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0903Y1 - 거푸집용 콘너트와 연결구의 체결구조 - Google Patents

거푸집용 콘너트와 연결구의 체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0903Y1
KR200430903Y1 KR2020060021913U KR20060021913U KR200430903Y1 KR 200430903 Y1 KR200430903 Y1 KR 200430903Y1 KR 2020060021913 U KR2020060021913 U KR 2020060021913U KR 20060021913 U KR20060021913 U KR 20060021913U KR 200430903 Y1 KR200430903 Y1 KR 20043090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fastening
nut
formwork
c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191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용웅
Original Assignee
배용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용웅 filed Critical 배용웅
Priority to KR202006002191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090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090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090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6Tying means; Spacers ; Devices for extracting or inserting wall ties
    • E04G17/065Tying means, the tensional elements of which are threaded to enable their fastening or tensioning
    • E04G17/0651One-piece elements
    • E04G17/0654One-piece elements remaining completely or partially embedded in the cast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물의 신축시에 갱폼과 내벽 거푸집과의 연결고정시에 사용되는 콘너트와 연결구의 체결작업시에 야기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콘너트와 연결구의 체결 및 분리작업이 상기 연결구의 체결부를 콘너트의 내부에 그대로 밀어 장입한 상태에서 90° 각도로 연결구를 한번 회전하는 것에 의해 연결구가 콘너트에 체결될 수 있도록 하여 연결구와 콘너트와의 체결 및 분리가 간단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작업시간의 단축은 물론 작업성의 향상을 꾀하고 갱폼과 거푸집과의 연결작업이 보다 쉽게 이루어지도록 한 거푸집용 콘너트와 연결구의 체결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고안인 거푸집용 콘너트와 연결구의 체결구조는, 내주면에 양측이 절삭된 절삭부(11)와 상기 절삭부(11)와 대응되는 양측에 각각 균등간격의 나사골(12)이 형성된 콘너트(10)와; 상기 콘너트(10)의 내주면에 인입되고 양측면에 절삭된 절삭면(21)이 형성되고 상기 절삭면(21)과 대응되는 양측에 각각 균등간격의 나사산(22)이 형성된 체결부(23)를 갖는 연결구(20)가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것과, 상기 콘너트(10)와 연결구(20)는, 상기 콘너트(10)의 내주면에 상기 연결구(20)의 체결부(23)가 그대로 장입된 상태에서 상기 연결구(20)의 체결부(23)를 90° 각도로 한번 회전하는 것에 의해 콘너트(10)와 연결구(20)의 체결 및 분리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인 거푸집용 콘너트와 연결구의 체결구조는, 연결구의 일측에 형성된 체결부의 양측면에 절삭된 절삭면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또한 연결구의 체결부가 장입되는 콘너트의 내주면 역시 양측에 대응되는 절삭부가 형성되어 있음에 따라 연결구와 콘너트와의 체결 및 분리작업이 상기 연결구의 체결부를 콘너트의 내주면에 그대로 장입한 상태에서 어느 한 방향으로 90°각도로 회전시켜 바로 체결하거나 분리할 수 있어 연결구와 콘너트간의 체결 및 분리작업이 보다 편리하고 쉽게 이루어짐으로써, 갱폼과 거푸집과의 연결고정 및 분리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짐에 따라 작업효율성이 향상되고 작업시간이 단축된다.
거푸집, 갱폼, 콘너트

Description

거푸집용 콘너트와 연결구의 체결구조{CONTRACT STRUCTURE OF CONE NUT AND COUPLING TOOL FOR PREFABRICATED PANEL}
도 1은 종래 거푸집과 갱폼의 연결상태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는 종래 거푸집과 갱폼의 연결시에 사용되는 콘너트와 연결구를 나타낸 일부생략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인 거푸집용 콘너트와 연결구의 체결구조의 구성요부인 콘너트와 연결구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일부생략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인 거푸집용 콘너트와 연결구의 체결구조의 구성요부인 콘너트와 연결구의 체결상태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고안인 거푸집용 콘너트와 연결구의 체결구조의 구성요부인 연결구의 실시예를 각각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콘너트 11 : 절삭부
12 : 나사골 20 : 연결구
21 : 절삭면 22 : 나사산
23 : 체결부
본 고안은 아파트나 빌딩 등과 같은 대형 건물의 외벽 신축시에 설치되는 갱폼과 거푸집의 연결 고정시에 사용되는 콘너트와 연결구의 체결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콘너트의 내부에 형성되는 나사체결홈의 양측과 콘너트에 장입되는 연결구의 나사체결부의 양측면을 각각 절삭가공하여 콘너트와 연결구간의 체결시 여러번 돌려 회전하지 않고, 한번의 90° 각도로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콘너트와 연결구가 체결되도록 하여 거푸집과 갱폼과의 연결작업이 보다 쉽고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거푸집용 콘너트와 연결구의 체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신축시에 설치되는 갱폼과 거푸집을 연결하기 위해서는 여러개의 연결구가 사용된다.
도 1은 본 출원인에 의해 안출된 거푸집 체결구에 의해 거푸집과 갱폼이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갱폼(1)과 내벽거푸집(2)을 연결함에 있어서, 상기 갱폼(1)의 외측에 거푸집체결구(3)의 콘너트(4)를 장입하고, 상기 콘너트(4)에 연결구(5)의 나사체결부(6)를 장입하되, 상기 연결구(5)는 내벽 거푸집(2)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관통되도록 하여 설치한다.
상기 연결구(5)는 시공하는 건물의 외벽의 두께에 따라 그 길이가 연장되거나 또는 다른 연결구를 더 연결함으로써 갱폼(1)과 내벽거푸집(2)과의 간격을 조절한다.
이와 같이 갱폼(1)과 내벽거푸집(2)을 연결하여 고정한 상태에서 콘크리트를 갱폼(1)과 내벽거푸집(2) 사이의 공간에 타설함으로써 건물의 외벽이 시공되는 것으로, 타설된 콘크리트가 완전히 양생한 후 다시 상기 연결구(5)의 나사체결부(6)에 체결되어 있는 상기 거푸집체결구(3)의 콘너트(4)를 상기 나사체결부(6)로부터 분리한 다음, 갱폼(1)과 내벽거푸집(2)을 철거한다.
이와 같은 반복적인 작업에 의해 건물의 외벽이 높게 신축되는 것인 바, 상기 갱폼(1)과 내벽거푸집(2)을 연결하여 고정하는 상기 거푸집체결구(3)의 콘너트(4)에 상기 연결구(5)의 나사체결부(6)를 체결하거나 분리하는 작업시간이 지연되는 관계로 거푸집의 설치시간이 지연되고 따라서 전체적인 공사기간이 늘어날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다.
즉, 종래 콘너트(4)와 연결구(5)의 나사체결부(6)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사산이 연결구의 외주연에 균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고 또한, 콘너트(4)의 내주면 역시, 상기 나사산 형상의 나사체결부(6)가 나사체결되도록 나사골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음에 따라 콘너트(4)와 연결구(5)의 체결 및 분리작업이 볼트결합과 같이 연결구(5)의 반복 회전에 의해 체결되거나 분리됨으로써, 연결구(5)와 콘너트(4)와의 체결 및 분리작업이 용이하지 못하고 이에 따라 작업시간이 지연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종래 갱폼과 내벽 거푸집과의 연결고정시에 사용되는 콘너트와 연결구의 체결작업시에 야기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콘너트와 연결구의 체결 및 분리작업이 상기 연결구의 체결부를 콘너트의 내부에 그대로 밀 어 장입한 상태에서 90° 각도로 연결구를 한번 회전하는 것에 의해 연결구가 콘너트에 체결될 수 있도록 하여 연결구와 콘너트와의 체결 및 분리가 간단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작업시간의 단축은 물론 작업성의 향상을 꾀하고 갱폼과 거푸집과의 연결작업이 보다 쉽게 이루어지도록 한 거푸집용 콘너트와 연결구의 체결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고안인 거푸집용 콘너트와 연결구의 체결구조는, 내주면에 양측이 절삭된 절삭부와 상기 절삭부와 대응되는 양측에 각각 균등간격의 나사골이 형성된 콘너트와; 상기 콘너트의 내주면에 인입되고 양측면에 절삭된 절삭면이 형성되고 상기 절삭면과 대응되는 양측에 각각 균등간격의 나사산이 형성된 체결부를 갖는 연결구가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콘너트와 연결구는, 상기 콘너트의 내주면에 상기 연결구의 체결부가 그대로 장입된 상태에서 상기 연결구의 체결부를 90° 각도로 한번 회전하는 것에 의해 콘너트와 연결구의 체결 및 분리가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특징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인 거푸집용 콘너트와 연결구의 체결구조는, 연결구의 일측에 형성된 체결부의 양측면에 절삭된 절삭면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또한 연결구의 체결부가 장입되는 콘너트의 내주면 역시 양측에 대응되는 절삭부가 형성되어 있음에 따라 연결구와 콘너트와의 체결 및 분리작업이 상기 연결구의 체결부를 콘너트의 내주면에 그대로 장입한 상태에서 어느 한 방향으로 90 ° 각도로 회전시켜 바로 체결하거나 분리할 수 있어 연결구와 콘너트간의 체결 및 분리작업이 보다 편리하고 쉽게 이루어짐으로써, 갱폼과 거푸집과의 연결고정 및 분리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짐에 따라 작업효율성이 향상되고 작업시간이 단축된다.
본 고안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며,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고안자가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3은 본 고안인 거푸집용 콘너트와 연결구의 체결구조는, 건물의 신축시에 설치되는 갱폼과 거푸집을 연결고정하기 위한 콘너트와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내주면에 양측이 절삭된 절삭부(11)와 상기 절삭부(11)와 대응되는 양측에 각각 균등간격의 나사골(12)이 형성된 콘너트(10)와, 상기 콘너트(10)의 내주면에 인입되고 양측면에 절삭된 절삭면(21)이 형성되고 상기 절삭면(21)과 대응되는 양측에 각각 균등간격의 나사산(22)이 형성된 체결부(23)를 갖는 연결구(20)로 구성된다.
상기 콘너트(10)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나사골(12)을 형성하는 방법은, 먼저 콘너트(10)의 내주면에 일정간격으로 권회되는 나사골을 형성한 후, 나사골이 형성된 콘너트(10)의 내주면 양측을 절삭함으로써 얻어진다.
또한, 상기 연결구(20)의 체결부(23)에 형성되는 나사산(22)을 형성하는 방법은, 상기 체결부(23)의 전체 외주면에 균등간격으로 권회되는 나사산을 먼저 형 성한 후, 형성된 나사산의 양측부를 절삭하여 절삭면(21)을 형성함으로써 얻어진다.
상기 콘너트(10)와 연결구(20)는, 상기 콘너트(10)의 내주면에 상기 연결구(20)의 체결부(23)가 그대로 장입된 상태에서 상기 연결구(20)의 체결부(23)를 90° 각도로 한번 회전하는 것에 의해 콘너트(10)와 연결구(20)의 체결 및 분리가 이루어진다.
즉, 상기 콘너트(10)의 내주면에 상기 연결구(20)의 체결부(23)를 그대로 장입하되, 상기 체결부(23)의 절삭면(21)이 상기 콘너트(10)의 내주면 양측에 형성된 절삭부(11)와 동일선상에 위치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체결부(23)는 아무런 간섭됨이 없이 그대로 상기 콘너트(10)의 내주면에 장입한다.
이와 같이 콘너트(10)의 내주면에 장입된 상기 연결구(20)의 체결부(23)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방향 90°각도로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체결부(23)에 형성된 나사산(22)이 회전되어 상기 콘너트(10)의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골(12)에 끼워짐으로써 콘너트(10)와 연결구(20)의 체결이 이루어진다.
또한, 연결구(20)와 콘너트(10)를 서로 분리하기 위해서는 먼저 상기 연결구(20)를 90° 각도로 일방향 회전시켜 상기 콘너트(10)의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골(12)에 끼워진 상기 연결구(20)의 나사산(22)을 상기 나사골(12)로부터 분리한 후, 그대로 빼내면 쉽게 콘너트(10)로부터 연결구(20)가 분리된다.
이와 같이 콘너트(10)와 연결구(20)와의 체결 및 분리작업이 용이하고 쉽게 이루어짐으로써 설치되는 갱폼 및 거푸집의 설치가 용이하고 또한 설치후의 갱폼과 거푸집의 분리작업이 용이함으로써 작업성이 향상되고 작업시간이 단축된다.
도 5a 및 도 5b는 본 고안인 거푸집용 콘너트와 연결구의 체결구조의 실시예를 각각 나타낸 사시도로서, 연결구의 끝단부에 형성된 연결부(24)의 형상이 각각 다르게 나타난 것으로, 예컨대 상기 연결구(20)를 고정하기 위해 타이볼트가 사용될 경우에는 도 5a에 도시된 연결구의 사용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인 거푸집용 콘너트와 연결구의 체결구조는 도시하고 설명한 것 이외에도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는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을 일탈하지 않는 한 변형되는 실시예들은 모두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어 해석되어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인 거푸집용 콘너트와 연결구의 체결구조에 의하면, 연결구의 일측에 형성된 체결부의 양측면에 절삭된 절삭면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또한 연결구의 체결부가 장입되는 콘너트의 내주면 역시 양측에 대응되는 절삭부가 형성되어 있음에 따라 연결구와 콘너트와의 체결 및 분리작업이 상기 연결구의 체결부를 콘너트의 내주면에 그대로 장입한 상태에서 어느 한 방향으로 90°각도로 회전시켜 바로 체결하거나 분리할 수 있어 연결구와 콘너트간의 체결 및 분리작업이 보다 편리하고 쉽게 이루어짐으로써, 갱폼과 거푸집과의 연결고정 및 분리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짐에 따라 작업효율성이 향상되고 작업시간이 단축되는 효과가 기대된다.

Claims (2)

  1. 내주면에 양측이 절삭된 절삭부(11)와 상기 절삭부(11)와 대응되는 양측에 각각 균등간격의 나사골(12)이 형성된 콘너트(10)와;
    상기 콘너트(10)의 내주면에 인입되고 양측면에 절삭된 절삭면(21)이 형성되고 상기 절삭면(21)과 대응되는 양측에 각각 균등간격의 나사산(22)이 형성된 체결부(23)를 갖는 연결구(20)가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용 콘너트와 연결구의 체결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콘너트(10)와 연결구(20)는,
    상기 콘너트(10)의 내주면에 상기 연결구(20)의 체결부(23)가 그대로 장입된 상태에서 상기 연결구(20)의 체결부(23)를 90° 각도로 한번 회전하는 것에 의해 콘너트(10)와 연결구(20)의 체결 및 분리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용 콘너트와 연결구의 체결구조.
KR2020060021913U 2006-08-16 2006-08-16 거푸집용 콘너트와 연결구의 체결구조 KR20043090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1913U KR200430903Y1 (ko) 2006-08-16 2006-08-16 거푸집용 콘너트와 연결구의 체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1913U KR200430903Y1 (ko) 2006-08-16 2006-08-16 거푸집용 콘너트와 연결구의 체결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0903Y1 true KR200430903Y1 (ko) 2006-11-13

Family

ID=417792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1913U KR200430903Y1 (ko) 2006-08-16 2006-08-16 거푸집용 콘너트와 연결구의 체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090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02703B1 (en) Anchor for wall and other structures
WO2011117612A1 (en) Fixing element
KR101917922B1 (ko) 고정력을 향상시킨 건축용 앵커 어셈블리
KR101301062B1 (ko) 인서트 어셈블리
KR200430903Y1 (ko) 거푸집용 콘너트와 연결구의 체결구조
KR200430933Y1 (ko) 거푸집용 콘너트와 연결구의 체결구조
KR20090113476A (ko) 콘크리트 슬래브용 인서트
KR20100026851A (ko) 콘크리트 매설물 고정구
KR102130526B1 (ko) 거푸집용 선시공 타입 볼트 어셈블리
CN216343256U (zh) 一种膨胀螺栓
KR200450331Y1 (ko) 개량 거푸집 고정구
KR100923068B1 (ko) 전주근가 설치용 유볼트
JP5398598B2 (ja) コンクリート製電柱の補強金具
KR100466870B1 (ko) 콘크리트 거푸집의 간격고정구
CN113700713A (zh) 一种膨胀螺栓及其拆装工具
KR20050095968A (ko) 원터치식 철근이음장치
JP2000054627A (ja) 型枠用セパレーター
KR20130015246A (ko) 배선관 고정용 수지연결구
KR100726287B1 (ko)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한 공동주택의 배수파이프
KR100822748B1 (ko) 길이가변형 지지대
JP5485339B2 (ja) ハンドホールのケーブル支持管接続工法及びケーブル支持管接続構造
JP2004132049A (ja) 配管設置用嵌入部材および配管設置方法
KR100882583B1 (ko) 매몰식 앵커
KR100855059B1 (ko) 관통 성형 슬리브 설치 구조체 및 그것을 이용한 공사 방법
KR20100005084U (ko) 스냅식 조임 및 풀림이 가능한 파이프 행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506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