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1813Y1 - 다용도 청소용구함 - Google Patents

다용도 청소용구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1813Y1
KR200411813Y1 KR2020050036463U KR20050036463U KR200411813Y1 KR 200411813 Y1 KR200411813 Y1 KR 200411813Y1 KR 2020050036463 U KR2020050036463 U KR 2020050036463U KR 20050036463 U KR20050036463 U KR 20050036463U KR 200411813 Y1 KR200411813 Y1 KR 20041181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p
cleaning
angle
cleaning tool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3646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선표
Original Assignee
최선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선표 filed Critical 최선표
Priority to KR202005003646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181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181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181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1/00Cabinets or racks specially adapted for other particular purposes, e.g. for storing guns or skis
    • A47B81/02Cabinets or racks specially adapted for other particular purposes, e.g. for storing guns or ski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cleaning utensils

Landscapes

  • Cleaning Implements For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좁은 공간으로의 설치가 가능한 다용도 청소 용구함에 관한 것으로, 종래에는 물걸레의 걸레부분이 바닥에 닿아 있는 상태로서 그 건조가 용이하게 이루어질수 없을뿐만 아니라 걸레부분에 미세하게나마 이물질이 붙게 되므로서 청소 후의 물걸레 관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또한, 손잡이가 없는 물걸레인 경우 또는 밀대봉의 굵기가 모두 달리 제작되는 물걸레인 경우에 있어서는 거치대의 역할이 극히 제한되면서 그 사용상의 편의성을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대두되었다. 더불어 종래에는 모두 손잡이를 포함하는 밀대봉과 걸레부분으로 이루어지는 물걸레에 한정되면서 다수의 물걸레를 거치시키지 못하는 구조를 이루고 있는 바, 기타 여러가지의 청소용구를 보관하지 못하는 등 다용도 기능을 제공하지 못할뿐 아니라 그 보관에 따른 미관도 수려하지 못하였다.
이에 본 고안은, 여러가지 청소용구의 보관은 물론 다수의 물걸레를 거치시키도록 하면서 물기 건조가 빠르고도 간편하게 이루어지도록 앵글형태로서 좁은 공간으로의 설치가 가능한 다용도 청소 용구함을 제공하므로서, 종래에서와 같이 손잡이가 없는 경우 또는 밀대봉의 굵기가 모두 달리 제작되는 물걸레인 경우를 모두 수용할수 있도록 하면서 청소 후의 물걸레 관리를 손쉽게 하고, 더불어 청소용구의 보관에 따른 미관을 수려하게 제공하면서 그 사용상의 편의성을 제공함에 있다.

Description

다용도 청소용구함{SPEND LAVISHLY CLEANING A TOOL APPLIANCE}
도 1은 종래 물걸레 청소용구함의 제 1 실시예를 보인 구조도.
도 2는 종래 물걸레 청소용구함의 제 2 실시예를 보인 구조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서 다용도 청소용구함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서 손걸레 보관부와 물걸레 거치부재의 평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서 다용도 청소용구함의 구조를 보인 정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서 다용도 청소용구함의 구조를 보인 측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 물걸레 걸이부재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 물걸레 걸이부재의 사용상태로서, a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 물걸레 걸이부재에 밀대봉이 체결되지 않은 상태도, b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 물걸레 걸이부재에 밀대봉이 체결된 상태도.
본 고안은 좁은 공간으로의 설치가 가능한 다용도 청소 용구함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다수의 청소용구(예: 물걸레 또는 손걸레)를 용이하게 거치시키면서 그 물기 건조가 빠르고도 간편하게 이루어질수 있도록 하는 한편, 쓰레받기와 빗자루 와 같은 기타 청소 용구함의 보관도 가능하도록 하는 다용도 청소 용구함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물걸레 청소 용구함은 제 1 실시예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물걸레의 걸레부분을 바닥에 놓고 손잡이를 포함하는 밀대봉(2)을 거치대(3)에 거치시켰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제 1 실시예의 방식은 물걸레의 걸레부분이 물받이통(1)의 바닥에 닿아 있는 상태로서 그 건조가 용이하게 이루어질수 없을뿐만 아니라 걸레부분에 미세하게나마 이물질(예: 먼지 등)이 붙게 되므로서 청소 후의 물걸레 관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또한, 제 2 실시예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물걸레의 밀대봉(2)에 포함되는 손잡이에 홈(2a)을 형성시키고 이에 걸이용 끈(2b)을 형성시킨 후 상기의 끈(2b)을 거치대(3)에 거는 방식을 적용하므로서, 물걸레의 걸레부분을 물받이통(1)에서 공중으로 부양시켜 걸레부분의 건조가 용이하게 이루어질수 있도록 하였다.
즉, 상기 물걸레의 손잡이에 형성된 홈(2a)을 거치대(3)에 걸면, 상기 물걸레의 걸레부분에서 발생되는 물기가 바닥에 형성된 물받이통(1)으로 흘러 내리게 되는 바, 상기 물걸레의 건조가 쉽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제 2 실시예의 방식은, 손잡이가 없는 물걸레인 경우 또는 밀대봉의 굵기가 모두 달리 제작되는 물걸레인 경우에 있어서는 거치대(3)의 역할이 극히 제한되어 사용상의 편의성을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대두되었다.
한편, 상기의 제 1 및 제 2 실시예에 의한 방식은 모두 손잡이를 포함하는 밀대봉(2)과 걸레부분으로 이루어지는 물걸레에 한정되면서 다수의 물걸레를 거치시키지 못하는 구조를 이루고 있는 바, 기타 여러가지의 청소용구(예: 쓰레받기, 빗자루, 손걸레 등)를 보관하지 못하는 등 다용도 기능을 제공하지 못할뿐 아니라 그 보관에 따른 미관도 수려하지 못하였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여러가지 청소용구(예: 쓰레받기, 빗자루, 손걸레 등)의 보관은 물론 다수의 물걸레를 거치시킬수 있도록 하면서 그 물기 건조가 빠르고도 간편하게 이루어질수 있도록 앵글형태로서 좁은 공간으로의 설치가 가능한 다용도 청소 용구함을 제공하므로서, 종래에서와 같이 손잡이가 없는 경우 또는 밀대봉의 굵기가 모두 달리 제작되는 물걸레인 경우를 모두 수용할수 있도록 하면서 청소 후의 물걸레 관리를 손쉽게 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앵글형태로서 좁은 공간으로의 설치가 가능하므로, 청소용구의 보관에 따른 미관을 수려하게 제공할수 있도록 하면서 그 사용상의 편의성을 제공함에 있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서 다용도 청소용구함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서 손걸레 보관부를 포함하는 물걸레 거치부재의 평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서 다용도 청소용구함의 구조를 보인 정 면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서 다용도 청소용구함의 구조를 보인 측면도 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 물걸레 걸이부재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 물걸레 걸이부재의 사용상태로서 도 8a는 물걸레 걸이부재에 밀대봉이 체결되지 않은 상태도이고, 도 8b는 물걸레 걸이부재에 밀대봉이 체결된 상태도 이다.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같이, 앵글 형태로서 물걸레의 밀대봉(2) 중간부분을 지지하는 제 1 앵글(10a)과 제 2 내지 제 7 앵글(10b,10c,10d,10e,10f,10g)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는 다용도 청소 용구함(10)을 제공하되, 상기 청소 용구함(10)의 상단부에 결합되어 물걸레의 밀대봉(2) 상단을 견고하게 고정시키도록 탄성작용을 하는 물걸레 걸이부재(20)와; 청소 용구함(10)의 제 5 앵글(10e)에 부착되어 쓰레받기 및 빗자루와 같은 청소용구를 걸림동작시키는 청소용품 걸이부(30)와; 청소 용구함(10)의 중간부분에 위치하여 물걸레의 걸레부분에서 발생되는 물기를 용이하게 배출시키도록 바닥면에 물배출구멍(40a)을 다수 가공시킨 물걸레 거치부재(40)와; 상기 물걸레 거치부재(40)의 일측에 일정 경사각으로 형성되어 손걸레를 보관하는 손걸레 보관부(50)와; 청소 용구함(10)의 하단부에 결합되어 물걸레 거치부재(40) 및 손걸레 보관부(50)를 통해 배출되는 폐수를 보관하는 폐수보관부재(60); 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물걸레 걸이부재(20)는 다수의 물걸레 밀대봉(2) 상단이 삽입 가능하도록 하는 밀대걸이부(20a)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밀대걸이부(20a)의 안쪽 양측으로는 견고하게 고정되는 밀대봉(2)의 상단 삽입을 용이하게 안내한 후 그 이탈을 방지시키도록 탄성작용을 하는 고정날개부(20b)가 형성되어 있는 구조이다.
이하, 미설명된 도면부호 70은 다용도 청소 용구함(10)의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다리부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 다용도 청소 용구함의 일실시예에 대한 작용에 대하여 첨부된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다용도 청소 용구함의 조립은, 앵글 형태로서 물걸레의 밀대봉(2) 중간부분을 지지하는 제 1 앵글(10a)과 제 2 내지 제 7 앵글(10b,10c,10d,10e,10f, 10g)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는 다용도 청소 용구함(10)을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제 2 및 제 3 앵글(10b)(10c)의 하단부에는 다용도 청소 용구함(10)의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다리부(70)를 결합시킨다.
이후, 상기 청소 용구함(10)의 상단부에 위치하는 제 4 앵글(10d)에 물걸레 걸이부재(20)를 체결수단(예: 나사로서 도시하지 않음)으로 결합시키고, 상기 청소 용구함(10)의 제 5 앵글(10e)에는 쓰레받기와 빗자루와 같은 청소용구가 걸림동작을 할수 있도록 청소용품 걸이부(30)를 납땜으로 부착시킨다.
그리고, 상기 청소 용구함(10)의 중간부분 즉, 제 5 및 제 7 앵글(10e)(10g)과 제 2 및 제 3 앵글(10b)(10c)에 물배출구멍(40a)을 바닥면에 다수 가공되고 그 일측으로는 손걸레를 보관하기 위한 손걸레 보관부(50)가 형성된 물걸레 거치부재(40)를 납땜으로 고정 결합시킨다.
또한, 상기 물걸레 거치부재(40)의 하단 방향 즉, 청소 용구함(10)의 하단부 에 위치하는 제 6 앵글(10f)에 폐수를 보관하는 폐수보관부재(60)를 결합시키면, 다용도 청소 용구함의 조립이 완료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조립 완료된 청소 용구함(10)에 다수의 물걸레를 거치시키고자 하는 경우, 먼저 물걸레의 걸레부분을 바닥면에 다수의 물배출구멍(40a)이 가공된 물걸레 거치부재(40)에 올려 놓는다.
이후, 상기 물걸레의 밀대봉(2) 상단을 물걸레 걸이부재(20)에 삽입하면, 상기 물걸레 걸이부재(20)에 형성된 밀대걸이부(20a) 및 고정날개부(20b)가 삽입되는 물걸레의 밀대봉(2)에 따라 탄성작용을 하면서 상기 밀대봉(2)의 상단부를 견고하게 고정시키게 된다.
즉, 상기 밀대걸이부(20a)는 다수의 물걸레 밀대봉(2) 상단이 삽입 가능하도록 하는 탄성작용을 하게 되고, 상기 밀대걸이부(20a)의 안쪽 양측에 형성된 고정날개부(20b)는 도 8b에서와 같이 밀대봉(2)의 삽입을 안내한 후 그 이탈을 방지시키도록 탄성작용을 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물걸레 걸이부재(20) 및 물걸레 거치부재(40)에 의해 거치되는 물걸레 밀대봉(2)의 중간부분은 앵글 형태로서 제공되는 청소 용구함(10)의 중간부분에 위치하는 제 1 앵글(10a)에 의해 지지되도록 하므로서, 상기 물걸레의 거치가 일정 경사각을 이루면서 견고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이때, 상기 물걸레 거치부재(40)의 바닥면에는 물배출구멍(40a)이 다수 가공되어 있고 그 하단부에는 폐수보관부재(60)가 위치하고 있는 바, 상기 물걸레 거치부재(40)의 물배출구멍(40a)에 올려진 물걸레의 걸레부분(1)에서 발생되는 물기는 상기 물배출구멍(40a)을 통해 용이하게 배출되면서 폐수보관부재(60)로 보관되므로서, 물걸레의 건조가 간편하고도 빠르게 이루어질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청소 용구함(10)의 제 5 앵글(10e)에는 청소용품 걸이부(30)가 부착되어 있으므로 상기 청소용품 걸이부(30)에 쓰레받기나 빗자루와 같은 청소용구를 걸어 보관할수 있고, 더불어 상기 물걸레 거치부재(40)의 일측에는 일정 경사각을 이루는 손걸레 보관부(50)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에 손걸레를 보관할수 있게 된다.
여기서, 손걸레의 물기는 상기 손걸레 보관부(50)가 일정 경사각을 이루는 관계로 쉽게 상기 물걸레 거치부재(40)의 물배출구멍(40a)을 통해 폐수보관부재(60)로 배출되도록 하였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다용도 청소 용구함(10)은 다수의 앵글 결합으로 이루어진 구조로서, 이는 청소용구를 다량으로 보관할수 있을뿐만 아니라 좁은 공간으로의 설치와 그 이동이 간편하게 이루어지고 청소용구의 보관에 따른 미관을 수려하게 제공할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종래에서와 같이 손잡이가 없는 경우 또는 밀대봉의 굵기가 모두 달리 제작되는 물걸레인 경우를 모두 수용할수 있도록 하면서 청소 후의 물걸레 관리를 손쉽게 할수 있을뿐만 아니라 앵글형태로서 좁은 공간으로의 설치가 가능하므로, 청소용구의 보관에 따른 미관을 수려하게 제공할수 있도록 하면서 그 사용상의 편의성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앵글 형태로서 물걸레의 밀대봉 중간부분을 지지하는 제 1 앵글과 제 2 내지 제 7 앵글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는 다용도 청소용구함을 제공하되,
    상기 청소용구함의 상단부에 결합되어 물걸레의 밀대봉 상단을 견고하게 고정시키도록 탄성작용을 하는 물걸레 걸이부재와;
    청소용구함의 제 5 앵글에 부착되어 쓰레받기 및 빗자루와 같은 청소용구를 걸림동작시키는 청소용품 걸이부와;
    청소용구함의 중간부분에 위치하여 물걸레의 걸레부분에서 발생되는 물기를 용이하게 배출시키도록 바닥면에 물배출구멍을 다수 가공시킨 물걸레 거치부재와;
    상기 물걸레 거치부재의 일측에 일정 경사각으로 형성되어 손걸레를 보관하는 손걸레 보관부와;
    청소용구함의 하단부에 결합되어 물걸레 거치부재 및 손걸레 보관부를 통해 배출되는 폐수를 보관하는 폐수보관부재; 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청소용구함.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물걸레 걸이부재는 다수의 물걸레 밀대봉 상단이 삽입 가능하도록 하는 밀대걸이부가 형성되고, 상기 밀대걸이부의 안쪽 양측으로는 견고하게 고정되는 밀대봉의 상단 삽입을 용이하게 안내한 후 그 이탈을 방지시키도록 탄성작용을 하는 고정날개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청소용구함.
KR2020050036463U 2005-12-27 2005-12-27 다용도 청소용구함 KR20041181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6463U KR200411813Y1 (ko) 2005-12-27 2005-12-27 다용도 청소용구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6463U KR200411813Y1 (ko) 2005-12-27 2005-12-27 다용도 청소용구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1813Y1 true KR200411813Y1 (ko) 2006-03-17

Family

ID=417621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6463U KR200411813Y1 (ko) 2005-12-27 2005-12-27 다용도 청소용구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1813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5261B1 (ko) * 2010-01-28 2013-01-22 현대제철 주식회사 스트립의 칩 제거 공구용 거치대
KR101620335B1 (ko) * 2014-10-31 2016-05-17 지석준 이동식 청소도구 보관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5261B1 (ko) * 2010-01-28 2013-01-22 현대제철 주식회사 스트립의 칩 제거 공구용 거치대
KR101620335B1 (ko) * 2014-10-31 2016-05-17 지석준 이동식 청소도구 보관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21798A (en) Utensil handle holder
US8464868B2 (en) Toothbrush holder
US20080029981A1 (en) Janitorial cleaning cart
US9220391B1 (en) Sponge holder
US7124465B1 (en) Multi-layered hanging cleaning sponge
KR830000846B1 (ko) 식물관리용 기구
KR200411813Y1 (ko) 다용도 청소용구함
GB2484367A (en) A mop and bucket arrangement
KR200172955Y1 (ko) 다용도청소용구함
KR20180001414U (ko) 다용도 선반용 걸이구
KR200459818Y1 (ko) 바닥용 청소 도구
US3409932A (en) Cleaning apparatus
US4938345A (en) Dispensing and draining device
KR101818533B1 (ko) 쓰레받기
JP2005059406A (ja) 油絵の具をパレットに出した状態で持ち運びができる、油絵の具が垂れないパレットのセット
KR200436527Y1 (ko) 청소용구 걸이기
KR20140005224U (ko) 싱크대용 수납장치
KR200380781Y1 (ko) 청소도구함
KR200412648Y1 (ko) 청소도구함
US20050103955A1 (en) Mop handle holder
JPH10234497A (ja) 差し込みホルダ
JP5256703B2 (ja) キャビネット
US10362868B2 (en) Compact broom and dust mop storage rack
KR200234552Y1 (ko) 거치식 수납대
KR200166034Y1 (ko) 청소도구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