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9280Y1 - 부스바아 연결클램프 형상, 이의 체결구조 - Google Patents

부스바아 연결클램프 형상, 이의 체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9280Y1
KR200429280Y1 KR2020060020371U KR20060020371U KR200429280Y1 KR 200429280 Y1 KR200429280 Y1 KR 200429280Y1 KR 2020060020371 U KR2020060020371 U KR 2020060020371U KR 20060020371 U KR20060020371 U KR 20060020371U KR 200429280 Y1 KR200429280 Y1 KR 20042928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
clamp
sensing line
shaped clamp
sen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037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득수
김종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파워트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파워트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파워트론
Priority to KR202006002037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928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928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928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28Fixed electrical connections, i.e. not intended for disconne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축전지의 내부임피던스 등 중요한 파라미터를 실시간(온라인)으로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 축전지 측정진단시스템에 있어서, 축전지조(특히, 무보수 밀폐형)의 셀 단자(Post)에서 전압 또는 전류신호를 감지(sensing)선을 통해 측정진단시스템의 입력회로에 연결하는 데 사용되는 축전지셀의 연결 클램프의 형상 및 체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U자형 클램프바아의 상부에 있는 체결나사탭을 통해 나사를 체결하여 감지선 연결수단과 상호 결합되고 또한 대개 2조의 U자형 클램프바아가 적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결합되고 클램프홀더는 상호간 유격이 없도록 잡아주는 역할를 하도록 형상을 가지고 있어 U자형 클램프바아가 클램프홀더 속에 들어가 고정된다. U자형 클램프바아가 축전지셀의 연결부스바아에 끼워지는 형태로 설치되고 U자형 클램프바아에 형성된 고정용 나사탭을 통해 고정나사를 박아 축전지셀의 상기 연결부스바아에 고정된다.
본 고안에서 제시된 부스바아 연결클램프를 사용하면 감지선이 간단히 연결선 부스바아와 연결되어 질 수 있고, 축전지 각 셀의 감지선을 측정진단시스템에 연결 시공시에 공사시간 및 설치인력이 절감되고 사후에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
감지(센싱)선, 연결부스바아, 간격유지바아(스페이셔), 고정 나사탭, 클램프바아

Description

부스바아 연결클램프 형상, 이의 체결구조 {Bus bar clamp connector shape, it's assembling structure}
도 1 은 측정진단 시스템의 4단자망 회로의 개요
도 2 는 종래의 축전지 연결부스바아에 체결된 U자형 연결클램프 형상
도 3 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인 부스바아 연결클램프가 부착된 형상도
도 4 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인 부스바아 연결클램프의 샤시도
도 5 는 본 고안의 부스바아 연결클램프의 세부 정면도,평면도 및 우측면도
도 6a 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 예인 부스바아 연결클램프의 외관도
도 6b 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 예인 부스바아 연결클램프의 우측면도
도 7 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일 실시 예인 부스바아 연결클램프에 회로보호소자가 연결된 외관도
* 도면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연결부스바아, 2; U자형 클램프바아, 3; 감지선 연결수단, 4; 클램프홀더, 5; 고정용 나사탭, 6; 감지선 연결수단 체결나사탭, 7;제 1결합홀, 8;돌출부, 9;제 2결합홀, 10a,10b;간격유지바아(스페이셔),11;부스바아 고정나사, 12;체결나사, 13; 감지선, 14; 도체패트, 15; 회로보호소자, 16; 감지선 연결단자(대), 17;체결공구 유도홀
근래 유무선 통신서비스망의 증가로 통신망 전원의 1차 예비전원으로 각 중계소내에 수백개 축전지설비를 가지고 있으며 또한 전산센터 컴퓨터나 공장자동화설비 DCS시스템 등에도 대개 100여개 이상의 축전지셀이 직렬 연결되어 상시 부동충전 상태로 운전되고 있다. 상기의 직렬 연결된 축전지 셀중 일부(1개라도)가 노화된 경우에는 정전시에 제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게 되므로 이의 고장유무를 온 라인으로 측정진단하기 위해 각 축전지셀의 노화상태를 체크하는 측정진단시스템 이 다수 채택되고 있다.
상기의 온 라인 측정진단시스템에는 도 1에 표시된 바와 같이 4단자망의 감지(센싱)선이 축전지 각 셀로 부터 연결된다. 축전지의 내부임피던스는 매우 적은 값이기 때문에 접촉저항의 영향을 배제할 수 있는 수단으로써 4단자망 회로의 감지(센싱)선을 사용해야 한다.
직.병렬로 연결된 축전지 셀의 내부임피던스 또는 내부저항/컨덕턴스을 측정하여 축전지의 노화(수명)상태를 측정.진단코자 할 경우에는, 축전지 각 셀의 + - 극주 단자(Post)에서 감지선을 직접 연결하거나, 단자 극주의 인접점 부위 또는 인접된 셀의 상호 연결선의 중앙부위에서 감지선을 연결해야 할 필요가 있다. 통상적으로 이미 설치되어 있는 축전지 조의 경우에는, 각 셀의 + - 극주단자에서 감지선을 직접 연결하기가 어려우므로 극주단자의 인접점 부위 또는 연결선의 중앙부위에 감지선을 연결할 수 있는 금구를 부착시키고 여기에서 감지선이 연결되게 함으로써 극주단자 연결선의 결선저항이 포함된 축전지의 내부임피던스/저항값을 측정할 수 있으므로 정지형 축전지조(String)의 노화 상태 및 연결개소의 접촉상태을 사전에 측정 진단할 수 있다.
정지형 축전지조(string)에는 여러 가지 종류의 축전지가 사용되고 있으며, 사용용도 및 규격에 따라 여러 가지의 형태의 감지선의 연결금구 또는 수단을 사용되게 된다. 종전에는 전통적인 Flooded형의 축전지 또는 밀폐형 축전지가 많이 사용되어 왔다. 이러한 경우에는 도 2에 표시한 바와 같이 단면이 직사각형 형태인 동 재질의 연결부스바아(Bus bar)를 사용하여 상기 연결부스바아의 양 끝부분에 있는 체결구멍과 축전지의 극주단자에 형성된 체결용 구멍을 육각볼트로 체결하는 방식으로 인접된 축전지의 셀의 + - 극주단자를 상호간을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하였다. 상기 연결부스바아의 중앙부나 극주의 인접부위에 신주 약 2t 정도의 재질로 만들어진 U자형 클램프바아를 끼워 볼트로써 상기 연결부스바아에 고정시킨다.
온 라인측정시스템의 전류주입 설계방식에 따라서 전류주입선이 연결되는 축전지셀의 연결단위가 상이하게 되며 축전지셀의 내부 임피던스를 측정히 위한 감지(센싱)선이 소정의 직렬연결된 축전지셀마다 연결되는 데, 종전에는 전압센싱선 또는 전류공급선과 같은 축전지 셀의 감지(센싱)선을 LUG단자에 압착한 후 상기의 U자형 클램프바아의 특정 부위(대개의 경우 상부측)에 형성되어 있는 체결용 나사탭에 상기의 감지선 LUG 단자를 나사로 고정시켜 감지선을 연결하였다.
상기와 같이 축전지의 셀의 직.병렬 연결선으로써 부스바아를 사용할 경우에는 연결부스바아에 연결되는 클램프 구조물을 간단한 형태로 제작할 수 있고 상기 연결부스바아에 U자형의 클램프바아를 고정시키고 클램프 구조물에 감지선을 연결할 수 있으나, 상기의 연결부스바아 부위가 항상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각각 분리되어 있는 2조의 U자형 클램프바아를 연결부스바아에 단시간내에 체결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극주단자(Post)의 연결부스바아에 U자형 클램프바아를 체결볼트로 고정한 후 감지선을 U자형 클램프바아에 직접 연결하여야 하므로 설치시간이 많이 소요되었고 또한 이미 설치되어 있는 설비인 경우에는 공사기간중 활선부위를 체결하는 부담을 갖게 되는 불편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밀폐형 축전지의 직.병렬 결선으로써 연결부스바아를 사용한 경우에 있어서, 클램프홀더(4)에 소정의 U자형 클램프바아와 감지선 연결수단(3)을 체결나사탭(6)을 통해 상호간 결합시키고 이들의 결합체인 부스바아 연결클램프를 용이하게 상기 연결부스바아(1)에 부착 고정시킨 후, 감지선 연결수단(3)위에 장착된 출력단자에 감지선의 LUG단자나 감지선을 연결함으로써 축전지 극주와의 연결 접촉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는 연결클램프의 형상과 이의 체결구조를 제시하고 있으며 이하 첨부된 도면을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3는 밀폐형 축전지가 직.병렬로 연결된 경우, 연결부스바아(1) 상에 본 고안의 부스바아 연결클램프가 체결 조립되어 있는 개략적 형상을 도시하고 있다. 도 3 에서는 인접된 셀의 연결부스바아(1)의 중앙부위에 부스바아 연결클램프가 조립되어 있는 모습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전술한 바와 같이 축전지 셀의 측정요소에 따라 축전지 각 셀을 연결하는 연결부스바아(1)의 + - 극주 단자 인접부위에 각각 부스바아 연결클램프를 부착할 수도 있다.
도 4 및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인 부스바아 연결클램프의 샤시도 또는 외관 조립도로써 상기 부스바아 연결클램프의 기본적 구조에 대한 입체형상과 상기 부스바아 연결클램프가 연결부스바아(1)에 체결되는 구조를 알 수 있도록 도시되고 있다. 도 5은 본 고안의 부스바아 연결클램프을 사용하여 감지선을 연결한 정면도, 상면도 및 측면도를 상세히 도시한다. 도 6a 및 도 6b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또 다른 실시 예로 도 7 에는 공지된 수단을 사용하여 감지선 연결되고 클램프홀더가 덮히지 않는 상태인 부스바아 연결클램프를 도시하고 있다.
본 고안의 부스바아 연결클램프는,
연결 부스바아 고정나사탭(5)을 가진 소정의 U자형 클램프바아(2)와;
상기 U자형 클램프바아(2) 상부에 있는 체결나사탭(6)을 통해 체결나사를 박아 상기 U자형 클램프바아(2)와 상호 결합되어 지는 감지선 연결수단(3)과;
U자형 클램프바아를 상호간에 유격이 없도록 결합되게 잡아주고 적정 간격으로 이격시켜 결합되게 하는 클램프홀더(4)를 포함한다.
상기 U자형 클램프바아(2)의 측면에는 부스바아 고정나사(11)를 체결할 수 있는 고정나사탭(5)이 형성되고 상부면에는 감지선 연결수단(3)의 체결나사탭(6) 및 1~2개의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감지선 연결수단(3)은 제 1결합홀(7)를 통해 체결나사(12)로써 상기 U자형 클램프바아(2)의 체결나사탭(6)에 체결되어 조립된다. 상기 U자형 클램프바아(2)의 U자 안쪽부분이 연결부스바아(1)의 높이 방향으로 부터 상기 연결부스바아(1)를 감싸는 형태로 들어가 부착되고 상기 U자형 클램프바아(2)의 고정나사탭(5)에 고정나사(11)을 체결하게 되면 상기 연결부스바아(1)의 한쪽면에 상기 U자형 클램프바아(2)의 반대면이 밀착되어 고정되게 된다.
상기 U자형 클램프바아(2)의 상부면에 형성된 돌출부(8)는 감지선 연결수단(3)이 U자형 클램프바아(2)와 상호 조립될 때 감지선 연결수단(3)의 제 2결합홀(9)내에 삽입되어 조립되게 된다. 따라서 체결나사(12)를 체결할 때 상기 체결나사(12)의 회전방향으로 U자형 클램프바아(2)가 함께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여 정위치에 조립되게 한다.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상기 체결나사탭(6)의 양쪽 대각선 방향으로 또 다른 돌출부를 추가로 둘 수도 있다.
상기 U자형 클램프바아(2)는 연결부스바아(1)와 감지선(13)과의 접촉저항을 줄이기 위해 가능한 한 휨강도가 크고 전도도가 큰 비철금속재질이 사용되며 벌링된 형태의 고정용 나사탭(5)을 형성함으로써 나사산 갯수를 늘려 탭의 강도를 높이고 이의 마모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감지선 연결수단(3)은, U자형 클램프바아(2)가 전기적으로 절연되고 공간적으로 이격되어 조립되도록 하며 강도가 비교적 강한 약 1.5~3t 두께의 절연판으로 만들어 진다. 또한 상기 U자형 클램프바아(2)가 상호간 소정의 간격을 가지고 상기 감지선 연결수단(3)과 일체화되게 조립되고, 감지선 연결수단(3)상에 형성된 제 1결합홀(7)은 일반적으로 윗면과 아랫면이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설계되어 있다. 제 1결합홀(7)을 중심으로 하여 인쇄회로 패턴으로써 원 또는 사각형 모양의 도체패드(14)가 형성되고 상기 도체패드(14)는 감지선을 연결시킬수 있는 공지의 연결수단과 연결된다. 또한 아랫면에 형성된 도체패드(14)는 체결나사(12)에 의해 U자형 클램프바아(2)와 결합 체결될 때 U자형 클램프바아(2)의 상부표면과 접촉되고 따라서 윗면에 형성된 도체패드(14)와도 U자형 클램프바아(2)의 상부면이 전기적으로 완벽하게 연결된다. 상기 체결나사(12)는 전기적 접촉저항을 개선하기 위해서 황동 재질을 사용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상기 U자형 클램프바아(2)는 부스바아 고정나사(11)로써 상기 연결부스바아(1)에 단단히 고정되고 상기 감지선 연결수단(3)는 체결나사(12)에 의해 U자형 클램프바아(2)에 형성된 각각의 체결나사탭(6)에 잠겨(Locking)조립되어 진다. 상기의 U자형 클램프바아(2)를 상기 감지선 연결수단(3)과 체결나사(12)로써 체결시킬 때 감지선(13)에 압착 연결된 소형 LUG단자도 동시에 같이 조립시킬 수 있으며 상기 소형 LUG단자는 상기 체결나사(12) 머리와 접촉되어 체결나사탭(6)의 상부면에 연결되게 된다.
상기 감지선 연결수단(3)에는 한쪽 끝에 구비된 공지의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감지선(13)이 연결되고 다른 끝점에 상기 체결나사탭(6)과 결합되는 제 1체결홀(7)이 형성된다. 상기 제 1체결홀(7)에 체결나사(12)를 넣고 상기의 체결나사탭(6)과 체결 조립함으로써 인쇄회로깃판 형태의 감지선 연결수단(3)이 상기 U자형 클램프바아(2)에 용이하게 부착되게 조립되어 진다. 감지선(13)을 용이하게 연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시판되고 있는 소형의 연결단자(대)(16)를 인쇄회로깃판 상에 납땜 부착하여 출력단자로 사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셀 전압을 센싱하고 측정전류공급을 하기 위한 소정의 감지선(13)이 각각 소형 LUG단자에 압착되어 감지선 연결수단의 체결나사(12)에 의해 U자형 클램프바아(2)와 직접 결합되면서 연결되거나, 도 7에서 보인 바와 같이 상기 감지선 연결수단(3)상에 인쇄회로로써 형성되어진 연결홀이나 또는 공지의 체결단자와 같은 연결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감지선(13)이 연결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로써, 축전지 + - 극주에 연결되어 있는 감지선이 단락된 경우 축전지출력이 단락되게 되므로 이를 보호하기 위하여 도 7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도체패드(14)와 출력단자 사이에 휴우즈와 같은 회로보호소자(15)가 삽입된다. 상기 U자형 클램프바아(2)는 상기 도체패드(14)를 통해 감지선(13)이 연결된 출력단자로 연결되어 지는 데 상기 도체패드(14)와 출력단자 사이에 설치된 휴우즈와 같은 회로보호소자가 축전지의 단락시 용단되어 보호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감지선 연결수단(3)은 대개 1.6t 정도의 인쇄회로깃판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의 인쇄회로깃판 위에는 상기 보호용 소형휴즈 또는 소호저항(fusible resistor)와 같은 회로보호소자(15)가 각각 패턴상에 납땜되어 상기 출력단자와 직렬로 연결되게 감지선 회로가 구성된다. 이러한 방법으로 상기의 감지선 연결수단(3)이 체결나사탭(6)에 의해 체결되고 보호용 소형휴즈 또는 소호저항과 같은 회로보호소자(15)가 각각의 감지선(13)의 시작점과 연결되게 되며 따라서 소정의 감지선(13)은 회로보호소자(15)을 통해 상기의 체결나사(12)에 의하여 각각의 U자형 클램프바아(2)와 확실히 접속되게 되는 것이다.
클램프홀더(4)는 60℃정도의 높은 온도에서도 연속 사용할 수 있는 내열 특성을 가지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재질(보통 강도를 높이기 위해 유리섬유가 썩인 ABS)를 사용한다. 상기 클램프홀더(4)는 내면에 상기의 감지선 연결수단(3)이 들어가 안착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으며 내면의 외곽싸이즈는 감지선 연결수단(3)의 외형 싸이즈보다 약간 크거나 거의 동일하다. 상기 클램프홀더(4)에는 아래쪽에 양 다리 모양의 간격유지바아(10a,10b) 가 돌출되어 있어 각각의 U자형 클램프바아(2)가 상기 감지선 연결수단(3)에 체결될 때, 상기 U자형 클램프바아(2)가 각각 적정한 간격으로 이격되면서 결합되고 상호간 유격이 없도록 잡아 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클램프홀더(4)에는 외곽 중앙부에서 뻗어 나온 간격유지바아(10a)와 안쪽 중앙부에서 뻗어 나온 또 다른 간격유지바아(10b)를 가지고 있는 데 상기 2개의 간격유지바아의 다리 간격 및 폭의 크기는 조립될 시 인접되는 U자형 클램프바아(2)의 U자 단면 크기와 거의 일치되도록 설계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감지선 연결수단(3)은 U자형 클램프바아(2)가 조립될 시 전기적으로 절연되고 공간적으로 이격되어 조립되도록 1.5~3t 두께의 절연판으로 만들어 지는 데, 상기 감지선 연결수단(3)에는 제 1결합홀(7)의 양사이 공간에 간격유지바아(10a,10b)가 삽입될 수 있도록 직사각형 형태로 구멍이 형성되어 있거나 길게 커트(cut)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간격유지바아는 감지선 연결수단(3)의 구멍이나 커트(cut)된 부분을 통과하여 U자형 클램프바아(2)의 단면부에 삽입될 수 있고 U자형 클램프바아(2)는 상호간 소정의 간격을 가지고 상기 감지선 연결수단(3)과 일체화되게 조립되고 연결부스바아(1)가 상기 U자형 클램프바아(2)의 안쪽에 삽입될 때 공간적으로 제약을 받지 않도록 되어 있다. 도 5의 U자형 연결클램프의 세부도에서 보인 바와 같이, U자형 클램프바아(2)가 클램프홀더(4)의 양쪽 외곽 내면벽과 간격유지바아(10a,10b)사이에 끼워 들어가기 때문에 이들을 상호 결합 체결될 때 용이하게 조립되게 잡아주는 역할을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클램프홀더(4)의 상부면에는 체결공구 유도홀(17)이 형성되어 있다. 체결나사탭(6)에 체결나사(12)를 박아 U자형 클램프바아(2)를 감지선 연결수단(3)과 먼저 조립하고, 클램프홀더(4)의 간격유지바아(10a,10b)를 U자형 클램프바아(2)의 단면부에 완전히 삽입하여 상기 클램프홀더(4)가 완전히 덮어진 상태로 조립된 후에도 상기 클램프홀더(4)의 상부에 있는 상기 유도홀(17)을 통해 드라이버와 같은 체결공구를 삽입하여 체결나사(12)를 단단히 조여 체결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간격유지바아(10a,10b)는 U자형 클램프바아(2)가 감지선 연결수단(3)과 상호 결합 체결될 때 이들이 체결되는 위치를 잡아주는 역할을 하며, 부스바아 연결클램프를 설치한 후에는 U자형 클램프바아(2) 도체부분을 보호하는 카바(투컹)역할을 한다.
도 6a, 6b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 예로써 부스바아 고정나사(11)를 앞쪽 방향에서 체결한 실시 예이다. 즉, 축전지조의 직.병렬 연결 부스바아가 조립된 방향에 따라 도 6a, 6b에 표시된 또 다른 실시 예가 적용될 수 있다. 축전지 연결부스바아의 조립된 형태를 고려하여 앞쪽 방향에서 부스바아 고정나사(11)를 체결하기가 용이한 경우에는, 고정나사를 용이한 방향에서 체결할 목적으로 U자형 클램프바아(2)를 180로 돌려 부스바아 고정용 나사탭(5)가 앞쪽방향으로 위치되게 감지선 연결수단(3)과 조립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부스바아 고정나사를 앞쪽 방향에서 체결한 형태로 조립된 경우에는 도 6b 우측단면도에서 보인 바와 같이 연결부스바아(1)가 부스바아 연결클램프의 중앙쪽으로 위치하게 된다. 만약 상기 연결부스바아(1)가 축전지 상부면(극주가 인출되는 면)에 눕는 방향으로 설치된 경우에는 축전지 상부면과 연결부스바아가 체결되어 있는 남는 공간사이로 U자형 클램프바아(2)의 날개부분을 삽입시켜야 하므로 도 4 및 도 5에서 보인 바와 같이 부스바아 고정나사(11)를 뒤쪽 방향에서 체결하여야 설치가 용이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의 감지선 연결수단(3)을 조립하는 체결나사(12) 머리의 풀림을 방지하기 위해 신주의 스프링와셔나 이붙이와셔를 사이에 삽입하고 조립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감지선 연결수단(3)인 인쇄회로깃판 위에 상기 도체패드(14)와 연결된 또 다른 도체 패드를 만들어 이것을 출력단자로 사용할 수 있다. 또 다른 도체패드상에 상기 감지선 리이드를 납땜하여 연결되게 하던 가, 감지선을 소형LUG단자로 압착하여 상기 또 다른 도체패드상에 감지선이 연결될 수 있는 구멍을 만들어 임의 형상의 나사를 이용하여 이를 체결시킬 수 있다.
상기 부스바아 연결클램프의 일 실시예인 도 3 내지 도 7에서는 2조의 U자형 클램프바아가 설치되는 구조로 도시되고 또한 기재되고 있으나, 1개의 감지선만이 필요한 경우에는 U자형 클램프바아를 상기 클램프홀더(4)에 1개만 체결시켜 사용하거나 본 고안의 기술적 기본 사상을 응용하되 간격유지바아(10a,10b)를 두지 않고 U자형 클램프바아를 1조가 결합될 수 있는 구조로 감지선 연결수단(3) 및 클램프홀더를 용이하게 변경 설계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감지선 연결수단(3)에는 제 1결합홀(7)이 1개만 필요하게 되며 또한 클램프홀더에 간격유지바아가 없더라도 U자형 클램프바아(2)가 변경 설계된 클램프홀더의 양쪽 외곽 내면벽사이에 끼워 들어가기 때문에 이들이 상호 결합 체결될 때 용이하게 조립되게 잡아주는 역할을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2개의 감지선 이외에 추가로 감지선을 연결코자 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도,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동일하게 응용하여 U자형 클램프바아를 3조를 결합할 수 있는 구조로 감지선 연결수단을 용이하게 변경 설계할 수 있다. 또한 상부면에 형성되어 있는 체결나사탭(6)과 같은 또 다른 체결나사탭을 U자형 클램프바아의 적정한 위치에 형성하여 또 한개의 감지선 LUG단자를 추가로 연결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서 안출된 부스바아 연결클램프의 형상 또는 체결구조 방법을 사용하면, 축전지의 직.병렬 연결선으로써 부스바아를 사용한 경우에 있어서, 상기의 연결부스바아(1)위에 고정나사(11)를 사용하여 부스바아 연결클램프가 용이하게 부착.고정되고 체결 나사탭(6)에 체결나사(12)로써 감지선 단자를 함께 체결하여 연결되게 하거나, 감지선 연결수단(3)상에 형성된 출력수단에 감지선(13)을 연결시킴으로써 상기 감지선(13)이 연결부스바아(1)와 연결되어 지는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또한 회로보호소자(15)를 가진 인쇄회로깃판를 체결 나사탭(6)위에 체결나사(12)로써 조립되게 하여 감지선(13)이 소형휴즈과 같은 회로보호수단을 통해 연결부스바아(1)와 연결되어 지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 - 극주단자를 연결하는 연결부스바아(1)에 상시 U자형 클램프바아(2)를 부착되게 하여 두면 휴대용 측정기의 4단자 프루브를 체결나사(12)의 머리부분에 접촉시켜 축전지의 노화특성을 수시로 체크할 수 있는 장점을 갖게 되는 것이다.

Claims (6)

  1. 정지형 축전지조의 다수 셀를 직.병렬로 연결하기 위한 연결선으로 사용되는 연결부스바아에 감지회로 또는 감지선을 연결하는 데 사용되는 연결클램프의 형상 또는 체결구조에 있어서,
    상기 연결클램프는
    연결부스바아에 설치되는 U자형 클램프바아와;
    상기 U자형 클램프바아와 상호 조립되며 감지선이 연결되어 지는 수단을 가진 감지선 연결수단를 포함하며,
    상기 U자형 클램프바아에 형성된 체결나사탭에 체결나사를 박아 상기 U자형 클램프바아와 상기 감지선 연결수단이 상호 조립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스바아 연결클램프의 형상, 이의 체결 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클램프는
    U자형 클램프바아를 유격이 없도록 잡아주는 기능을 하는 클램프홀더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스바아 연결클램프의 형상, 이의 체결 구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선 연결수단은
    인쇄회로깃판위에 형성되어 지는 도체패드를 갖는 제 1결합홀과;
    상기 도체패드 또는 제 1결합홀과 연결되는 회로보호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스바아 연결클램프의 형상, 이의 체결 구조.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홀더는 다리모양으로 돌출된 간격유지바아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부스바아 연결클램프의 형상 또는 체결구조.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U자형 클램프바아는 상부면에 형성된 돌출부가 감지선 연결수단의 제 2결합홀안에 삽입되어 상기 U자형 클램프바아가 정위치에 고정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부스바아 연결클램프의 형상, 이의 체결 구조.
  6. 제 2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선 연결수단의 제 1결합홀 양 공간사이에 상기 클램프홀더에 형성된 간격유지바아가 삽입되어 지도록 직사각형 구멍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부스바아 연결클램프의 형상, 이의 체결 구조.
KR2020060020371U 2006-07-28 2006-07-28 부스바아 연결클램프 형상, 이의 체결구조 KR20042928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0371U KR200429280Y1 (ko) 2006-07-28 2006-07-28 부스바아 연결클램프 형상, 이의 체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0371U KR200429280Y1 (ko) 2006-07-28 2006-07-28 부스바아 연결클램프 형상, 이의 체결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9280Y1 true KR200429280Y1 (ko) 2006-10-19

Family

ID=417776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0371U KR200429280Y1 (ko) 2006-07-28 2006-07-28 부스바아 연결클램프 형상, 이의 체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9280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1001B1 (ko) 2007-06-28 2007-10-29 대원계전주식회사 배전반용 부스바 클램프
KR101201748B1 (ko) * 2010-11-05 2012-11-15 에스비리모티브 주식회사 전지 모듈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1001B1 (ko) 2007-06-28 2007-10-29 대원계전주식회사 배전반용 부스바 클램프
KR101201748B1 (ko) * 2010-11-05 2012-11-15 에스비리모티브 주식회사 전지 모듈
US8846239B2 (en) 2010-11-05 2014-09-30 Samsung Sdi Co., Ltd. Battery modu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47280B2 (en) Battery post connector
CN102362374B (zh) 汇流条装置和熔丝单元
JP3990960B2 (ja) バッテリ接続プレートおよびその取付構造
CN101809785B (zh) 蓄电池组件
KR101389250B1 (ko) 퓨즈 유닛
US9442166B2 (en) Battery monitoring assembly having battery monitor module and cable for connection to a shunt of the module
CN104981922B (zh) 保护电路模块、和包括保护电路模块的蓄电池模块
KR200429280Y1 (ko) 부스바아 연결클램프 형상, 이의 체결구조
US20170222282A1 (en) Battery diagnostic sensor unit
CN116782491A (zh) 一种pcb板组件以及充电座
US2626309A (en) Heavy-duty meter facilities
JP2010123517A (ja) バスバ装置及びバッテリ液温推定装置
KR200384501Y1 (ko) 연결클램프 형상 및 체결구조
CN207156976U (zh) 电连接组件及电池管理装置
CN211402620U (zh) 老化测试板
CN220788801U (zh) 接线板及阴极保护测试桩
CN221552580U (zh) 漏电保护组件及配电箱
CN215767438U (zh) 一种智能小型断路器输出端温度测量的结构
CN214624956U (zh) 一种汽车用熔断器总成
KR20140046834A (ko) 차량용 배터리 센서 모듈
CN221747496U (zh) 一种大功率接线端子结构
CN112652924B (zh) 一种集成馈电汇流模块装置
CN210350175U (zh) 一种接线盒
CN211351012U (zh) 一种导电排固定安装绝缘棒
CN110865292A (zh) 老化测试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3

Year of fee payment: 9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