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4643Y1 - 러빙장치에서 롤 플랜지와 스핀들과의 결합구조 - Google Patents

러빙장치에서 롤 플랜지와 스핀들과의 결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4643Y1
KR200434643Y1 KR2020060015857U KR20060015857U KR200434643Y1 KR 200434643 Y1 KR200434643 Y1 KR 200434643Y1 KR 2020060015857 U KR2020060015857 U KR 2020060015857U KR 20060015857 U KR20060015857 U KR 20060015857U KR 200434643 Y1 KR200434643 Y1 KR 20043464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
spindle
rubbing
head
fl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585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형열
Original Assignee
위아무역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위아무역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위아무역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6001585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464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464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464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7Surface-induced orientation of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e.g. by alignment layers
    • G02F1/13378Surface-induced orientation of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e.g. by alignment layers by treatment of the surface, e.g. embossing, rubbing or light irradiation
    • G02F1/133784Surface-induced orientation of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e.g. by alignment layers by treatment of the surface, e.g. embossing, rubbing or light irradiation by rubb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06Mechanical details, e.g. roller, bel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3Conveying cassettes, containers or carri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메인 프레임 위에 글라스 기판의 이송을 위한 테이블과 헤드 로테이터와 이에 결합된 롤 헤드와 롤 프레임을 지지하기 위한 헤드 프레임이 설치되고, 롤 헤드의 하단부에 위치한 롤 프레임의 일측 하단부에 실린더에 연동해서 러빙롤러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스핀들 지지 장치가 설치되며, 롤 헤드의 하단부에 위치한 롤 프레임의 다른 일측 하단부에 설치된 스핀들 지지장치가 서보 모터에 연동해서 스핀들에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설치되며, 스핀들 지지장치들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 축의 단부에는 러빙롤러를 지지하면서 회전시키기 위한 스핀들이 각각 설치되며, 러빙롤러의 양측에는 스핀들과의 분리 결합을 위한 롤 플랜지가 설치된 것으로서, 스핀들은 러빙롤러의 롤 플랜지와의 분리 결합이 용이하도록 전방이 경사면으로 이루어지고 스핀들의 중심을 관통하는 핀 구멍에 스핀들의 직경보다 긴 길이를 가지는 위치 결정핀이 결합되며 위치 결정핀은 스핀들 전방에 나사 결합된 접시머리나사에 의해 고정되고, 롤 플랜지는 스핀들과의 분리 결합을 위해 내주면이 스핀들의 경사면에 대응되게 경사진 결합 요홈이 중앙에 형성되고 스핀들의 위치 결정핀과의 분리 결합을 위한 핀 홈이 결합 요홈에 접하게 형성된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면, 롤 헤드에 러빙롤러를 손쉽게 분리 결합할 수 있으며, 초경합금이나 냉간 금형용 합금 공구강(SKD11), 고속도 공구강(HSS, High Speed tool Stell), 고속도공구강 강재(SKHS), 고 난삭재 절삭용 고속도강(SKH10) 등과 같이 내마모성이 강한 재질로 러빙롤러의 롤 플랜지 및 스핀들을 성형하여 러빙롤러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롤 플랜지와 스핀들과의 안정적인 결합상태를 유도할 수 있다.
러빙, 글라스 기판, 스핀들, 롤 플랜지.

Description

러빙장치에서 롤 플랜지와 스핀들과의 결합구조{Coupling structure of roll flange and spindle}
도1은 본 고안에 의한 러빙장치를 보인 개략도이다.
도2a 내지 도2c는 본 고안에서 롤 헤드 즉, 스핀들과 러빙롤러와의 척킹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3a 및 도3b는 본 고안에서 러빙롤러의 롤 플랜지에 스핀들이 취부된 상태를 보인 개략도이다.
도4a 내지 도4c는 러빙장치의 러빙롤러(9)를 보인 단면 및 측면도이다.
도5a 내지 도5e는 러빙롤러(9)의 롤 플랜지(8)와 분리 결합되는 스핀들(7)과 이에 결합된 축(13)을 보인 도면이다.
도6a 내지 도6c는 러빙롤러(9)의 무게중심을 조절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7a 내지 도7c는 러빙롤러(9)의 편심을 측정하여 조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메인 프레임 2 : 테이블
3 : 헤드 프레임 4 : 헤드 로테이터
4a : 롤 헤드 5 : 서보 모터
6 : 실린더 7 : 스핀들
8 : 롤 플랜지 9 : 러빙롤러
10 : 벨트 11 : 롤 프레임
12a, 12b : 스핀들 지지장치 13 : 축
14 : 위치 결정핀 15 : 핀 홈
16 : 결합 요홈 17 : 보강재
18 : 균형추 19 : 브라켓
20 : 무두 볼트 탭 21 : 볼트 탭
23 : 핀 구멍 24 : 나사 탭
25 : 접시머리나사 26 : 고정 공
27, 28 : 볼트 29 : 인디케이터 측정기
본 고안은 러빙장치에서 롤 플랜지와 스핀들과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고안은 러빙롤러의 양단에 롤 플랜지를 설치하고, 롤 헤드에 지지된 상태에서 롤 플랜지에 분리 결합되는 스핀들이 러빙롤러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롤 헤드에 러빙롤러를 손쉽게 분리 결합할 수 있는데, 특히 러빙롤러의 롤 플랜지와 스핀들을 초경합금이나 냉간 금형용 합금 공구강(SKD11), 고속도공구강(HSS, High Speed tool Stell), 고속도공구강 강재(SKHS), 고 난삭재 절삭용 고속도강(SKH10) 등과 같이 내마모성이 강한 재질로 성형하여 러빙롤러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롤 플랜지와 스핀들과의 안정적인 결합상태를 유도할 수 있도록 하는 러빙장치에서 롤 플랜지와 스핀들과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정표시소자는 2장의 글라스 기판 사이에 액정층을 형성하고, 2장의 글라스 기판의 내면에는 상기 액정층에 전계를 걸기 위한 투명전극, 상기 전계를 온/오프하기 위한 스위칭 소자, 컬러 표시를 하기 위한 컬러 필터 및 액정분자를 배향하기 위한 배향막 등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2장의 글라스 기판 사이에 액정재료를 봉입하여 액정표시소자를 제작한다. 배향막은 기판 위에 도포된 폴리이미드 수지(PI) 등의 수지층으로 이루어지며, 배향막을 경화시킨 후 러빙장치에 의해 러빙 처리함으로써 액정을 소정 방향으로 배향하게 된다.
통상의 러빙장치는 글라스 기판을 배치 고정한 스테이지의 위쪽으로 회전 가능하게 양끝이 지지된 러빙롤러를 구비하고 있으며, 러빙롤러의 표면에는 양면 테이프 등에 의해 기모포(起毛布 : 러빙포)가 감겨 있다. 이 러빙롤러의 회전에 따라 기모포가 글라스 기판의 배향층 표면에 접촉되면서 글라스 기판의 표면을 일정한 방향으로 문지름으로써 필름의 일축 연신방향과 마찬가지의 효과를 부여하고, 그 방향으로 액정재료를 배향시키게 된다.
액정표시소자의 휘도나 응답성을 균일하게 유지하기 위해서는 러빙처리에 있어서 배향층의 표면을 균일하게 문지름으로써 배향층의 표면에 방향성을 주어 액정이 균일하게 배향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 때문에 러빙롤러와 글라스 기판의 위치 결정, 특히 러빙롤러와 글라스 기판 위의 배향막 사이의 이격거리를 균일하게 유지할 필요가 있다.
근래 들어 액정표시소자의 분야에서는 PC 화면을 대표로 하는 액정 모니터나 디지털 방송의 개시로 액정 TV의 보급이 개시되고 있으며, 액정 모니터에서는 대각 20인치 등급(class), 액정 TV에서는 30~40인치 등급이 제품화되고 있다. 또한 패널 비용의 저감으로 인해 마더 글라스 기판의 대형화가 진행되어 1m 대각 이상 등급의 글라스 기판 한 장으로 여러 장의 패널을 제작해야 할 필요가 생겼다. 그 때문에 글라스 기판을 러빙하기 위한 러빙롤러의 길이 또한 글라스 기판의 길이에 비례해서 길어지게 된다.
위에서와 같이 글라스 기판의 크기가 커짐에 따라 글라스 기판을 러빙하기 위한 러빙롤러의 길이가 길어지므로 자체 중량에 의해 러빙롤러가 아래로 휘어지면서 러빙롤러의 중간 부분에 닿는 글라스 기판의 표면이 과도하게 러빙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에는 다양한 크기의 글라스 기판을 러빙하기 위해 러빙롤러를 수시로 분리 결합(장착)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을 뿐더러 러빙롤러를 분리 결합하는 과정이나 글라스 기판을 러빙하기 위해 러빙롤러가 회전하는 중에 러빙롤러의 플랜지와 스핀들 사이에 마찰로 인한 마모로 인해 러빙롤러와 글라스 기판과의 마찰이 전면에 거쳐 일정하게 이루어지지 않는다.
그리고 종래에는 러빙롤러 자체의 구조나 무게 중심의 문제나 러빙롤러를 스핀들에 결합하는 과정이나 스핀들에 연동해서 회전하는 중에 생기는 러빙롤러의 편심이나 진동 등을 찾아내서 바로 잡는데 어려움이 많았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러빙롤러의 양단에 롤 플랜지를 설치하고, 롤 헤드에 지지된 상태에서 롤 플랜지에 분리 결합되는 스핀들이 러빙롤러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여 롤 헤드에 러빙롤러를 손쉽게 분리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특히, 본 고안은 러빙롤러의 롤 플랜지와 스핀들은 초경합금이나 냉간 금형용 합금 공구강(SKD11), 고속도 공구강(HSS, High Speed tool Stell), 고속도공구강 강재(SKHS), 고 난삭재 절삭용 고속도강(SKH10) 등과 같이 내마모성이 강한 재질로 성형하여 러빙롤러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롤 플랜지와 스핀들과의 안정적인 결합상태를 유도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러빙롤러를 구성하는 롤러 내주면의 중간부분에 별도의 균형추를 내설하여 러빙롤러의 처짐에 대한 균형을 잡아줄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러빙롤러의 브라켓에 형성된 무두 볼트 탭과 무두 볼트와의 결합에 의해 러빙롤러의 회전중심을 중심으로 하는 러빙롤러의 무게중심을 조절하여 러빙롤러의 진동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러빙롤러의 브라켓에 결합된 롤 플랜지에 체결되는 렌치볼트를 풀거나 조여가면서 브라켓에 결합된 롤 플랜지의 위치를 조절하여 러빙롤러의 편심을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러빙장치에서 롤 플 랜지와 스핀들과의 결합구조는, 메인 프레임 위에 글라스 기판의 이송을 위한 테이블과 헤드 로테이터와 이에 결합된 롤 헤드와 롤 프레임을 지지하기 위한 헤드 프레임이 설치되고, 상기 롤 헤드의 하단부에 위치한 롤 프레임의 일측 하단부에 실린더에 연동해서 러빙롤러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스핀들 지지 장치가 설치되며, 상기 롤 헤드의 하단부에 위치한 롤 프레임의 다른 일측 하단부에 설치된 스핀들 지지장치가 서보 모터에 연동해서 스핀들에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설치되며, 상기 스핀들 지지장치들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 축의 단부에는 러빙롤러를 지지하면서 회전시키기 위한 스핀들이 각각 설치되며, 상기 러빙롤러의 양측에는 스핀들과의 분리 결합을 위한 롤 플랜지가 설치된 것으로서, 상기 스핀들은 러빙롤러의 롤 플랜지와의 분리 결합이 용이하도록 전방이 경사면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스핀들의 중심을 관통하는 핀 구멍에 스핀들의 직경보다 긴 길이를 가지는 위치 결정핀이 결합되며 상기 위치 결정핀은 스핀들 전방에 나사 결합된 접시머리나사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롤 플랜지는 상기 스핀들과의 분리 결합을 위해 내주면이 상기 스핀들의 경사면에 대응되게 경사진 결합 요홈이 중앙에 형성되고 상기 스핀들의 위치 결정핀과의 분리 결합을 위한 핀 홈이 상기 결합 요홈에 접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스핀들의 경사면과 상기 롤 플랜지 결합 요홈의 경사각은 10~20 도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러빙장치에서 롤 플랜지와 스핀들과의 결합구조는, 메인 프레임 위에 글라스 기판의 이송을 위한 테이블과 헤드 로테이터와 이에 결합된 롤 헤드와 롤 프레임을 지지하기 위한 헤드 프레임이 설치되고, 상기 롤 헤드의 하단부에 위치한 롤 프레임의 일측 하단부에 실린더에 연동해서 러빙롤러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스핀들 지지 장치가 설치되며, 상기 롤 헤드의 하단부에 위치한 롤 프레임의 다른 일측 하단부에 설치된 스핀들 지지장치가 서보 모터에 연동해서 스핀들에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설치되며, 상기 스핀들 지지장치들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 축의 단부에는 러빙롤러를 지지하면서 회전시키기 위한 스핀들이 각각 설치되며, 상기 러빙롤러의 양측에는 스핀들과의 분리 결합을 위한 롤 플랜지가 설치된 것으로서, 상기 러빙롤러의 양단에는 브라켓이 결합되고 상기 브라켓에는 중앙에 스핀들과의 분리 결합을 위한 결합 요홈이 형성된 롤 플랜지가 결합되되, 상기 롤 플랜지에는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의 볼트 탭이 형성되고, 상기 롤 플랜지의 볼트 구멍을 통해 브라켓의 볼트 탭에 체결되는 렌치 볼트를 풀어 브라켓에 결합되는 롤 플랜지의 위치를 변경시켜 러빙 롤러의 편심을 조절한 후 렌치 볼트를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러빙장치에서 롤 플랜지와 스핀들과의 결합구조는, 메인 프레임 위에 글라스 기판의 이송을 위한 테이블과 헤드 로테이터와 이에 결합된 롤 헤드와 롤 프레임을 지지하기 위한 헤드 프레임이 설치되고, 상기 롤 헤드의 하단부에 위치한 롤 프레임의 일측 하단부에 실린더에 연동해서 러빙롤러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스핀들 지지 장치가 설치되며, 상기 롤 헤드의 하단부에 위치한 롤 프레임의 다른 일측 하단부에 설치된 스핀들 지지장치가 서보 모터에 연동해서 스핀들에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설치되며, 상기 스핀들 지지장치들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 축의 단부에는 러빙롤러를 지지하면서 회전시키기 위한 스핀들이 각각 설치되며, 상기 러빙롤러의 양측에는 스핀들과의 분리 결합을 위한 롤 플랜지가 설치된 것으로서, 상기 러빙롤러의 양단에는 브라켓이 결합되고 상기 브라켓의 외곽에는 다수의 무두 볼트 탭이 형성되며 상기 무두 볼트 탭과 무두 볼트와의 결합에 의해 러빙롤러의 회전중심을 중심으로 하는 러빙롤러의 무게 중심을 조절하여 러빙 롤러의 진동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무두 볼트 탭은 러빙롤러의 회전중심을 중심으로 10 도 간격을 두고 일정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러빙장치에서 롤 플랜지와 스핀들과의 결합구조는, 메인 프레임 위에 글라스 기판의 이송을 위한 테이블과 헤드 로테이터와 이에 결합된 롤 헤드와 롤 프레임을 지지하기 위한 헤드 프레임이 설치되고, 상기 롤 헤드의 하단부에 위치한 롤 프레임의 일측 하단부에 실린더에 연동해서 러빙롤러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스핀들 지지 장치가 설치되며, 상기 롤 헤드의 하단부에 위치한 롤 프레임의 다른 일측 하단부에 설치된 스핀들 지지장치가 서보 모터에 연동해서 스핀들에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설치되며, 상기 스핀들 지지장치들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 축의 단부에는 러빙롤러를 지지하면서 회전시키기 위한 스핀들이 각각 설치되며, 상기 러빙롤러의 양측에는 스핀들과의 분리 결합을 위한 롤 플랜지가 설치된 것으로서, 상기 러빙롤러의 롤러 내면에는 CFRP(탄소 강화플라스틱)의 보강재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러빙장치에서 롤 플랜지와 스핀들과의 결합구조는, 메 인 프레임 위에 글라스 기판의 이송을 위한 테이블과 헤드 로테이터와 이에 결합된 롤 헤드와 롤 프레임을 지지하기 위한 헤드 프레임이 설치되고, 상기 롤 헤드의 하단부에 위치한 롤 프레임의 일측 하단부에 실린더에 연동해서 러빙롤러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스핀들 지지 장치가 설치되며, 상기 롤 헤드의 하단부에 위치한 롤 프레임의 다른 일측 하단부에 설치된 스핀들 지지장치가 서보 모터에 연동해서 스핀들에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설치되며, 상기 스핀들 지지장치들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 축의 단부에는 러빙롤러를 지지하면서 회전시키기 위한 스핀들이 각각 설치되며, 상기 러빙롤러의 양측에는 스핀들과의 분리 결합을 위한 롤 플랜지가 설치된 것으로서, 상기 러빙롤러의 롤 내주면의 중앙부위에는 롤 처짐에 대한 균형을 잡아주기 위한 균형추가 내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롤 플랜지 및 스핀들은 초경합금이나 냉간 금형용 합금 공구강(SKD11), 고속도 공구강(HSS, High Speed tool Stell), 고속도공구강 강재(SKHS), 고 난삭재 절삭용 고속도강(SKH10) 중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러빙롤러는 알루미늄이나 SUS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스핀들과 함께 하나 또는 두 개의 스핀들 지지장치가 상기 롤 프레임의 하단부에 상기 러빙롤러의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롤 프레임의 상단부에는 상기 스핀들 지지장치를 상기 러빙롤러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실린더가 설치되어, 두 개의 스핀들에 러빙롤러를 분리 결합할 때 스핀들이 스핀들 지지장치와 함께 러빙롤러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고안에 의한 러빙장치를 보인 것으로서, 메인 프레임(1)의 상단 중앙부위에는 러빙하고자 하는 글라스 기판을 이송하기 위한 테이블(2)이 위치하고 있다. 이 테이블(2)은 도시되지 않은 동력원에 연동해서 글라스 기판을 고정한 상태로 일정한 속도로 이송시켜 러빙롤러(9)에 의한 러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한편 테이블(2)과 러빙롤러(9) 즉, 테이블(2)에 고정된 글라스 기판과 러빙롤러(9)와의 간극에 따라 러빙롤러(9)가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글라스 기판을 이송하기 위한 테이블(2)과 함께 메인 프레임(1)의 상부에는 헤드 프레임(3)이 위치하고 있는데, 이 헤드 프레임(3)은 글라스 기판을 러빙하기 위한 러빙롤러(9)를 포함하는 각종 구성요소를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메인 프레임(2)의 양측에 서 있는 두 개의 프레임과 이 프레임 위에 수평지게 결합되어 글라스 기판을 러빙하기 위한 러빙롤러(9)를 포함하는 각종 구성요소를 지지하게 되는 프레임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헤드 프레임(3)의 중앙부분에는 러빙롤러(9)의 각도를 조절하거나 기울기를 조절하는 등과 같은 러빙 조건을 설정하기 위한 헤드 로테이터(4)와 롤 헤드(4a)가 설치되어 있다. 도면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헤드 로테이터(4)와 롤 헤드(4a) 등은 여러 가지 구성요소로 이루어져 있으나,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롤 헤드(4a)의 하단부에는 롤 프레임(11)이 테이블(2)의 진행방향과 직각으로 설치되어 있다. 물론, 롤 프레임(11)의 각도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헤 드 로테이터(4)와 롤 헤드(4a)를 구동시켜 러빙롤러(9)의 각도와 함께 필요에 따라 언제든지 바꿀 수도 있다.
상기 롤 프레임(11)의 양측 하단부에는 스핀들(7)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가동 및 고정 스핀들 지지장치(12a)(12b)가 설치되어 있고, 이 가동 및 고정 스핀들 지지장치(12a)(12b)에는 스핀들(7)이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두 개의 스핀들(7)은 글라스 기판을 실질적으로 러빙하게 되는 러빙롤러(9) 양단의 플랜지(8)와 분리 결합되면서 러빙롤러(9)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가동 스핀들 지지장치(12a)는 도면에서는 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않았으나, 롤 프레임(11)의 하단부에 러빙롤러(9)의 결합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고, 이 가동 스핀들 지지장치(12a)가 설치된 롤 프레임(11) 상단부에는 가동 스핀들 지지장치(12a)를 러빙롤러(9)의 길이방향으로 필요에 따라 이동시키기 위한 실린더(6)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고정 스핀들 지지장치(12b)는 단순히 스핀들(7)과 이에 연결된 축이 회전가능하도록 지지하는 가동 스핀들 지지장치(12a)와는 달리 러빙롤러(9)를 회전시키기 위한 동력을 전달하는 역할도 하는 것으로서 동력과의 연결을 위한 풀리는 갖는다. 이 풀리에는 롤 프레임(11)의 상부에 설치된 서보 모터(5)가 벨트(10)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위에서는 러빙롤러(9)를 장착하기 위해 하나의 가동 스핀들 지지장치(12a)만이 이동하는 것을 실시 예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러빙롤러(9)의 길이가 동일하거나 차이가 크지 않은 경우에는 적절하나, 러빙롤러(9)의 길이차이가 큰 경우에는 실린더(6)에 의해 이동시킬 수 있는 가동 스핀들 지지장치(12a)의 이동거리에 한계가 있으므로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가동 스핀들 지지장치(12a)를 이동시킴과 동시에 고정 스핀들 지지장치(12b) 역시 이동시켜 길이차이가 큰 다수의 러빙롤러도 손쉽게 교환해서 장착할 수 있다.
즉, 다른 실시예에서는 롤 프레임(11)의 하단부에 고정 스핀들 지지장치(12b)가 러빙롤러(9)의 결합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고정 스핀들 지지장치(12b)를 설치하고, 이 고정 스핀들 지지장치(12b)가 설치된 다른 편의 롤 프레임(11) 상단부에는 고정 스핀들 지지장치(12b)를 러빙롤러(9)의 길이방향으로 필요에 따라 이동시킬 수 있는 실린더를 설치하므로 대형화되어 가는 추세에 있는 글라스 기판을 러빙(rubbing)하기 위한 길이차이가 큰 다양한 러빙롤러를 스핀들에 쉽게 장착할 수 있다.
여기서, 고정 스핀들 지지장치(12b)가 도시되지 않은 실린더나 기타 동력에 의해 러빙롤러(9)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 스핀들 지지장치(12b)에 동력을 전달하는 서보 모터(5) 역시 고정 스핀들 지지장치(12b)와 함께 도시되지 않은 실린더나 기타의 동력에 의해 러빙롤러(9)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어야 함은 당연하다.
도2a와 도2b는 롤 헤드 즉, 스핀들(7)과 러빙롤러(9)와의 척킹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러빙롤러(9)를 롤 헤드 즉, 스핀들(7)에 결합하기 위해 실린더(6)를 구동시켜 도2b에서와 같이 가동 스핀들 지지장치(12a)를 스핀들(7)과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렇게 가동 스핀들 지지장치(12a)를 도2b에서와 같이 스핀들(7)의 방향과 반대방향 즉, 러빙롤러(9)가 장착되는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킨 후 도시되지 않은 운반수단에 의해 러빙롤러(9)를 가동 스핀들 지지장치(12a)의 스핀들(7)과 고정 스핀들 지지장치(12b)의 스핀들(7)과 일직선상에 놓이도록 한다.
그리고 실린더(6)를 구동시켜 도2a에서와 같이 가동 스핀들 지지장치(12a)를 러빙롤러(9)가 위치하고 있는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스핀들(7)이 러빙롤러(9)의 롤 플랜지(8)에 결합되면서 러빙롤러(9)가 두 개의 스핀들(7)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게 된다.
위에서 설명한 척킹과정은 하나의 가동 스핀들 지지장치(12a)만이 이동하는 경우를 예로 설명한 것이다. 아래에서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로서 두 개의 가동 및 고정 스핀들 지지장치(12a)(12b)가 모두 이동하는 경우의 척킹과정을 도2a와 도2b 및 도2c에 의해 설명한다.
먼저, 러빙롤러(9)를 두 개의 스핀들(7)에 장착하기 위해 실린더(6)와 도시되지 않은 실린더 또는 동력원을 구동시켜 도2b 및 도2c에서와 같이 가동 및 고정 스핀들 지지장치(12a)(12b)를 두 개의 스핀들(7)이 마주보는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렇게 가동 및 고정 스핀들 지지장치(12a)(12b)를 스핀들(7)의 전방과 반대방향 즉, 러빙롤러(9)가 장착되는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킨 후 도시되지 않은 운반수단에 의해 러빙롤러(9)를 가동 스핀들 지지장치(12a)의 스핀들(7)과 고정 스핀들 지지장치(12b)의 스핀들(7)과 일직선상에 놓이도록 한다.
그리고 실린더(6)와 도시되지 않은 동력원의 구동으로 도2a에서와 같이 가동 스핀들 지지장치(12a)가 러빙롤러(9)가 위치하고 있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한편 고정 스핀들 지지장치(12b) 역시 러빙롤러(9)가 위치하고 있는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두 개의 스핀들(7)이 러빙롤러(9)의 롤 플랜지(8)에 결합되면서 러빙롤러(9)가 두 개의 스핀들(7)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게 된다.
도3a와 도3b는 본 고안에서 러빙롤러(9)의 롤 플랜지(8)에 스핀들(7)이 취부된 상태를 보인 것으로서, 가동 및 고정 스핀들 지지장치(12a)(12b)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축(13)에 러빙롤러(9)의 롤 플랜지(8)에 분리 결합되는 스핀들(7)이 결합되어 있다. 또한 러빙롤러(9)의 양측에는 스핀들(7)과의 분리 결합을 위한 플랜지(8)가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스핀들(7)은 축 방향에서 러빙롤러(9)와 결합되는 방향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진적으로 작아지는 경사면을 가지고, 러빙롤러(9)의 롤 플랜지(8)의 결합 요홈(16)은 스핀들(7)과의 원활한 분리 결합을 위해 스핀들(7)이 결합되는 방향으로 갈수록 내경이 점진적으로 작아지는 경사면을 가지는 특징을 갖는다.
특히, 스핀들(7)이 롤 플랜지(8)의 결합 요홈(16)에 결합되었을 때 스핀들(7)의 외주면이 롤 플랜지(8) 결합 요홈(16)의 내주면에 일치하므로 러빙롤러(9)의 회전에도 불구하고 스핀들(7)이 롤 플랜지(8)의 결합 요홈(16) 내에서 유동하지 않아 스핀들(7)과 롤 플랜지(8) 사이의 마찰을 최소화할 수 있을뿐더러 러빙롤러(9)의 높이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롤 플랜지(8)에는 결합 요홈(16)에 접하는 핀 홈(15)이 결합 요홈(16)에 결합되는 스핀들(7)의 결합방향과 직교되게 형성되어 있고, 스핀들(7)에는 롤 플랜지(8)의 핀 홈(15)과의 분리 결합을 위한 위치 결정핀(14)이 스핀들(7)의 결합방향과 직교되게 결합되어 있는데, 이 스핀들(7)의 위치 결정핀(14)과 롤 플랜지(8)의 핀 홈(15)은 스핀들(7)이 롤 플랜지(8)의 결합 요홈(16) 내에 미끄러지지 않고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스핀들(7)을 통해 전달되는 회전력이 러빙롤러(9)에 전달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핀 홈(15)과 이에 결합되는 위치 결정핀(14)은 스핀들(7)이 롤 플랜지(8)의 결합 요홈(16)에 결합될 때 마찰력을 최소화하면서도 스핀들(7)의 회전력을 러빙롤러(9)에 전달하는 과정에서 핀 홈(15)이나 위치 결정 핀(14)이 마모되거나 변형되지 않을 정도의 형상이나 모양 및 개수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스핀들(7)과 이에 결합된 축(13)과 위치 결정핀(14) 그리고 롤 플랜지(8)의 재질을 초경합금이나 냉간 금형용 합금 공구강(SKD11), 고속도 공구강(HSS, High Speed tool Stell), 고속도공구강 강재(SKHS), 고 난삭재 절삭용 고속도강(SKH10) 등과 같이 내마모성이 우수한 합금강으로 성형함으로써 스핀들(7)과 롤 플랜지(8) 간의 마찰이나 진동 등에 의한 오차를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다(특허제0170453호, 특허 제0594338호, 특허 제038977호, 특허 제0611201호, 특허 제0600618호 참조)
여기서, 초경합금은 WC 등의 분말에 3~20 중량%의 Co를 결합제로 첨가하고, 성형 소결한 것이다. 종류로는 WC-Co계 이외에 WC-TiC-Co, WC-TiC-TaC 등이 있다. Co의 양에 따라 경도와 정도가 조정된다. 통상의 합금강의 경도가 HRA83.4 정도인 것에 비해 초경합금의 경도는 HRA85이나, 점성이 떨어지므로 충격이 가해지는 부분에는 사용하지 않아야 한다.
도4a와 도4b 및 도4c는 러빙장치의 러빙롤러(9)를 보인 것으로서, 러빙롤러(9)의 양단에 롤 플랜지(8)와의 체결을 위한 알루미늄 재질의 브라켓(19)이 체결되는데, 알루미늄이나 SUS 재질의 러빙롤러(9) 내면에는 러빙롤러(9)의 처짐을 줄이기 위해 일반 금속재료보다 강성이 뛰어나고 무게를 줄일 수 있을뿐더러 충격 흡수력이 우수한 CFRP(탄소 강화플라스틱) 재질의 보강재(17)가 내재되어 있다.
위와 같은 CFRP 재질의 보강재(17)를 결합하지 않은 경우와 결합한 경우 러빙롤러(9)의 처짐 량을 비교해 본다.
먼저, 알루미늄 재질의 러빙롤러의 길이가 2,300 mm이고, 외경이 130 mm이며, 두께가 7 mm이며, 무게가 8.6 kg인 경우, 러빙롤러의 처짐량은 65.9 ㎛이다.
다음으로, 러빙롤러의 내면에 CFRP 재질의 보강재를 결합하여, 길이가 2,300 mm이고, 외경이 130 mm이며, 두께가 7 mm이며, 무게가 5.4 kg인 경우, 러빙롤러의 처짐량은 26.6 ㎛이다.
단, 이는 러빙롤러에 롤 플랜지를 결합하지 않은 상태에서 측정된 데이터값이다.
즉, 알루미늄이나 SUS 재질의 러빙롤러의 내면에 CFRP 재질의 보강재를 결합하는 것만으로도 러빙롤러의 처짐 량의 1/3로 줄일 수 있다.
또한 러빙롤러(9) 내부의 중간부위에는 러빙롤러(9)의 자체 중량이나 러빙롤러(9)의 회전에 의한 원심력에 의해 러빙롤러(9)가 처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알루미늄 등의 재질로 이루어진 균형 추(18)가 내재되어 있다.
여기서, 러빙롤러(9)와 균형 추(18), 브라켓(19)의 재질을 모두 알루미늄으 로 할 수도 있다.
상기 러빙롤러(9) 양측의 브라켓(19)에 초경합금 재질의 롤 플랜지(8)를 결합하기 위해, 4개의 볼트 탭(21)이 브라켓(19)에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으므로 렌치볼트를 이용하여 브라켓(19)의 양측면에 롤 플랜지(8)를 각각 결합할 수 있다.
또한 브라켓(19)의 외곽에는 일정간격을 두고 36개의 무두 볼트 탭(20)이 동심원을 이루며 형성되어 있다. 즉, 러빙롤러(9)의 회전중심을 중심으로 10 도 간격을 두고 36개의 무두 볼트 탭(20)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는 무두 볼트와의 결합으로 러빙롤러(9)의 무게중심을 잡아주기 위한 것이다.
도5a 내지 도5e는 러빙롤러(9)의 롤 플랜지(8)와 분리 결합되는 스핀들(7)과 이에 결합된 축(13)을 보인 것으로서, 스핀들(7)과 축(13)은 초경합금 재질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축(13)과 스핀들(7)의 결합과정을 보면, 고열에 의해 팽창된 축(13)의 결합 요홈에 스핀들(7)의 결합 돌기를 끼운 후 냉각시키면 팽창되었던 축(13)의 결합 요홈이 수축하면서 스핀들(7)의 결합 돌기와 일체형으로 결합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스핀들(7)의 경사면에는 스핀들(7)의 중심을 관통하는 핀 구멍(23)이 형성되어 있고, 이 핀 구멍(23)에는 롤 플랜지(8)의 핀 홈(15)과의 분리 결합을 위한 위치 결정핀(14)이 결합되어 있다.
또한 스핀들(7)의 전방에는 스핀들(7)의 중앙을 향하는 나사 탭(24)이 형성되어 있고, 이 나사 탭(24)에는 접시머리나사(25)가 결합되어 있다. 이때 접시머리 나사(25)가 나사 탭(24)을 완전히 관통해서 핀 구멍(23)에 결합된 위치 결정핀(14)의 고정 공(26)까지 들어가므로 롤 플랜지(8)와 스핀들(7)과의 분리 결합에도 핀 구멍(23)으로부터 위치 결정핀(14)이 이탈되지 않는다.
여기서, 스핀들(7)과 이 스핀들(7)이 분리 결합되는 롤 플랜지(8) 결합 요홈(16)의 경사면의 각도는 10~20 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6a 내지 도6b에 도시된 브라켓(19)의 무두 볼트 탭(20)은 이에 체결되는 무두 볼트(27)를 이용해 러빙롤러(9)의 회전중심을 중심으로 하는 무게 중심을 잡아주어 러빙롤러(9)의 진동을 억제하기 위한 것으로서, 최초에는 무두 볼트 탭(20)에 하나의 무두 볼트(27)도 체결되지 않은 상태로 제작된다.
이때 브라켓(19)의 외곽에 형성된 무두 볼트 탭(20)은 총 36개로서 러빙롤러(9)의 회전중심을 중심으로 10 도 간격을 두고 일정하게 형성되어 있다. 이에 결합되는 무두 볼트(27)는 SUS나 플라스틱 재질로 구성되어 있다.
이렇게 생산된 러빙롤러(9)의 진동량은 러빙롤러(9)의 한쪽 끝 부분에 진동감지장치를 설치하고, 이 진동감지장치의 레이저를 이용하여 감지한 후 다른 부분에 비해 중량이 적은 부분에 형성된 무두 볼트 탭(20)에 하나 이상의 모두 볼트(27)를 결합시켜 중량오차를 없앰으로써 러빙롤러(9)의 진동을 오차범위로 조절할 수 있다.
도7a 내지 도7c는 러빙롤러(9)의 브라켓(19)에 결합되는 롤 플랜지(8)의 편심을 측정하여 조정하는 것을 보인 것으로서, 러빙롤러(9) 양측의 브라켓(19)에는 롤 플랜지(8)를 결합하기 위한 4개의 볼트 탭(21)이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이 볼트 탭(21)에는 SUS 재질의 렌치볼트(28)가 롤 플랜지(8)를 브라켓(19)의 양측면에 고정하면서 결합되어 있다.
러빙롤러(9)의 편심 즉, 롤 플랜지(8)의 편심을 조정하는 과정을 보면, 우선 볼트 탭(21)에 렌치 볼트(28)를 체결하여 러빙롤러(9)의 브라켓(19)에 롤 플랜지(8)를 결합한 후 러빙롤러(9)의 하단부에 5개 이상의 인디케이터 측정기(29)를 설치하여 러빙롤러(9)의 기울어짐을 측정한 후 롤 플랜지(8)를 고정하고 있는 4개의 렌치 볼트(28)를 풀고 나서 망치 등을 이용하여 러빙롤러(9)의 롤 플랜지(8)를 특정 방향으로 이동시켜 가면서 러빙롤러(9)의 기울기를 조절하게 된다.
위와 같이 롤 플랜지(8)를 브라켓(19)에 결합하는 렌치 볼트(28)를 조이거나 풀어가면서 러빙롤러(9)의 브라켓(19)에 결합되는 롤 플랜지(8)의 편심을 조정하는 과정은 각 인디케이터 측정기(29)에 의해 측정되는 편심 오차가 15미크론 이하로 나올 때까지 반복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면, 러빙롤러의 양단에 롤 플랜지를 설치하고, 롤 헤드에 지지된 상태에서 롤 플랜지에 분리 결합되는 스핀들이 러빙롤러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여 롤 헤드에 러빙롤러를 손쉽게 분리 결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고안은 러빙롤러의 롤 플랜지와 스핀들을 초경합금이나 냉간 금형용 합금 공구강(SKD11), 고속도 공구강(HSS, High Speed tool Stell), 고속도공구강 강재(SKHS), 고 난삭재 절삭용 고속도강(SKH10) 등과 같이 내마모성이 강한 재질로 성형하여 러빙롤러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롤 플랜지와 스핀들과의 안정적인 결합상태를 유도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러빙롤러를 구성하는 롤러 내주면의 중간부분에 별도의 균형추를 내설하여 러빙롤러의 처짐에 대한 균형을 잡아줄 수 있고, 러빙롤러의 브라켓에 형성된 무두 볼트 탭과 무두 볼트와의 결합에 의해 러빙롤러의 회전중심을 중심으로 하는 러빙롤러의 무게중심을 조절하여 러빙롤러의 진동량을 조절할 수 있으며, 러빙롤러의 브라켓에 결합된 롤 플랜지에 결합되는 렌치볼트를 풀거나 조여가면서 브라켓에 결합된 롤 플랜지의 위치를 조절하여 러빙롤러의 편심을 조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은 기재된 구체적인 실시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으나 본 고안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Claims (10)

  1. 메인 프레임 위에 글라스 기판의 이송을 위한 테이블과 헤드 로테이터와 이에 결합된 롤 헤드와 롤 프레임을 지지하기 위한 헤드 프레임이 설치되고, 상기 롤 헤드의 하단부에 위치한 롤 프레임의 일측 하단부에 실린더에 연동해서 러빙롤러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스핀들 지지 장치가 설치되며, 상기 롤 헤드의 하단부에 위치한 롤 프레임의 다른 일측 하단부에 설치된 스핀들 지지장치가 서보 모터에 연동해서 스핀들에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설치되며, 상기 스핀들 지지장치들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 축의 단부에는 러빙롤러를 지지하면서 회전시키기 위한 스핀들이 각각 설치되며, 상기 러빙롤러의 양측에는 스핀들과의 분리 결합을 위한 롤 플랜지가 설치된 것으로서,
    상기 스핀들은 러빙롤러의 롤 플랜지와의 분리 결합이 용이하도록 전방이 경사면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스핀들의 중심을 관통하는 핀 구멍에 스핀들의 직경보다 긴 길이를 가지는 위치 결정핀이 결합되며 상기 위치 결정핀은 스핀들 전방에 나사 결합된 접시머리나사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롤 플랜지는 상기 스핀들과의 분리 결합을 위해 내주면이 상기 스핀들의 경사면에 대응되게 경사진 결합 요홈이 중앙에 형성되고 상기 스핀들의 위치 결정핀과의 분리 결합을 위한 핀 홈이 상기 결합 요홈에 접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러빙장치에서 롤 플랜지와 스핀들과의 결합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핀들의 경사면과 상기 롤 플랜지 결합 요홈의 경사각은 10~20 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러빙장치에서 롤 플랜지와 스핀들과의 결합구조.
  3. 메인 프레임 위에 글라스 기판의 이송을 위한 테이블과 헤드 로테이터와 이에 결합된 롤 헤드와 롤 프레임을 지지하기 위한 헤드 프레임이 설치되고, 상기 롤 헤드의 하단부에 위치한 롤 프레임의 일측 하단부에 실린더에 연동해서 러빙롤러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스핀들 지지 장치가 설치되며, 상기 롤 헤드의 하단부에 위치한 롤 프레임의 다른 일측 하단부에 설치된 스핀들 지지장치가 서보 모터에 연동해서 스핀들에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설치되며, 상기 스핀들 지지장치들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 축의 단부에는 러빙롤러를 지지하면서 회전시키기 위한 스핀들이 각각 설치되며, 상기 러빙롤러의 양측에는 스핀들과의 분리 결합을 위한 롤 플랜지가 설치된 것으로서,
    상기 러빙롤러의 양단에는 브라켓이 결합되고 상기 브라켓에는 중앙에 스핀들과의 분리 결합을 위한 결합 요홈이 형성된 롤 플랜지가 결합되되, 상기 롤 플랜지에는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의 볼트 탭이 형성되고, 상기 롤 플랜지의 볼트 구멍을 통해 상기 브라켓에 결합되는 렌치 볼트를 풀어 브라켓에 결합되는 롤 플랜지의 위치를 변경시켜 러빙 롤러의 편심을 조절한 후 렌치 볼트를 체결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러빙장치에서 롤 플랜지와 스핀들과의 결합구조.
  4. 메인 프레임 위에 글라스 기판의 이송을 위한 테이블과 헤드 로테이터와 이에 결합된 롤 헤드와 롤 프레임을 지지하기 위한 헤드 프레임이 설치되고, 상기 롤 헤드의 하단부에 위치한 롤 프레임의 일측 하단부에 실린더에 연동해서 러빙롤러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스핀들 지지 장치가 설치되며, 상기 롤 헤드의 하단부에 위치한 롤 프레임의 다른 일측 하단부에 설치된 스핀들 지지장치가 서보 모터에 연동해서 스핀들에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설치되며, 상기 스핀들 지지장치들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 축의 단부에는 러빙롤러를 지지하면서 회전시키기 위한 스핀들이 각각 설치되며, 상기 러빙롤러의 양측에는 스핀들과의 분리 결합을 위한 롤 플랜지가 설치된 것으로서,
    상기 러빙롤러의 양단에는 브라켓이 결합되고 상기 브라켓의 외곽에는 다수의 무두 볼트 탭이 형성되며 상기 무두 볼트 탭과 무두 볼트와의 결합에 의해 러빙롤러의 회전중심을 중심으로 하는 러빙롤러의 무게 중심을 조절하여 러빙 롤러의 진동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러빙장치에서 롤 플랜지와 스핀들과의 결합구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무두 볼트 탭은 러빙롤러의 회전중심을 중심으로 10 도 간격을 두고 일정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러빙장치에서 롤 플랜지와 스핀들과의 결합구조.
  6. 메인 프레임 위에 글라스 기판의 이송을 위한 테이블과 헤드 로테이터와 이에 결합된 롤 헤드와 롤 프레임을 지지하기 위한 헤드 프레임이 설치되고, 상기 롤 헤드의 하단부에 위치한 롤 프레임의 일측 하단부에 실린더에 연동해서 러빙롤러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스핀들 지지 장치가 설치되며, 상기 롤 헤드의 하단부에 위치한 롤 프레임의 다른 일측 하단부에 설치된 스핀들 지지장치가 서보 모터에 연동해서 스핀들에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설치되며, 상기 스핀들 지지장치들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 축의 단부에는 러빙롤러를 지지하면서 회전시키기 위한 스핀들이 각각 설치되며, 상기 러빙롤러의 양측에는 스핀들과의 분리 결합을 위한 롤 플랜지가 설치된 것으로서,
    상기 러빙롤러의 롤러 내면에는 CFRP(탄소 강화플라스틱)의 보강재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러빙장치에서 롤 플랜지와 스핀들과의 결합구조.
  7. 메인 프레임 위에 글라스 기판의 이송을 위한 테이블과 헤드 로테이터와 이에 결합된 롤 헤드와 롤 프레임을 지지하기 위한 헤드 프레임이 설치되고, 상기 롤 헤드의 하단부에 위치한 롤 프레임의 일측 하단부에 실린더에 연동해서 러빙롤러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스핀들 지지 장치가 설치되며, 상기 롤 헤드의 하단부에 위치한 롤 프레임의 다른 일측 하단부에 설치된 스핀들 지지장치가 서보 모터에 연동해서 스핀들에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설치되며, 상기 스핀들 지지장치들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 축의 단부에는 러빙롤러를 지지하면서 회전시키기 위한 스핀들이 각각 설치되며, 상기 러빙롤러의 양측에는 스핀들과의 분리 결합을 위한 롤 플랜지가 설치된 것으로서,
    상기 러빙롤러의 롤 내주면의 중앙부위에는 롤 처짐에 대한 균형을 잡아주기 위한 균형추가 내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러빙장치에서 롤 플랜지와 스핀들과의결합구조.
  8. 제1항과 제3항, 제4항, 제6항 및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롤 플랜지 및 스핀들이 초경합금이나 냉간 금형용 합금 공구강(SKD11), 고속도 공구강(HSS, High Speed tool Stell), 고속도공구강 강재(SKHS), 고 난삭재절삭용 고속도강(SKH10) 중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러빙장치에서 롤 플랜지와 스핀들과의 결합구조.
  9. 제1항과 제3항, 제4항, 제6항 및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러빙롤러는 알루미늄이나 SUS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러빙장치에서 롤 플랜지와 스핀들과의 결합구조.
  10. 제1항과 제3항, 제4항, 제6항 및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핀들과 함께 하나 또는 두 개의 스핀들 지지장치가 상기 롤 프레임의 하단부에 상기 러빙롤러의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롤 프레임의 상단부에는 상기 스핀들 지지장치를 상기 러빙롤러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실린더가 설치되어, 두 개의 스핀들에 러빙롤러를 분리 결합할 때 스핀들이 스핀들 지지장치와 함께 러빙롤러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러빙장치에서 롤 플랜지와 스핀들과의 결합구조.
KR2020060015857U 2006-06-13 2006-06-13 러빙장치에서 롤 플랜지와 스핀들과의 결합구조 KR20043464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5857U KR200434643Y1 (ko) 2006-06-13 2006-06-13 러빙장치에서 롤 플랜지와 스핀들과의 결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5857U KR200434643Y1 (ko) 2006-06-13 2006-06-13 러빙장치에서 롤 플랜지와 스핀들과의 결합구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2896A Division KR100708579B1 (ko) 2006-06-13 2006-06-13 러빙장치에서 롤 플랜지와 스핀들과의 결합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4643Y1 true KR200434643Y1 (ko) 2006-12-26

Family

ID=417829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5857U KR200434643Y1 (ko) 2006-06-13 2006-06-13 러빙장치에서 롤 플랜지와 스핀들과의 결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464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08579B1 (ko) 러빙장치에서 롤 플랜지와 스핀들과의 결합구조
JP2651345B2 (ja) 感圧性接着剤層を設けた帳票の封緘装置と封緘方法
TW201100179A (en) Conveyance device for double-surface coated base material
WO2014194026A1 (en) Glass forming apparatus and methods of forming glass ribbons
JP5352760B2 (ja) 液膜塗布器アセンブリおよびこれを組み込んだ直線シヤーシステム
JP2006116607A (ja) エンボス加工装置と関連する製造方法
KR200434643Y1 (ko) 러빙장치에서 롤 플랜지와 스핀들과의 결합구조
CN102455547B (zh) 摩擦装置
CN100380207C (zh) 摩擦辊以及使用它进行定向处理的液晶显示元件
CN221093284U (zh) 转速比调节机构及双卷辊装置
CN107932941B (zh) 一种带有双胶带的遮蔽胶加工设备
CN107934644B (zh) 用于遮蔽喷涂膜加工的定位机构及遮蔽喷涂膜加工装置
US20050139047A1 (en) Brittle material rotating and aligning mechanism for use in a brittle material scribing and/or breaking apparatus
KR20090039433A (ko) 기판 이송 장치
JP5150907B2 (ja) 塗布装置
JP6777530B2 (ja) 研磨方法
KR20190002621U (ko) 기판이송장치
JP2008268341A (ja) 光学フィルムの製造方法、光学フィルムおよび液晶表示装置
CN107696663B (zh) 一种具有胶带卷安装结构的遮蔽胶加工装置
CN220264594U (zh) 一种牵引机构
CN219494830U (zh) 一种网带式烧结炉用防跑偏机构
JP5065690B2 (ja) バー塗布方法
JP2000019520A (ja) ラビング装置
JP2014524044A (ja) ステージ回転装置及びこれを備えるラビング装置
CN219056688U (zh) 进料装置及贴膜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