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89948B1 - 모터내장형송풍기및그것을케이싱내에수납한송풍장치 - Google Patents

모터내장형송풍기및그것을케이싱내에수납한송풍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89948B1
KR100389948B1 KR1019960008770A KR19960008770A KR100389948B1 KR 100389948 B1 KR100389948 B1 KR 100389948B1 KR 1019960008770 A KR1019960008770 A KR 1019960008770A KR 19960008770 A KR19960008770 A KR 19960008770A KR 100389948 B1 KR100389948 B1 KR 1003899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or
plate
bearing housing
blower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087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41739A (ko
Inventor
도모아키 시마다
마사노리 고바야시
가즈오 아오키
Original Assignee
아카이시 긴조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산요 세이미쯔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카이시 긴조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산요 세이미쯔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아카이시 긴조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9600417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417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99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9948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60Mounting; Assembling; Disassembling
    • F04D29/62Mounting; Assembling; Disassembling of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624Mounting; Assembling; Disassembling of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04D29/626Mounting or removal of f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목적) 모터내장형 송풍기에 있어서, 모터축부의 구조를 개량하여 측판과 축받이 하우징의 조립성 향상을 도모함과 동시에 축받이 하우징과 회전자측과의 조립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모터내장형 송풍장치를 제안한다.
(구성) 기판(16)을 부착한 모터 플레이트(15)에 축받이(8) 및 스테이터코어(13)를 고정하고 있는 축받이 하우징(9)을 코킹에 의해 고정한다, 팬의 팬플레이트(3)에 형성한 원통형상 내주면에 자석(4) 을 고정함과 동시에 회전자 샤프트(5) 끝부에 고정된 보스(6) 를 원통형상 중심부에 코킹에 의해 고정한다. 상기 축받이(8) 내에 송풍기의 팬플래이트(3) 에 고정한 상기 회전자 샤프트(5) 를 관통 장착한다. 조립한 모터내장형 송풍기를 케이싱(1) 내에 수납 배치하고, 모터플래이트(15)를 나사(18)에 의해 케이싱 측판(1b)에 부착함으로써 모터내장형 송풍장치가 완성된다.

Description

모터내장형 송풍기 및 그것을 케이싱내에 수납한 송풍장치
(산업상의 이용분야)
본 발명은, 가령 공조기기의 실내유니트에 사용되는 송풍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송풍장치 구동용 모터를 송풍기내에 내장함으로써 부품점수 감소와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는 모터내장형 송풍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현재, 공기조화기, 전자 (가스) 레인지후드, 윈도팬, 서끊레이션, 공기청정기등으로 각종 송풍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송풍장치는 송풍팬과 팬을 구동하기 위한 모터가 별개체로 구성되고 조립되어 있기 때문에 팬에서 모터부분이 돌출상태로 되고, 혹은 팬에서 돌출하여 설치된 모터를 수납하기 위한 모터수납용 공간을 팬케이싱내에 설치하는 것이 필요해져서 송풍장치를 소형화하기 곤란하였다. 또한, 모터가 송풍기에서 돌출상태로되어 있는 송풍장치는, 상기와 같은 전기기기에 부착하려하면, 모터부분이 다른 기기와 간섭하는 일이 있어, 이것으로 인하여 전기기기를 콤팩트화게 할 수 없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일본국 특개평 6-299995 호 공보 (제10도에 도시함)에 있어서, 송풍날개(100) 의 끝판 (팬플레이트; 101)에 회전자(102) 의 부착부(103)를 형성함과 동시에 회전자측 지지체(104) 를 고정하고, 또한 고정자(105) 를 장착한 고정자측 지지체 (축받이 하우징; 106)를 기기케이스(107) 에 고정함과 동시에, 기기케이스(107) 에 고정된 고정자측 지지체(106) 와 끝판(101) 에 고정된 회전자측 지지체(104) 를 서로 중앙부분에서 샤프트(108) 로 연결지지한 소위, 모터내장형 송풍장치가 제안되어 있다.
이 송풍장치는 상기 구성에 의해 송풍장치의 소형화와 유니트화, 그리고 조립작업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고 되어 있다. 또한, 도면중 109는 날개편,110은 축받이, M은 모터이다.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그러나, 상기 송풍장치의 구성은, 실제 모터내장형 송풍기를 제작할 경우, 다음 같은 문제점이 명백하게 드러났다.
즉, 제10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종래의 모터내장형 송풍기는 모터의 고정자측(105)을 송풍기의 기기케이스 (케이싱 측판; 107)에 부착할 경우, 고정자측(105) 의 지지체(106)의 끝부에 플랜지(112) 를 형성하고, 이 플랜지(112) 와 기기케이스(107) 를 리벳(111) 혹은 나사등에 의해 부착하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플랜지를 갖는 고정자측 지지체(106) 자체의 소재치수 (내경치수) 가 커져서재료비가 상승한다. 또, 고정자측 지지체에 플랜지를 형성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지지체 형상이 복잡해지고, 동지지체의 가공이 번거로워진다. 또한, 플랜지를 케이싱측판에 고정하기 위한 리벳이나 나사가 필요할 뿐만 아니라 모터를 조립해 갈 경우, 고정자측의 스테이터코어가 방해가 되어 기기케이스 (케이싱 측판 혹은 모터 플레이트) 와 축받이 하우징의 조립이 번거롭게 된다.
그래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모터내장형의 송풍기에 있어서, 모터축부 구조를 개량하고, 측판 (모터플레이트) 과 축받이 하우징과의 조립성 향상을 도모함과 동시에 축받이 하우징과 회전자측과의 조립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모터내장형 송풍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이를 위해 본 발명이 채용한 제 1의 기술해결 수단은, 축받이 하우징(9) 외주에 스테이터코어(13)를 고정함과 동시에 그 축받이 하우징 내경부에 축받이(8) 를 통하여 회전자측 샤프트(5) 를 지지하고, 또한 동 회전자 샤프트(5) 에 상기 스테이터코어에 대응하여 자석(4)을 부착한 팬의 팬플레이트(3) 를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모터내장형 송풍기로서 상기 축받이 하우징(9) 은, 상기 자석(4) 을 부착한 팬플레이트(3) 의 반대측 끝부에 있어서 모터플레이트(15)에 형성한 구멍내에 끼워맞춘 상태로 축받이 하우징(9) 끝부를 코킹(14)함으로써 모터플레이트(15)에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2의 기술해결 수단은, 축받이 하우징 외주에 스테이터코어를 고정함과 동시에 그 축받이 하우징 내경부에 축받이를 통하여 회전자측 샤프트를 지지하고, 또한, 동 회전자 샤프트에 상기 스페이터코어에 대응하여 자석을 부착한 팬의 팬플레이트를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모터내장형 송풍기로서, 상기 축받이 하우징은 팬플레이트의 반대측 끝부에 있어서 모터플레이트에 형성한 버링가공에 압입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 3의 기술해결 수단은, 축받이 하우징 외주에 스테이터코어를 고정함과 동시에 그 축받이 하우징 내경부에 축받이를 통하여 회전자측 샤프트를 지지하고, 또한, 동 회전자 샤프트에 상기 스테이터코어에 대응하여 자석을 부착한 팬의 팬플레이트(3)를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모터내장형 송풍기로서, 상기 축받이 하우징은 상기 자석을 부착한 팬플레이트(3)와 반대측 끝부에 있어서 모터플레이트에 압입 혹은 코킹중 어느 한 방법으로 고정되어 있음과 동시에, 상기 회전자측 샤프트 끝부는 상기 팬플레이트(3)에 압입고정 혹은 코킹중 어느 한 방법으로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 이들을 과제해결의 수단으로 하는 것이다.
(작용)
기판(16)을 부착한 모터플레이트(15)에 축받이(8) 및 스테이터코어(13)를 고정하고 있는 축받이 하우징(9) 을 코킹으로 고정한다. 팬의 팬플레이트(3) 에 형성한 원통형상의 내주면에 자석(4) 을 고정함과 동시에 회전자 샤프트(5) 의 끝부에 고정된 보스(6) 를 원통형상 중심부에 코킹으로 고정한다. 상기 축받이(8) 내에서, 송풍기의 팬플레이트(3) 에 고정한 상기 회전자 샤프트(5) 를 관통하고, 돌출한 부분에서 워셔(11)를 통하여 고정링(스냅링 혹은 클립등;12)을 장착한다. 이와같이 조립된 모터내장형 송풍기를 케이싱(1)내에 수납배치하고, 모터플레이트(15)를 나사(18)등에 의해 케이싱측판(1b)에 부착함으로써 모터내장형 송풍장치의 조립이 완료된다.
(실시예)
이하,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 1도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관한 모터내장형의 원심 송풍장치의 측면도,
제 2도는 제 1도중의 A-A 선에서 취한 단면도, 제 3도는 모터의 주요부 확대도. 제 4도는 모터플레이트 외측에 방진커버를 부착한 상태의 모터내장형 원심 송풍장치의 단면도이다.
제 1도, 제 2도에 있어서 1은 송풍기의 케이싱이고, 이 케이싱(1) 은 소용돌이 모양을 형성하는 안내벽(1a)과, 안내벽(1a)양측에 배치되어 코킹등의 적당한 고정수단에 의해 안내벽(1a)에 고정된 측판(1b)으로 이루어지고, 한쪽 측판(1b)의 중앙부분에는 벨마우스(1c)가 형성되고, 다른쪽 측판(1b)의 중앙부에는 후기의 모터내장형 송풍기의 모터플레이트(15)가 나사(18)등에 의해 부착되어 있다.
상기 안내벽(1a)및 측판(1b)은 모두 금속판을 프레스성형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케이싱내에 수납하는 모터내장형 송풍기는 아우터 로터식이고, DC브러시레스 3상 2극 운전이 되는 형태의 것으로 설명한다. 이 송풍기는 금속판을 프레스성형한 2매의 팬플레이트(3,3) 사이의 원주상에 다수의 금속판을 프레스성형한 날개판(2) 을 부착하여 형성한 팬을 구비하고 있고, 그 팬플레이트(3) 중 한쪽은제 2도의 도시와 같이, 그 중심부가 안쪽을 향하여 원통형상으로 크게 조여 들고 있다.
원통상의 조여짐부의 저부주변은 제 2도의 도시와 같이 유사원추형(23)으로 형성되어 있고, 후기의 자석용 받이부(24)를 구성함과 동시에 이 부분에서 통풍로도 확보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팬플레이트(3) 에 형성한 상기 원통형상 내주에는 받이부(24)에 의해 위치 결정된 자석 (페라이트등; 4)이 접착등의 적당한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되어 있고, 또한 원통형상 바닥부 중앙에는 제 3도의 도시와 같이 회전자 샤프트(5) 의 끝부에 고정된 보스(6) 가 코킹(7) 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상기 회전자 샤프트(5) 는 원통형상을 한 단일체로 이루어지는 축받이 하우징(9) 내주면에 고정된 축받이(8,8) 에 회전자재로 장착되어 있고, 상기 축받이(8,8) 는 각각 축받이 하우징(9) 의 내주면의 양끝부 개구측에 형성된 대경의 단차부(10)에 위치결정되어 고정되어 있다. 또, 상기 회전자 샤프트(5) 는 상기 축받이(8) 를 관통하고, 돌출부분에서 워셔(11)를 통하여 고정링 (스냅링 혹은 클립 등, 12) 으로 이탈방지가 이루어진다. 이와같은 고정링 등에 의한 조립방법을 채용함으로써 한 방향으로부터의 조립이 가능해지고, 조립작업의 용이화를 도모할 수 있다.
축받이 하우짐(9) 의 상기 보스(6) 측 끝부에는 소경단차부가 형성되어 있고, 이 소경단차부(9a)에 스테이터코어(13)가 고정되어 있다. 스테이터코어(13)는 규소강판을 적층하여 구성하고 있으며, 이 스테이터코어(13)에는 절연재(13a) 를 통하여 코일(13b) 이 감겨져 있다. 상기 스테이터코어(13)는 상기 보스(6) 와 팬플레이트의 고정법과 동일하게 축받이하우징측을 코킹함으로써 축받이 하우징(9) 에 고정하여도 좋고, 또는 접착등의 적당한 고정수단으로 축받이 하우징에 고정할 수 도 있다.
또, 상기 하우징(9) 중 다른 한쪽의 끝부는 모터플레이트(15)에 대하여 코킹(14)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금속판을 프레스 성형한 모터플레이트(15)내면에는 모터의 운전상태를 제어하는 회로를 조립한 기판(16)이 부착되어 있고, 축받이 하우징(9) 은 이 기판(16)의 중심을 잡는 기능도 가지고 있으며, 이 결과, 기판(16)상의 구멍등의 조립위치 정밀도를 확보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여기서는 기판은 종이 페놀수지를 채용하고 있다.
모터플레이트(15)는 나사(18)등에 의해 케이싱의 측판(1b)의 중앙부에 고정되어 있고, 또, 모터플레이트(15)의 외면측에는 기판(16)에 전류를 흐르게 하기 위한 도시하지 않는 리드선이 부착된다.
모터플레이트(15)외측에는 제 1도, 제 4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방진용 커버(19)가 모터플레이트고정용 나사와 공용의 나사(18)등에 의해, 부착가능하게 되어 있고, 또, 이 커버(19)에는 상기 리드선의 커넥터(21)및 클램퍼(22)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 방진커버는 필요에 따라 벗겨서 사용할 수 도 있고, 또 합성수지등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모터내장형 송풍기의 조립상태를 제 2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기판(16)을 부착한 모터플레이트(15)에, 축받이(8) 및 스테이터코어(13)를고정하고 있는 축받이하우징(9) 을 코킹에 의해 고정한다.
송풍기의 팬플레이트(3) 에 형성한 원통형상의 내주면에 자석(4) 을 고정함과 동시에 회전자 샤프트(5) 의 끝부에 고정된 보스(6) 를 원통형상 중심부에 코킹에 의해 고정한다.
상기 축받이(8) 내에 송풍기의 팬플레이트(3) 에 고정한 상기 회전자 샤프트(5)를 관통하고 돌출한 부분에서 워셔(11)를 통하여 고정링 (스냅릴 혹은 클립등; 12)을 장착한다.
상기와 같이 조립한 모터내장형 송풍기는, 케이싱(1) 내에 수납배치되고, 모터플레이트(15)를 나사(18)등에 의해 케이싱측판(1b)에 부착함으로써 모터내장형 송풍장치의 조립이 완료된다.
그 후, 필요에 따라 모터플레이트(15) 외측에 방진용 커버(19)가 나사(18)에 의해 부착된다.
이어서, 본 발명의 제 2실시예를 제 5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제 2실시예는 제 1실시예중의 모터플레이트를 생략하고, 축받이 하우징(9) 을 직접 송풍기 케이싱의 측판(1b)에 코킹(14)에 의해 고착한 점에 특징이 있고, 기타 구성은 제 1실시예와 동일하다. 이 경우에는 다른 송풍기케이싱과의 공용화는 되지 않으나, 모터플레이트가 필요없고, 송풍장치의 부품점수 감소를 도모할 수 있는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3실시예를 제 6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제 3실시예는, 제 1실시예중의 보스(6) 와 팬플레이트(3) 와의 코킹부(7)및 축받이 하우징(9) 과 모터플레이트(15)와의 코킹부(14)대신 버링가공부에 축받이 하우징이나 고정자 샤프트를 압입고정하는 방법을 채용한 점에 특징이 있고, 기타 구성은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다.
즉, 이 경우는 팬플레이트(3) 측에 버링가공(3a)을 실시하고, 이 버링가공을 한 부분에 회전자 샤프트(5) 를 직접 압입고정함과 동시에 모터플레이트(15)에도 버링가공(15a)을 실시하여, 이 버링가공을 한 부분에 축받이 하우징(9) 끝부를 압입고정한 것이다.
그 후 팬케이싱내에 수납하고, 필요에 따라 제 7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모터플레이트(15) 외측에 방진용에 커버(19)를 배치하여 나사(18)에 의해 부착된다.
상기 버링가공부를 이용한 고정법에 의해 더 한층의 조립작업의 간이화를 도모할 수 있음과 동시에 회전자 샤프트(5) 를 직접 버링가공을 한 팬플레이트에 압입고정하기 때문에, 상기 각 실시예에서 필요로 하던 보스(6) 를 생략할 수 있어 부품점수의 경감을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4실시예를 제 7도, 제 8도, 제 9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제 4실시예는 제 1실시예중에 있어서의 모터플레이트(15)를 케이싱측판(1b)에 부착할 때의 나사(18)의 위치에 특징이 있다.
즉, 상기 제 1실시예중에서는 모터플레이트(15)를 케이싱측판(1b)에 부착할 때의 나사(18)의 위치는 제 1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바람의 출구 통로내에 설치하고 있다.
이 때문에 바람과 이 나사와의 관계로 소음등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이 나사의 최적 부착위치를 실험을 통하여 확인한 결과, 나사위치를 제 8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케이싱의 후부근방에 하는 것이 유리하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 때문에 모터플레이트를 케이싱에 적어도 3개소 부착할 경우, 3 개의 나사중 한 나사를 제 8도에 도시하는 후부근방에 함으로써 소음을 절감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나사위치와 종래의 나사위치의 소음에 관한 실험데이타를 제 9도에 도시한다.
제 9도의 (A)는 본 실시예에 관한 나사위치의 소음데이타이고, (B) 는 종래의 나사위치의 소음데이타이다. 그래프는 모두 수평축에 출력을 잡고, 수직측에 소음레벨을 잡고 있으며, 그래프 상방에 기재되어 있는 숫자는 그래프중의 소음레벨이 높은 10개의 퍼크치를 꺼내어 거기에 대응한 출력주파수 및 소음 레벨을 크기순으로 정리하여 표시하고 있다.
가령, 본 실시예에서는 (A)에 예시하는 바와같이, 출력이 2375HZ일 때의 소음이 제일 커서 45.93dB 이고, 이하 순서대로 2275HZ일 때의 소음은 44.91dB, 1625HZ 일 때의 소음은 43.87dB로 저하되어 간다. 한편, 종래의 나사위치의 경우에는 (B) 에 예시하는 바와 같이 출력이 2300HZ일 때의 소음이 최대로서 46.03dB 이고, 이하 동일하게 소음레벨이 작아지는 순으로 병렬해 있다.
이 제 9도에서도 분명한 바와같이, 높은 쪽의 소음레벨은 종래의 나사위치에 비교하여 본 실시예의 나사위치 쪽이 분명하게 감소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그 이유는, 종래와 같이 송풍통로내에 나사를 배치할 경우, 그 나사가 송풍저항이 되고, 이것이 원인으로 소음이 증대하고 있다고 추측된다.
또한, 상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예시에 불과하며, 각 부재의 고정부에 채용한 코킹이나 버링가공부로의 압입에 의한 고정방법은, 그 부분마다 다르게 채용할 수 있어, 가령, 모터플레이트와 축받이 하우징은 버링가공에 의한 고정방법을 채용하고, 팬플레이트(3) 와 보스는 코킹에 의한 고정방법을 채용하는 등, 각종 조합이 가능하다.
또, 자석의 종류, 혹은 기판 종류등의 여러가지 것을 채용할 수 있고, 사용목적에 대응하여 여러가지의 설계변경이 가능하다.
또, 아우터로터 방식에 한하지 않고, 인너로터식의 각종 모터에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는 것은 당연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정신 또는 주요한 특징에서 이탈하지 않고 다른 여러가지 형으로 실시할 수 있으며, 그 때문에 상기 실시예는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불과하며, 한정적으로 해석해서는 안된다.
제 1도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관한 모터내장형 (원심) 송풍장치의 측면도,
제 2도는 제 1도중 A-A선에서 취한 단면도,
제 3도는 제 2도중 주요부에 대한 확대단면도,
제 4도는 제 1도에 도시한 모터내장형 송풍기에 방진커버를 부착한 상태의 단면도,
제 5도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관한 모터내장형 송풍장치의 측면도,
제 6도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관한 모터내장형 송풍장치의 측면도,
제 7도는 제 6도에 도시한 모터내장형 송풍장치에 방진커버를 부착한 상태의 단면도,
제 8도는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의 케이싱 측면도,
제 9도는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의 종래장치의 소음데이타 비교도,
제10도는 종래의 모터내장형 송풍장치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케이싱 1a: 안내판
1b: 측판 1c: 벨마우스
2:날개판 3:팬플레이트
4:자석 5:회전자샤프트
6:보스 7,14: 코킹부
8:축받이 9:축받이 하우징
13: 스테이터코어 15: 모터플레이트
16: 기판 23: 유사원추부
이상, 상세히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관한 모터내장형 송풍기 및 그것을 케이싱내에 수납한 송풍장치에 의하면,
1) 축받이 하우징과 모터 플레이트의 고정부, 혹은 팬플레이트(3) 와 보스의고정부, 또는 스테이터코어와 축받이 하우징의 고정부에 코킹 흑은 버링가공에 의한 압입 고정법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조립비용의 대폭적 절감이 도모된다.
2) 축받이 하우징을 이용한 기판의 위치결정이 가능하기 때문에 조립정밀도가 대폭 향상된다.
3) 축받이 하우징의 형상이 간단해지고, 제조비가 감소된다.
4) 축받이는 단일체의 축받이 하우징내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조립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5) 워셔(11), 고정링을 사용하여 회전자 샤프트를 고정하기 때문에 한 방향으로부터의 조립이 가능하고, 조립작업의 용이화를 도모할 수 있는 등의 우수한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Claims (15)

  1. 축받이 하우징(9) 의 외주에 스테이터코어(13)를 고정함과 동시에, 그 축받이 하우징 내경부에 축받이(8) 를 통하여 회전자측 샤프트(5) 를 지지하고, 또한 동 회전자 샤프트(5)에 상기 스테이터코어에 대응하여 자석(4) 을 부착한 팬의 펀플레이트(3) 를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모터내장형 송풍기에 있어서,
    상기 축받이 하우징(9) 은 상기 자석(4) 을 부착한 팬플레이트(3) 의 반대측 끝부에 있어서 모터플레이트(15)에 형성한 구멍내에 끼워맞춤한 상태로 축받이 하우징(9) 끝부를 코킹(14)함으로써 모터플레이트(15)에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내장형 송풍기.
  2. 제 1항에 있어서, 축받이 하우징의 팬플레이트측의 끝부는 상기 스테이터코어 내경부에 끼워맞춤한 상태로 축받이 하우징 끝부를 코킹함으로써 스테이터코어와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내장형 송풍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자측 샤프트에는 보스가 고정되어 있고, 또한 이 보스는 상기 팬플레이트(3) 에 형성한 구멍내에 보스끝부를 끼워맞춤한 상태로 보스끝부를 코킹함으로써 팬플레이트(3) 에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내장형 송풍기.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터코어는 축받이 하우징 외주에 형성한 소경단차부에 위치결정된 후, 축받이 하우징 끝부를 코킹함으로써 축받이 하우징에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내장형 송풍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축받이 하우징의 양끝부 내경에는, 개구부측이 대경으로 형성된 단차부가 형성되어 있고, 그 단차부를 스토퍼로 하여 각 대경부에 상기 축받이가 배치,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내장형 송풍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축받이에 팬플레이트(3) 에 설치한 상기 회전자측 샤프트를 관통한 상태로, 상기 회전자측 샤프트를 고정링에 의해 상기 축받이에 이탈방지 지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내장형 송풍기.
  7. 축받이 하우징 외주에 스테이터코어를 고정함과 동시에, 그 축받이 하우징 내경부에 축받이를 통하여 회전자측 샤프트를 지지하고, 또한 동 회전자 샤프트에 상기 스테이터코어에 대응하여 자석을 부착한 팬의 팬플레이트를 설치하여 구성되는 모터내장형 송풍기에 있어서, 상기 축받이 하우징은 팬플레이트의 반대측 끝부에 있어서 모터플레이트에 형성한 버링가공부에 압입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내장형 송풍기.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자측 샤프트 끝부는 상기 팬의 팬플레이트에 형성한 버링가공부에 압입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내장형 송풍기.
  9. 제 7항 또는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축받이 하우징의 양끝부 내경에는, 개구부측이 대경으로 형성된 단차부가 형성되어 있고, 그 단차부를 스토퍼로 하여 각 대경부에 축받이가 배치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내장형 송풍기.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축받이에 팬플레이트(3) 에 설치한 상기 회전자측 샤프트를 관통한 상태로, 상기 회전자측 샤프트를 고정링에 의해 상기 축받이에 이탈방지 지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내장형 송풍기.
  11. 축받이하우징 외주에 스테이터코어를 고정함과 동시에, 그 축받이하우징 내경부에 축받이를 통하여 회전자측 샤프트를 지지하고, 또한 동회전자 샤프트에 상기 스테이터 코어에 대응하여 자석을 부착한 팬의 팬플레이트(3) 를 설치하여 구성되는 모터내장형 송풍기에 있어서,
    상기 축받이 하우징은 상기 자석을 부착한 팬플레이트(3) 의 반대측 끝부에 있어서 모터플레이트에 압입 혹은 코킹중 어느 한 방법으로 고정되어 있음과 동시에, 상기 회전자측 샤프트 끝부는 상기 팬플레이트(3) 에 압입고정 혹은 코킹중 어느 한 방법으로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내장형 송풍기.
  12. 제 1항 내지 제11항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모터내장형 송풍기를 송풍기 케이싱내에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내장형 송풍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플레이트는 송풍기의 케이싱 측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내장형 송풍장치.
  14. 제12항 또는 제1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 플레이트의 외측에 축받이 보호용의 커버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내장형 송풍장치.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플레이트 또는 커버를 부착하기 위한 나사중의 한 나사의 부착위치를 케이싱 후부근방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내장형 송풍장치.
KR1019960008770A 1995-05-19 1996-03-28 모터내장형송풍기및그것을케이싱내에수납한송풍장치 KR10038994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5-121382 1995-05-19
JP7121382A JPH08312594A (ja) 1995-05-19 1995-05-19 モータ内蔵型送風機およびそれをケーシング内に収納した送風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41739A KR960041739A (ko) 1996-12-19
KR100389948B1 true KR100389948B1 (ko) 2003-09-19

Family

ID=148098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08770A KR100389948B1 (ko) 1995-05-19 1996-03-28 모터내장형송풍기및그것을케이싱내에수납한송풍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H08312594A (ko)
KR (1) KR10038994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1906B1 (ko) 2003-10-06 2007-05-28 삼성전자주식회사 팬 어셈블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47191B2 (ja) 2001-09-12 2010-04-07 株式会社リコー 駆動機構の軸受構造、画像読取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4935051B2 (ja) * 2005-11-01 2012-05-23 日本電産株式会社 遠心ファン
JPWO2016006229A1 (ja) * 2014-07-07 2017-04-2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密閉型圧縮機およびそれを用いた冷凍装置
JP6422080B2 (ja) * 2015-11-30 2018-11-14 ミネベアミツミ株式会社 ロータ、そのロータの製造方法及びそのロータを備えたファン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49440B2 (ja) * 1978-02-17 1984-12-03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送風装置
JPS568894U (ko) * 1979-07-02 1981-01-26
JPS6177663U (ko) * 1984-10-24 1986-05-24
JPH0245697A (ja) * 1988-08-05 1990-02-15 Daikin Ind Ltd ファン装置
JP2741873B2 (ja) * 1988-08-29 1998-04-2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多翼ファン
JPH0543775U (ja) * 1991-11-19 1993-06-11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ブラシレスモータ
JPH06105498A (ja) * 1992-09-18 1994-04-15 Nippon Densan Corp スピンドルモータ
JPH06253492A (ja) * 1993-02-24 1994-09-09 Toshiba Lighting & Technol Corp モータ及びモータ組込機器
JPH0674059U (ja) * 1993-03-18 1994-10-18 東芝ホームテクノ株式会社 モータ
JP3013960B2 (ja) * 1993-08-13 2000-02-28 株式会社三協精機製作所 ディスク駆動用モータ
JP2698313B2 (ja) * 1994-03-11 1998-01-19 三洋電機株式会社 送風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1906B1 (ko) 2003-10-06 2007-05-28 삼성전자주식회사 팬 어셈블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41739A (ko) 1996-12-19
JPH08312594A (ja) 1996-1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78207B1 (en) Blower
US4773829A (en) Centrifugal fan driven by an electronic-commutation direct-current motor
EP2357719B1 (en) Brushless motor and electric apparatus provided with same
US20080201928A1 (en) Method of assembling a fan module for engine cooling applications
US6447272B2 (en) Blower
US6023113A (en) Axial flow fan motor
KR100389948B1 (ko) 모터내장형송풍기및그것을케이싱내에수납한송풍장치
US6515389B1 (en) Permanent field small-size motor
JP4848305B2 (ja) モータ
US11824420B2 (en) Brushed motor and electrical product
EP1079385A3 (en) A spindle motor for disk driving device
JP2022128587A (ja) モータ及び駆動装置
JPH08312586A (ja) モータ内蔵型送風機のコネクタ装置
JPH08240329A (ja) 空調機の室外ユニット
JP2896059B2 (ja) アウターロータ型ブラシレスdcモータ
JP5369557B2 (ja) 電動送風機
JP2013090481A (ja) 回転電機およびそれを用いた空気調和装置
JPH08312585A (ja) モータ内蔵型送風機の制御回路基板
US7843096B2 (en) Method for accomodating an electric motor
KR100407858B1 (ko) 모터내장형송풍기의케이싱구조
GB2260861A (en) Two part casing for a flat small blower
JPH0350119B2 (ko)
US20240060498A1 (en) Centrifugal blower
JP3445736B2 (ja) 電動機
JPH07143705A (ja) ファン一体化電動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