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0076Y1 - 송풍기용 모터의 모터하우징 - Google Patents

송풍기용 모터의 모터하우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0076Y1
KR200430076Y1 KR2020060022572U KR20060022572U KR200430076Y1 KR 200430076 Y1 KR200430076 Y1 KR 200430076Y1 KR 2020060022572 U KR2020060022572 U KR 2020060022572U KR 20060022572 U KR20060022572 U KR 20060022572U KR 200430076 Y1 KR200430076 Y1 KR 20043007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or
housing
blower
front housing
joint fl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257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태선
Original Assignee
강태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태선 filed Critical 강태선
Priority to KR202006002257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007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007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007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10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with arrangements for protection from ingress, e.g. water or fing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14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loads, e.g. with hand-held machine tools or f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송풍기용 모터의 모터하우징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팬을 구동시키기 위한 모터를 송풍기의 케이싱 측면에 용이하면서도 견실하게 장착하며, 전반적인 부품수를 줄이며 이로 인해 조립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에 따른 송풍기용 모터의 모터하우징에 의하면; 일면이 개방된 원통 형태로 이루어져 고정자(301) 및 회전자(302)의 절반이 수용 배치되며, 폐쇄된 타측면 중앙에는 회전자(302)의 회전축(330)이 관통하도록 축관통공이 천공되고 개방부 가장자리를 따라 이음플랜지(311)가 마련된 프론트 하우징(310)과; 이 프론트 하우징(310)의 개방부와 대향되는 일면이 개방된 원통 형태로 이루어져 고정자(301) 및 회전자(302)의 나머지 절반이 수용 배치되며, 개방부 가장자리에는 프론트 하우징(310)의 이음플랜지(311)와 당접하여 볼트(350) 체결되도록 외향 플랜지 형태의 이음플랜지부(341)와, 이음플랜지부(341)의 끝단에서 프론트 하우징(310)의 외곽을 감싸도록 이루어진 원뿔대부(342)와, 원뿔대부(342)의 끝단에서 외향 플랜지 형태로 이루어져 송풍기의 케이싱(100) 측면에 볼트(350) 장착되는 장착플랜지부(343)가 일체로 이루어진 리어 하우징(320)을 갖추고 있다.

Description

송풍기용 모터의 모터하우징{MOTOR-HOUSING OF MOTOR FOR CENTRIFUGAL SIROCCO IMPELLER}
도 1은 종래 시로코 팬 송풍기 구조를 보인 것이다.
도 2는 종래 다른 시로코 팬 송풍기 구조를 보인 것이다.
도 3은 본 고안이 적용된 송풍기의 전체적인 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모터의 모터하우징 구조를 보인 분해사시도이다.
도 5와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모터의 조립 및 장착구조를 보인 것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송풍기 케이싱 121..모터 장착구
200..팬 300..모터
310..프론트 하우징 312..환상홈
320..리어 하우징 340..모터장착부
341..이음플랜지부 342..원뿔대부
343..장착플랜지부 345..환상돌기
350..볼트 370..패킹
본 고안은 배기장치에 사용되는 팬 송풍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팬을 구동시키기 위한 모터를 보다 용이하면서도 신뢰성 있게 장착할 수 있는 송풍기용 모터의 모터하우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빌딩과 맨션 등의 고층건물은 물론, 일상생활의 여러 곳에서 쾌적한 환경이 요구되고 있는데, 이를 위해서는 전동모터에 의해 팬이 구동되어 공기를 흡입 강제 배기시키는 배기장치가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이러한 배기장치는 사용하고자 하는 목적이나 용도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구별되는데, 선풍기 등과 같이 송풍(送風)을 목적으로 회전하는 팬에 의해 발생되는 바람을 공급하는 방식과, 환풍(換風)을 목적으로 실내(각종 산업 현장이나 비닐하우스 등)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방식 등이 있다. 이와 같이 산업현장 등에서 환풍을 목적으로 하는 방식으로는 저소음이며 취급 및 설치가 간편한 시로코 팬 송풍기가 널리 사용되는데, 이는 모터와 팬이 직결식으로 장착되며 유입공기 방향과 배출공기 방향이 대략 90도를 이룬다.
즉, 종래 시로코 팬 송풍기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측면(1a)에 흡입구(1b)가 마련되며 전면에 토출구(미도시)가 천공된 박스형태의 하우징(1)과, 이 하우징(1)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된 시로코 팬(2;일명 다익팬이라 함)과, 이 시로코 팬(2)을 구동시키기 위한 모터(3)를 구비한다. 이 모터(3)는 상호 대향되게 주물 성형된 전,후방 케이싱(3a)(3b)을 통해 내부 전장품(회전자와 고정자 등)이 감싸여져 있으며, 전방 케이싱(3a) 중앙을 회전축(3c)이 관통하여 외부로 연장 된다. 또한, 모터(3)의 전,후방 케이싱(3a)(3b)은 상호 대향되는 면에 일체로 성형된 이음플랜지(3d)(3e)를 통해 견실하게 밀폐 조립된다.
이러한 모터(3)는 흡입구(1b)와 대향되는 하우징(1)의 타측면(1c) 외부에 장착되는데, 이를 위해 하우징(1)의 타측면(1c)에는 모터(3) 장착을 위한 설치구(1d)가 천공되어 있다. 즉, 설치구(1d)에 모터(3)를 밀어 넣은 후 하우징(1)의 타측면(1c) 외부에 전방 케이싱(3a)의 이음플랜지(3d)를 밀착시킨다. 이러한 상태에서 이음플랜지(3d)(3e)와 하우징(1)의 타측면(1c)을 볼트(4) 체결하면, 모터(3)는 하우징(1) 측면(1c)에 견실하게 장착되어 시로코 팬(2)을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시로코 팬 송풍기에서는 모터(3)의 전,후방 케이싱(3a)(3b) 이음플랜지(3d)(3e) 부분이 대기에 노출되게 조립됨으로써, 모터(3) 신뢰성에 악영향을 미치게 된다. 즉, 종래 시로코 팬 송풍기가 대기 중에 설치된 경우, 이음플랜지(3d)(3e) 사이 틈을 통해 빗물이 침투할 단점이 있으며, 심한 경우 전, 후방 케이싱(3a)(3b) 내부의 전장품이 침투수분에 의해 쇼트 될 우려가 있다. 또한, 이음플랜지(3d)(3e) 부위에 직접 빗물과 같은 수분이 직접 닿으면 부식현상이 빠른 속도로 진행되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인에 의해 모터 장착구조를 개선한 배기장치용 시로코 팬 송풍기가 2005년 4월 11일자로 실용신안등록 출원되어 2005년 05월 14일자로 등록(등록번호 20-0387754호)되었으며, 2006년 01월 27일자로 유지결정 확정등록을 받은 바 있다.
등록번호 20-0387754호에 개시된 종래 배기장치용 시로코 팬 송풍기는 도 2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측면(11)에 흡입구(12)가 마련되며 전면측에 토출구(미도시)가 마련된 박스형태의 하우징(10)과, 이 하우징(10) 내부에 배치되어 흡입구(12)를 통해 공기를 흡입하여 토출구로 강제 송풍하는 시로코 팬(20)과, 하우징(10)의 타측면(13)에 천공된 모터 장착구(14)를 통해 배치되어 회전축(33) 선단이 시로코 팬(20)과 결합되는 모터(30)와, 이 모터(30)를 하우징(10)의 타측면(13)부에 장착하기 위한 모터브래킷(40)을 갖춘 배기장치용 시로코 팬 송풍기에 있어서; 모터(30)는 고정자(미도시) 및 회전자(미도시)가 수용 배치되도록 상호 대향되는 원통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호 당접면에 각각 이음플랜지(31a)(32a)가 일체로 이루어진 전, 후방 케이싱(31)(32)을 구비하며; 모터브래킷(40)은 하우징(10)의 타측면(15)부에서 모터(30)를 감싸도록 금속 통으로 이루어진 원통부(41)와, 이 원통부(41)의 일단에서 외측으로 절곡 연장되며 하우징(10)의 모터 장착구(14) 주변부에 체결되는 외향플랜지부(42)와, 원통부(41)의 타단에서 내측으로 절곡 연장되어 전, 후방 케이싱(31)(32)의 이음플랜지(31a)(32a)들과 체결되는 내향플랜지부(43)를 포함하여; 내향플랜지부(43)가 전,후방 케이싱(31)(32)의 이음플랜지(31a)(32a)들이 모터브래킷(40) 내부에 수용되도록 후방 케이싱(32)의 이음플랜지(32a) 측면에 당접하여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모터(30)의 이음플랜지(31a)(32a) 부위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빗물과 같은 이물질이 모터(3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으며, 이것에 의해 모터(30)의 내구성 및 전반적인 제품 신뢰성이 높아지는 작용효과가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배기장치용 시로코팬 송풍기에서는 모터(30)가 모터브래킷(40)과 복수개의 볼트(50)를 통해 송풍기 하우징(10) 측면에 장착됨으로써, 모터브래킷(40) 양측의 조립부위에 시일링 처리를 위한 패킹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결국, 이러한 모터브래킷(40)을 통한 모터(30) 장착구조에서는 모터(30) 전, 후방 케이싱(31)(32) 내부로의 이물질 유입이 확실하게 방지되는 작용효과가 있는 반면에, 부품수 추가로 인한 제조비용이 상승하는 것은 물론이며 조립 작업성이 현저하게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팬을 구동시키기 위한 모터를 송풍기의 케이싱 측면에 용이하면서도 견실하게 장착할 수 있는 송풍기용 모터의 모터하우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송풍기용 모터의 모터하우징 구조를 개선하여 부품수를 줄이며 이로 인해 조립 작업성을 향상시키고 모터 및 송풍기의 전반적인 제조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송풍기용 모터의 모터하우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내부에는 고정자 및 회전자가 배치되며 송풍기의 케이싱 측면에 장착되어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배치된 팬을 구동시키기 위한 송풍기용 모터의 모터하우징에 있어서,
상기 모터하우징은; 일측면이 개방된 원통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고정자 및 회전자의 절반이 수용 배치되며, 폐쇄된 타측면 중앙에는 상기 회전자의 회전축이 관통하고 일측의 개방부 가장자리를 따라 이음플랜지가 마련된 프론트 하우징과; 상기 프론트 하우징의 개방부와 대향되는 일면이 개방된 원통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고정자 및 회전자의 나머지 절반이 수용 배치되며, 개방부 가장자리에는 상기 프론트 하우징의 이음플랜지와 당접하여 볼트 체결되도록 외향 플랜지 형태의 이음플랜지부와, 상기 이음플랜지부의 끝단에서 상기 프론트 하우징의 외곽을 감싸도록 이루어진 원뿔대부와, 상기 원뿔대부의 끝단에서 외향 플랜지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송풍기의 케이싱 측면에 볼트 장착되는 장착플랜지부가 일체로 이루어진 리어 하우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프론트 하우징의 이음플랜지와 상기 리어 하우징의 이음플랜지부 중 어느 하나의 당접면에 링 형태의 환상돌기가 마련되며, 다른 것의 당접면에 상기 환상돌기가 안착 결합되도록 링 형태로 환상홈이 이루어져; 상기 프론트 하우징과 리어 하우징의 가조립을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프론트 하우징의 이음플랜지와 상기 리어 하우징의 이음플랜지부의 당접면 사이에 링 형태의 패킹이 배치되는데, 상기 패킹은 상기 환상돌기가 안착되는 상기 환상홈에 배치되어 압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리어 하우징의 외면과 상기 원뿔대부에 강성 보강 및 방열을 위한 리브가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개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팬을 구동시키기 위한 모터가 송풍기의 하우징 측면에 용이하면서도 견실하게 직접 장착되는 것은 물론이며 부품수가 줄어 조립 작업성이 향상되고 제조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도면을 간략히 설명하면, 도 3은 본 고안이 적용된 배기장치용 송풍기의 전체적인 구조를 보인 것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모터의 모터하우징 구조를 보인 것이다. 그리고 도 5와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모터의 조립구조 및 이의 장착구조를 보인 것이다.
본 고안이 적용된 배기장치용 시로코 팬 송풍기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환기덕트(미도시)에 연결 설치되며 흡입구(110)와 토출구(130)가 마련된 송풍기 케이싱(100)과, 이 송풍기 케이싱(100)의 내부에 배치되어 공기를 흡입하여 강제 배출하는 시로코 팬(200)과, 이 시로코 팬(200)을 구동시키도록 케이싱(100) 측면(120)에 장착되는 모터(300)를 갖추고 있다.
송풍기 케이싱(10)은 제품 외관을 이루면서 환기덕트와 연통 설치되는 것으로, 일측면에는 공기 흡입을 위한 흡입구(110)가 마련되고, 공기 배출을 위한 토출구(130)가 이루어져 있다. 송풍기 케이싱(100)의 흡입구(110)와 토출구(130)의 위치가 대략 90도 각도를 이루게 되는데, 이것은 시로코 팬(200)의 특성 상 공기의 흡입방향과 토출방향이 대략 90도를 이루기 때문이다.
또한, 흡입구(110)와 대향되는 송풍키 케이싱(100)의 타측면(120)에는 모터(300) 장착을 위한 장착구(121)가 천공되어 있어서, 이를 통해 모터(300) 일부가 케이싱(100)내에 수용 설치된다. 그리고 미설명 부호 "122"는 모터 장착구(121) 주변에 원주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이루도록 천공된 볼트홀(122)로, 이것은 후술하는 모터(300)를 볼트(350)를 통해 장착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시로코 팬(200)은 다익형 팬의 일종으로, 송풍기 케이싱(100) 내부에서 모터(300)의 회전축(330) 선단에 장착된다. 이에 따라 시로코 팬(290)이 회전하게 되면 흡입구(110)를 통해 공기가 송풍기 케이싱(100)내로 흡입되며, 흡입된 공기는 토출구(130)를 통해 송풍기 케이싱(100) 전방으로 강제 배출되게 된다.
한편, 도 4와 도 5를 참조하면; 모터(300)는 고정자(301)와 회전자(302)가 상호 작용하여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것으로, 이러한 고정자(301) 및 회전자(302)는 상호 대향되는 원통 형태로 이루어진 모터하우징(310)(320) 내부에 수용되어 회전자(302)가 고속으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다. 이러한 본 고안에 따른 모터(300)의 모터하우징은 프론트 하우징(310)과 리어 하우징(320)으로 구별된다.
즉, 모터(300) 외형을 이루는 프론트 하우징(310)은 알루미늄 주물로 제작되며, 일면이 개방된 원통 형태로 이루어져 고정자(301) 및 회전자(302)의 절반이 수용 배치된다. 또한, 프론트 하우징(310)의 폐쇄된 타측면 중앙에는 회전자(302)의 회전축(330)이 관통하도록 축 관통공(미도시)이 천공된다. 그리고 프론트 하우징(310)의 개방부에는 가장자리를 따라 이음플랜지(311)가 마련되어 리어 하우징(320)과 당접하게 되는데, 여기에는 리어 하우징(320)과의 볼트 체결을 위한 볼트 관통홀(313)이 천공되어 있다.
또한, 프론트 하우징(310)의 이음플랜지(311) 당접면 내측에는 링 형태의 환상홈(312)이 단차지게 이루어져 있다. 이 환상홈(312)에는 후술하는 리어 하우징(320)측의 환상돌기(345)가 안착되어 프론트 하우징(320)과 리어 하우징(310)의 가조립을 안내하게 된다.
그리고 모터(300) 외형을 이루는 리어 하우징(320) 역시 프론트 하우징(310)의 개방부와 대향되는 일면이 개방된 원통 형태로 이루어져 있어서, 여기에 고정자(301) 및 회전자(302)의 나머지 절반이 수용 배치된다. 그리고 리어 하우징(320)의 개방부 가장자리에는 프론트 하우징(310)의 이음플랜지(311)와 당접하여 볼트(350) 체결되는 것은 물론이며 송풍기 케이싱(100)의 측면에 볼트(350) 체결되는 모터장착부(340)가 일체로 구성되어 있다. 즉, 모터장착부(340)는 리어 하우징(310)의 개방부 가장자리에 외향 플랜지 형태로 이루어진 이음플랜지부(341)와, 이음플랜지부(341)의 끝단에서 프론트 하우징(310)의 외곽을 감싸도록 이루어진 원뿔대부(342)와, 이 원뿔대부(342)의 끝단에서 외향 플랜지 형태로 이루어져 송풍기 케이싱(100)의 측면(120)에 볼트(350) 장착되는 장착플랜지부(343)로 정의된다.
이음플랜지부(341)는 프론트 하우징(310)측 이음플랜지(311)와 당접할 수 있도록 플랜지 링 형태로 이루어지며, 여기에는 이음플랜지(311)의 것과 일치되도록 볼트 관통홀(346)이 일정 간격으로 천공되어 있다. 또한, 이음플랜지부(341)의 당접면에는 환상홈(312)에 안착되는 환상돌기(345)가 링 형태로 이루어져 있어서, 리어 하우징(320)과 프론트 하우징(310)의 가조립을 안내하게 된다. 그리고 원뿔대부(342)는 장착플랜지부(343)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차 커지는 원뿔대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어서, 프론트 하우징(310)의 이음플랜지(311) 부위를 여유 있게 감싸게 된다. 또한, 장착플랜지부(343)는 원뿔대부(342)의 끝단에서 바깥방향으로 성형되어 송풍기 케이싱(100)의 측면(120)에 당접시키기 위한 것으로, 여기에는 송풍기 케이싱(100)의 볼트홀(122)과 일치되게 볼트 관통홀(344)들이 일정 간격으로 천공 되어 있다.
또한, 프론트 하우징(310)과 리어 하우징(320)의 당접면 사이에는 패킹(370)이 배치되어 압착됨으로써, 프론트 하우징(310)과 리어 하우징(320) 사이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본 고안의 실시 예에서는 패킹(370)이 리어 하우징(320)의 환상돌기(312)가 안착되는 환상홈(345)에 배치되어 압착되는 구조로 적용하였다.
한편, 리어 하우징(320)과 프론트 하우징(310)의 외면에는 내부에서 발생된 열을 용이하게 방출할 수 있도록 방열 리브(360)가 마련되는데, 특히 리어 하우징(320)측의 방열 리브(360)는 리어 하우징(320)의 외면은 물론이며 원뿔대부(342) 까지 연장되게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개 마련되어 있어서, 강성 보강은 물론이며 방열 효과를 높일 수 있게 된다.
다음에는 이와 같이 구성된 모터장착부를 통한 모터의 조립과정 및 이에 따른 작용효과를 도 5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즉, 프론트 하우징(310)의 내부에 고정자(301)와 회전자(302)를 배치한 후 여기에 고정자(301)와 회전자(302)의 나머지 부분을 덮도록 리어 하우징(320)을 결합하면, 프론트 하우징(310)의 이음플랜지(311)와 리어 하우징(320)의 이음플랜지부(341)가 면접촉하게 된다. 이 때, 패킹(370)이 배치된 환상홈(312)에 리어 하우징(320)의 환상돌기(345)가 안착 결합되며, 이것에 의해 프론트 하우징(310)과 리어 하우징(320)이 가조립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리어 하우징(320)의 이음플랜지부(341)에 천공된 볼트 관통 홀(346)과 프론트 하우징(310)의 이음플랜지(311)에 천공된 볼트 관통홀(313)을 일치시킨 후 여기에 볼트(350)를 조인다. 따라서 패킹(370)이 당접면 사이에서 압착됨과 동시에 프론트 하우징(310)과 리어 하우징(320)이 견실하게 시일링 조립되며, 결국 모터(300) 조립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계속하여,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터(300)의 리어 하우징(310) 측을 송풍기 케이싱(100)의 모터 장착구(121)에 삽입하면서 리어 하우징(310)의 장착플랜지부(3430를 송풍기 케이싱(100)의 측면(120)에 당접시킨다. 그리고 장착플랜지부(343)의 볼트 관통홀(344)과 모터 장착구(121) 주변의 볼트홀(122)을 일치시킨 후 볼트(350)를 조이면, 모터(300)는 송풍기 케이싱(100)의 측면(120)에 견실하게 장착된다.
이와 같이 모터(300) 장착이 완료되면, 프론트 하우징(310)과 리어 하우징(320)의 이음부위는 모터장착부(340)에 수용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 따라서 시로코 팬 송풍기를 실외에 설치하여도 이물질(빗물)이 모터(300)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결국, 리어 하우징(320)의 가장자리에 일체로 마련된 모터장착부(340)를 통해 프론트 하우징(310)이 견실하게 조립되는 것은 물론이며 송풍기 케이싱(100)에 모터(300)를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어서, 전반적인 부품수를 줄일 수 있고 이로 인해 송풍기 조립라인에서 작업성을 현저하게 높일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의 실시 예에서는 환상홈(312)을 프론트 하우징(310)의 당접면에, 환상돌기(345)를 리어 하우징(320)의 당접면에 구성한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이들의 구성 위치를 상호 바뀌어도 프론트 하우징(310)과 리어 하우징(320)의 가조립을 안내하여 본 고안의 소기 목적을 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프론트 하우징(310)과 리어 하우징(320)을 볼트(350)와 너트를 통해 조립하는 것으로 설명 및 도시하였는데, 이에 국한하지 않고 볼트(350)가 리어 하우징(320)의 이음플랜지부(341)를 관통되어 직접 프론트 하우징(310)의 이음플랜지(311)에 나사 결합방식으로도 조립될 수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송풍기용 모터의 모터하우징에 의하면; 리어 하우징이 이음플랜지부를 통해 프론트 하우징과 볼트 체결되면 프론트 하우징과 리어 하우징의 체결 부위가 원뿔대부 내부에 수용된다. 이에 따라 모터의 프론트, 리어 하우징의 체결부위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빗물과 같은 이물질이 모터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모터의 내구성 및 전반적인 제품 신뢰성이 향상되는 작용효과가 있다.
또한, 리어 하우징의 가장자리에 일체로 구성된 장착플랜지부를 통해 모터가 송풍기 케이싱에 직접 볼트 조립됨으로써, 모터 장착을 위한 전반적인 부품수가 줄어 제조비용이 절감되는 이점과, 생산라인에서 제품 조립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4)

  1. 내부에는 고정자(301) 및 회전자(302)가 배치되며 송풍기의 케이싱(100) 측면(120)에 장착되어 상기 케이싱(100)의 내부에 배치된 팬(200)을 구동시키기 위한 송풍기용 모터(300)의 모터하우징에 있어서,
    상기 모터하우징은;
    일측면이 개방된 원통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고정자(301) 및 회전자(302)의 절반이 수용 배치되며, 폐쇄된 타측면 중앙에는 상기 회전자(302)의 회전축(330)이 관통하고 일측의 개방부 가장자리를 따라 이음플랜지(311)가 마련된 프론트 하우징(310)과;
    상기 프론트 하우징(310)의 개방부와 대향되는 일면이 개방된 원통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고정자(301) 및 회전자(302)의 나머지 절반이 수용 배치되며, 개방부 가장자리에는 상기 프론트 하우징(310)의 이음플랜지(311)와 당접하여 볼트(350) 체결되도록 외향 플랜지 형태의 이음플랜지부(341)와, 상기 이음플랜지부(341)의 끝단에서 상기 프론트 하우징(310)의 외곽을 감싸도록 이루어진 원뿔대부(342)와, 상기 원뿔대부(342)의 끝단에서 외향 플랜지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송풍기의 케이싱(100) 측면(120)에 볼트(350) 장착되는 장착플랜지부(343)가 일체로 이루어진 리어 하우징(32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풍기용 모터의 모터하우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하우징(310)의 이음플랜지(311)와 상기 리어 하우징(320)의 이음플랜지부(341) 중 어느 하나의 당접면에는 링 형태의 환상돌기(345)가 마련되며, 다른 것의 당접면에는 상기 환상돌기(345)가 안착 결합되도록 링 형태로 환상홈(312)이 이루어져;
    상기 프론트 하우징(310)과 리어 하우징(320)의 가조립을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풍기용 모터의 모터하우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하우징(310)의 이음플랜지(311)와 상기 리어 하우징(320)의 이음플랜지부(341)의 당접면 사이에는 링 형태의 패킹(370)이 배치되는데,
    상기 패킹(370)은 상기 환상돌기(345)가 안착되는 상기 환상홈(312)에 배치되어 압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풍기용 모터의 모터하우징.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적어도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리어 하우징(320)의 외면과 상기 원뿔대부(342)에는 강성 보강 및 방열을 위한 리브(360)가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개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풍기용 모터의 모터하우징.
KR2020060022572U 2006-08-23 2006-08-23 송풍기용 모터의 모터하우징 KR20043007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2572U KR200430076Y1 (ko) 2006-08-23 2006-08-23 송풍기용 모터의 모터하우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2572U KR200430076Y1 (ko) 2006-08-23 2006-08-23 송풍기용 모터의 모터하우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0076Y1 true KR200430076Y1 (ko) 2006-11-02

Family

ID=417784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2572U KR200430076Y1 (ko) 2006-08-23 2006-08-23 송풍기용 모터의 모터하우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007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38120A (ko) * 2021-04-05 2022-10-12 경진부로아 주식회사 공기순환을 이용한 냉각구조를 갖는 송풍기용 구동모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38120A (ko) * 2021-04-05 2022-10-12 경진부로아 주식회사 공기순환을 이용한 냉각구조를 갖는 송풍기용 구동모터
KR102545531B1 (ko) * 2021-04-05 2023-06-20 경진부로아 주식회사 공기순환을 이용한 냉각구조를 갖는 송풍기용 구동모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12069B2 (ja) モールド電動機およびこれを搭載した空気調和機の室外機
JP2006033932A (ja) 車両用電動送風ファン装置
WO2015143853A1 (zh) 一种直流无刷外转子电机及其应用的鼓风机
MXPA02008537A (es) Ventilador que tiene aparato a prueba de polvo.
KR200430076Y1 (ko) 송풍기용 모터의 모터하우징
KR200387754Y1 (ko) 배기장치용 시로코 팬 송풍기
CN1178309A (zh) 埋入天花板型空调机
KR200418449Y1 (ko) 에어덕트 중도에 설치되는 송풍팬 덕트케이싱
KR200444159Y1 (ko) 양방향 흡입이 가능한 시로코팬 송풍기
KR102178248B1 (ko) 시로코 팬 송풍기
JPS58138295A (ja) ポンプ
JP3971041B2 (ja) 換気扇
KR200363832Y1 (ko) 환풍기
KR100389948B1 (ko) 모터내장형송풍기및그것을케이싱내에수납한송풍장치
JP4958884B2 (ja) 換気装置
CN220307066U (zh) 一种电机
JP2005023897A (ja) 送風機
CN220581126U (zh) 一种散热器贯流风机结构
TWM579849U (zh) Waterproof and dustproof structure of outer rotor fan motor
JPH08312586A (ja) モータ内蔵型送風機のコネクタ装置
JP7380717B2 (ja) 送風機及び換気装置
JP6925297B2 (ja) 送風装置および送風装置の製造方法
JP2000080996A (ja) 排水ポンプ
CN218207219U (zh) 一种具有自冷功能的鼓风机
KR200412796Y1 (ko) 가변풍량 고정압형 병렬식 저소음 제트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7

Year of fee payment: 9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