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4896Y1 - 캠 형 행거 - Google Patents

캠 형 행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4896Y1
KR200464896Y1 KR2020110008051U KR20110008051U KR200464896Y1 KR 200464896 Y1 KR200464896 Y1 KR 200464896Y1 KR 2020110008051 U KR2020110008051 U KR 2020110008051U KR 20110008051 U KR20110008051 U KR 20110008051U KR 200464896 Y1 KR200464896 Y1 KR 20046489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
hanger
cleaning tool
present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805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석 희 한
Original Assignee
석 희 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석 희 한 filed Critical 석 희 한
Priority to KR202011000805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489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489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489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50Auxiliary implements
    • A47L13/51Storing of cleaning tools, e.g. containers therefor
    • A47L13/512Clamping devices for hanging the tools

Landscapes

  • Cleaning Implements For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행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캠 형 행거에 관한 것이다.
대걸레를 청소용구 등을 사용한 다음에는 깔끔한 관리를 위하여 지정된 장소에 구비된 행거에 걸어서 보관하게 된다. 상기한 행거는 다양한 형태의 기술이 제안되고 있다. 그런데 상기한 행거에 청소용구를 걸어두면 청소용구가 흘러내리는 품질문제가 있고, 행거의 구조가 복잡하여 제작원가가 많이 드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품질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에 따른 캠 형 행거는 캠(2)은 반원 형상의 외주를 따라 두 줄로 평행하게 형성된 산(3)이 구비되고, 축(4)에는 상기한 캠(2)이 회동가능하게 조립되어 고정판(5)에 설치되며, 지지대(6)는 상기한 캠(2)의 좌우에 배치하여 고정판(5)에 설치됨에 특징이 있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캠 형 행거는 구성하는 부품의 수가 적으면서도 청소용구 손잡이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기 때문에 안정된 품질을 확보함과 동시에 캠 형 행거의 제작원가를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게 되었다

Description

캠 형 행거{Cam Type Hanger}
본 고안은 행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청소용구 등을 거는데 사용되는 캠 형 행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걸레를 비롯한 빗자루 등의 청소용구나 공구 등의 용구를 사용한 다음에는 깔끔한 관리를 위하여 지정된 장소에 구비된 행거에 걸어서 보관하게 된다. 상기한 행거는 다양한 형태의 기술이 제안되고 있는데 그 기술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6 내지 도 7은 종래의 행거를 나타낸 평면도와 정면도이다.
행거(a)는 몸체(b)의 좌우에 배치된 캠(c)이 한 쌍 축(d)에 회동가능하게 조립되어 있고, 좌우에 배치된 기어(e)는 상호 치합하여 상기한 캠(c)에 고정되고, 스프링(f)은 상기한 캠(c)이 축(d)을 중심으로 아래로 회동되게 탄성력을 가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한 캠(c)에 외력을 가하여 상 방향으로 회동시키면 캠(c)에 구비된 기어(e)에 의해서 좌우에 배치된 캠(c)은 동일한 각도로 연동되고, 상기한 외력을 제거하면 스프링(f)의 탄성력에 의해서 좌우에 배치된 캠(c)은 동일한 각도로 연동하여 아래로 내려온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행거(a)는 좌우에 배치된 캠(c)이 위로 회동하면 좌우에 배치된 캠(c)의 사이는 넓어지고, 좌우에 배치된 캠(c)이 아래로 회동하면 좌우에 배치된 캠(c)의 사이가 좁아진다. 상기한 행거(a)는 청소용구 손잡이를 좌우에 배치된 캠(c)의 사이에 위치시키면 좌우에 배치된 캠(c)이 청소용구 손잡이를 압박하여 청소용구 손잡이가 아래로 내려가지 못하게 고정하게 구성된 것이다.
상기한 행거(a)는 구조가 복잡하면서도 고정판 등에 부착하여 사용된다. 상기한 행거(a)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여러 부품을 제작해야 하기 때문에 다수의 금형이 필요하고, 제품을 조립하는 데에도 공수가 많이 들어가기 때문에 제작원가가 높아지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상기한 행거(a)에서 캠(c)은 청소용구의 손잡이와 접촉하는 면이 일자 형태이기 때문에 청소용구 손잡이가 행거(a)의 캠(c)에서 수평방향으로 쉽게 이탈되는 문제도 있었다.
[문헌 1] 출원번호: 20-2010-0003687, 2010. 4. 9. 도 4
문헌 1의 행거는 몸체에 상하가 개방된 적당한 크기의 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한 홈의 한쪽에는 고정 면이 배치되며, 상기한 고정면의 대향 측에는 홀더가 배치된다. 상기한 홀더는 상기한 몸체에서 좌측으로 올라가는 기울기를 갖는 안내면이 형성된 홈에 조립되어 있고, 상기한 홈의 가운데 아래에는 랙 기어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한 홀더에서 가이드 홈이 형성된 부위의 축에는 기어가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한 홀더가 몸체의 안내면에 조립되면 홀더에 구비된 기어와 안내면의 하부에 구비된 랙 기어는 상호 치합된다. 따라서 홀더가 안내면을 따라 사선 방향으로 상하로 이동할 때에는 홀더가 이동방향으로 반드시 회동된다. 이와 같이 구성하여 상기한 홀더가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면 홀더는 사선방향의 상부로 올라가기 때문에 홀더와 고정 면의 사이는 벌어지고, 홀더가 시계방향으로 회동하여 사선방향의 아래로 내려오면 홀더와 고정 면의 사이는 좁아진다. 따라서 홀더가 사선방향으로 최대한 내려오면 홀더와 고정면의 사이는 가장 좁은 상태가 된다.
청소용구 손잡이를 상기한 고정면과 홀더 사이에 위치시켜 하강하면 홀더가 상기한 청소용구 손잡이를 따라 회동하여 내려가서 고정면과 홀더 사이에 있는 청소용구 손잡이를 압박하여 행거에 고정하고 있다.
상기한 행거도 구조가 복잡하지만 고정판 등에 부착하여 사용된다. 따라서 상기한 행거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여러 부품을 제작해야 하기 때문에 다수의 금형이 필요하고, 제품을 조립하는 데에도 공수가 많이 들어가기 때문에 제작원가가 높아지는 문제가 있다. 특히, 행거에서 홀더를 설치하는 수에 따라 행거의 몸체를 별도로 제작해야 하기 때문에 많은 종류의 금형이 필요한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구조를 단순화하면서도 청소용구 손잡이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행거를 제공하고자 한다. 즉, 행거를 제작하는데 필요한 금형 등의 수를 줄여서 제작비용을 절감하고, 행거를 조립하는데 드는 공수도 줄여 제작원가를 절감하면서도 품질은 좋은 행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캠 형 행거에 있어서, 캠은 반원 형상의 외주를 따라 두 줄로 평행하게 형성된 산이 있고, 고정판에 설치된 축에는 상기한 캠이 회동가능하게 조립되며, 지지대는 상기한 캠의 좌우에 배치하여 고정판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캠 형 행거는 구성하는 부품의 수가 적어서 금형제작 비용이 절감되고, 캠 형 행거를 조립하는 공수도 적게 들어서 제작원가 부담을 줄일 수 있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른 캠 형 행거를 구성하는 부품의 수가 적기 때문에 부품단위의 품질문제나 부품 상호간에 발생되는 품질문제도 줄기 때문에 안정된 품질을 확보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캠 형 행거에 고정된 청소용구나 공구 등의 용구 손잡이는 캠의 외주에 형성된 산에 의해서 측면으로는 물론 아래로 미끄러지지도 않아서 견고하게 고정된다.
특히, 캠을 조립한 축을 벽에 설치하여 고정하고, 상기한 축의 좌우에 지지대를 상기한 벽에 설치하여 사용하면 본 고안에 따른 캠 형 행거는 더욱 저렴한 비용으로 사용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캠 형 행거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캠 형 행거의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캠 형 행거의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캠의 외주에 오링이 구비된 캠의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캠의 외주에 구비된 오링의 일부를 절단하여 확대한 캠의 측면도.
도 6은 종래 행거의 평면도.
도 7은 종래 행거의 정면도.
본 고안에 따른 캠 형 행거에 있어서, 캠은 반원 형상의 외주를 따라 두 줄로 평행하게 형성된 산이 있고, 고정판에 설치된 축에는 상기한 캠이 회동가능하게 조립되어 있으며, 지지대는 상기한 캠의 좌우에 배치하여 고정판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캠 형 행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캠 형 행거의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캠 형 행거의 평면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캠 형 행거(1)에 있어서, 캠(2)은 반원 형상의 외주를 따라 두 줄로 평행하게 형성된 산(3)이 있고, 고정판(5)에 설치된 축(4)에는 상기한 캠(2)이 회동가능하게 조립되어 있으며, 지지대(6)는 상기한 캠(6)의 좌우에 배치하여 고정판(5)에 설치된다.
상기한 캠(2)의 중심에는 홀(7)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한 축(4)은 상기한 캠(2)의 홀(7)에 삽입하여 고정판(5)에 구비된 조립공(8)에 용접이나 나사조립 등의 방법으로 견고하게 고정된다. 상기한 축(4)에 조립된 캠(2)은 축(4)으로부터 이탈되지 않으면서 축(4)을 중심으로 원활하게 회동된다. 상기한 캠(2)은 고정판(5)에 축(4)으로 조립되면 무게중심이 도면에서 축(4)으로부터 좌측에 있다. 따라서 캠(2)에 외력이 없을 경우에는 캠(2)은 자중에 의해서 언제나 반시계방향으로 회동되고, 상기한 캠(2)이 반시계방향으로 최대한 회동되면 캠(2)의 우측에 배치된 지지대(6)의 하부에 캠(2)의 하단이 걸려서 캠(2)의 회동을 제한한다. 그리고 외력을 가하여 캠(2)을 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키면 캠(2)은 90도 가량 회동된 뒤에 캠(2)의 우측에 배치된 지지대(6)의 상부에 캠(2)이 걸려서 캠(2)의 회동은 정지된다. 상기한 캠(2)을 회동시킨 외력을 제거하면 캠(2)은 자중에 의해서 다시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여 캠(2)의 우측에 배치된 지지대(6)의 하부에 캠(2)의 일단이 걸려서 회동이 정지된다. 상술한 바에 의하면 캠(2)의 우측에 배치된 지지대(6)는 캠(2)이 회동되는 범위를 적절하게 제한할 수 있게 캠(2)으로부터 알맞은 거리에 설치되어 있어야 한다.
상기한 고정판(5)은 외력을 견딜 수 있게 제작되어야 하고, 고정판(6)의 모양은 다양한 행태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한 고정판(5)에는 고정판(5)을 벽 등에 설치하는데 필요한 홀(9)이 고정판(5)의 상하에 적절하게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한 캠(2)의 반원형상의 외주에 형성된 산(3)과 캠(2)에 형성된 홀(7)과의 거리는 시계방향으로 갈수록 멀어지게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한 캠(2)은 캠(2)을 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키면 회동되는 각도에 따라서 캠(2)의 좌측에 배치된 지지대(6)와 캠(2)의 외주에 구비된 산(3)과의 사이는 점점 넓어지고, 상기한 캠(2)이 반시계방향으로 회동되면 회동되는 각도에 따라서 캠(2)의 좌측에 배치된 지지대(6)와 캠(2)의 외주에 구비된 산(3)과의 사이는 점점 좁아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한 캠(2)이 시계방향으로 최대한 회동시키면 캠(2)의 좌측에 배치된 지지대(6)와 캠(2)의 외주에 구비된 산(3) 사이는 가장 넓은 상태가 되고, 상기한 캠(2)이 반시계방향으로 최대한 회동되면 캠(2)의 좌측에 배치된 지지대(6)와 캠(2)의 외주에 구비된 산(3) 사이는 가장 좁은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서 상기한 캠 형 행거(1)에 걸 수 있는 손잡이의 굵기는, 캠(2)의 좌측에 배치된 지지대(6)와 캠(2)의 외주에 구비된 산(3) 사이가 가장 넓은 상태보다는 가늘어야 되고, 캠(2)의 좌측에 배치된 지지대(6)와 캠(2)의 외주에 구비된 산(3) 사이가 가장 좁은 상태보다는 좀 더 굵어야 된다.
상술한 바에 의하면 캠(2)의 좌측에 배치된 지지대(6)와 캠(2)과의 거리는 매우 중요하다. 왜냐하면 캠(2)의 좌측에 배치된 지지대(6)와 캠(2)의 외주에 구비된 산(3)과의 거리에 따라서 수용할 수 있는 청소용구 손잡이의 굵기가 결정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캠(2)의 좌측에 설치되는 지지대(6)는 캠(2)을 설치한 축(4)으로부터 적절한 거리에 설치되어야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캠 형 행거(1)에서 캠(2)과 캠(2)으로부터 좌측에 배치된 지지대(6)의 사이에 청소용구 손잡이(11)는 다음과 같이 걸 수 있다.
청소용구 손잡이(11)를 수직으로 세워서 청소용구 손잡이(11)로 캠(2)의 산(3) 부위를 밀어 올려서 캠(2)을 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킨다. 그러면 캠(2)의 좌측에 배치된 지지대(6)와 캠(2)의 외주에 형성된 산(3) 사이에 청소용구 손잡이(11)가 통과할 공간이 생기는데 이 때 청소용구 손잡이(11)를 밀어 넣는다. 청소용구 손잡이(11)가 좌측에 배치된 지지대(6)와 캠(2)의 외주에 형성된 산(3) 사이에서 정지하면 캠(2)은 자중에 의해서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여 캠(2)의 외주에 형성된 두 줄의 산(3)은 청소용구 손잡이(11)에 밀착된다. 이어서 청소용구 손잡이(11)이를 놓으면 청소용구 손잡이(11)는 자중에 의해서 하강하고, 청소용구 손잡이(11)와 접촉된 캠(2)의 산(3)은 청소용구 손잡이(11)가 하강하는 거리에 비례하여 캠(2)이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한다. 상기한 캠(2)이 회동하여 좌측의 지지대(6)와 우측의 캠(2)의 외주에 구비된 두 줄의 산(3) 사이가 점점 좁아지다가 어느 순간에는 청소용구 손잡이(11)는 좌측의 지지대(6)와 우측의 캠(2)의 산(3) 사이에서 압박을 받아서 청소용구 손잡이(11)가 아래로 내려가지 못하고 정지되면 캠(2)의 회동도 정지된다. 상기와 같이 청소용구 손잡이(11)가 지지대(6)와 캠(2)의 사이에 끼어서 아래로 더 이동하지 못하는 상태가 청소용구 손잡이(11)가 캠 형 행거(1)에 걸린 상태가 된다.
다음은 본 고안에 따른 캠 형 행거(1)에 걸려있는 청소용구의 분리는 다음과 같이한다.
청소용구 손잡이(11)를 캠(2)의 산(3)에 밀착시켜서 상부로 올리면 캠(2)이 시계방향으로 회동하여 지지대(6)와 캠(2)의 외주에 형성된 산(3) 사이에 청소용구 손잡이(11)가 통과할 공간이 생길 때 청소용구 손잡이(11)를 지지대(6)와 캠(2)의 전방으로 당겨내어 캠 형 행거로부터 분리한다. 청소용구 손잡이(11)가 지지대(6)와 캠(2)으로부터 분리되면 캠(2)은 자중에 의해서 스스로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여 캠(2)의 좌측에 배치된 지지대(6)의 하부에 걸려서 회동은 정지된다.
본 고안에 의하면 캠(2)의 외주에 두 줄의 산(3)을 형성하고 있는데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첫째, 캠(2)의 좌측에 배치된 지지대(6)와 캠(2)에 구비된 두 줄의 산(3) 사이에 위치한 청소용구 손잡이(11)가 하강할 때 청소용구 손잡이(11)가 내려가는 거리에 비례하여 캠(2)은 반시계방향으로 회동되어야 좌측의 지지대(6)와 우측 캠(2)의 산(3)의 사이가 좁혀지면서 청소용구 손잡이(11)가 고정된다. 이와 같이 청소용구 손잡이(11)가 하강하는 거리에 비례하여 캠(2)이 연동되는 것은 캠(2)의 외주에 구비된 산(3)과 청소용구 손잡이(11)와의 마찰력이 좋아야 가능하다. 즉, 캠(2)의 외주에 두 줄의 산(3)을 형성한 것은 청소용구 손잡이(11)와 캠(2)과의 마찰력을 두 배로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둘째, 본 고안에 따른 캠 형 행거(1)에 걸린 청소용구 손잡이(11)는 캠(2)의 외주를 따라 형성된 두 줄의 산(3) 사이와 지지대(6)의 사이에 있다. 따라서 청소용구 손잡이(11)는 상기한 캠(2)의 산(3)에 의해서 인위적인 조작을 하지 않는다면 수평으로는 이동이 어렵다. 따라서 상기한 청소용구 손잡이(11)를 상기한 캠 형 행거(1)로부터 분리하기 위해서는 청소용구 손잡이(11)를 상부로 올리면서 캠(2)을 시계방향으로 회동시켜 지지대(6)와 캠의 산(3) 사이에 청소용구 손잡이(11)가 통과할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되어야만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고안에 따른 캠 형 행거(1)에 청소용구 손잡이(11)를 걸어두면 청소용구 손잡이(11)가 수평방향으로 밀려서 이탈되는 것을 저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캠(2)의 외주를 따라 두 줄로 형성된 산(3)과 청소용구의 손잡이(11)이와의 사이에 발생되는 마찰력은 중요하다. 따라서 효과적인 마찰력을 얻기 위한 방법으로는 산(3)의 표면에 다양한 형태의 요철을 형성하면 효과적일 수 있다.
한편, 상기한 캠(2)의 외주를 따라 형성된 두 줄의 산(3) 사이의 거리와 산(3)의 높이는 다음과 같이 결정되어야 한다. 사용될 청소용구 손잡이(11)가 지지대(6)와 캠(2)의 외주에 두 줄로 형성된 산(3) 사이에 위치되면 캠(2)에 형성된 두 줄의 산(3) 사이의 바닥면에 청소용구 손잡이(11)가 닿지 않는 거리와 높이로 제작되어야 한다.
그리고 도 2 내지 도 3에 표시한 바와 같이 도면에서 좌측에 배치된 청소용구 손잡이(11)는 굵기가 가늘고 우측에 배치된 청소용구 손잡이(11a)는 좌측의 청소용구 손잡이(11) 보다는 굵기가 굵다. 이와 같이 청소용구의 손잡이(11, 11a)의 굵기에 따라서 캠 형 행거(1)에서 캠(2)이 회동하여 고정되는 위치는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다르다. 즉, 본 고안에 따른 캠(2)의 회동에 따라 캠(2)의 좌측에 배치된 지지대(6)와 캠(2)의 외주에 두 줄로 형성된 산(3)과의 거리는 다양하게 변한다. 그러므로 청소용구 손잡이(11)가 다양한 굵기를 갖더라도 상기한 캠 형 행거(1)를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캠(2)의 좌측에 배치된 지지대(6)가 캠(2)으로부터 설치되는 위치를 조정하면 캠 형 행거(1)에 걸 수 있는 청소용구 손잡이(11)의 굵기도 조정된다.
본 고안의 일실시례에서 캠 형 행거(1)에 두 개의 캠(2)을 고정판(5)에 설치된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한정된 것은 아니다. 따라서 필요에 따라 캠(2)을 하나 내지 필요한 만큼 다수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고, 캠(2)의 수와 크기에 따라서 고정판(5)과 지지대(6)를 구비하면 된다.
본 고안에서는 상기한 캠(2)의 외주를 따라 두 줄로 평행하게 형성된 산(3)이 캠(2)의 몸체와 일체로 구성된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한정된 것은 아니다. 따라서 다음과 같이 캠(2)에서 산(3)의 일부에 마찰력이 좋은 오링을 조립하도록 구성하여도 된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캠의 외주에 오링이 구비된 캠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캠의 외주에 구비된 오링의 일부를 절단하여 확대한 캠의 측면도이다.
캠(2)의 외주에 두 줄로 형성된 산(3a)에는 홈(16)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한 홈(16)에는 오링(15)을 견고하게 조립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캠(2)을 이용하여 청소용구 손잡이(11)를 고정할 때에는 캠(2)의 외주에 조립된 오링(15)이 청소용구 손잡이(11)와 접촉되게 오링(15)의 크기와 위치를 관리하여야 한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상기한 캠(2)의 몸체는 구조강도가 좋고 제작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자재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고, 상기한 오링(15)은 마찰력과 내구성이 좋은 고무 등의 자재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고안의 설명에서 편의에 따라 캠 형 행거(1)에 청소용구 손잡이(11)를 걸어서 사용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한정된 것은 아니다. 따라서 스포츠용구나 기타 막대형 손잡이를 구비한 다양한 상품도 본 고안에 따른 캠 형 행거(1)에 걸어서 보관할 수 있다.
2: 캠 3: 산 4: 산
5: 고정판 6: 지지대 15: 오링
16: 홈

Claims (2)

  1. 용구를 거는데 사용되는 행거에 있어서,
    캠(2)은 반원 형상의 외주를 따라 두 줄로 평행하게 형성된 산(3)이 있고, 고정판(5)에 설치된 축(4)에는 상기한 캠(2)이 회동가능하게 조립되어 있으며. 지지대(6)는 상기한 캠(2)의 좌우에 배치하여 고정판(5)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 형 행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캠(2)의 외주에 구비된 산(3)을 따라 형성된 홈(16)에 오링(15)이 조립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 형 행거.
KR2020110008051U 2011-09-05 2011-09-05 캠 형 행거 KR20046489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8051U KR200464896Y1 (ko) 2011-09-05 2011-09-05 캠 형 행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8051U KR200464896Y1 (ko) 2011-09-05 2011-09-05 캠 형 행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4896Y1 true KR200464896Y1 (ko) 2013-01-22

Family

ID=513602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8051U KR200464896Y1 (ko) 2011-09-05 2011-09-05 캠 형 행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4896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65516A (ja) 1999-08-26 2001-03-16 Seiwa Kk クランプ
KR200340928Y1 (ko) 2003-10-16 2004-02-11 김영동 대걸레 건조장치
KR200436527Y1 (ko) 2006-12-07 2007-09-03 김명욱 청소용구 걸이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65516A (ja) 1999-08-26 2001-03-16 Seiwa Kk クランプ
KR200340928Y1 (ko) 2003-10-16 2004-02-11 김영동 대걸레 건조장치
KR200436527Y1 (ko) 2006-12-07 2007-09-03 김명욱 청소용구 걸이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910170B1 (en) Tray supporting apparatus for dishwasher, cutlery tray assembly and dishwasher
US8800072B2 (en) Shower curtain rod assembly
US9452524B1 (en) Composite tool holder
RU2012153190A (ru) Конвейерная лента с износостойкими штабелированными роликами
KR200464896Y1 (ko) 캠 형 행거
EP2820998B1 (en) Basket arrangement for a dishwashing machine
JP3153928U (ja) 多機能昇降テーブル
CN103648346B (zh) 可壁挂的真空吸尘器和托架的总成
EP3373772B1 (en) Mounting device
KR101740855B1 (ko) 가구용 선반 지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가구
CN109764623B (zh) 可调式搁物架以及使用该可调式搁物架的冰箱
CN109083025B (zh) 一种桥梁支座自动抽取设备及方法
CN108309078B (zh) 煎烤机
KR20130097009A (ko) 도금용 바스켓장치
US20060157429A1 (en) Media storage organizer and method for using same
JP2015012973A (ja) スライド収納装置
JP3803972B1 (ja) 口紅等の収納容器
TW201106311A (en) Revolvable logo device
KR101526153B1 (ko) 식기세척기의 도어개폐 가이드구조
JP2008036372A (ja) 口紅等の収納容器
CN216470950U (zh) 适配调高分离器
KR200463218Y1 (ko) 냄비뚜껑
KR20130115936A (ko) 티 자형 스탠드
CN115788263A (zh) 一种滑动停靠机构、升降结构及门
CN111493779A (zh) 碗篮结构及具有其的洗碗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5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