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8055Y1 - 선박용 크레인 - Google Patents

선박용 크레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8055Y1
KR200438055Y1 KR2020060032649U KR20060032649U KR200438055Y1 KR 200438055 Y1 KR200438055 Y1 KR 200438055Y1 KR 2020060032649 U KR2020060032649 U KR 2020060032649U KR 20060032649 U KR20060032649 U KR 20060032649U KR 200438055 Y1 KR200438055 Y1 KR 20043805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ane
post
ship
pressure oil
lif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3264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차덕진
이한용
최선경
문성원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6003264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805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805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805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1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c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18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 B66C23/36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mounted on road or rail vehicles; Manually-movable jib-cranes for use in workshops; Floating cranes
    • B66C23/52Floating c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62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04Measures to avoid lubricant contaminating the pumped fluid
    • F04B39/041Measures to avoid lubricant contaminating the pumped fluid sealing for a reciprocating rod
    • F04B39/047Sealing between piston and carter being provided by a bellow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Jib Cran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선박에 탑재되는 선박용 크레인에 관한 것으로, 선박용 크레인에 있어서, 선박의 조타실의 시야확보를 위해 선수에 탑재된 크레인의 높낮이를 제어할 수 있도록 크레인의 포스트를 승강제어하는 크레인 포스트 승강제어부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크레인을 제공한다.
한편, 상기크레인 포스트 승강제어부는 압유가 저장되어 있는 오일탱크와 상기 오일탱크로부터 압유를 펌핑하는 펌프와 상기 펌프에 의하여 펌핑된 압유를 제어하는 유압제어장치와 상기 유압제어장치에 의해 제어되는 압유를 공급받을 수 있도록 측면에 유출입 포트가 형성되고, 선박의 데크에 고정설치되어 크레인을 지지하는 제 1포스트와 상기 제 1포스트에 공급되는 압유에 의하여 상기 제 1포스트에 끼워져 승강운동하고 크레인의 붐을 지지하는 제2 포스트로 구성된다.
본 고안에 따른 선박용 크레인은 포스트의 길이를 필요에 따라 가변시킬 수 있어서 선수에 위치한 크레인으로 인하여 조타시야를 방해받는 것을 피할 수 있기 때문에 선박의 안전운행에 필요한 조타시야를 충분히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고, 높은 파도등에 의한 선체의 횡동요 운동이나 종동요운동 또는 진동등에 의하여 크레인이 파손될 위험을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선박용 크레인, 크레인 페데스탈, 크레인 포스트

Description

선박용 크레인 {Crane for vessel}
도 1은, 선수에 크레인이 설치된 천연가스 재기화 운반선의 측면도이다.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선박용 크레인이 설치된 선박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선박용 크레인의 일 실시예가 설치된 선박의 측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오일탱크 20 : 펌프
30 : 유압제어장치 40 : 제 1 포스트
50 : 제 2 포스트 60 : 벨로우즈
70 : 붐 실린더 80 : 붐
본 고안은 선박에 탑재되는 선박용 크레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선박용 크레인에 있어서, 선박의 조타실의 시야확보를 위해 선수에 탑재된 크레인의 높낮이를 제어할 수 있도록 크레인의 포스트를 승강제어하는 크레인 포스트 승강제어부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크레인에 관한 것이다.
배에 화물을 싣거나 내리는 작업을 하역이라고 하며, 하역 작업을 위한 장치를 하역장치라고 한다.
일반적으로, 선박에 있어서 하역장치는 데릭 붐을 이용한 하역장치와 선박에 탑재되는 크레인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화물을 원하는 위치에 용이하게 놓을 수 있는 선박용 크레인이 많이 사용되는데, 선박의 용도에 따라 선박용 크레인은 필요한 위치에 설치된다.
도 1은, 선수에 크레인이 설치된 천연가스 재기화 운반선의 측면도이다.
천연가스 재기화 운반선(Regasification Vessel)같은 경우,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호스 핸들링 크레인(Hose handling crane)(1)이 선수에 설치되어 있다.
한편, 조타실(Wheel house)(2)은 전방의 시야를 좋게 하기위해 가능한 한 선수에 설치하는 것이 좋겠지만, 배 앞부분에서는 선박의 선수 및 선미가 상하로 교대로 회전하려는 종동요(Pitch)가 커서 작업이 어렵고 피로가 크므로 선미에 위치하는 것이 유리하다. 또한 조타실은 기관실과 가까이 있어야 하는데, 기관실은 프로펠라가 있는 선미에 설치해야 하므로, 일반 상선의 경우,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조타실(2)은 대부분 선미의 가장 높은 곳에 위치한다.
이에 조타실에서 선수방향을 볼 때 상기 호스 핸들링 크레인들이 시야를 가리기 때문에 안전운행에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선박의 운행시 상기 호스 핸들링 크레인들의 포스트는 길이가 길어 선체의 횡동요 운동이나 또는 진동등에 의하여 파손될 위험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 선박의 조타실의 시야 확보를 위해 필요에 따라 선수에 탑재된 크레인의 높낮이를 제어할 수 있도록 크레인의 포스트를 승강제어하는 크레인 포스트 승강제어부를 포함한 선박용 크레인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은, 선박용 크레인에 있어서, 선박의 조타실의 시야확보를 위해 선수에 탑재된 크레인의 높낮이를 제어할 수 있도록 크레인의 포스트를 승강제어하는 크레인 포스트 승강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크레인 포스트 승강제어부는 압유가 저장되어 있는 오일탱크와 상기 오일탱크로부터 압유를 펌핑하는 펌프와 상기 펌프에 의하여 펌핑된 압유를 제어하는 유압제어장치와 상기 유압제어장치에 의해 제어되는 압유를 공급받을 수 있도록 측면에 유출입 포트가 형성되고, 선박의 데크에 고정설치되어 크레인을 지지하는 제 1포스트와 상기 제 1포스트에 공급되는 압유에 의하여 상기 제 1포스트에 끼워져 승강운동하고 크레인의 붐을 지지하는 제2 포스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크레인에 의해 실현된다.
종래 선박에 탑재되는 일반 크레인의 포스트는 선박의 데크에 고정설치되어 크레인을 지지하는 역할만을 담당한다. 그러나 본 고안에 따른 선박용 크레인은 포스트의 높낮이를 필요에 따라 조절하여 크레인 전체의 높이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크레인 작업을 하지 않을 때에는 크레인의 포스트 길이를 낮추어서 선박을 운행함에 있어 조타실의 시야를 확보하게 함으로써 안전한 항해가 가능하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2는 일반적인 선박용 크레인의 구성을 나타낸 선박용 크레인의 측면도이다.
도 2에서 도시 한 바와 같이, 일반적인 선박용 크레인은 크레인(4)을 지지하는 포스트(4a)가 선박의 데크(3)에 고정설치된다.
따라서 위와 같은 구조의 선박용 크레인의 포스트(4a)는 크레인(4)을 지지하는 역할만을 담당한다.
그러나 본 고안에 따른 선박용 크레인은 포스트의 길이를 필요에 따라서 조정 할 수 있는 크레인 포스트 승강제어부가 구비되어 크레인의 높낮이를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고안에 따른 크레인 포스트 승강 제어부는 유압을 작동 구동원으로 한다. 유압을 이용한 장치는 광범위한 분야에서 동력을 발생시키는 핵심기계요소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특히, 본 고안의 크레인과 같은 고중량의 기계를 들어 올리는데에는 큰 힘이 필요하기 때문에 유압을 작동 구동원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선박용 크레인의 일 실시예가 설치된 선박의 측면도이다.
상기 크레인 포스트길이 가변시스템은 압유가 저장되어 있는 오일탱크(10)와 상기 오일탱크(10)로부터 압유를 펌핑하는 펌프(20)와 상기 펌프(20)에 의하여 펌핑된 압유를 제어하는 유압제어장치(30)와 상기 유압제어장치(30)에 의해 제어되는 압유를 공급받을 수 있도록 측면에 유출입 포트(41)가 형성되고, 선박의 데크(100)에 고정설치되어 크레인을 지지하는 제 1포스트(40)와 상기 제 1포스트(40)에 공급되는 압유에 의하여 상기 제 1포스트(40)에 끼워져 승강운동하고 크레인의 붐(80)을 지지하는 제2 포스트(50)로 구성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 1포스트(40)와 상기 제 2포스트(50)는 크레인 전체의 높낮이를 조정하는 액추에이터로서 기능을 한다.
즉, 상기 제 1포스트(40)는 유압실린더 역할을 하고, 동시에 선박의 데크(100)에 고정설치되어 크레인 전체를 지지한다. 상기 제 1포스트(40)는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 형상으로 상기 제 1포스트(40)의 측면에는 압유가 유출입할 수 있도록 유.출입포트(41)가 형성된다.
한편, 크레인의 상기 제 2포스트(50)는 상기 제 1포스트(40) 내에서 승강운동이 가능토록 끼워져 설치되고 상기 제 2포스트(50)는 붐실린더(70)를 작동시키는 유압장치를 내부에 포함하고 있고, 크레인의 붐(80)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제 1포스트(40)의 상단과 상기 제2 포스트(50)의 상단 사이에는 벨로우즈(60)가 설치된다.
한편, 도 3에서는 상기 제 1포스트(40)에 공급되는 압유를 저장하는 오일탱크(10)가 선박의 선수에 설치되지만, 이와 달리 선박의 데크(100)위에 설치되어도 무관하다.
그리고 상기 오일탱크(10) 옆에는 압유를 펌핑하기 위한 펌프(20)가 설치되고 상기 펌핑된 압유를 제어하기 위한 유압제어장치(30)가 마련된다. 상기 유압제어장치(30)는 상기 제 1포스트(40)의 유출입 포트(41)로 흘러들어가는 압유의 유량을 조절하여 상기 제2 포스트(50)를 상승 시키거나 하강시킨다.
이하, 상기 크레인 포스트 승강제어부의 동작을 살펴본다.
화물을 하역하는 작업을 할 때에는, 상기 유압제어장치(30)는 상기 제 1포스트(40)에 압유를 공급하여 상기 제 2포스트(50)를 하역작업에 필요한 크레인의 높이까지 상승시킨다.
한편, 화물을 하역하는 작업이 끝나고 선박을 운행하는 경우에는 상기 유압제어장치(30)는 상기 제 1포스트(40)에 공급된 압유를 회수하여 상기 제 2포스트(50)가 하강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따라서 크레인 전체의 높이는 낮아지고 선박의 조타실에서 선수를 볼 때 상기 크레인으로 인하여 조타시야를 방해받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또한 크레인 포스트의 길이가 전체적으로 짧아졌기 때문에 선체의 횡동요 운동이나 종동요 운동 또는 진동등에 의하여 크레인이 파손될 위험을 효과적으로 줄이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기술 분 야의 당업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 예 및 수정 예를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이해된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선박용 크레인은 포스트의 길이를 필요에 따라 가변시킬 수 있어서 선수에 위치한 크레인으로 인하여 조타시야를 방해 받지 않기 때문에 선박의 안전운행에 필요한 조타시야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고, 높은 파도등에 의한 선체의 횡동요 운동이나 종동요 운동 또는 진동등에 의하여 크레인이 파손될 위험을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2)

  1. 선박용 크레인에 있어서,
    선박의 조타실의 시야확보를 위해 선수에 탑재된 크레인의 높낮이를 제어할 수 있도록 크레인의 포스트를 승강제어하는 크레인 포스트 승강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크레인 포스트 승강제어부는,
    상기 크레인 포스트 승강제어부는 압유가 저장되어 있는 오일탱크;
    상기 오일탱크로부터 압유를 펌핑하는 펌프;
    상기 펌프에 의하여 펌핑된 압유를 제어하는 유압제어장치;
    상기 유압제어장치에 의해 제어되는 압유를 공급받을 수 있도록 측면에 유출입 포트가 형성되고, 선박의 데크에 고정설치되어 크레인을 지지하는 제 1포스트; 및
    상기 제 1포스트에 공급되는 압유에 의하여 상기 제 1포스트 내에서 끼워져 승강운동하고 크레인의 붐을 지지하는 제2 포스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크레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포스트의 상단과 상기 제 2 포스트의 상단 사이에는 벨로우즈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크레인.
KR2020060032649U 2006-12-27 2006-12-27 선박용 크레인 KR20043805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32649U KR200438055Y1 (ko) 2006-12-27 2006-12-27 선박용 크레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32649U KR200438055Y1 (ko) 2006-12-27 2006-12-27 선박용 크레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8055Y1 true KR200438055Y1 (ko) 2008-01-21

Family

ID=413444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32649U KR200438055Y1 (ko) 2006-12-27 2006-12-27 선박용 크레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8055Y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45567A (ko) 2014-06-20 2015-12-3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
KR20160028853A (ko) 2014-09-04 2016-03-1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크레인 장치
CN110254643A (zh) * 2019-06-27 2019-09-20 广船国际有限公司 一种船舶吊装系统及船舶
KR20200043163A (ko) 2018-10-17 2020-04-27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크레인 후크 어셈블리 고정장치
CN112478062A (zh) * 2020-11-05 2021-03-12 中船澄西船舶修造有限公司 一种40000吨自卸船自卸臂基座
KR20230093571A (ko) 2021-12-20 2023-06-2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크레인 장치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45567A (ko) 2014-06-20 2015-12-3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
KR20160028853A (ko) 2014-09-04 2016-03-1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크레인 장치
KR20200043163A (ko) 2018-10-17 2020-04-27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크레인 후크 어셈블리 고정장치
CN110254643A (zh) * 2019-06-27 2019-09-20 广船国际有限公司 一种船舶吊装系统及船舶
CN110254643B (zh) * 2019-06-27 2022-02-15 广船国际有限公司 一种船舶吊装系统及船舶
CN112478062A (zh) * 2020-11-05 2021-03-12 中船澄西船舶修造有限公司 一种40000吨自卸船自卸臂基座
CN112478062B (zh) * 2020-11-05 2022-03-08 中船澄西船舶修造有限公司 一种40000吨自卸船自卸臂基座
KR20230093571A (ko) 2021-12-20 2023-06-2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크레인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38055Y1 (ko) 선박용 크레인
US20090232625A1 (en) Motion compensation system
KR101324602B1 (ko) 스러스터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KR101259129B1 (ko) 양력 핀과 이를 구비한 선박
US20160304169A1 (en) Transfer System, Ship and Method for Transferring Persons and/or Goods to and/or from a Floating Ship
JP2020513383A (ja) 沖合船舶、船舶における使用のための波によって誘発される運動を補償するクレーン、および積荷運搬方法
US20130220960A1 (en) Heave Compensated Crane
CN105083493B (zh) 一种自升自航式船坞
KR20120135904A (ko) 덱 크레인의 유압 구동 장치, 크레인 장치, 유압 펌프의 제어 장치, 및 선박
KR100841699B1 (ko) 대심도 다이버 이송 시스템 및 이에 사용되는 잠수종
US20210078840A1 (en) A lifting device
CN107618632B (zh) 用于海上风电运维船的六自由度稳定装置及风电运维船
CN115107970A (zh) 一种内河沉箱气囊潜浮船及其控制方法
KR101145253B1 (ko) 피칭 텐셔너 장치
CN107207077B (zh) 提供稳定的工作平台的方法及其船只
CN105253260B (zh) 前方搭载式塔柱姿势控制海上风力发电机安装专用船舶
KR101399310B1 (ko) 마린 모바일 리프트용 조향장치
CN208993885U (zh) 一种水下大落差升降伸缩式浮动平台
KR20130035499A (ko) 해양 구조물
KR102046810B1 (ko) 해양시설 및 해양시설의 케이슨 내 흡입호스 설치방법
WO2003057556A1 (en) Multifunctional catamaran shape vessel
CN207433756U (zh) 一种无级调速式可变幅定位桩
KR102401281B1 (ko) 오프쇼어 설치 선박으로부터 대형 및 중 구조물을 처리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CN202912590U (zh) 恒张力压力补偿控制系统
JP4498025B2 (ja) 揚艇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4

Year of fee payment: 9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