압력을 주게 되어 식수공급이 원활하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등산 등의 야외활동시, 배낭에 든 물통이 흔들리더라도 식수관에 연결된 물통속의 밸브가 무게추에 의해 항상 물통 바닥에 위치함으로써, 사용자가 손으로 물통을 파지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용이하게 식수를 마실 수 있는 기능성 물통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기능성 물통에 관한 것으로, 물통(300)과, 상기 물통(300)속의 물이 물통밖으로 흘러내리지 않게 물통 입구에 설치되는 커버(380)와, 상기 물통(300)속의 물을 흡입할 수 있게 상부에는 사용자가 입속에 넣는 음수용 캡(340)이 설치되고, 하부에는 물통(300)속의 물을 흡입하는 밸브(360)가 설치된 식수관(320)으로 구성되어, 사용자가 상기 식수관(320)을 통해 물통(300)속의 물을 마실 수 있는 물통(300)에 있어서, 상기 물통(300)속의 밸브(360)에는 무게추(330)가 설치되어, 등산 등의 야외활동 시, 배낭에 든 물통(300)이 흔들리더라도 식수관(320)에 연결된 물통(300)속의 밸브(360)가 상기 무게추(330)에 의해 항상 물통(300) 바닥에 위치함으로써, 사용자가 손으로 물통(300)을 파지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용이하게 식수를 마실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등산 등의 야외활동시, 배낭에 든 물통이 흔들리더라도 식수관에 연결된 물통속의 보조밸브가 무게추에 의해 항상 물통 바닥에 위치함으로써, 사용자가 손으로 물통을 파지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용이하게 식수를 마실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물통의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다른 실시례의 워터백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인 기능성 물통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종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인 기능성 물통의 다른 실시예의 종 단면도
도 6은 도 3의 평면단면도
도 7은 본 발명 기능성 물통의 음수용 캡 상세도
본 발명은 기능성 물통에 관한 것으로, 물통(300)과, 상기 물통(300)속의 물이 물통밖으로 흘러내리지 않게 물통 입구에 설치되는 커버(380)와, 상기 물통(300)속의 물을 흡입할 수 있게 상부에는 사용자가 입속에 넣는 음수용 캡(340)이 설치되고, 하부에는 물통(300)속의 물을 흡입하는 밸브(360)가 설치된 식수관(320)으로 구성되어, 사용자가 상기 식수관(320)을 통해 물통(300)속의 물을 마실 수 있는 물통(300)에 있어서, 상기 물통(300)속의 밸브(360)에는 무게추(330)가 설치되어, 등산 등의 야외활동 시, 배낭에 든 물통(300)이 흔들리더라도 식수관(320)에 연결된 물통(300)속의 밸브(360)가 상기 무게추(330)에 의해 항상 물통(300) 바닥에 위치함으로써, 사용자가 손으로 물통(300)을 파지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용이하게 식수를 마실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무게추(330)는 상기 밸브(360)와 일체형으로 사출성형되거나, 또는 상기 밸브(360)에 조립식으로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물통(300) 커버(380) 하부에는 보조밸브(370)가 설치되어 있어서 물의 차단 및 배출이 확실히 작동되며, 또한 물통(300) 내부 하부에는 식수정화용 팩을 수용하는 수납공간(303)이 형성되어 있어서, 물을 정화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물통 하부에는 물통하부 밸브(346)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을 첨부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의 물통의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다른 실시례의 워터백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인 기능성 물통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종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인 기능성 물통의 다른 실시예의 종 단면도, 도 6는 도 3의 평면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 기능성 물통의 음수용 캡 상세도이다.
본 발명의 상기 입구가 형성된 물통 몸체의 내부에는 상부에 단턱이 형성된 부시가 결합되며, 상기 부시의 단턱부위에는 음수용 캡이 상부에 안치되는 커버가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커버의 상부 외주연에는 상기 차단판이 결합되며, 상기 차단판의 외부에는 물통뚜껑이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부시와 차단판 사이에는 밀봉링이 끼워지는 것이다. 또한 상기 식수관의 재질은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으로 구성된다.
음수용 캡은 꼭지모양이며, 상단부의 중심부에 음수용 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음수용 구멍과 연결된 두 개 이상의 공기구멍이 하부로 이격되어 형성되어 있으며, 음수용 캡을 잡고 위로 당기면 공기구멍이 음수용 구멍과 연결되고, 음수용 캡을 잡고 밑으로 누르면 공기구멍과 차단되는 구조로 설치하게 되는데, 이는 음료수 캡으로 식수를 빨아먹을 때는 음수용 캡을 위로 당기면 되고, 음수용 캡을 아래로 내리면 더 이상 음수용 캡에서는 식수가 흘러나오지 않게 하기 위해서이다.
그리고, 커버 하단부에는 밸브판막의 역할을 하는 보조밸브 몸체가 설치되는데, 밸브몸체는 실리콘과 같은 연질의 탄성재질로 제작되므로 얇은 막부분을 절개함으로써, 음수용 캡이나 하이드레이션 시스템을 이용하여 물통의 식수를 흡입할 때 물통 안에 발생한 음압에 의해 그 절개부분이 밸브판막의 역할을 하게 되어 충분한 틈이 생기게 되고 그 사이로 공기가 흡입되게 되며, 물통의 식수를 흡입하지 않을 때에는 밸브판이 닫혀 있어 공기가 물통 안으로 유입되지 않고 물통을 아래로 기울여도 음수용 구멍으로 식수가 흘러나오지 않게 된다.
한편, 상기 음수용 캡에는 다시 하이드레이션 시스템 즉 호스와 바이트 밸브를 연결하여 편의를 도모할 수 있는데, 상기 구성에 대해 설명하면, 물통의 음수용 캡에 호스가 끼워지게 되며, 오링 등의 체결수단으로 기밀성을 보강한 후, 바이트 밸브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바이트 밸브는 시중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관용수단이므로 그 자세한 기재는 생략한다.
그리고 하이드레이션 시스템의 호스에는 배낭의 어깨끈에 호스를 고정하기 위한 클립 등의 고정수단이 부착될 수 있다.
또한, 물통하부 밸브(346)가 장착된 물통하부 음수용구멍(345)이 물통 밑면에 설치되어 있어 물통 내부의 물이 얼어 얼음으로 되어 있을 때, 하이드레이션 시스템인 호스와 바이트밸브를 물통하부 음수용구멍에 끼워 물통 내부의 식수를 원활하게 흡입할 수 있다. 즉 물통 내부의 식수를 모두 냉동시킨 상태에서 물통을 외부 환경에 노출시키게 되면 물통 내부의 식수는 얼음이 조금씩 녹으면서 비중이 큰 식수가 하부에 있고, 비중이 낮은 얼음이 상부에 있으므로 음수용구멍이 물통하부에 설치되어 있어야 식수를 쉽게 흡입할 수 있음은 당연한 것이다.
그리고 물통하부 밸브가 장착된 물통하부 음수용구멍이 물통밑면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상기 물통하부 음수용구멍의 중간에 수평방향으로 물통하부 밸브판이 설치되고, 물통밑면의 외주연 부분에서 내주연 부분으로 단턱이 형성되어, 즉 밸브가 장착된 물통하부 음수용구멍이 설치되어 있는 내주연 부분에는 요부가 형성되어 있어 물통하부 음수용구멍에 하이드레이션 시스템의 호스를 연결할 때 물통밑면의 외주연부분으로 인한 간섭을 적게 받는 구조가 바람직하다.
또한, 물통하부 밸브가 장착된 물통하부 음수용구멍이 물통밑면에 위치하므로 음수용구멍의 오염방지를 위한 캡, 마개, 뚜껑 등의 오염방지 수단이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식수관은 커버 하부에 일체로 구성되어 직선형 또는 코일형으로 형상을 만들 수 있으며, 재질은 폴리에틸렌(polyethylene),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등을 연질 또는 경질의 재질로 필요에 따라 성형하게 되는데, 폴리에틸렌으로 식수관을 제작하게 되면, 물통의 물맛에 영향을 거의 주지 않으며, 연질의 재질로 성형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식수관의 하부에 탈착이 가능한 무게추는 다양한 형상의 클립형태로 식수관의 외면에 끼워 고정한다.
상기 무게추의 재질은 스테인레스 등의 금속재질이며 백금콜로이드처리를 할 수도 있으며, 사용자가 활동 시에 물통 내부의 식수가 요동치더라도 항상 식수관의 하단부를 물통의 저면에 위치하게 하여 식수의 공급을 원활하게 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무게추는 밸브몸체와 일체화 시켜서 사출성형할 수 있는 것으로, 이는 인서트 사출방법으로 제작된다. 먼저 금속재질의 무게추를 형틀 내에 안치한 후, 실리콘 재질의 용융액을 형틀 내에 사출주입함으로써, 밸브몸체와 무게추가 일체화된 사출물인 밸브를 제작하는 것이다.
그리고 식수관의 하단부에 탈착이 가능한 밸브는 앞서 설명한 커버의 하단부에 설치되는 보조밸브와 동일한 구조로서, 원통형의 몸체 측면 또는 하단에 식수관에 연통되는 다수개의 십자형 또는 일자형으로 절개된 밸브판이 형성되어, 음수용 캡의 음수용 구멍을 통해 들어온 외부공기가 밸브몸체의 밸브판을 통해 밸브몸체의 외부로 빠져나가 물통 안으로 유입된다.
본 발명인 기능성 물통의 소재는 인체에 무해한 소재로 비스페놀 A(Bisphenol A)가 발생하지 않는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트라이탄(Tritan) 등의 소재로 제작되며, 내면처리는 물때가 잘 끼지 않게 내면의 표면을 매끈하게 하며, 백금콜로이드 코팅 등의 미생물억제처리를 할 수 있다.
즉 폴리프로필렌과 트라이탄을 좀더 설명하면, 일반적으로 쓰던 폴리카보네이트 소재의 환경호르몬 논란이 제기된 후 대부분의 식기류 및 물통 제조회사는 다양한 실험연구 결과 비스페놀 A(Bisphenol A)가 발생하지 않는 폴리프로필렌 제품을 다양하게 출시하고 있으며, 트라이탄은 폴리시클로헥산-1/4-디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cyclohexane-1,/4-dimethylene terephthalate)이 정식화학용어로, 폴리에스테르 계열 가공 소재로 제작되었으며 폴리프로필렌과 비슷한 성향의 소재이다. 트라이탄이 폴리프로필렌과 구분되는 가장 큰 특징은 투명성으로 대부분의 제품이 불투명한 폴리프로필렌에 비해 유리처럼 내용물을 확인할 수 있어 시각적인 안정감을 준다. 또한 소재가 갖춘 기능에 비해 생산 공정이 비교적 간단해 에너지 효율 및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적어 친환경적인 장점이 있다. 고온에서도 소독이 가능하며 전자레인지나 식기세척기를 통한 관리가 가능하다.
그리고, 기능성 물통의 밑면 하부 또는 측면 하부에 식수정화용 팩이 수납될 수 있는 ‘⊃’또는 ‘∪’형상의 단면으로 설치된 수납공간을 구성할 수도 있는데, 이는 야외활동 시 위생이 의심스러운 식수를 마실 수 밖에 없는 경우에 식수정화용 팩을 사용하여 물통 내의 식수를 정화할 수 있으므로 물통을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식수정화용 팩은 숯, 활성탄, 토르말린, 제올라이트, 황토, 제올라이트, 은계항균제 등의 물질을 소성하거나 분쇄한 미세한 파우더를 기공이 형성된 씰링팩으로 포장한 기존의 식수정화용 팩을 의미하는 바이다.
300 : 물통 301 : 음수용 개구부
302 : 요홈 303 : 수납공간
310 : 차단판 320 : 식수관
330 : 무게추 331 : 밀봉링
340 : 음수용 캡 343 : 음수용 구멍
344 : 공기구멍 345 : 물통하부 음수용구멍
346 : 물통하부 밸브 350 : 물통뚜껑
360 : 밸브 361 : 밸브몸체
362 : 밸브판 370 : 보조밸브
371 : 보조밸브 몸체 372 : 보조밸브 밸브판
380 : 커버 390 : 부시

Claims (4)

  1. 물통(300)과, 상기 물통(300)속의 물이 물통밖으로 흘러내리지 않게 물통 입구에 설치되는 커버(380)과, 상기 물통(300)속의 물을 흡입할 수 있게 상부에는 사용자가 입속에 넣는 음수용 캡(340)이 설치되고, 하부에는 물통(300)속의 물을 흡입하는 밸브(360)가 설치된 식수관(320)으로 구성되어, 사용자가 상기 식수관(320)을 통해 물통(300)속의 물을 마실 수 있는 물통(300)에 있어서, 상기 물통(300)속의 밸브(360)에는 무게추(330)가 설치되어, 등산 등의 야외활동 시, 배낭에 든 물통(300)이 흔들리더라도 식수관(320)에 연결된 물통(300)속의 밸브(360)가 상기 무게추(330)에 의해 항상 물통(300) 바닥에 위치함으로써, 사용자가 손으로 물통(300)을 파지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용이하게 식수를 마실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물통.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게추(330)는 상기 밸브(360)와 일체형으로 사출성형되거나, 또는 상기 밸브(360)에 조립식으로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물통.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통(300) 커버(380) 하부에는 보조밸브(370)가 설치되어 있어서 물의 차단 및 배출이 확실히 작동되며, 또한 물통(300) 내부 하부에는 식수정화용 팩을 수용하는 수납공간(303)이 형성되어 있어서, 물을 정화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물통.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통 하부에는 물통하부 밸브(346)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물통.
KR1020100093088A 2010-09-27 2010-09-27 기능성 물통 KR1011931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3088A KR101193101B1 (ko) 2010-09-27 2010-09-27 기능성 물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3088A KR101193101B1 (ko) 2010-09-27 2010-09-27 기능성 물통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1655A true KR20100111655A (ko) 2010-10-15
KR101193101B1 KR101193101B1 (ko) 2012-10-19

Family

ID=431318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3088A KR101193101B1 (ko) 2010-09-27 2010-09-27 기능성 물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310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9712B1 (ko) * 2016-04-21 2016-08-19 이완균 물통의 밸브구조물
KR20160109975A (ko) 2015-03-09 2016-09-21 주식회사 경인기계 백연 저감 냉각탑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082951A (zh) * 2014-06-30 2014-10-08 南京信息工程大学 一种便携式净水杯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4870U (ko) 1999-05-10 1999-09-06 강유숙 배낭용물통
JP2004149208A (ja) 2002-10-29 2004-05-27 Yukitaka Suzuki 傾き作業自在の液出し容器
US7240810B2 (en) 2002-11-08 2007-07-10 S.C. Johnson & Son, Inc. Flexible supply tube with weighting mechanism for use in spray bottles
KR100542080B1 (ko) 2004-01-08 2006-01-20 정진우 분무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9975A (ko) 2015-03-09 2016-09-21 주식회사 경인기계 백연 저감 냉각탑
KR101649712B1 (ko) * 2016-04-21 2016-08-19 이완균 물통의 밸브구조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93101B1 (ko) 2012-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31647C2 (ru) Крышка
US8801667B2 (en) Pump for powered irrigator for sinus cavity rinse
US20170240449A1 (en) Multi-stage portable water purifier
US20070138121A1 (en) Drinking devices for children with integrated valve
US20060255169A1 (en) Drinking tube
ES2880507T3 (es) Pieza sobrepuesta para beber para un recipiente para beber y recipiente para beber con tal pieza sobrepuesta
KR101193101B1 (ko) 기능성 물통
US20100127006A1 (en) Drinking container lid with soft spout
US20180133097A1 (en) Drink containers
KR101565236B1 (ko) 스트로우를 구비한 음료용기
US2787267A (en) Device for administering medicine
KR101933634B1 (ko) 휴대용 정수 물병
KR101924865B1 (ko) 정수기능이 구비된 물병
KR100549468B1 (ko) 기능성 젖병
CN201004903Y (zh) 家禽用饮水器的过滤装置
CN219920787U (zh) 便携式可双饮的水杯
CN219962482U (zh) 一种防呛杯
CN207996310U (zh) 防倒流吸管结构
CN214048373U (zh) 杯盖及具有该杯盖的杯子
CN210747840U (zh) 一种多功能水壶
CN219447841U (zh) 用于鼻后吸入芳香物质的饮用装置的套件以及饮用装置
CN206119558U (zh) 一种随身角杯
CN211214469U (zh) 防止胀气的奶瓶
JP2002321754A (ja) 幼児用トレーニングコップ
CN210783827U (zh) 一种儿童水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