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5307Y1 - 페트병에 수용된 음용수를 섭취하기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페트병에 수용된 음용수를 섭취하기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5307Y1
KR200415307Y1 KR2020060003625U KR20060003625U KR200415307Y1 KR 200415307 Y1 KR200415307 Y1 KR 200415307Y1 KR 2020060003625 U KR2020060003625 U KR 2020060003625U KR 20060003625 U KR20060003625 U KR 20060003625U KR 200415307 Y1 KR200415307 Y1 KR 20041530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nking water
pet bottle
bottle
fixture
suction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362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우용
Original Assignee
이우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우용 filed Critical 이우용
Priority to KR202006000362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530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530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530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32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means for vent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19/2205Drinking glasses or vessels
    • A47G19/2266Means for facilitating drinking, e.g. for infants or inval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02Caps or cap-like covers without lines of weakness, tearing 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 B65D41/0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6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 B65D51/1672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whereby venting occurs by manual actuation of the closure or other element
    • B65D51/1683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whereby venting occurs by manual actuation of the closure or other element by actuating a separate element in the container or clo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외주면에 나선부가 형성된 목이 상부에 형성된 페트병과, 상하로 관통된 두 개의 고정 관을 가지는 고정구와, 페트병 위에 안착된 고정구를 가압하면서 페트병의 목에 나사 결합되는 뚜껑과, 고정구의 하나의 고정관에 결합되며 한쪽 끝 부분은 페트병의 밑면까지 연장되고 다른 한쪽 끝 부분에는 개폐구가 설치된 흡입관 및 고정구의 다른 하나의 고정관에 결합되며 흡입관으로 음용수가 흡입될 때 외부공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열리는 역류방지밸브가 구비된 흡기관으로 구성된 것으로서 적은 흡입력으로도 페트병에 수용된 음용수를 마실 수 있으면서도 페트병의 변형을 막을 수 있으며 입 안에 있던 음식물 찌꺼기 등이 페트병 내로 역류하지 않는다.
페트병, 음용수, 압력, 흡입관, 역류방지밸브, 필터.

Description

페트병에 수용된 음용수를 섭취하기 위한 장치{suction apparatus for drink water of PET bottle}
도1은 본 고안에 의한 페트병의 사시도이다.
도2는 본 고안에 의한 페트병의 주요부분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3은 본 고안에 의한 페트병의 주요부분의 단면도이다.
도4a, 도4b는 흡기관의 단면도이다.
도5a, 도5b는 흡입관 일부의 단면도이다.
도6a, 도6b는 개폐구의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페트병 12 : 흡기관
13 : 흡입관 14 : 개폐구
15 : 고정구 16a, 16b : 고정관
17 : 필터 18a, 18b : 역류방지밸브
19 : 보온재 20 : 뚜껑
21 : 목 22 : 나선부
23 : 관통공 24 : 승강 작동홈
25 : 몸체 26 : 연결부재
27 : 단속구 28 : 승강 개폐구
29 : 단속구멍
본 고안은 페트병에 수용된 음용수를 섭취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고안은 적은 흡입력으로도 페트병에 수용된 음용수를 마실 수 있으면서도 페트병의 변형을 막고 입 안에 있던 음식물 찌꺼기 등이 페트병 내로 역류하지 못하도록 하는 페트병에 수용된 음용수를 섭취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탄산음료나 주스, 우유, 주류 등과 같은 각종 음용수들은 종이 팩이나 유리/플라스틱병 또는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캔 등과 같은 용기에 수용되어 유통 및 판매되고 있다.
이러한 음용수들을 수용하는 용기들은 비교적 가볍고 가공성이 좋으며 밀폐성이 매우 우수하며 다른 용기에 비해 파손의 위험성이 적으며 재활용도가 뛰어나야 함은 물론이고 사용자가 입으로 음용수를 마시기에 편리한 구조를 가져야 한다.
상기한 용기 중 음용수 용기로 가장 널리 사용되는 용기는 유리나 플라스틱재질로 제작된 병 타입인데, 이는 원통 형상으로서 상부에는 긴 목 부분이 형성되고 그 목 부분에는 뚜껑이 분리 결합 가능하도록 나사 결합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의 음용수 병에 수용된 음용수를 마시고자 할 때 사용자는 먼저 뚜껑을 강제로 열어 음용수 병의 목을 개방한다. 그 다음에 음용수 병의 목 부분이 하방을 향하도록 기울여서 음용수 병에 수용된 음용수가 중력에 의해 흘러나오도록 함으로써 사용자는 목 부분에 입을 대고 음용수를 마시거나 컵 등과 같은 다른 용기에 음용수를 따라 마실 수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의 음용수 병은 음용수를 마실 때마다 음용수 병을 기울여야 하므로 음용수 병에 중량의 음용수가 수용된 경우 이를 자유롭게 취급하기가 어렵다. 따라서 종래에는 음용수 병의 용량을 취급이 용이한 정도로 줄이는 한편 빨대로 음용수를 마실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음용수를 흡입하여 마실 수 있는 빨대가 뚜껑과 일체형으로 이루어진 음용수 병까지도 등장하였다.
하지만, 움직이면서 빨대를 이용하여 음용수를 마시는 경우 음용수가 병 밖으로 흘러넘칠 우려가 있다. 또한, 뚜껑과 일체형으로 구성된 빨대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일정량의 음용수를 마시고 나면 음용수 병의 내부압력이 높아져 음용수를 흡입하기가 어렵다. 뿐만 아니라, 실수로 입안에 들어있던 음식물들이 빨대를 타고 음용수 병 내로 역류하게 되면, 본인은 물론이고 다른 사람들이 병에 수용된 음용수를 다시 마실 수 없다.
본 고안의 목적은 음용수 병의 음용수를 흡입할 때마다 음용수 병 내부로 외부공기가 흡입되도록 함으로써 음용수 병의 변형을 막고 적은 흡입력으로도 음용수를 흡입(마실)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음용수를 마시던 중에 입안 혹은 흡입관까지 흡입된 음용수가 음식물 찌꺼기와 함께 음용수 병 내로 역류하지 않도록 하는 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흡입관에 잔류하는 음용수가 외부 열기나 냉기에 의해 가열되거나 냉각되지 않도록 하는 데 있다.
본 고안에 의한 페트병에 수용된 음용수를 섭취하기 위한 장치는, 외주면에 나선부가 형성된 목이 상부에 형성된 페트병; 상하로 관통된 두 개의 고정 관을 가지는 고정구; 상기 페트병 위에 안착된 상기 고정구를 가압하면서 상기 페트병의 목에 나사 결합되는 뚜껑; 상기 고정구의 하나의 고정관에 결합되며 한쪽 끝 부분은 페트병의 밑면까지 연장되고 다른 한쪽 끝 부분에는 개폐구가 설치된 흡입관; 및 상기 고정구의 다른 하나의 고정관에 결합되며 상기 흡입관으로 음용수가 흡입될 때 외부공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열리는 역류방지밸브가 구비된 흡기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흡입관을 통해 흡입된 음용수가 페트병 내로 역류하지 않도록 하는 역류방지밸브가 상기 흡입관 내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흡입관은 내관과 외관으로 구성된 2중 관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내관과 외관 사이에는 보온재가 내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공기와 함께 페트병 내로 유입되는 이물질을 여과하기 위한 필터가 상기 흡기관 내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고안에 의한 페트병의 사시도이고, 도2는 본 고안에 의한 페트병의 주요부분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3은 본 고안에 의한 페트병의 주요부분의 단면도이며, 도4a, 도4b는 흡기관의 단면도이며, 도5a, 도5b는 흡입관 일부의 단면도이며, 도6a, 도6b는 개폐구의 단면도이다.
본 고안에 의한 페트병에 수용된 음용수를 섭취하기 위한 장치는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구와 뚜껑(20)에 의해 외부공기가 페트병(11) 내로 유입되는 통로가 되는 흡기관(12)과 페트병(11) 내의 음용수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관(13)이 페트병(11)의 목 부분에 결합되어 있다.
상기 흡입관(13)의 한쪽 끝 부분이 페트병(11)의 밑면까지 연장되어 있어 사용자는 흡입관(13)을 통해 페트병(11) 내에 수용된 음용수를 모두 흡입할 수 있다. 또한, 흡입관(13)의 다른 한쪽 끝 부분에는 개폐구(14)가 설치되어 있는데, 이는 페트병(11)의 음용수를 마실 때에는 페트병(11) 내의 음용수가 흡입관(13)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열리고 반대로 음용수를 마시지 않을 때에는 닫혀 페트병(11) 내의 음용수가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닫히는 부분이다.
도6a 및 도6b는 개폐구(14)의 하나의 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상단 외주연에 승강 작동홈(24)이 형성된 몸체(25)의 하단에는 흡입관(13)이 억지 끼움방식으로 결합되어 페트병(11)과 연결되어 있으며 상단의 개폐구(14)에는 연결부재(26)에 의해 단속구(27)가 연결되어 있다. 또한, 몸체(25)의 상단부에 삽입되어 승강 자재되는 승강 개폐구(28)의 상부에는 단속구(27)에 의해 열리고 닫히는 단속구멍(29)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승강 개폐구(28)가 몸체(25) 상부로 올라가게 되면 단속구멍(29)을 막고 있던 단속구(27)가 단속구멍(29)으로부터 이탈되므로 사용자는 개폐구(14)에 입을 대고 페트병(11)에 수용된 음용수를 마실 수 있다. 반대로 승강 개폐구(28)가 몸체(25) 하부로 내려가게 되면 단속구(27)가 단속구멍(29)을 막게 되어 페트병(11) 내에 수용된 음용수가 외부로 배출되지 않는다.
도2 및 도3은 본 고안에 의한 페트병의 주요부분을 나타낸 것으로서 통상의 페트병(11) 목(21)의 외주면에는 뚜껑(20)과 나사 결합을 위한 나선부(21)가 형성되어 있다. 물론, 페트병(11)은 목(21)을 통해 음용수를 수용하거나 배출할 수 있다.
상기 페트병(11)과 뚜껑(20) 사이에 삽입되어 흡기관(12)과 흡입관(13)을 페트병(11)에 연결시켜 주는 고정구(15)는 페트병(11)과 뚜껑(20), 흡기관(12) 및 흡입관(13) 간의 밀폐성을 높일 수 있도록 고무나 실리콘 등과 같이 신축성을 가지는 재질로 성형된 것으로서 원형 판재에 흡기관(12) 및 흡입관(13)과 결합을 위한 두 개의 고정관(16a)(16b)이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되어 있다.
흡기관(12) 및 흡입관(13)과 함께 고정구(15)를 페트병(11) 목(21)에 결합하게 되는 뚜껑(20)은 목(21)의 나선부(22)와 나사결합을 위한 나선부가 내주면에 형성되어 있고 상하로 관통된 관통공(23)이 형성되어 있다. 이 뚜껑(20)의 관통공(23)은 페트병(11) 목(21)에 고정구(15)를 결합할 때 흡기관(12)과 흡입관(13)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기 위한 구멍이다.
상기 고정구(15)의 고정관(16a)에 결합되는 흡기관(12)은 도4a 및 도4b에 도 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페트병(11)에 수용된 음용수를 마실 때 외부공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열리는 역류방지밸브(18a)와 외부로부터 페트병(11) 내로 이물질이 유입되지 못하도록 차단하는 필터(17)를 갖는다.
따라서 음용수를 마시지 않을 때 즉, 페트병(11) 내의 압력에 변화가 없을 때에는 역류방지밸브(18a)가 닫힌 상태를 유지하므로 페트병(11) 내에 수용된 음용수가 외부로 배출되지 않는다. 반면에 흡입관(13)을 통해 음용수를 마실 경우 즉, 페트병(11) 내의 압력이 높아진 경우 역류방지밸브(18a)가 열리면서 흡기관(12)을 통해 외부공기가 흡입되므로 페트병(11)의 내부압력이 과도하게 높아지지 않아 흡입관(13)을 통해 음용수를 마시는데 어려움이 없다. 물론, 페트병(11)이 변형되지도 않는다.
여기서, 역류방지밸브(18a)와 필터(17)는 상술한 바와 같이 흡기관(12) 내에 결합된 상태로 고정관(16a) 내에 결합할 수도 있을뿐더러 흡기관(12) 없이 바로 고정관(16a) 내에 설치되어도 무방하다.
또한, 고정구(15)의 고정관(16b)에 결합되는 흡입관(13)은 도5a 및 도5b에서와 같이 변형이 자유로운 합성수지 등에 의해 성형된 내관(13a)과 외관(13b)으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내관(13a)과 외관(13b) 사이에는 흡입관(13) 즉, 내관(13a) 내에 충진된 음용수가 외부열기나 온기에 의해 가열되거나 냉각되지 않도록 보온시켜 주는 보온재(19)가 내장되어 있다.
뿐만 아니라, 내관(13a) 내에는 흡입관(13)을 통해 사용자의 입안까지 흡입되었던 음용수가 음식물 찌꺼기 등과 함께 페트병(11) 내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 기 위한 역류방지밸브(18b)가 내장되어 있다. 이 역류방지밸브(18b)는 위치에 관계없이 하나 이상 설치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흡기관(12)이나 흡입관(13) 내에 설치되는 역류방지밸브(18a)(18b)로서 볼과 스프링을 가지는 역류방지밸브를 예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의 역류방지밸브를 사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음용수 병의 음용수를 흡입할 때마다 음용수 병 내부로 외부공기가 흡입되도록 함으로써 음용수 병의 변형을 막고 적은 흡입력으로도 음용수를 흡입(마실)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음용수를 마시던 중에 입안 혹은 흡입관까지 흡입된 음용수가 음식물 찌꺼기와 함께 음용수 병 내로 역류하지 않으며, 흡입관에 잔류하는 음용수가 외부 열기나 냉기에 의해 가열되거나 냉각되지 않는다.
이상에서 본 고안은 기재된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고안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Claims (4)

  1. 외주면에 나선부가 형성된 목이 상부에 형성된 페트병;
    상하로 관통된 두 개의 고정 관을 가지는 고정구;
    상기 페트병 위에 안착된 상기 고정구를 가압하면서 상기 페트병의 목에 나사 결합되는 뚜껑;
    상기 고정구의 하나의 고정관에 결합되며 한쪽 끝 부분은 페트병의 밑면까지 연장되고 다른 한쪽 끝 부분에는 개폐구가 설치된 흡입관; 및
    상기 고정구의 다른 하나의 고정관에 결합되며 상기 흡입관으로 음용수가 흡입될 때 외부공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열리는 역류방지밸브가 구비된 흡기관;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트병에 수용된 음용수를 섭취하기 위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관을 통해 흡입된 음용수가 페트병 내로 역류하지 않도록 하는 역류방지밸브가 상기 흡입관 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페트병에 수용된 음용수를 섭취하기 위한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관은 내관과 외관으로 구성된 2중 관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내관과 외관 사이에는 보온재가 내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트병에 수용된 음용수를 섭취하기 위한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공기와 함께 페트병 내로 유입되는 이물질을 여과하기 위한 필터가 상기 흡기관 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트병에 수용된 음용수를 섭취하기 위한 장치.
KR2020060003625U 2006-02-09 2006-02-09 페트병에 수용된 음용수를 섭취하기 위한 장치 KR20041530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3625U KR200415307Y1 (ko) 2006-02-09 2006-02-09 페트병에 수용된 음용수를 섭취하기 위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3625U KR200415307Y1 (ko) 2006-02-09 2006-02-09 페트병에 수용된 음용수를 섭취하기 위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5307Y1 true KR200415307Y1 (ko) 2006-05-02

Family

ID=417647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3625U KR200415307Y1 (ko) 2006-02-09 2006-02-09 페트병에 수용된 음용수를 섭취하기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530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7524B1 (ko) * 2018-12-06 2019-10-29 이도재 식용 기름병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7524B1 (ko) * 2018-12-06 2019-10-29 이도재 식용 기름병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31647C2 (ru) Крышка
CN102910353A (zh) 一种具有自动开闭功能的饮料瓶
CN210842543U (zh) 具有自吸功能的饮料杯
KR200415307Y1 (ko) 페트병에 수용된 음용수를 섭취하기 위한 장치
CN107920957A (zh) 用于防漏饮用杯的阀组件
CN210870923U (zh) 一种接插式防回流吸管及容器
CN208286785U (zh) 一种手动喷泉水杯
CN206252669U (zh) 新型密封饮用瓶
CN102366350B (zh) 吸取组件及应用该吸取组件的奶瓶
JP3188291U (ja) ボトル用先口器具
CN111195051A (zh) 一种可任意角度喝水的吸管水杯
KR200385309Y1 (ko) 유아용 음료 용기의 뚜껑
CN202314458U (zh) 吸取组件及应用该吸取组件的奶瓶
CN208031533U (zh) 一种具有防止空气倒吸及防漏功能的奶/水瓶
CN219556875U (zh) 一种防反流的盖子组件
CN111907911A (zh) 随身瓶
CN213757074U (zh) 一种饮料容器
CN212037064U (zh) 一种可任意角度喝水的吸管水杯
CN218219825U (zh) 一种便于清洗的保温杯
CN218606053U (zh) 吸管和吸管杯
CN220917086U (zh) 一种保温杯内双引内塞
CN215690001U (zh) 奶嘴及容器
KR200423236Y1 (ko) 취수구가 형성되는 병뚜껑
CN217013496U (zh) 一种安全型吸管及吸嘴
CN214711875U (zh) 一种具有双饮水口的杯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425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