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6527Y1 - 청소용구 걸이기 - Google Patents

청소용구 걸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6527Y1
KR200436527Y1 KR2020060031160U KR20060031160U KR200436527Y1 KR 200436527 Y1 KR200436527 Y1 KR 200436527Y1 KR 2020060031160 U KR2020060031160 U KR 2020060031160U KR 20060031160 U KR20060031160 U KR 20060031160U KR 200436527 Y1 KR200436527 Y1 KR 20043652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cleaning tool
locking block
hanger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3116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명욱
Original Assignee
김명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명욱 filed Critical 김명욱
Priority to KR202006003116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652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652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652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50Auxiliary implements
    • A47L13/51Storing of cleaning tools, e.g. containers therefor
    • A47L13/512Clamping devices for hanging the tools

Landscapes

  • Cleaning Implements For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청소용구 걸이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연장봉이 구비된 청소용구를 연장봉이 걸려지는 위치에 상관없이 편리하게 걸 수 있어, 청소용구의 보관시 공간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청소용구걸이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양측에 내측벽(11)이 형성되며 이 내측벽(11)의 안쪽에 상호 대향되는 회동축(13)이 구비된 지지부재(10)와, 상기 회동축(13)에 결합되어 상호 마주하여 회동되며 탄성재질로 이루어진 한 쌍의 록킹블럭(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록킹블럭(20)의 외측벽(21)은 상기 내측벽(11)에 지지되어 상측으로 회동되며, 상기 록킹블럭(20)의 서로 마주보는 대향외측벽(22)은 하측으로 곡선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용구 걸이기가 제공된다.
내측벽, 회동축, 지지부재, 록킹블럭, 외측벽, 대향외측벽

Description

청소용구 걸이기{A hanger of cleaning tools}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청소용구 걸이기의 작동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청소용구 걸이기의 작동상태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청소용구 걸이기의 사용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지지부재 11. 내측벽
13. 회동축 20. 록킹블럭
21. 외측벽 22. 대향외측벽
30. 기어 40. 이동식행거
본 고안은 청소용구 걸이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연장봉이 구비된 청소용구를 연장봉이 걸려지는 위치에 상관없이 편리하게 걸 수 있어, 청소용구의 보관시 공간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청소용구걸이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빗자루, 대걸레, 마포 등의 청소용구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연장봉이 구비된다. 종래에는 이들 청소용구를 보관시에 측벽에 못과 같은 걸이부재를 박아 넣거나, 또는 일정한 길이의 각목에 상기 걸이부재를 횡방향 고정시키고, 이 각목을 고정한 상태에서 상기 연장봉의 끝단에 통공을 뚫어 이 통공에 상기 걸이부재를 끼워서 청소용구를 거는 방식으로 보관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 연장봉은 통공이 뚫어진 위치가 보통 연장봉의 끝단부에 위치하여, 정해진 위치에만 걸 수 있으므로 연장봉의 길이가 길 경우 바닥에서 상기 걸이부재까지의 높이 보다 연장봉의 길이가 더 길어짐으로 청소용구를 걸기가 어려워진다. 그에 더해, 연장봉의 하측에 구비된 걸레부분이 바닥면에 닿은 상태로 있게 되므로 보관장소가 깔끔하게 정리되지 못하는 경우가 생긴다. 한편,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걸이부재의 고정위치를 높일 경우 이 고정위치가 사용자의 키보다 훨씬 높아지게 되는 경우가 생겨 연장봉의 통공을 상기 고정금구에 끼우고 빼는 작업이 매우 불편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청소용구들은 그 보관처가 수 시로 바뀔 수 있으므로 이와 같은 걸이부재를 벽에 고정시켜 사용할 경우 청소용구를 다른 곳으로 보관할 일이 생길 때, 또 다시 벽에 걸이부재를 고정시켜야 함으로 설치작업이 매우 번거로워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 연장봉의 높이에 상관없이 자유롭게 착탈할 수 있어 보관이 용이한 청소용구 걸이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르면, 양측에 내측벽(11)이 형성되며 이 내측벽(11)의 안쪽에 상호 대향되는 회동축(13)이 구비된 지지부재(10)와, 상기 회동축(13)에 결합되어 상호 마주하여 회동되며 탄성재질로 이루어진 한 쌍의 록킹블럭(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록킹블럭(20)의 외측벽(21)은 상기 내측벽(11)에 지지되어 상측으로 회동되며, 상기 록킹블럭(20)의 서로 마주보는 대향외측벽(22)은 하측으로 곡선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용구 걸이기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록킹블럭(20)의 후면부에는 록킹블럭(20)의 상호 회동에 따라 서로 맞물려 동시에 회동되는 한 쌍의 기어(30)가 고정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용구 걸이기가 제공된다.
상기한 본 고안의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고안의 작동사시도, 작동상태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청소용구 걸이기는 양측에 내측벽(11)이 형성되며 이 내측벽(11)의 안쪽에 상호 대향되는 회동축(13)이 구비된 지지부재(10)와, 상기 회동축(13)에 결합되어 상호 마주하여 회동되며 탄성재질로 이루어진 한 쌍의 록킹블럭(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지부재(10)는 그 전면부까지 "ㄷ"자 형태로 절곡되어 있으며, 양측에 내측벽(11)이 형성된다. 따라서, 지지부재(10)의 절곡된부분의 전후양측에 통공이 형성되어 이 통공에 상기 회동축(13)이 끼워진다. 또한, 이 회동축(13)에 결합되는 상기 록킹블럭(20)은 고무재질로 이루어지며, 그 외측벽(21)이 상기 내측벽(11)에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회동축과(13)에 결합되는 부위가 외측벽(11)의 상측끝단부에 형성되며, 이 외측벽(11)의 상측모서리부분은 라운드형태로 형성되며, 이 외측벽(11)은 상측이 상기 내측벽(11)에 대해 소정간격 떨어지고, 그 하측이 내측벽(11)에 지지된다. 따라서, 하측으로는 하강이 제한되며, 상측으로만 회동되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록킹블럭(20)의 서로 마주보는 대향외측벽(22)에는 하측으로 곡 선경사진 호가 형성된다. 또한, 록킹블럭(20)은 그 호의 상측 끝단부가 상호 근접되도록 약간만 띄워진다.
그에 더해, 상기 록킹블럭(20)의 후면부에는 록킹블럭(20)의 상호 회동에 따라 서로 맞물려 회동되는 한 쌍의 기어(30)가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한 쌍의 록킹블럭(20)이 상호 상측을 향하여 회동될 때, 상기 한 쌍의 기어(30)가 서로 맞물린 상태에서 역시 상측으로 회동된다.
따라서, 청소용구(2)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연장봉(1)을 상기 한 쌍의 록킹블럭(20) 사이에 끼우면, 럭킹블럭의 서로 마주하는 대향외측벽(22)이 상호 동시에 상측으로 밀려 올라가게 되고, 그 사이에 연장봉(1)이 끼워진다. 이 때, 이 연장봉(1)은 그 자중에 의해 상기 대향외측벽(22)에 밀착되면서 록킹블럭(20)이 서로 맞물리므로 이 맞물린 부분을 중심으로 걸쳐진 상태가 된다.
특히, 상기 기어(30)가 상기 록킹블럭(20)의 후면에 고정된 상태로 록킹블럭(20)과 함께 회동됨으로써, 록킹블럭(20)은 상호 독립적으로 회동되지 않고, 항상 똑같이 회동되도록 작동된다.
도 3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도로써, 도시된 것처럼, 본 고안의 청소용구 걸이기를 이동식행거(40)에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이동식행거(40)에는 본 고안을 부착할 수 있도록 거치대(41)를 구비하여 이 거치대(41)에 본 고안을 접착제 또는 양면테이프 등으로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혹은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본 고안을 벽면에 직접 부착하여 사용하는 방법도 가능할 것이다.
이와 같이 설명한 본 고안의 장점은 상기 록킹블럭(20)의 외측벽(21)이 상기 지지부재(10)의 내측벽(11)에 지지된 상태에서 상측으로 회동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대향외측벽(22)에 하측으로 호 가 형성되게 구성함으로써, 청소용구(2)의 연장봉(1)을 상기 대향외측벽(22) 사이에 끼운 상태로 청소용구(2)의 자중에 의해 연장봉(1)이 대향외측벽(22)과 밀착지지되어 편리하게 청소용구(2)를 끼워넣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청소용구(2)를 거치할 때, 그 고정되는 위치를 마음대로 조절할 수 있으므로 청소용구(2)를 보관하는 데 필요한 공간을 절약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 록킹블럭(20)의 후면에 서로 맞물리는 기어(30)를 구비함으로써, 한 쌍의 록킹블럭(20)이 서로 동시에 회동되어 밀착되므로 연장봉(1)과 결합된 상태에서 연장봉(1)이 상기 록킹블럭(20)으로부터 쉽게 이탈되거나, 록킹블럭(20)이 어긋나게 결합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상기 록킹블럭(20)의 외측벽(21)이 상기 지지부재(10)의 내측벽(11)에 지지된 상태에서 상측으로 회동되도록 구성하고, 상 기 대향외측벽(22)에 하측으로 곡선경사지게 구성함으로써, 청소용구(2)의 연장봉(1)을 상기 대향외측벽(22) 사이에 끼운 상태로 청소용구(2)의 자중에 의해 연장봉(1)이 대향외측벽(22)과 밀착지지되어 편리하게 청소용구(2)를 끼워넣을 수 있으며, 특히, 연장봉(1)의 길이에 상관없이 그 고정되는 위치를 자유롭게 정할 수 있으므로 연장봉(1)의 길이가 길어진 경우에도 손쉽게 청소용구(2)를 끼워넣을 수 있고, 청소용구(2)의 하측에 걸레부분이 바닥면에 닿지 않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에 따라, 청소용구(2)가 마포와 같이 물에 적셔서 사용하는 청소용구(2)일 경우 걸레부분을 물에 빤 후에 깨끗하고 더욱 위생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청소용구(2)가 걸리는 위치를 마음대로 정할 수 있으므로 청소용구(2)를 걸기위해 사용되는 공간을 크게 절약할 수 있어, 본 고안을 이동식행거(40)의 거치대(41)에 설치하여 적용하기가 더욱 수월해지며, 이렇게 할 경우 청소용구(2)들을 한번에 원하는 위치에 자유자재로 옮길 수 있어, 청소작업의 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양측에 내측벽(11)이 형성되며 이 내측벽(11)의 안쪽에 상호 대향되는 회동축(13)이 구비된 지지부재(10)와, 상기 회동축(13)에 결합되어 상호 마주하여 회동되며 탄성재질로 이루어진 한 쌍의 록킹블럭(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록킹블럭(20)의 외측벽(21)은 상기 내측벽(11)에 지지되어 상측으로 회동되며, 상기 록킹블럭(20)의 서로 마주보는 대향외측벽(22)은 하측으로 곡선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용구 걸이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블럭(20)의 후면부에는 록킹블럭(20)의 상호회동에 따라 서로 맞물려 동시에 회동되는 한 쌍의 기어(30)가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용구 걸이기.
KR2020060031160U 2006-12-07 2006-12-07 청소용구 걸이기 KR20043652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31160U KR200436527Y1 (ko) 2006-12-07 2006-12-07 청소용구 걸이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31160U KR200436527Y1 (ko) 2006-12-07 2006-12-07 청소용구 걸이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6527Y1 true KR200436527Y1 (ko) 2007-09-03

Family

ID=416325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31160U KR200436527Y1 (ko) 2006-12-07 2006-12-07 청소용구 걸이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6527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9001B1 (ko) 2008-05-30 2008-11-17 김경애 청소도구함
KR101059929B1 (ko) * 2010-11-09 2011-08-29 주식회사 건승 오존발생과 걸레건조용 청소용구 보관함
KR200464896Y1 (ko) 2011-09-05 2013-01-22 석 희 한 캠 형 행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9001B1 (ko) 2008-05-30 2008-11-17 김경애 청소도구함
KR101059929B1 (ko) * 2010-11-09 2011-08-29 주식회사 건승 오존발생과 걸레건조용 청소용구 보관함
KR200464896Y1 (ko) 2011-09-05 2013-01-22 석 희 한 캠 형 행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36144B1 (en) Ladder tool tray with separable paint bucket
KR200436527Y1 (ko) 청소용구 걸이기
JPS62290432A (ja) 掃除モップ・パッド・ホルダ−
GB2372430B (en) A mop wringer in combination with a mophead
KR200459818Y1 (ko) 바닥용 청소 도구
JP3881373B1 (ja) 洗浄部材用スポンジ、洗浄部材用結合芯及び洗浄部材用組立装置
JP4351039B2 (ja) 台所用のラック
JP2015013098A (ja) 掃除用モップ
JP3922169B2 (ja) 清掃ブラシケース
US20100313369A1 (en) Cleaning apparatus with easily replaceable cleaning head
EP1402808A4 (en) MECHANICAL WASHING BRUSH, INTEGRATED STRUCTURE OF GROOVED PULSATOR AND WATER REMOVAL CYLINDER
KR20210019228A (ko) 조립성과 편의성이 개선되는 다목적 선반
JP6554138B2 (ja) 掃除用具
JP7437947B2 (ja) モップ収納ケース
JP2002209713A (ja) 吊下式ホルダー
US20080148505A1 (en) Floor cleaning apparatus
JP2002320586A (ja) 摺洗具ホルダー
JP2018201712A (ja) 清掃具
KR200306100Y1 (ko) 생활용품 비치구
RU14486U1 (ru) Веник
JP5777010B2 (ja) 洗浄及びマッサージ具
KR200373954Y1 (ko) 페인트붓
JP3113863U (ja) 組立式収納具兼ちり取り
US6729509B1 (en) Mini-blind holder and clothes hanger combination
CN209003861U (zh) 一种新型拖把收纳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2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