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4501Y1 - 연결클램프 형상 및 체결구조 - Google Patents

연결클램프 형상 및 체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4501Y1
KR200384501Y1 KR20-2005-0000107U KR20050000107U KR200384501Y1 KR 200384501 Y1 KR200384501 Y1 KR 200384501Y1 KR 20050000107 U KR20050000107 U KR 20050000107U KR 200384501 Y1 KR200384501 Y1 KR 20038450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amp
cable
screw
connection
batt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010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득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파워트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파워트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파워트론
Priority to KR20-2005-000010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450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450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4501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6Measuring leads; Measuring probes
    • G01R1/067Measuring probes
    • G01R1/06705Apparatus for holding or moving single prob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89Measuring internal impedance, internal conductance or related variab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축전지의 내부임피던스 등 중요한 파라미터를 실시간(온라인)으로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 축전지 측정진단시스템에 있어서, 축전지조(특히, 무보수 밀폐형)의 셀 단자(Post)에서 전압 또는 전류신호를 감지(sensing)선을 통해 측정진단시스템의 입력회로에 연결하는 데 사용되는 축전지셀의 연결클램프의 형상 및 체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상부 고정 나사탭(10)에 끝이 뽀쪽한 나사(18)를 박아 자연적으로 연결 케이블(2)의 심선속에 나사탭이 형성되어 연결클램프(3)가 고정되고, 측면 고정 나사탭(9)에 나사(19)를 체결하여 소형 LUG단자(21)이 고정되고 또한 케이블(2)의 심선속에 나사(19)의 나사탭이 형성된다. 본 고안에서 제시된 연결 클램프(3)를 사용하면 감지선(22)이 간단히 연결선 케이블(2)과 연결되어 질 수 있고, 축전지 각 셀의 감지선(22)을 측정진단시스템에 연결 시공시에 공사시간 및 설치인력이 절감되고 사후에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연결클램프 형상 및 체결구조{Clamp connector structure and assembling }
근래 유무선 통신서비스망의 증가로 통신망 전원의 1차 예비전원으로 각 중계소내에 2-3백개 축전지설비를 가지고 있으며 또한 전산센터 컴퓨터나 공장자동화설비 DCS시스템 등에도 대개 100여개 이상의 축전지셀이 직렬 연결되어 상시 부동충전 상태로 운전되고 있다. 상기의 직렬 연결된 축전지 셀중 일부(1개라도)가 노화된 경우에는 정전시에 제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게 되므로 이의 고장유무를 온 라인으로 측정진단하기 위해 각 축전지셀의 노화상태를 체크하는 측정진단시스템 및 휴대용 계측기가 많이 채택되고 있다.
상기의 온 라인 측정진단시스템에는 도 1에 표시된 바와 같이 4단자망의 감지(센싱)선이 축전지 각 셀로 부터 연결된다. 축전지의 내부임피던스는 매우 적은 값이기 때문에 접촉저항의 영향을 배제할 수 있는 수단으로써 4단자망 회로의 감지(센싱)선을 사용해야 하며, 이의 기술적 사항이 본 출원인의 실용신안 등록번호 0344389호에 상세히 기술되어 있다.
직.병렬로 연결된 축전지 셀의 내부임피던스 또는 내부저항/컨덕턴스을 측정하여 축전지의 노화(수명)상태를 측정.진단코자 할 경우에는, 축전지 각 셀의 + - 극주 단자(Post)에서 감지선을 직접 연결하거나 단자 극주의 인접점 부위 또는 인접된 셀의 상호 연결선의 중앙부위에서 감지선을 연결해야 할 필요가 있다. 통상적으로 이미 설치되어 있는 축전지 조의 경우에는, 각 셀의 + - 극주단자에서 감지선을 직접 연결하기가 어려우므로 극주단자의 인접점 부위 또는 연결선의 중앙부위에 감지선을 연결할 수 있는 금구를 부착시키고 여기에서 감지선이 연결되게 함으로써 극주단자 연결선의 결선저항이 포함된 축전지의 내부임피던스/저항값을 측정할 수 있으므로 정지형 축전지조(String)의 노화 상태 및 연결개소의 접촉상태을 사전에 측정 진단할 수 있다.
정지형 축전지조(string)에는 여러 가지 종류의 축전지가 사용되고 있으며, 사용용도 및 규격에 따라 여러 가지의 형태의 감지선의 연결구조를 사용되게 된다. 종전에는 전통적인 Flooded형의 축전지 또는 밀폐형 축전지가 많이 사용되어 왔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도 2 에 표시한 바와 같이 단면이 직사각형 형태인 동(CU) 연결 부스바아(Bus bar)를 사용하여 인접된 축전지의 셀의 + - 극주단자를 상호간을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하였다.
즉, 상기의 부스바아의 양 끝부분에 있는 체결구멍과 축전지의 극주단자에 형성된 체결용 구멍을 육각볼트로 연결한다. 상기 연결 부스바아의 중앙부나 극주의 인접부위에 신주 약 2T 정도의 재질로 만들어진 U자 형의 클램프를 끼워 고정볼트로 상기 연결 부스바아에 고정시킨다. 전압센싱선 및 전류공급선과 같은 축전지 셀의 감지(센싱)선을 LUG단자에 압착한 후 상기의 U자 클램프상의 특정 부위(대개의 경우 상부측)에 형성되어 있는 체결용 나사탭에 상기의 감지선 LUG 단자를 나사로 고정시켜 감지선을 연결하였다.
상기와 같이 축전지의 셀의 직.병렬 연결선으로써 부스바아를 사용할 경우에는 연결구조물을 간단한 형태로 제작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의 연결 부스바아에 U자 형의 클램프를 고정시키고 감지선을 쉽게 연결할 수 있으나, 각 셀의 연결부위가 항상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이의 혼촉 위험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의 연결 부스바아의 전체부위를 길다란 프리스틱 카버(덥게)를 덮어 사용해야 함으로 감지선의 연결부위를 점검하기에 불편이 있었다.
근래에는 전통적인 Flooded 형의 축전지외에 축전지 제조기술의 발전에 따라 장수명 밀폐형구조의 축전지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특히, 장수명 밀폐형 축전지는 극주단자 연결부위의 접촉상태 및 Sealing을 양호하게 하고 각 셀의 연결부위가 노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극주단자(Post)가 원형기둥과 같은 형태로써 너트메입형 구조로 설계되어 있으며 상호 직렬.병렬 연결선으로는 상기의 원형 형태의 극주단자에 연결이 용이하도록 적합하게 설계된 케이블형 연결선 아쎄이뭉치(1)를 사용하고 있다.
이와 같이 축전지의 상호 직.병렬 연결방법으로 케이블형 연결선 아쎄이뭉치(1)와 같은 케이블형 연결선을 사용한 경우에는 극주단자를 제외한 모든 부분이 전혀 노출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극주단자나 도체부분에 감지선을 연결할 수 있는 적절한 방법이 없어, + - 극주단자(Post)의 체결 볼트를 해체하여 극주단자(Post)상부에 있는 메입너트위에 O 형 LUG단자를 추가로 삽입한 후 체결하고 상기 O 형 LUG단자에 감지선을 연결하였다. 그러나 이미 설치되어 있는 설비인 경우에는 극주단자(Post)의 체결볼트를 해체하여 감지선을 연결하여야 하므로 설치경비가 많이 소요되었고 또한 축전지설비가 운영중인 경우에는 공사기간중 정전을 대비하여 예비대책을 세워야 하는 부담을 갖게 되어 이를 채택하기가 어려웠다.
전술한 바 있는 연결선 아쎄이뭉치(1)는 PVC케이블의 양쪽 끝에 O 형 단자(LUG)와 유사한 형상인 두꺼운 원형의 금구 단자(4)가 압착.용접되어 있다. 상기 금구 단자(4)의 중앙부에는 극주상의 메입너트와 같은 크기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축전지의 극주단자위에 상기 원형 금구단자(4)를 위치시켜 상부 방향에서 렌치형 체결볼트(5)를 극주(Post)상부에 있는 메입너트에 삽입하여 케이블형 연결선 아쎄이뭉치(1)가 조립된 형태로 연결되어 진다. 또한 상기의 연결선 아쎄이뭉치(1)는 극주면에 접하는 부위를 제외하고 원형금구 단자(4) 및 케이블용접 부위가 PVC수지로 감싸진 형태로 몰딩되어 있으므로, 극주단자 상부면에 해당되는 체결볼트(5)부위를 제외하고 도체에 해당된 부분이 전혀 노출되지 않도록 연결되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밀폐형 축전지의 직.병렬 연결선으로써 일체화된 연결선뭉치와 같은 케이블형 연결선을 사용한 경우에 있어서, 상기의 연결 케이블(2)에 3개 정도의 나사(18,19)를 사용하여 연결클램프(3)를 부착 고정시키는 동시에 상기의 나사(18,19)로써 감지선(22)의 LUG단자나 보호용 소형휴즈 또는 소호저항(25)을 가진 인쇄회로깃판(26)이 용이하게 체결될 수 있으며,또한 이들의 상호간 연결 접촉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는 연결클램프의 형상과 체결구조를 제시하고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3는 밀폐형 축전지가 직.병렬로 연결된 경우, 연결 케이블(2)위에 감지선을 연결할 수 있는 연결클램프(3)가 조립되어 체결된 개략적 형상을 도시하고 있다. 도 3 에서는 인접된 셀의 연결선 케이블(2)의 중앙부위에 상기의 연결클램프(3)가 조립되어 도시되어 있으나, 전술한 바와 같이 축전지 셀의 측정요소에 따라 축전지 각 셀을 연결하는 케이블(2)의 + - 극주단자 인접부위에 각각 상기 연결클램프(3)를 부착할 수도 있다.
도 4 및 5는 본 고안의 연결클램프(3)의 샤시도로써 상기 연결클램프(3)의 기본적 구조에 대한 입체형상과 상기 연결클램프(3)가 케이블에 체결된 구조를 도시하며, 도 6은 본 고안의 연결클램프(3)을 사용하여 감지선을 연결한 정면도, 상면도 및 측면도를 상세히 도시한다. 도 6 에는 커버가 덮히지 않는 상태로 상기 연결클램프(3)가 도시되어 있다.
본 고안의 연결클램프(3)는,
내열성 프리스틱과 유사한 재질로 몰딩된 클램프몸체(6)와;
상기 클램프몸체(6) 상면부에 몰딩된 1∼2개의 인써터(17)와;
우측면에 몰딩된 2개의 인써터(20)와;
끝이 뾰족한 모양의 나사(18,19)와;
상부 보호커버(7) 및 측면 보호커버(8)등으로 구성된다. 클램프몸체(6)는 반전된 U자형의 구조로 되어 있으며 중앙의 상부 안쪽에는 연결 케이블(2)이 안착될 수 있도록 케이블(2)의 단면모양과 같은 반원형으로 형성된 안착홈(1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안착홈(11)의 좌측 하부 모서리 안쪽부위에는 상기 클램프몸체(6)를 상기의 연결 케이블(2)이 위치된 방향으로 부터 밀어 주면 연결 케이블(2)이 안착홈(11)부위에 정확하게 들어가서 안착 체결될 수 있도록 유도하는 돌출부(12)가 형성되어 있다.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상기 돌출부(12)의 높이를 줄이고 우측 하부(좌측과 대칭된 위치)의 모서리에 1mm 이하의 또 다른 돌출부를 둘 수도 있다.
우측면에는 2개의 감지선을 연결키 위한 나사탭(9)을 가진 측면 인써터(로구로)(20)가 2개 몰딩되어 메입되어 있으며, 상면부에는 나사탭(10)을 가진 상면 인써터(17)가 필요에 따라 1개 또는 2개 메입되어 있다. 상기 클램프몸체(6)의 재질은 70℃정도에서도 연속 사용할 수 있는 내열특성을 가지는 푸라스틱과 유사한 재질(보통 유리섬유가 썩인 ABS)를 보통 사용한다. 또한 상기 클램프몸체(6)의 상면부 또는 측면부에 상기의 나사탭(9,10)이 형성된 인써터(17,20)를 삽입몰딩하지 않고 상기의 나사탭(9,10)이 직접 성형되도록 상기 클램프몸체(6)를 사출시키면 상기 나사탭(9,10)이 상면부 또는 측면부에 직접 만들어 질 수 있으나 위와 같이 클램프몸체(6)에 직접 형성된 나사탭은 프라스틱 재질이므로 쉽게 나사산이 마모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연결클램프(3)의 제조가격이 높아지더라도 감지선단자와의 연결 접촉(전도)상태를 개선하기 위하여 상기 클램프몸체(6)에 가공성이 양호한 신주재질로 된 인써터(로구로)(17,20)를 몰딩 삽입하여 상기의 나사탭(9,10)을 형성되게 할 수 있다.
측면골(13)은 단면을 감소시켜 몰딩 사출작업시 변형(함몰)을 방지하면서 또한 감지선(22)이 바닥면을 향해 나란히 정리되어 밖으로 나가는 통로(피트)역할을 한다. 상면골(16)도 유사한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상면부의 좌우에 파여져 있다.
ㄷ자형의 상부 보호커버(7) 및 측면 보호커버(8)를 씌워 고정시키기 위하여 상부 커버 고정홈(23) 및 측면 커버 고정홈(24)이 상부면과 우측면에 각각 2개씩 형성되어 있으며, 인쇄회로깃판(26)이 충분히 놓일 수 있는 면을 확보할 수 있도록 우측면의 상측 모서리는 상부면보다 위쪽으로 높게 돌출되어 ㄷ자형의 상부 보호커버(7)가 씌워져 고정될 때 상부 보호커버(7)의 우측외곽면이 돌출된 상기 상측 모서리와 인접되게 된다.
통상의 설계자는 연결클램프(3)의 안착홈(11)에 연결 케이블(2)이 밀착되어 조립될 수 있도록 반원 형상의 안착홈(11) 직경을 케이블(2)의 직경과 거의 같도록 설계한다. 연결 케이블(2)의 상부 또는 정면 방향으로 부터 연결클램프(3)를 밀어 끼우면, 반원 형상의 안착홈(11) 직경은 연결 케이블(2)의 직경과 거의 같고 일반적으로 케이블의 피복은 수축성이 있으므로 연결 케이블(2)은 안착홈(11)의 안쪽으로 유도되어 들어가서 안착된다.
이렇게 상기 케이블(2)위에 연결클램프(3)가 들어가 안착되면, 연결클램프(3)의 안착홈(11)에 상기 케이블(2)이 더욱 더 밀착되도록 이를 밀면서 상면부 고정 나사탭(10)에 끝이 뾰족한 모양의 나사(18)를 돌려 박으면 상기의 나사(18)가 케이블(2)의 피복(PVC나 고무, 우레탄재질)을 뚫고 상기 케이블(2)의 심선속으로 자리를 잡으면서 들어가고 자연적으로 심선속에 나사탭이 형성되어 나사(18)가 고정되게 된다. 또한 상기 나사탭(10)이 형성된 인써터(20) 대신에 상기 클램프몸체(6) 상면부에 상기 나사(18)가 들어갈 수 있는 구멍을 가진 인써터가 삽입 몰딩되어 있거나 상기 나사(18)가 탭이 나면서 들어 갈수 있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도, 상기 나사(18)를 돌려 박으면 상기 나사(18)가 상기 구멍을 통해 상기 케이블(2)의 피복을 뚫고 들어가 상기 케이블(2)의 심선속에 나사탭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클램프(3)는 상기 케이블(2)과 상기 나사(18)로써 고정될 수 있으나, 상기 케이블(2)의 심선속에 형성된 나사탭과 상기 나사(18)의 결합만에 의해 감지선단자가 동시에 체결되므로 감지선연결 구조에 접촉불량이 유발되는 등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셀 전압을 센싱하고 전류공급을 하기 위한 2개의 감지선(22)이 각각 소형의 LUG단자(21)에 압착되어 연결되고, 연결클램프 몸체(6)의 측면에 박혀 있는 신주 인써터(20)의 고정 나사탭(9) 상부면에 상기 감지선(22)이 연결된 소형 LUG단자(21)를 놓고 끝이 뾰족한 모양의 또 다른 나사(19) 2개를 상기 인써터(20)의 고정 나사탭(9)에 돌려 넣으면, 상기 나사(19)는 케이블(2)의 피복(PVC나 고무,우레탄)을 뚫고 각각 심선속으로 자리를 잡으면서 심선속에는 나사탭이 형성되고 2개의 나사(19)가 박혀 고정되게 된다. 동시에 2개의 감지선(22)이 각각 압착.연결된 소형 LUG단자(21)는 상기의 나사(19)머리에 의해 인써터(20)의 고정 나사탭(9)의 상부면과 밀착되어 조립된다.
케이블(2)의 피복은 PVC나 고무 또는 우레탄 합성재질로써 신축성이 있으며 케이블의 심선은 케이블(2)의 피복과 다소 유격을 가질 수 있으므로, 외부에서 가해지는 잠김(locking)힘에 의해 소형 LUG단자(21)는 상기 나사(19)의 머리에 의해 인써터(20)의 상부면에 먼저 밀착되면서 잠기게(lock)되고 동시에 상기 나사(19)의 산에 맞추어 상기의 케이블(2)심선속에 나사탭의 위치가 유동적으로 형성되어 연결 클램프(3)가 케이블(2)에 고정되어 지게 된다.
상기의 LUG단자(21)와 나사(19) 머리의 풀림을 방지하기 위해 신주의 스프링와셔나 이붙이와셔를 사이에 삽입하고 조립할 수 있다. 또한 반원 형상의 안착홈(11)직경이 케이블(2)의 직경과 거의 같도록 설계되고 연결 케이블(2)의 수축성이 양호하여 연결클램프(3)의 안착홈(11)에 연결 케이블(2)이 빡빡하게 밀착되어 고정될 수 있으면 상부의 고정 나사탭(10)에 나사(18)를 체결하지 않고, 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2개의 고정 나사탭(9)에 상기 2개의 나사(19)만를 체결하여 연결클램프(3)을 케이블(2)에 고정시킬 수 있다.
중앙격리대(14)와 외곽격리대(15)는 상기 나사(19)를 돌려 박을 때 회전힘에 의해 소형 LUG단자(21)가 돌아 가지 않도록 하여 상기의 소형 LUG단자(21)가 각각 중앙격리대(14)와 외곽격리대(15)의 사이에 반듯하게 놓여 고정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이렇게 하여 상기 연결클램프(3)는 3∼4개의 나사(18,19)로써 상기 케이블(2)에 단단히 고정되고 감지선(22)의 LUG단자(21)는 2개의 나사(19)에 의해 인써터(20)에 형성된 각각의 고정 나사탭(9)에 잠겨(Locking) 조립되어 진다. 케이블심선과 고정 나사탭(9,10) 및 나사(18,19)의 전기적 접촉저항을 개선하기 위해서 나사(18,19)는 황동 재질을 사용할 수 있다.
측면의 나사탭(9)에 나사(19)를 삽입하여 연결 조립된 상기 2개의 감지선이외에 추가로 감지선을 연결코저 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상부면에 형성되어 있는 나사탭(10)에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또 한개의 감지선 LUG단자와 나사(18)를 체결하여 감지선을 추가로 연결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로써, 감지선이 단락된 경우에 축전지를 보호하기 위하여, 도 7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신주 인써터(20) 고정 나사탭(9) 상부면에 상기 감지선(22)의 LUG단자(21)를 직접 체결하는 대신에, 보호용 소형휴즈(25) 또는 소호저항(fusible resistor)이 납땜되어 조립된 인쇄회로깃판(26)를 상기 인써터(20)에 형성된 2개의 고정 나사탭(9)상부에 나사(19)로써 체결하고 상기 인쇄회로깃판(26)의 출력단자에 상기 감지선(22)를 연결.조립할 수 있다. 상기의 인쇄회로깃판(26)위에는 상기 2개의 보호용 소형휴즈(25) 또는 소호 저항이 각각 패턴상에 납땜되어 상기 출력단자와 직렬로 연결되게 회로가 구성되어 있고, 상기의 인쇄회로깃판(26)위에는 한 쪽끝에 감지선(22)이 연결되고 타단의 끝점에 상기 고정 나사탭(9)과 결합되는 체결구멍(27)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크램프몸체(6)에 있는 2개의 고정 나사탭(9)에 상기 나사(19)를 넣어 상기의 체결구멍(27)과 조립함으로써 용이하게 상기의 인쇄회로깃판(26)를 상기 연결클램프(3)부착시켜 조립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상기의 인쇄회로깃판(26)이 2개의 고정 나사탭(9)에 의해 체결되고 보호용 소형휴즈 또는 소호저항(25)이 각각의 감지선(22)의 시작점에 연결되게 되며 따라서 2개의 감지선(22)은 보호휴즈 또는 소호저항(25)을 통해 상기의 나사(19)에 의하여 케이블(2)의 도체인 심선과 확실히 접속되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하여 연결클램프(3)가 최소의 나사의 체결만으로 케이블(2)에 단단히 고정되고, 동시에 2개의 감지선(22)의 LUG단자(21)는 2개의 신주 인써터(20)에 형성된 고정 나사탭(9)에 나사(19)로써 조립되어 케이블(2)와 연결될 수 있으며, 또한 보호용 소형휴즈 또는 소호저항(25)을 가진 인쇄회로깃판(26)이 신주 인써터(20)에 형성된 2개의 고정 나사탭(9)에 나사(19)로써 용이하게 조립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부커버 고정홈(23) 및 측면커버 고정홈(24)에 ㄷ자형의 상부 보호커버(7) 및 측면 보호커버(8)를 키워 케이블(2)의 심선과 연결된 나사(19)머리를 덮어 충전된 부위를 용이하게 보호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 - 극주단자를 연결하는 케이블(2)의 필요한 부위에 연결클램프(3)가 부착되어 있으면 휴대용 특성 측정기의 4단자 프루브를 상기의 연결클램프(3)에 조립된 나사(19)의 머리부분에 접촉시켜 축전지의 노화특성을 수시로 체크할 수 있다. 특히, 장수명 축전지와 같이 메입형 구조의 극주단자는 전술한 바와 같이 렌찌형 볼트머리만을 제외하고 PVC수지로 감싸진 형태로 몰딩되어 있어 극주단자부위를 접촉시키기 어려우므로 상기의 연결클램프(3)에 체결되어 있는 나사(19)의 머리부분에 4단자 프루브를 접촉시킴으로써 정확한 내부임피던스값 또는 저항/컨덕던스값을 측정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축전지의 연결선 케이블의 필요한 부위에 본 고안의 연결클램프(3)를 설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서 안출된 연결클램프(3)의 형상 및 체결구조 방법을 사용하면, 축전지의 직.병렬 연결선으로써 케이블선을 사용한 경우에 있어서, 상기의 연결선 케이블(2)위에 3-4개의 나사(18,19)를 사용하여 연결클램프(3)가 용이하게 부착.고정되고 동시에 고정 나사탭(9)에 상기의 나사(19)로써 LUG단자(21)가 용이하게 체결되어 감지선(22)이 간단히 연결선 케이블(2)과 연결되어 지는 효과를 얻을 수 있고, 또한 보호용 소형휴즈(25)를 가진 인쇄회로깃판(26)를 신주 인써터(20)에 형성된 2개의 고정 나사탭(9)위에 나사(19)로써 조립되게 하여 감지선(22)이 소형휴즈(25)를 통해 연결되어 지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 - 극주단자를 연결하는 케이블(2)에 연결클램프(3)를 부착되게 하여 두면 휴대용 특성측정기의 4단자 프루브를 나사(19)의 머리부분에 접촉시켜 축전지의 노화특성을 수시로 체크할 수 있는 장점을 갖게 되는 것이다.
도 1 은 측정진단 시스템의 4단자망 회로의 개요
도 2 는 종래의 부스바아 연결용 U자형 클램프
도 3 는 본 고안의 연결클램프가 부착.연결된 개략적 형상도
도 4 는 본 고안의 연결클램프의 정면 방향의 샤시도
도 5 는 본 고안의 연결클램프가 케이블에 부착된 샤시도
도 6 은 본 고안의 연결클램프의 세부상면도, 평면도 및 측면도
도 7 은 본 고안의 연결클램프에 보호 휴즈 보오드가 연결된 일 실시 예
* 도면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 케이블 3; 연결클램프 6; 클램프몸체 7,8; 보호커버
9,10; 고정 나사탭 11; 안착홈 12; 돌출부 13; 측면골
14; 중앙격리대 15;외곽격리대 16;상면골 17,20;인써터
18,19; 나사 21;LUG단자 22; 감지선 23, 24; 커버 고정홈

Claims (6)

  1. 정지형 축전지조의 다수 셀를 직.병렬로 연결하기 위하여 극주단자 연결선으로써 사용되는 케이블형 연결선에 상기 셀의 건전상태를 진단하기 위한 감지회로 또는 감지선 단자를 연결하는 데 사용되는 연결클램프의 형상 및 체결구조에 있어서,
    연결 케이블(2)위에 연결클램프(3)가 안착되고, 상기 연결클램프(3)의 측면부 인써터(20)에 형성된 고정 나사탭(9)과 감지선(22)의 LUG단자(21)가, 끝이 뾰쪽한 나사(19)에 의해 상기 연결 케이블(2)의 심선속에 나사산이 형성 되어, 상기 연결 케이블(2)과 동시에 체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클램프의 형상 및 체결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LUG단자(21)대신에 인쇄회로깃판(26)이, 끝이 뾰쪽한 나사(19)에 의해 상기 연결 케이블(2)의 심선속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연결 케이블(2)과 동시에 체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클램프의 형상 및 체결구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클램프(3)는,
    클램프몸체(6) 상면부에 몰딩된 1개 또는 2개의 인써터(17)와 상기 클램프몸체(6)의 측면부에 몰딩된 2개의 인써터(20)를 가지고, 상기 클램프몸체(6)의 중앙부 상측 안쪽에 반원형의 안착홈(11)을 가진 반전된 U자형의 구조를 가지며, 상기 안착홈(11)의 좌측 하부 모서리 안쪽부위에는 돌출부(12)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클램프의 형상 및 체결구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홈(11)의 우측 하부 모서리 안쪽부위에 또 다른 돌출부가 추가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클램프의 형상 및 체결구조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몸체(6)의 상면부에 몰딩된 1개 또는 2개의 인써터(17)대신에, 나사(18)와 체결될 수 있는 구멍이 직접 상기 클램프몸체(6)의 상면부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클램프의 형상 및 체결구조
  6. 제 3항에 있어서,
    상부 커버 고정홈(23) 및 측면 커버 고정홈(24)이 상기 클램프몸체(6)의 상부면과 우측면에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면보다 위쪽으로 높게 돌출되어 형성된 우측면의 상부 모서리에 측면 커버 고정홈(24) 한개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클램프의 형상 및 체결구조
KR20-2005-0000107U 2005-01-04 2005-01-04 연결클램프 형상 및 체결구조 KR20038450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0107U KR200384501Y1 (ko) 2005-01-04 2005-01-04 연결클램프 형상 및 체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0107U KR200384501Y1 (ko) 2005-01-04 2005-01-04 연결클램프 형상 및 체결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4501Y1 true KR200384501Y1 (ko) 2005-05-16

Family

ID=436859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0107U KR200384501Y1 (ko) 2005-01-04 2005-01-04 연결클램프 형상 및 체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450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9238A (ko) * 2016-11-25 2018-06-04 주식회사 페니엘 전류센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9238A (ko) * 2016-11-25 2018-06-04 주식회사 페니엘 전류센서
KR101899087B1 (ko) 2016-11-25 2018-09-14 주식회사 페니엘 전류센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343890B2 (ja) バッテリーホルダ用接続プレート
CN101855783B (zh) 电池接柱连接器
US6544077B2 (en) Battery-connecting plate, method of producing same and wire protector
JP3343889B2 (ja) バッテリーホルダ用接続プレート
US8142237B2 (en) Device for measuring a current flowing in a cable
JP3343888B2 (ja) バッテリーホルダ用接続プレ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8665602B2 (en) Bus bar device and fusible link unit
RU2547454C2 (ru) Система для подключения электрических токопроводящих дорожек к полюсным разъемам совместно подключенных элементов
US20100066350A1 (en) Current sensor
KR200384501Y1 (ko) 연결클램프 형상 및 체결구조
KR101049052B1 (ko) 멀티형 전류센서
CN110673061B (zh) 一种带有自我检测功能的复合携带型短路接地线
KR200429280Y1 (ko) 부스바아 연결클램프 형상, 이의 체결구조
CN102809696B (zh) 金属夹具、具有该金属夹具的设备及其使用方法
CN202929110U (zh) 金属夹具及测量电介质的绝缘电阻的设备
KR20160002783U (ko) 전자식 전력량계의 시험용 단자나사
KR101775451B1 (ko) 전지팩의 일체형 센싱보드
CN208835323U (zh) 弱电端子连接机构及电能计量装置
KR200273225Y1 (ko) 전류단자를 용이하게 단락할 수 있는 전력량계용시험단자대
KR102621829B1 (ko) 저압전력량계 교체장치
DE102005045216A1 (de) Einrichtung zur Ermittlung der Temperatur einer Batteriepole aufweisenden Batterie
KR20150002414U (ko) 배터리셀용 감지모듈 및 그 장착장치
CN220271473U (zh) 一种多路电缆接头绝缘性辅助测试仪
CN214478272U (zh) 一种插头电阻内置内架
KR200361821Y1 (ko) 애자 소켓의 정전 전류 검출용 스크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7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