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8695Y1 - 브레이징 자동화 장치 - Google Patents

브레이징 자동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8695Y1
KR200428695Y1 KR2020060018270U KR20060018270U KR200428695Y1 KR 200428695 Y1 KR200428695 Y1 KR 200428695Y1 KR 2020060018270 U KR2020060018270 U KR 2020060018270U KR 20060018270 U KR20060018270 U KR 20060018270U KR 200428695 Y1 KR200428695 Y1 KR 20042869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let
inlet
atmosphere
unit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827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만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원에프엠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원에프엠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원에프엠티
Priority to KR202006001827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869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869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869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00Tools, devices, or special appurtenances for soldering, e.g. brazing, or unsolde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methods
    • B23K3/06Solder feeding devices; Solder melting pans
    • B23K3/0607Solder feed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00Tools, devices, or special appurtenances for soldering, e.g. brazing, or unsolde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methods
    • B23K3/04Heating applian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00Tools, devices, or special appurtenances for soldering, e.g. brazing, or unsolde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methods
    • B23K3/08Auxiliary devices therefor
    • B23K3/082Flux dispensers; Apparatus for applying flux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00Tools, devices, or special appurtenances for soldering, e.g. brazing, or unsolde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methods
    • B23K3/08Auxiliary devices therefor
    • B23K3/085Cooling, heat sink or heat shield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unnel Furna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두께가 상이한 피접합물을 브레이징하는 브레이징 자동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용가재가 셋팅된 피접합물(M)을 공급하는 공급유닛(100); 상기 공급유닛(100)에서 공급된 피접합물(M)을 환원성분위기에서 브레이징하기 위해, 설정된 시간에 맞춰 일정한 온도로 가열하는 가열유닛(300); 상기 가열유닛(300)에서 이송된 피접합물(M)을 환원성분위기에서 냉각시키도록 기밀히 연결된 냉각유닛(400); 상기 냉각유닛(400)에서 배출된 피접합물(M)을 대기 중으로 이송시키는 이송유닛(600); 상기 공급유닛(100)과 가열유닛(300) 사이에 설치되어, 가열유닛(300)으로 피접합물(M)이 공급되면서 유입되는 대기를 차단하고 환원성분위기를 유지하는 입구측 분위기유닛(200); 상기 냉각유닛(400)과 이송유닛(600) 사이에 설치되어, 이송유닛(600)으로 피접합물(M)이 이송되면서 유입되는 대기를 차단하고 환원성분위기를 유지하는 출구측 분위기유닛(500);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고안은 피접합물의 온도편차를 줄여 용가재의 웨팅이 좋은 상태에서 브레이징하여 접합력을 극대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브레이징, 모재, 피접합물, 분위기, 가열히터.

Description

브레이징 자동화 장치{A BRAZING AUTOMATIC APPARATUS}
도 1 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
도 2 는 도 1의 평면도.
도 3a, 3b 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공급유닛을 나타낸 측면도 및 평면도.
도 4a, 4b 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입구측 분위기유닛을 나타낸 측면도 및 평면도.
도 5a, 5b, 5c 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가열유닛을 나타낸 측면도와 평면도 및 정단면도.
도 6a, 6b 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냉각유닛을 나타낸 측면도 및 평면도.
도 7a, 7b 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출구측 분위기유닛을 나타낸 측면도 및 평면도.
도 8a, 8b 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이송유닛을 나타낸 측면도 및 평면도.
도 9 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가열유닛의 제어구성을 나타낸 블럭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공급유닛 110 : 공급대
120 : 공급롤러 130 : 구동모터
200 : 입구측 분위기유닛 210 : 입구측 분위기챔버
220 : 제1입구도어부재 230 : 제1출구도어부재
240 : 제1진공펌프 250 : 제1가스주입부재
260 : 제1이송롤러 270 : 제1구동모터
300 : 가열유닛 310 : 가열챔버
320 : 제2입구도어부재 330 : 제2출구도어부재
340 : 제2가스주입부재 350 : 가열히터
360 : 제2이송롤러 370 : 제2구동모터
400 : 냉각유닛 410 : 냉각챔버
420 : 제3가스주입부재 430 : 워터자켓
440 : 제3이송롤러 450 : 제3구동모터
500 : 출구측 분위기유닛 510 : 출구측 분위기챔버
520 : 제3입구도어부재 530 : 제3출구도어부재
540 : 제4이송롤러 550 : 제4구동모터
560 : 제2진공펌프 570 : 제4가스주입부재
600 : 이송유닛 610 : 이송대
620 : 제5이송롤러 630 : 제5구동모터
700 : 온도조절부 800 : PLC제어회로
본 고안은 브레이징 자동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두께가 상이한 두 개 이상의 모재로 이루어진 피접합물의 온도편차를 줄여 용가재의 웨팅이 좋은 상태에서 브레이징하여 접합력을 극대화할 수 있으며, 대기의 유입이 차단되고 분위기가스에 의해 환원성분위기로 조성된 최적의 웨팅상태에서 피접합물을 브레이징하여 접합력을 극대화할 수 있는 브레이징 자동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브레이징은 모재의 용융점(Melting Point) 이하에서 일정한 열에 의해 용융되는 용가재(Filler Metal)로 두 모재를 접합하는 것으로, 이러한 브레이징은 모재의 고상온도(Solidus Temperature) 이하로 열을 가하되, 450℃이상의 액상온도(Liquidus Temperature)를 가진 용가재로 두 모재를 접합하는 것이다. 즉, 일정온도에 이른 용가재가 녹으면서 모세관현상에 의해, 두 모재 사이로 스며들어가게 되어 두 모재를 접합하게 된다.
여기서, 두 모재 사이의 친화력을 나타내는 성질을 웨팅(Wetting)이라 하며, 브레이징될 모재의 웨팅이 나쁘면 접합력이 떨어져 불완전한 접합이 이루어지게 된다.
종래의 연속식 브레이징 자동화 장치는, 용가재를 구비한 모재를 공급하는 공급대, 상기 공급대로부터 공급된 모재를 예열하는 예열유닛, 상기 예열챔버에서 예열된 모재를 용가재로 브레이징하도록 가열하는 가열유닛, 상기 가열챔버에서 브 레이징된 모재를 냉각시키는 냉각유닛, 상기 냉각챔버로 냉각된 모재를 배출시키는 배출대, 상기 공급대에서 배출대로 모재를 연속적으로 이송시키는 컨베이어벨트, 상기 컨베이어벨트를 구동시키도록 연결된 구동모터를 포함한다.
상기 공급대에는 공급관이 구비되고, 이 공급관을 통해 플럭스가 도포된 모재를 예열유닛으로 순차적으로 공급한다.
상기 예열유닛에는 모재가 이송되는 예열관이 구비되고, 이 예열관에는 예열히터가 내장되어 공급대로부터 공급된 모재를 예열하며, 이 예열히터에 의해 예열된 모재를 환원상태로 형성하도록 분위기를 조성하는 분위기가스가 예열관으로 공급된다. 그리고 예열유닛에는 가스커튼이 구비되어 공급대의 공급관을 통해 유입되는 외기을 차단하게 된다.
상기 가열유닛은 모재를 가열하는 가열온도를 순차적으로 높이기 위해, 가열히터가 내장된 복수개의 챔버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복수개의 챔버를 통과하면서 모재는 서서히 온도가 상승되어 용가재로 브레이징된다. 그리고 가열온도가 상이한 복수개의 챔버에는 서머커플(Thermocouple)이 각각 구비되어 내부온도를 측정하게 된다. 이때 가열유닛으로는 분위기가스가 공급되어 브레이징에 적합한 분위기를 조성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가열유닛을 좀 더 살펴보면, 복수개의 챔버가 제1챔버 내지 제5챔버로 이루어졌을 때, 제1챔버의 가열온도는 300℃, 제2챔버의 가열온도는 400℃, 제3챔버의 가열온도는 500℃, 제4챔버의 가열온도는 600℃로 순차적으로 높아지고, 마지막 제5챔버에서는 630℃의 가열온도로 상승되어 피접합물을 브레이징 하게 된다.
상기 냉각유닛은 가열유닛을 통과하면서 브레이징된 모재를 냉각하는 것으로, 이러한 냉각유닛에는 워터자켓을 통해 모재로 냉기를 발산시킨다.
상기 컨베이어벨트는 공급대부터 배출대까지 모재를 연속적으로 이송시키는 것으로, 이러한 컨베이어벨트는 구동풀리 및 종동풀리에 걸리며, 구동풀리에는 구동모터가 연결되어 컨베이어벨트를 구동시키게 된다.
따라서, 종래의 연속식 브레이징 자동화 장치는, 두 개 이상의 모재를 접합시키기 위해 용가재가 구비된 피접합물이, 치구로 셋팅된 상태에서 컨베이어벨트에 의해 연속적으로 이송되면서, 공급대를 시작으로 예열유닛을 통과하면서 예열되고, 가열유닛을 통과하면서 브레이징되고, 냉각유닛을 통과하면서 냉각되어 배출대로 배출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연속식 브레이징 자동화 장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첫째, 공급대에서 공급되는 피접합물이 A모재 및 B모재로 이루어질 경우에, 이 피접합물은 컨베이어벨트에 의해 연속적으로 이송되면서, 가열유닛의 제1챔버부터 제5챔버를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브레이징이 이루어지는데, A모재 및 B모재의 두께가 동일하거나 거의 차이가 없을 때에는 두 모재 사이에 온도편차가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웨팅이 좋아 접합력이 작용하는 반면에, A모재가 5mm로 이루어지고 B모재가 10mm로 이루어질 때에는 두 모재 사이에 온도편차가 발생되어 웨팅이 나빠짐에 따라 접합불량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웨팅은 두 모재의 온도가 일정 한 상태에서 가장 좋아지는데, 컨베이어벨트에 의해 연속적으로 이송되는 A모재는 제5챔버에서 630℃에 이를 수 있겠으나, A모재에 비해 상대적으로 두꺼운 두께로 이루어진 B모재는 630℃에 이르지 못하며, 이에 따라 두 모재 사이에는 온도편차가 발생되어 나쁜 웨팅상태이므로, 용가재의 접합력이 두 모재 사이에서 불완전하게 작용하여 접합부분에서 크랙 또는 핀홀 등의 접합불량현상이 발생되는 것이다.
둘째, 컨베이어벨트에 의해 연속적으로 이송되는 피접합물은 가열유닛의 제1챔버부터 제5챔버를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브레이징이 이루어지는데, 피접합물의 일부분은 제5챔버에 속해 있으나 타부분은 제4챔버에 걸쳐지게 되어 피접합물의 가열온도가 부분적으로 상이한 온도편차가 발생되며, 이에 따라 피접합물의 웨팅상태가 나빠 접합불량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셋째, 예열유닛은 공급대와 가열유닛 사이에서 피접합물 및 컨베이어벨트의 급격한 열팽창을 단속하는데, 그 과정에서 대기압이 가열유닛으로 작용하지 않도록 질소가스 따위로 이루어진 가스커튼을 이용함에 따라 가스사용량이 증대되어 원가상승을 유발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에서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두께가 상이한 두 개 이상의 모재로 이루어진 피접합물의 온도편차를 줄여 용가재의 웨팅이 좋은 상태에서 브레이징하여 접합력을 극대화할 수 있으며, 대기의 유입이 차단되고 분위기가스에 의해 환원성분위기로 조성된 최적의 웨팅상태에서 피접합물을 브레이징하여 접합력을 극대화할 수 있는 브레이징 자동화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두께가 상이한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모재로 이루어진 피접합물을 용가재로 브레이징 접합하는 브레이징 장치에 있어서, 상기 용가재가 셋팅된 피접합물을 공급하는 공급유닛; 상기 공급유닛에서 공급된 피접합물을 환원성분위기에서 브레이징하기 위해, 설정된 시간에 맞춰 일정한 온도로 가열하는 가열유닛; 상기 가열유닛에서 이송된 피접합물을 환원성분위기에서 냉각시키도록 기밀히 연결된 냉각유닛; 상기 냉각유닛에서 배출된 피접합물을 대기 중으로 이송시키는 이송유닛; 상기 공급유닛과 가열유닛 사이에 설치되어, 가열유닛으로 피접합물이 공급되면서 유입되는 대기를 차단하고 환원성분위기를 유지하는 입구측 분위기유닛; 상기 냉각유닛과 이송유닛 사이에 설치되어, 이송유닛으로 피접합물이 이송되면서 유입되는 대기를 차단하고 환원성분위기를 유지하는 출구측 분위기유닛을 포함하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첨부된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순차적으로 연결된 공급유닛(100), 입구측 분위기유닛(200), 가열유닛(300), 냉각유닛(400), 출구측 분위기유닛(500), 이송유닛(600)을 포함한다.
상기 피접합물(M)은 두께가 상이한 두 개 이상의 모재로 이루어진다.
상기 공급유닛(100)은 용가재 및 치구로 셋팅된 피접합물(M)을 입구측 분위 기유닛(200)으로 이송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공급유닛(100)은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절한 높이를 갖는 공급대(110), 상기 공급대(11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피접합물(M)을 공급하는 다수개의 공급롤러(120), 상기 공급롤러(120)를 구동시키도록 연결된 구동모터(130)로 구성된다.
상기 공급대(110)의 양측에는 베어링(111)이 구비되어 공급롤러(120)가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데, 이 공급롤러(120)에는 일체로 회전되면서 피접합물(M)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안내하는 회전가이드판(121)이 형성된다.
상기 구동모터(130)는 다수개의 공급롤러(120)를 동시에 구동시키는데, 이러한 구동모터(130)와 어느 하나의 공급롤러(120)에는 구동스프로킷(131) 및 종동스프로킷(122)이 각각 축설되어 구동체인(132)으로 연결되고, 각각의 공급롤러(120)에는 전동스프로킷(123)이 축설되어 전동체인(133)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구동모터(130)를 작동시키면 구동체인(132)이 구동되면서 어느 하나의 공급롤러(120)를 회동시키고, 이 공급롤러(120)의 회동력은 전동체인(133)을 통해 다른 공급롤러(120)로 전달됨에 따라, 다수개의 공급롤러(120)는 일체로 회동하면서 피접합물(M)을 입구측 분위기유닛(200)으로 공급하게 된다.
이와 같이 공급유닛(100)으로부터 공급되는 피접합물(M)은, 폐쇄계를 조성하는 입구측 분위기유닛(200), 가열유닛(300), 냉각유닛(400), 출구측 분위기유닛(500)을 일정한 스텝에 맞춰 순차적으로 통과하면서 브레이징되는데, 이러한 폐쇄계는 입구측 분위기유닛(200) 및 출구분위기유닛(500)에 의해 가열유닛(300)과 냉각유닛(400)으로 대기의 유입이 적절히 차단되면서 가능하게 된다.
상기 입구측 분위기유닛(200)은 브레이징될 피접합물(M)의 환원성분위기를 조성하기 위해 공급유닛(100) 측에서 대기의 유입을 차단하는 것이다.
이러한 입구측 분위기유닛(200)은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급유닛(100)에서 공급되는 피접합물(M)이 유입되도록 연결된 입구(211) 및 출구(212)가 구비된 입구측 분위기챔버(210), 상기 입구측 분위기챔버(210)의 입구(211) 및 출구(212)를 기밀히 폐쇄시키는 제1입구도어부재(220) 및 제1출구도어부재(230), 상기 제1입구도어부재(220) 및 제1출구도어부재(230)로 폐쇄된 입구측 분위기챔버(210)의 내부를 진공상태로 형성시키는 제1진공펌프(240), 상기 제1진공펌프(240)에 의해 진공상태로 형성된 입구측 분위기챔버(210)의 내부로 분위기가스를 주입하여 환원성분위기를 조성하는 제1가스주입부재(250), 상기 제1가스주입부재(250)에 의해 환원성분위기로 조성된 입구측 분위기챔버(210)의 개방된 출구(212)로 피접합물(M)을 이송시키도록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다수개의 제1이송롤러(260), 상기 제2이송롤러(260)를 구동시키도록 연결된 제1구동모터(270)을 포함한다.
상기 입구측 분위기챔버(210)에는 적절한 높이를 갖는 서포트프레임(213)에 의해 지지되고, 공급유닛(100)으로부터 공급되는 피접합물(M)이 유입되도록 입구(211)가 구비되며, 이 입구(211)로 유입된 피접합물(M)을 배출시키도록 출구(212)가 구비된다.
상기 제1입구도어부재(220)는, 상하로 슬라이딩되면서 입구측 분위기챔 버(210)의 입구(211)를 기밀히 폐쇄시키도록 개스킷(221a)이 구비된 제1입구도어(221), 상기 제1입구도어(221)를 개폐시키도록 슬라이딩시키는 제1개폐수단(222)을 포함한다.
이러한 제1개폐수단(222)은, 상기 제1입구도어(221)의 양측 상하로 구비된 제1압착로드(223)에 축핀(223a)으로 회동가능하게 축설되어 제1입구도어(221)의 폐쇄시 개스킷(221a)을 압착하도록 제1압착로드(223)를 직선운동시키는 제1캠롤러(224), 상기 제1캠롤러(224)를 상하로 안내하도록 입구측 분위기챔버(210)에 고정되는 제1수직가이드레일(225), 상기 제1수직가이드레일(225)을 따라 제1캠롤러(224)를 슬라이딩시키도록 제1캠롤러(224)를 연결하는 롤러샤프트(224a)에 작동로드(226a)로 연결되는 제1실린더(226)를 포함한다.
상기 제1압착로드(223)의 일측은 제1입구도어(221)의 양측 상부 및 하부에 회전핀(223b)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타측은 롤러샤프트(224a)에 의해 연결된 제1캠롤러(224)가 축핀(223a)으로 회동가능하게 축설된다.
따라서, 입구측 분위기챔버(210)의 입구(211)를 개방할 때는, 제1실린더(226)의 작동로드(226a)가 롤러샤프트(224a)를 승강시키면, 제1캠롤러(224)가 제1수직가이드레일(225)을 따라 슬라이딩하면서 제1출구도어(221)를 동시에 상부로 이송시켜 입구측 분위기챔버(210)의 입구(211)를 개방한다.
그리고 입구측 분위기챔버(210)의 입구(211)를 폐쇄할 때는, 제1실린더(226)의 작동로드(226a)가 롤러샤프트(224a)를 하강시키면, 제1캠롤러(224)가 제1수직가이드레일(225)을 따라 하부로 슬라이딩되면서 제1입구도어(221)를 동시에 하부로 이송시키는데, 이때 제1캠롤러(224)는 축핀(223a)으로 회전운동하면서 슬라이딩되어 제1압착로드(223)를 도 4a에서와 같이 제1입구도어(221) 방향으로 밀면서 개스킷(221a)을 압착시킴에 따라, 입구측 분위기챔버(210)의 입구(211)를 기밀히 폐쇄시키게 된다.
상기 제1출구도어부재(230)는, 상하로 슬라이딩되면서 입구측 분위기챔버(210)의 출구(212)를 기밀히 폐쇄시키도록 개스킷(231a)이 구비된 제1출구도어(231), 상기 제1출구도어(231)를 개폐시키도록 슬라이딩시키는 제2개폐수단(232)을 포함한다.
이러한 제2개폐수단(232)은, 제1출구도어(231)의 양측 상하로 구비된 제2압착로드(233)에 축핀(233a)으로 회전가능하게 축설되어 제1출구도어(231)의 폐쇄시 개스킷(231a)을 압착하도록 제2압착로드(233)를 직선운동시키는 제2캠롤러(234), 상기 제2캠롤러(234)를 상하로 안내하는 제2수직가이드레일(235), 상기 제2수직가이드레일(235)을 따라 제2캠롤러(234)를 슬라이딩시키기 위해 제2캠롤러(234)를 연결하는 롤러샤프트(234a)에 작동로드(236a)로 연결되는 제2실린더(236)를 포함한다.
상기 제2압착로드(233)의 일측은 제1출구도어(231)의 양측 상부 및 하부에 회전핀(233b)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타측은 롤러샤프트(234a)에 의해 연결된 제2캠롤러(234)가 축핀(233a)으로 회전가능하게 축설된다.
상기 제2실린더(236)는 입구측 분위기챔버(210)와 가열챔버(310)의 입구(311)를 기밀히 연결하는 제1연결관(CP1)에 고정된다.
따라서, 입구측 분위기챔버(210)의 출구(212)를 개방할 때는, 제2실린더(236)의 작동로드(236a)가 롤러샤프트(234a)를 승강시키면, 제2캠롤러(234)가 제2수직가이드레일(235)을 따라 상부로 슬라이딩하면서 제1출구도어(231)를 동시에 상부로 이송시켜 입구측 분위기챔버(210)의 출구(212)를 개방한다.
그리고 입구측 분위기챔버(210)의 출구(212)를 폐쇄할 때는, 제2실린더(236)의 작동로드(236a)가 롤러샤프트(234a)를 하강시키면, 제2캠롤러(234)가 제2수직가이드레일(235)을 따라 하부로 슬라이딩되면서 제1출구도어(231)를 동시에 하부로 이송시키는데, 이때 제2캠롤러(234)는 축핀(233a)으로 회전운동하면서 슬라이딩되어 제2압착로드(233)를 제1출구도어(231) 방향으로 밀면서 개스킷(231a)을 압착시킴에 따라 입구측 분위기챔버(210)의 출구(212)를 기밀히 폐쇄시키게 된다.
상기 제1진공펌프(240)는 입구측 분위기챔버(210)의 일측에 연결관(242)으로 연결되어, 입구(211) 및 출구(212)가 기밀히 폐쇄된 입구측 분위기챔버(210)의 내부를 진공상태로 형성하게 된다. 즉, 공급유닛(100)에서 공급되는 피접합물(M)이 입구측 분위기챔버(210)로 들어오도록 제1입구도어(221)를 개방하면, 입구(211)를 통해 대기가 동시에 유입되면서 입구측 분위기챔버(210)의 내부는 환원성분위기를 잃어버리게 되는데, 이때 제1입구도어(221)로 입구(211)를 기밀히 폐쇄한 상태에서 제1진공펌프(240)를 작동시키면, 입구측 분위기챔버(210)의 내부는 대기가 외부로 배출되면서 진공상태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제1가스주입부재(250)는 제1진공펌프(240)에 의해 진공상태로 형성된 입구측 분위기챔버(210)의 내부로 분위기가스를 주입하여, 피접합물(M)이 브레이징 에 적합한 웨팅상태를 이루도록 환원성분위기를 조성하는 것으로, 이러한 제1가스주입부재(250)는 입구측 분위기챔버(210)의 내부로 분위기가스를 주입하도록 설치된 제1가스주입노즐(251), 상기 제1가스주입노즐(251)로 분위기가스를 공급하도록 연결된 제1가스공급탱크(252)를 포함한다.
따라서, 제1진공펌프(240)에 의해 진공상태로 형성된 입구측 분위기챔버(210)의 내부로 제1가스주입노즐(251)을 통해 분위기가스를 주입하면, 입구측 분위기챔버(210)의 내부가 환원성분위기를 조성함에 따라, 브레이징될 피접합물(M)의 산화물생성이 억제되어 용가재의 친화력, 즉 웨팅상태가 좋아지게 된다.
상기 제1이송롤러(260)는 입구측 분위기챔버(210)의 입구(211)에서 출구(212)까지 등간격으로 배치되도록 다수개로 이루어져 환원성분위기의 피접합물(M)을 출구(212)로 이송시키는데, 이러한 제1이송롤러(260)의 양단부는 입구측 분위기챔버(210)의 양측으로 관통되어 제1베어링(214)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상기 제1구동모터(270)는 다수개의 제1이송롤러(260)를 동시에 구동시키는데, 제1구동모터(270)와 어느 하나의 제1이송롤러(260)에는 제1구동스프로킷(271) 및 제1종동스프로킷(262)이 각각 축설되어 제1구동체인(272)으로 연결되고, 다수개의 제1이송롤러(260)에는 제1전동스프로킷(261)이 각각 축설되어 제1전동체인(273)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제1구동모터(270)를 작동시키면 제1구동체인(272)이 구동되면서 어느 하나의 제1이송롤러(260)를 회동시키고, 이 제1이송롤러(260)의 회동력은 제1전 동체인(273)을 통해 다른 제1이송롤러(260)로 전달되어 회동시킴에 따라, 다수개의 제1이송롤러(260)는 일체로 회동하게 된다.
상기 가열유닛(300)은 입구측 분위기유닛(200)으로부터 이송된 하나 또는 두개 이상의 피접합물(M)이 동시에 수용 가능한 가운데, 피접합물(M)의 온도를 일정하게 상승시키도록 가열하여 브레이징한다.
이러한 가열유닛(300)은 도 5a 내지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구측 분위기유닛(200)으로부터 공급되는 피접합물(M)이 들어오도록 입구(311) 및 출구(312)가 구비된 가열챔버(310), 상기 가열챔버(310)의 입구(311) 및 출구(312)의 개폐를 단속하는 제2입구도어부재(320) 및 제2출구도어부재(330), 상기 제2입구도어부재(320) 및 제2출구도어부재(330)로 폐쇄된 가열챔버(310)의 내부로 분위기가스를 주입하여 환원성분위기를 조성하는 제2가스주입부재(340), 상기 제2가스주입부재(340)에 의해 환원성분위기로 조성된 가열챔버(310) 내부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상승시켜서 피접합물을 브레이징하기 위해 일정시간에 맞추어 단계적으로 가열하는 가열히터(350), 상기 가열히터(350)로 브레이징된 피접합물(M)을 가열챔버(310)의 출구(312)로 이송시키도록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다수개의 제2이송롤러(360), 상기 제2이송롤러(360)를 구동시키도록 연결된 제2구동모터(370)를 포함한다.
상기 가열챔버(310)는 고온에서 잘 견디도록 내화재로 이루어지는데, 이러한 가열챔버(310)에는 입구측 분위기유닛(200)으로부터 공급되는 피접합물(M)이 유입되도록 입구(311)가 구비되며, 이 입구(311)로 들어온 피접합물(M)을 길이방향을 따라 배출시키도록 출구(312)가 구비된다. 그리고 가열챔버(310)에는 내부온도를 측정하도록 써머커플(314)이 장착된다.
상기 제2입구도어부재(320)는, 상하로 슬라이딩되면서 가열챔버의 입구를 개폐시키는 제2입구도어(320), 상기 제2입구도어(320)를 개폐시키도록 작동로드(322a)로 연결되는 제3실린더(322)로 구성되는데, 상기 제3실린더(322)는 입구측 분위기챔버(210)의 출구(212)와 가열챔버(310)의 입구(311)를 기밀히 연결하는 제1연결관(CP1)에 고정된다.
따라서, 제3실린더(322)의 작동로드(322a)가 제2입구도어(321)를 승강시키면서 가열챔버(310)의 입구(311)를 개방하고, 작동로드(322a)를 하강시키면서 가열챔버(310)의 입구(311)를 폐쇄하게 된다.
상기 제2출구도어부재(330)는, 상하로 슬라이딩되면서 가열챔버(310)의 출구(312)를 개폐시키는 제2출구도어(331), 상기 제2출구도어(331)를 개폐시키도록 작동로드(332a)로 연결되는 제4실린더(332)로 구성되는데, 상기 제4실린더(332)는 가열챔버(310)의 출구(312)와 냉각유닛(400)을 기밀히 연결하는 제2연결관(CP2)에 고정된다.
따라서, 제4실린더(332)의 작동로드(332a)가 제2출구도어(331)를 승강시키면서 가열챔버(310)의 출구(312)를 개방하고, 작동로드(332a)를 하강시키면서 가열챔버(310)의 출구(312)를 폐쇄하게 된다.
이러한 제2입구도어부재(320) 및 제2출구도어부재(330)는 가열챔버(310)에서 발생된 열이 입구(311) 및 출구(312)를 통해 유출되는 것을 차단하여 에너지절약을 기대할 수 있는 동시에, 가열챔버(310)의 입구(311) 및 출구(312)에 연결된 입구측 분위기유닛(200) 및 냉각유닛(400)의 열변형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제2가스주입부재(340)는 제2입구도어부재(320) 및 제2출구도어부재(330)로 폐쇄된 가열챔버(310)의 내부로 분위기가스를 주입하여, 피접합물(M)의 브레이징에 적합한 환원성분위기를 조성하는 것으로, 이러한 제2가스주입부재(340)는 가열챔버(310)의 내부로 분위기가스를 주입하도록 설치된 제2가스주입노즐(341), 상기 제2가스주입노즐(341)로 분위기가스를 공급하도록 연결된 제2가스공급탱크(342)를 포함한다.
따라서, 입구(311) 및 출구(312)가 폐쇄된 가열챔버(310)의 내부로 제2가스주입노즐(341)을 통해 분위기가스를 주입하면, 가열챔버(310)의 내부가 피접합물(M)의 브레이징에 적합한 환원성분위기를 조성하게 된다.
상기 가열히터(350)는 제2가스주입부재(340)에 의해 환원성분위기로 조성된 가열챔버(310)를 가열하여 피접합물(M)을 브레이징하는 것으로, 이러한 가열히터(350)는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열챔버(350)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장착되어 피접합물(M)을 일정하게 가열하게 된다.
예컨대, 피접합물(M)이 5mm의 A모재와 10mm의 B모재로 이루어지며, 가열히터(350)로 가열챔버(310)의 초기온도를 577℃로 셋팅한 상태에서, 가열챔버(310)의 입구(311)로 들어온 피접합물(M)을 브레이징이 이루어지는 630℃로 상승시킨 상태에서 그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면, A모재가 630℃에 도달하는 데는 3분이 소요되고 B모재가 630℃에 도달하는 데는 5분이 소요되므로, A모재와 B모재의 온도가 동 일해지기 위해서는 가열챔버(310)가 630℃로도 유지되도록 가열히터(350)로 5분간 지속적으로 가열하면 된다. 이때, B모재에 비해 상대적으로 두께가 얇은 A모재는 3분 만에 630℃에 도달하지만, 가열히터(350)의 가열온도가 630℃로 일정하게 유지되므로 3분 이상이 지나도 A모재는 온도상승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이와 같이 설정된 시간 동안 가열히터(350)로 가열챔버(310)의 가열온도를 630℃의 상태로 가열하면, 두 모재의 온도가 일정하게 상승되면서 마지막 630℃에는 브레이징이 이루어지게 된다. 즉, 두께가 상이한 두 모재 사이에 온도편차가 발생되지 않아 용가재의 웨팅상태가 좋아지므로 두 모재 간의 접합력이 극대화되는 것이다.
이러한 가열히터(350)에는 도 9에서와 같이 가열온도를 조절하는 온도조절부(700)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이 온도조절부(700)에는 설정된 시간에 맞추어 온도조절부(700)의 작동을 제어하는 PLC제어회로(800)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제2이송롤러(360)는 가열챔버(310)의 입구(311)에서 출구(312)까지 등간격으로 배치되도록 다수개로 이루어져 브레이징된 피접합물(M)을 출구(312)로 이송시키는데, 이러한 제2이송롤러(360)의 양단부는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열챔버(310)의 양측으로 관통되어 제2베어링(313)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상기 제2구동모터(370)는 다수개의 제2이송롤러(360)를 동시에 구동시키는데, 제2구동모터(370)와 어느 하나의 제2이송롤러(360)에는 도 5c에서와 같이 제2구동스프로킷(371) 및 제2종동스프로킷(362)이 각각 축설되어 제2구동체인(372)으로 연결되고, 다수개의 제2이송롤러(360)에는 제2전동스프로킷(361)이 각각 축설되 어 제2전동체인(373)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제2구동모터(370)를 작동시키면 제2구동체인(372)이 구동되면서 어느 하나의 제2이송롤러(360)를 회동시키고, 이 제2이송롤러(360)의 회동력은 제2전동체인(373)을 통해 다른 제2이송롤러(360)로 전달되어 회동시킴에 따라, 다수개의 제2이송롤러(360)는 일체로 회동하게 된다.
상기 냉각유닛(400)은 가열유닛(300)으로 브레이징된 하나 또는 두개 이상의 피접합물(M)을 동시에 수용하여 수냉으로 냉각시키게 된다.
이러한 냉각유닛(400)은, 도 6a 및 도 6b에서와 같이 가열유닛(300)에서 이송되는 피접합물(M)이 들어오도록 입구(411) 및 출구(412)가 구비된 냉각챔버(410), 상기 냉각챔버(410)의 내부로 분위기가스를 주입하여 환원성분위기를 조성하는 제3가스주입부재(420), 상기 제3가스주입부재(420)에 의해 환원성분위기로 조성된 피접합물(M)을 냉각시키도록 냉각챔버(410)에 내장되는 워터자켓(430), 상기 워터자켓(430)으로 냉각된 피접합물(M)을 냉각챔버(410)의 출구(410)로 이송시키도록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다수개의 제3이송롤러(440), 상기 제3이송롤러(440)를 구동시키도록 연결되는 제4구동모터(450)를 포함한다.
상기 냉각챔버(410)의 일측에는 가열유닛(300)으로부터 이송되는 피접합물(M)이 들어오도록 입구(411)가 구비되고, 타측에는 입구(411)로 들어온 피접합물(M)을 길이방향을 따라 배출시키도록 출구(412)가 구비된다.
상기 제3가스주입부재(420)는 냉각챔버(410)로 이송된 피접합물(M)을 분위기상태에서 냉각하도록 분위기가스를 주입하는 것으로, 이러한 제3가스주입부재(420) 는 냉각챔버(410)의 내부로 분위기가스를 주입하는 제3가스주입노즐(421), 상기 제3가스주입노즐(421)로 분위기가스를 공급하도록 연결된 제3가스공급탱크(422)를 포함한다.
상기 워터자켓(430)은 냉각챔버(410)로 들어온 고온의 피접합물(M)을 수냉으로 냉각하는 것으로, 이러한 워터자켓(430)은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각챔버(410)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설치되어 피접합물(M)을 입체냉각하게 된다.
상기 제3이송롤러(440)는 냉각챔버(410)의 입구(411)에서 출구(412)까지 등간격으로 배치되도록 다수개로 이루어져 냉각된 피접합물(M)을 출구(412)로 이송시키는데, 이러한 제3이송롤러(440)의 양단부는 냉각챔버(410)의 양측으로 관통되어 제3베어링(413)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상기 제3구동모터(450)는 다수개의 제3이송롤러(440)를 구동시키는 것으로, 이러한 제3구동모터(450)와 어느 하나의 제3이송롤러(440)에는 제3구동스프로킷(451) 및 제3종동스프로킷(442)이 각각 축설되어 제3구동체인(452)으로 연결되고, 다수개의 제3이송롤러(440)에는 제3전동스프로킷(441)이 각각 축설되어 제3전동체인(453)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제3구동모터(450)를 작동시키면 제3구동체인(452)이 구동되면서 어느 하나의 제3이송롤러(440)를 회동시키고, 이 제3이송롤러(440)의 회동력은 제3전동체인(453)을 통해 다른 제3이송롤러(440)로 전달되어 회동시킴에 따라, 다수개의 제3이송롤러(440)는 일체로 회동하게 된다.
상기 출구측 분위기유닛(500)은 냉각유닛(400)에서 피접합물(M)을 환원성분 위기에서 냉각시키기 위해 대기의 유입을 차단한다.
이러한 출구측 분위기유닛(500)은 도 7a 및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각유닛(400)에서 이송되는 피접합물(M)이 유입되도록 기밀히 연결된 입구(511) 및 출구(512)가 구비된 출구측 분위기챔버(510), 상기 출구측 분위기챔버(510)의 입구(511) 및 출구(512)를 기밀히 폐쇄시키는 제3입구도어부재(520) 및 제3출구도어부재(530), 상기 제3출구도어부재(530)를 개방하면서 출구(512)로 피접합물(M)을 이송시키도록 출구측 분위기챔버(510)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다수개의 제4이송롤러(540), 상기 제4이송롤러(540)를 구동시키도록 연결된 제4구동모터(550), 상기 제3출구도어부재(530)의 개방으로 대기가 유입된 출구측 분위기챔버(510)의 내부를 진공상태로 형성시키는 제2진공펌프(560), 상기 제2진공펌프(560)에 의해 진공상태로 형성된 출구측 분위기챔버(510)의 내부로 분위기가스를 주입하여 환원성분위기를 조성하는 제4가스주입부재(570)를 포함한다.
상기 출구측 분위기챔버에(510)는 적절한 높이를 갖는 서포트프레임(513)에 의해 지지되고, 냉각유닛(400)에서 공급되는 피접합물(M)이 유입되도록 기밀히 연결된 입구(511)가 구비되며, 이 입구(511)로 유입된 피접합물(M)을 배출시키도록 출구(512)가 구비된다.
상기 제3입구도어부재(520)는, 상하로 슬라이딩되면서 출구측 분위기챔버(510)의 입구(511)를 기밀히 폐쇄시키도록 개스킷(521a)이 구비된 제3입구도어(521), 상기 제3입구도어(521)를 개폐시키도록 슬라이딩시키는 제3개폐수단(522)을 포함한다.
상기 제3개폐수단(522)은, 상기 제3입구도어(521)의 양측 상하로 구비된 제3압착로드(523)에 축핀(523a)으로 회전가능하게 축설되어 제3입구도어(521)의 폐쇄시 개스킷(521a)을 압착하도록 제3압착로드(523)를 직선운동시키는 제3캠롤러(524), 상기 제3캠롤러(524)를 상하로 안내하도록 출구측 분위기챔버(510)에 고정되는 제3수직가이드레일(525), 상기 제3수직가이드레일(525)을 따라 제3캠롤러(524)를 슬라이딩시키도록 제3캠롤러(524)를 연결하는 롤러샤프트(524a)에 작동로드(526a)로 연결되는 제5실린더(526)를 포함한다.
상기 제3압착로드(523)의 일측은 제3입구도어(521)의 양측 상부 및 하부에 회전핀(523b)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타측은 롤러샤프트(524a)에 의해 연결된 제3캠롤러(524)가 축핀(523a)으로 회동가능하게 축설된다.
따라서, 출구측 분위기챔버(510)의 입구(511)를 개방할 때는, 제5실린더(526)의 작동로드(526a)가 롤러샤프트(524a)를 승강시키면, 제3캠롤러(524)가 제3수직가이드레일(525)을 따라 상부로 슬라이딩하면서 제3입구도어(521)를 동시에 상부로 이송시켜 출구측 분위기챔버(510)의 입구(511)를 개방한다.
그리고 출구측 분위기챔버(510)의 입구(511)를 폐쇄할 때는, 제5실린더(526)의 작동로드(526a)가 롤러샤프트(524a)를 하강시키면, 제3캠롤러(524)가 제3수직가이드레일(525)을 따라 하부로 슬라이딩되면서 제3입구도어(521)를 동시에 하부로 이송시키는데, 이때 제3캠롤러(524)는 축핀(523a)으로 회전운동하면서 슬라이딩되어 제3압착로드(523)를 도 7a에서와 같이 제3입구도어(521) 방향으로 밀면서 개스킷(521a)을 압착시킴에 따라, 출구측 분위기챔버(510)의 입구(511)를 기밀히 폐쇄 시키게 된다.
상기 제3출구도어부재(530)는, 상하로 슬라이딩되면서 출구측 분위기챔버(510)의 출구(512)를 기밀히 폐쇄시키도록 개스킷(531a)이 구비된 제3출구도어(531), 상기 제3출구도어(531)를 개폐시키도록 슬라이딩시키는 제4개폐수단(532)을 포함한다.
상기 제4개폐수단(532)은, 상기 제3출구도어(531)의 양측 상하로 구비된 제4압착로드(533)에 축핀(533a)으로 회전가능하게 축설되어 제3출구도어(231)의 폐쇄시 개스킷(531a)을 압착하도록 제4압착로드(533)를 직선운동시키는 제4캠롤러(534), 상기 제4캠롤러(534)를 상하로 안내하도록 출구측 분위기챔버(510)에 설치되는 제4수직가이드레일(535), 상기 제4수직가이드레일(535)을 따라 제4캠롤러(534)를 슬라이딩시키기 위해 제4캠롤러(534)를 연결하는 롤러샤프트(534a)에 작동로드(536a)로 연결되는 제6실린더(536)를 포함한다.
상기 제4압착로드(533)의 일측은 제3출구도어(531)의 양측 상부 및 하부에 회전핀(533b)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타측은 롤러샤프트(534a)에 의해 연결된 제4캠롤러(534)가 축핀(533a)으로 회전가능하게 축설된다.
상기 제5실린더(526)는 출구측 분위기챔버(510)와 냉각챔버(410)의 출구(412)를 기밀히 연결하는 제3연결관(CP3)에 고정된다.
따라서, 출구측 분위기챔버(510)의 출구(512)를 개방할 때는, 제6실린더(536)의 작동로드(536a)가 롤러샤프트(534a)를 승강시키면, 제4캠롤러(534)가 제4수직가이드레일(535)을 따라 상부로 슬라이딩하면서 제3출구도어(531)를 동시에 상부로 이송시켜 출구측 분위기챔버(510)의 출구(512)를 개방한다.
그리고 출구측 분위기챔버(510)의 출구(212)를 폐쇄할 때는, 제6실린더(536)의 작동로드(536a)가 롤러샤프트(534a)를 하강시키면, 제4캠롤러(534)가 제4수직가이드레일(535)을 따라 하부로 슬라이딩되면서 제3출구도어(531)를 동시에 하부로 이송시키는데, 이때 제4캠롤러(534)는 축핀(533a)으로 회전운동하면서 슬라이딩되어 제4압착로드(533)를 제3출구도어(531) 방향으로 밀면서 개스킷(531a)을 압착시킴에 따라 출구측 분위기챔버(510)의 출구(512)를 기밀히 폐쇄시키게 된다.
상기 제4이송롤러(540)는 출구측 분위기챔버(510)의 입구(511)에서 출구(512)까지 등간격으로 배치되도록 다수개로 이루어져 환원성분위기의 피접합물(M)을 출구(512)로 이송시키는데, 이러한 제4이송롤러(540)의 양단부는 출구측 분위기챔버(510)의 양측으로 관통되어 제4베어링(514)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상기 제4구동모터(550)는 다수개의 제4송롤러(540)를 구동시키는데, 제4구동모터(550)와 어느 하나의 제4이송롤러(540)에는 제4구동스프로킷(551) 및 제4종동스프로킷(542)이 각각 축설되어 제4구동체인(552)으로 연결되고, 다수개의 제4이송롤러(540)에는 제4전동스프로킷(541)이 각각 축설되어 제4전동체인(553)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제4구동모터(550)를 작동시키면 제4구동체인(552)이 구동되면서 제4종동스프로킷(542)이 축설된 제4이송롤러(540)를 회동시키고, 이 제4이송롤러(540)의 회동력은 제4전동체인(553)을 통해 다른 제4이송롤러(540)로 전달되어 회동시킴 에 따라, 다수개의 제4이송롤러(540)는 일체로 회동하게 된다.
상기 제2진공펌프(560)는 출구측 분위기챔버(510)의 일측에 연결관(561)으로 연결되어, 입구(511) 및 출구(512)가 기밀히 폐쇄된 출구측 분위기챔버(210)의 내부를 진공상태로 형성하게 된다. 즉, 피접합물(M)을 제4이송롤러(540)로 이송시키기 위해 출구측 분위기챔버(510)의 제3출구도어(531)를 개방하면, 출구(512)를 통해 대기가 유입되면서 출구측 분위기챔버(510)의 내부는 환원성분위기를 잃어버리게 되는데, 이때 제3출구도어(531)로 출구를 기밀히 폐쇄한 상태에서 제2진공펌프(560)를 작동시키면, 출구측 분위기챔버(510)의 내부는 대기가 외부로 배출되면서 진공상태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제4가스주입부재(570)는 제2진공펌프(560)에 의해 진공상태로 형성된 출구측 분위기챔버(510)의 내부로 분위기가스를 주입하여, 피접합물(M)이 브레이징에 적합한 웨팅상태를 이루는 환원성분위기를 조성하는 것으로, 이러한 제4가스주입부재(570)는 출구측 분위기챔버(510)의 내부로 분위기가스를 주입하도록 설치된 제4가스주입노즐(571), 상기 제4가스주입노즐(571)로 분위기가스를 공급하도록 연결된 제4가스공급탱크(572)를 포함한다.
따라서, 진공상태로 형성된 출구측 분위기챔버(510)의 내부로 제4가스주입노즐(571)을 통해 분위기가스를 주입하면, 출구측 분위기챔버(510)의 내부가 환원성분위기로 조성됨에 따라, 냉각유닛으로 대기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상기 이송유닛(600)은 출구측 분위기유닛(500)을 통과하면서 완성된 피접합물(M)을 대기 중으로 배출시키는 것으로, 이러한 이송유닛(600)은 도 8a 및 8b에서 와 같이 적절한 높이를 갖는 배출대(610), 상기 배출대(61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피접합물(M)을 이송시키는 다수개의 제5이송롤러(620), 상기 제5이송롤러(620)를 구동시키도록 연결된 제5구동모터(630)로 구성된다.
상기 배출대(610)의 양측에는 제5베어링(611)이 구비되어 제5이송롤러(620)의 양측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며, 제5이송롤러(620)에는 이송되는 피접합물(M)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부재(621)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제5구동모터(630)는 다수개의 제5이송롤러(620)를 구동시키는데, 이러한 제5구동모터(630)와 어느 하나의 제5이송롤러(620)에는 제5구동스프로킷(631) 및 제5종동스프로킷(623)이 각각 축설되어 제5구동체인(632)으로 연결되고, 다수개의 제5이송롤러(620)에는 제5전동스프로킷(622)이 각각 축설되어 제5전동체인(633)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제5구동모터(630)를 작동시키면 제5구동체인(632)이 구동되면서 제5종동스프로킷(623)이 축설된 제5이송롤러(620)가 회동하게 되고, 이 제5이송롤러(620)의 회동력은 제5전동체인(633)을 통해 다른 제5이송롤러(620)로 전달되어 회동시킴에 따라, 다수개의 제5이송롤러(620)는 일체로 회동하게 된다.
한편, 도 9를 참조하면, 제1구동모터(270) 내지 제5구동모터(630)는 제1모터구동부(MD1) 내지 제5모터구동부(MD5)에 의해 각각 구동되도록 전기적으로 연결되는데, 이 제1구동모터(270) 내지 제5구동모터(630)는 PLC제어회로(8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피접합물(M)을 단계적으로 이송시키도록 구동이 제어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바람직한 실시예의 전체적인 작동관계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공급유닛(100)의 공급롤러(120)에 피접합물(M)을 올려 놓고 구동모터(130)를 구동시키면 공급롤러(120)가 회동하면서 피접합물(M)이 입구측 분위기유닛(200)으로 이동하게 되며, 이같이 입구측 분위유닛(200)으로 공급되는 피접합물(M)은 제1입구도어(221)에 의해 개방된 입구측 분위기챔버(210)의 입구(211)로 들어가게 된다.
이때, 입구측 분위기챔버(210)에는 피접합물(M)과 함께 대기가 유입되는데, 제1진공펌프(240)로 입구측 분위기챔버(210)의 내부를 진공상태로 형성한 후, 제1가스주입부재(250)로 분위기가스를 주입하면, 입구측 분위기챔버(210)는 환원성 분위기를 조성하게 된다.
이러한 환원성 분위기가 조성된 입구측 분위기챔버(210)의 출구(212)를 제1출구도어(231)에 의해 개방하면, 제1구동모터(270)의 구동에 의해 제1이송롤러(260)가 회동하면서 피접합물(M)을 출구(212)로 이송시키게 된다.
이어서, 제1이송롤러(260)로 이송되는 피접합물(M)은 하나 또는 다수개가 제2입구도어(320)에 의해 개방된 가열챔버(310)의 입구(311)로 들어가게 되며, 여기서 제2입구도어(321)를 작동시켜 가열챔버(310)의 입구(311)를 기밀히 폐쇄시킨 상태에서, 제2가스주입부재(340)로 분위기가스를 가열챔버(310)로 주입하여 환원성분위기를 조성하는데, 이때 가열챔버(310)는 가열히터(350)에 의해 적절한 온도로 예열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다음으로, 가열히터(350)를 이용하여 피접합물(M)을 브레이징하기 위해 설정 된 시간에 맞춰 일정한 가열온도로 가열챔버(310)를 가열하면, 피접합물(M)은 일정한 가열온도에 의해 일정하게 온도상승이 되면서 브레이징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러한 가열히터(350)의 가열온도는 온도조절부(700)에 의해 조절되고, 온도조절부(700)는 PLC회로(800)에 의해 작동이 제어된다.
상기에서와 같이 브레이징된 피접합물(M)은 제2구동모터(370)의 구동으로 회동되는 제2이송롤러(360)에 의해 제2출구도어(331)의 작동으로 개방된 가열챔버(310)의 출구(312)로 이송되며, 이같이 이송되는 피접합물(M)은 냉각챔버(410)의 입구(411)로 향하게 된다.
냉각챔버(410)로 이송된 하나 또는 다수개의 피접합물(M)은 제3가스주입부재(420)에 의해 분위기가스가 주입되어 안정된 분위기에서 워터자켓(430)에 의해 수냉으로 냉각되며, 냉각이 이루어진 피접합물(M)은 제3구동모터(450)의 구동으로 회동되는 제3이송롤러(440)에 의해 출구측 분위기유닛(500)으로 이송된다.
이같이 이송되는 피접합물(M)은 제3입구도어(521)에 의해 개방된 출구측 분위기챔버(510)로 들어가게 되고, 피접합물(M)이 들어온 출구측 분위기챔버(510)의 입구(511)는 제3입구도어(521)에 의해 기밀히 폐쇄되며, 제3출구도어(531)를 작동시켜 출구측 분위기챔버(510)의 출구(512)를 개방한 후, 제4구동모터(550)에 의해 회동되는 제4이송롤러(540)에 의해 피접합물(M)은 이송유닛(600)으로 배출된다.
이때, 출구측 분위기챔버(510)에는 대기가 유입되는데, 제2진공펌프(560)로 진공상태를 형성한 후, 제4가스주입부재(570)로 분위기가스를 주입하여 출구측 분위기챔버(510)를 환원성분위기로 조성한다.
이송유닛(600)으로 배출된 피접합물(M)은 공냉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피접합물(M)을 브레이징하는 가열유닛(300)과 브레이징된 피접합물(M)을 냉각하는 냉각유닛(400)은, 입구측 분위기유닛(200) 및 출구측 분위기유닛(500)에 의해 대기의 유입을 완전히 차단하는 즉, 폐쇄계를 유지함에 따라, 브레이징에 적합한 환원성분위기를 조성하게 된다.
그리고 환원성분위기를 유지한 상태에서 브레이징되는 피접합물(M)을 설정된 시간동안 일정한 가열온도로 가열함에 따라, 피접합물(M)의 온도상승이 일정하게 이루어져 두께가 상이한 두 모재 사이에 온도편차가 발생되지 않으며, 이에 따라 용가재의 웨팅상태가 좋아져 피접합물(M)의 접합력이 극대화된다.
아울러, 입구측 분위기유닛(200)과 출구측 분위기유닛(500)에서 대기의 유입을 차단함에 따라, 환원성분위기를 조성하도록 주입하는 분위기가스의 사용량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이상의 설명은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고안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첨부된 도면(도 1)에서는 각 유닛에 하나의 피접합물(M)이 수용되는 것으로 도시되어져 있으나, 필요에 따라 해당 유닛의 크기를 증가시킴으로 한번에 2개이상 다수개의 피접합물(M)이 동시에 수용되어지도록 할 수도 있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두께가 상이한 두 개 이상의 모재로 이루어진 피접합물을 환원성분위기에서, 두 모재의 온도편차가 발생하지 않도록 설정된 시간 동안 일정한 온도로 가열하여 용가재의 웨팅상태가 좋은 조건에서 브레이징함에 따라, 피접합물의 접합력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산화물이 생성되어 불활성상태에서 피접합물의 웨팅이 힘들어지는 것을 차단하도록, 대기의 유입을 완전히 차단된 상태에서 환원성분위기를 조성함에 따라 용가재와 피접합물의 웨팅을 좋게 유도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접합력이 좋은 피접합물을 브레이징할 수 있게 된다.

Claims (21)

  1. 두께가 상이한 두 개 이상의 모재로 이루어진 피접합물(M)을 용가재로 브레이징 접합하는 브레이징 장치에 있어서,
    상기 용가재가 셋팅된 피접합물(M)을 공급하는 공급유닛(100);
    상기 공급유닛(100)에서 공급된 피접합물(M)을 환원성분위기에서 브레이징하기 위해, 설정된 시간에 맞춰 일정한 온도로 가열하는 가열유닛(300);
    상기 가열유닛(300)에서 이송된 피접합물(M)을 환원성분위기에서 냉각시키도록 기밀히 연결된 냉각유닛(400);
    상기 냉각유닛(400)에서 배출된 피접합물(M)을 대기 중으로 이송시키는 이송유닛(600);
    상기 공급유닛(100)과 가열유닛(300) 사이에 설치되어, 공급유닛(100)에서 가열유닛(300)으로 피접합물(M)이 공급되면서 유입되는 대기를 차단하고 환원성분위기를 유지하는 입구측 분위기유닛(200);
    상기 냉각유닛(400)과 이송유닛(600) 사이에 설치되어, 냉각유닛(400)에서 이송유닛(600)으로 피접합물(M)이 이송되면서 유입되는 대기를 차단하고 환원성분위기를 유지하는 출구측 분위기유닛(5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징 자동화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유닛(100)은, 적절한 높이를 갖는 공급대(110), 상기 공급대(11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피접합물(M)을 공급하는 다수개의 공급롤러(120), 상기 공급롤러(120)를 구동시키도록 연결된 구동모터(1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징 자동화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입구측 분위기유닛(200)은,
    상기 공급유닛(100)에서 공급되는 피접합물(M)이 유입되도록 연결된 입구(211) 및 출구(212)가 구비된 입구측 분위기챔버(210);
    상기 입구측 분위기챔버(210)의 입구(211) 및 출구(212)를 기밀히 폐쇄시켜 대기의 유입을 차단하는 제1입구도어부재(220) 및 제1출구도어부재(230);
    상기 제1입구도어부재(220) 및 제1출구도어부재(230)로 기밀히 폐쇄된 입구측 분위기챔버(210)의 내부를 진공상태로 형성시키는 제1진공펌프(240);
    상기 제1진공펌프(240)에 의해 진공상태로 형성된 입구측 분위기챔버(210)의 내부를 환원성분위기로 조성하도록 분위기가스를 주입하는 제1가스주입부재(250);
    상기 제1가스주입부재(250)에 의해 환원성분위기로 조성된 입구측 분위기챔버(210)의 개방된 출구(212)로 피접합물(M)을 이송시키도록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다수개의 제1이송롤러(260);
    상기 제2이송롤러(260)를 구동시키도록 연결된 제1구동모터(2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징 자동화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입구도어부재(220)는, 상하로 슬라이딩되면서 입구측 분위기챔버(210)의 입구(211)를 기밀히 폐쇄시키도록 개스킷(221a)이 구비된 제1입구도어(221), 상기 제1입구도어(221)를 개폐시키도록 슬라이딩시키는 제1개폐수단(22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징 자동화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개폐수단(222)은, 상기 제1입구도어(221)의 양측 상하로 구비된 제1압착로드(223)에 축핀(223a)으로 회동가능하게 축설되어 제1입구도어(221)의 폐쇄시 개스킷(221a)을 압착하도록 제1압착로드(223)를 직선운동시키는 제1캠롤러(224), 상기 제1캠롤러(224)를 상하로 안내하도록 입구측 분위기챔버(210)에 고정되는 제1수직가이드레일(225), 상기 제1수직가이드레일(225)을 따라 제1캠롤러(224)를 슬라이딩시키도록 제1캠롤러(224)를 연결하는 롤러샤프트(224a)에 작동로드(226a)로 연결되는 제1실린더(22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징 자동화 장치.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출구도어부재(230)는, 상하로 슬라이딩되면서 입구측 분위기챔버(210)의 출구(212)를 기밀히 폐쇄시키도록 개스킷(231a)이 구비된 제1출구도어(231), 상기 제1출구도어(231)를 개폐시키도록 슬라이딩시키는 제2개폐수단(23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징 자동화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개폐수단(222)은, 제1출구도어(231)의 양측 상하로 구비된 제2압착로드(233)에 축핀(233a)으로 회전가능하게 축설되어 제1출구도어(231)의 폐쇄시 개스킷(231a)을 압착하도록 압착로드(233)를 직선운동시키는 제2캠롤러(234), 상기 제2캠롤러(234)를 상하로 안내하는 제2수직가이드레일(235), 상기 제2수직가이드레일(235)을 따라 제2캠롤러(234)를 슬라이딩시키기 위해 제2캠롤러(234)를 연결하는 롤러샤프트(234a)에 작동로드(236a)로 연결되는 제2실린더(23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징 자동화 장치.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스주입부재(250)는, 상기 입구측 분위기챔버(210)의 내부로 분위기가스를 주입하도록 설치된 제1가스주입노즐(251), 상기 제1가스주입노즐(251)로 분위기가스를 공급하도록 연결된 제1가스공급탱크(25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징 자동화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유닛(300)은, 상기 입구측 분위기유닛(200)에서 공급되는 피접합물(M)이 들어오도록 입구(311) 및 출구(312)가 구비된 가열챔버(310), 상기 가열챔버(310)의 입구(311) 및 출구(312)의 개폐를 단속하는 제2입구도어부재(320) 및 제2출구도어부재(330), 상기 제2입구도어부재(320) 및 제2출구도어부재(330)로 폐쇄된 가열챔버(310)의 내부로 분위기가스를 주입하여 환원성분위기를 조성하는 제2가스주입부재(340), 상기 제2가스주입부재(340)에 의해 환원성분위기로 조성된 가열챔버(310)를 설정된 시간에 맞춰 일정한 온도로 가열하여 피접합물을 브레이징하는 가열히터(350), 상기 가열히터(350)로 브레이징된 피접합물(M)을 가열챔버(310)의 출구(312)로 이송시키도록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다수개의 제2이송롤러(360), 상기 제2이송롤러(360)를 구동시키도록 연결된 제2구동모터(3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징 자동화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입구도어부재(320)는, 상하로 슬라이딩되면서 가열챔버의 입구를 개폐시키는 제2입구도어(320), 상기 제2입구도어(320)를 개폐시키도록 작동로드(322a)로 연결되는 제3실린더(322)를 포함하되,
    상기 제3실린더(322)는 입구측 분위기챔버(210)의 출구(212)와 가열유닛(300)을 기밀히 연결하는 제1연결관(CP1)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징 자동화 장치.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출구도어부재(330)는, 상하로 슬라이딩되면서 가열챔버(310)의 출구(312)를 개폐시키는 제2출구도어(331), 상기 제2출구도어(331)를 개폐시키도록 작동로드(332a)로 연결되는 제4실린더(332)를 포함하되,
    상기 제4실린더(332)는 가열챔버(310)의 출구(312)와 냉각유닛(400)을 기밀히 연결하는 제2연결관(CP2)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징 자동화 장치.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2가스주입부재(340)는, 가열챔버(310)의 내부로 분위기가스를 주입하도록 설치된 제2가스주입노즐(341), 상기 제2가스주입노즐(341)로 분위기가스를 공급하도록 연결된 제2가스공급탱크(34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징 자동화 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유닛(400)은, 가열유닛(300)에서 이송되는 피접합물(M)이 들어오도록 입구(411) 및 출구(412)가 구비된 냉각챔버(410), 상기 냉각챔버(410)의 내부로 분위기가스를 주입하여 환원성분위기를 조성하는 제3가스주입부재(420), 상기 제3가스주입부재(420)에 의해 환원성분위기로 조성된 피접합물(M)을 냉각시키도록 냉각챔버(410)에 내장되는 워터자켓(430), 상기 워터자켓(430)으로 냉각된 피접합물(M)을 냉각챔버(410)의 출구(410)로 이송시키도록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다수개의 제3이송롤러(440), 상기 제3이송롤러(440)를 구동시키도록 연결되는 제4구동모터(4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징 자동화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3가스주입부재(420)는 냉각챔버(410)의 내부로 분위기가스를 주입하는 제3가스주입노즐(421), 상기 제3가스주입노즐(421)로 분위기가스를 공급하도록 연결된 제3가스공급탱크(4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징 자동화 장치.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출구측 분위기유닛(500)은, 상기 냉각유닛(400)에서 이송되는 피접합물(M)이 유입되도록 기밀히 연결된 입구(511) 및 출구(512)가 구비된 출구측 분위기챔버(510), 상기 출구측 분위기챔버(510)의 입구(511) 및 출구(512)를 기밀히 폐쇄시키는 제3입구도어부재(520) 및 제3출구도어부재(530), 상기 제3출구도어부재(530)를 개방하면서 출구(512)로 피접합물(M)을 이송시키도록 출구측 분위기챔버(510)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다수개의 제4이송롤러(540), 상기 제4이송롤러(540)를 구동시키도록 연결된 제4구동모터(550), 상기 제3출구도어부재(530)의 개방으로 대기가 유입된 출구측 분위기챔버(510)의 내부를 진공상태로 형성시키는 제2진공펌프(560), 상기 제2진공펌프(560)에 의해 진공상태로 형성된 출구측 분위기챔버(510)의 내부로 분위기가스를 주입하여 환원성분위기를 조성하는 제4가스주입부재(5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징 자동화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3입구도어부재(520)는, 상하로 슬라이딩되면서 출구측 분위기챔버(510)의 입구(511)를 기밀히 폐쇄시키도록 개스킷(521a)이 구비된 제3입구도어(521), 상기 제3입구도어(521)를 개폐시키도록 슬라이딩시키는 제3개폐수단(52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징 자동화 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3개폐수단(522)은, 상기 제3입구도어(521)의 양측 상하로 구비된 제3압착로드(523)에 축핀(523a)으로 회전가능하게 축설되어 제3입구도어(521)의 폐쇄시 개스킷(521a)을 압착하도록 제3압착로드(523)를 직선운동시키는 제3캠롤러(524), 상기 제3캠롤러(524)를 상하로 안내하도록 출구측 분위기챔버(510)에 고정되는 제3수직가이드레일(525), 상기 제3수직가이드레일(525)을 따라 제3캠롤러(524)를 슬라이딩시키도록 제3캠롤러(524)를 연결하는 롤러샤프트(524a)에 작동로드(526a)로 연결되는 제5실린더(52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징 자동화 장치.
  18. 제 15 항에 있어서,
    제3출구도어부재(530)는, 상하로 슬라이딩되면서 출구측 분위기챔버(510)의 출구(512)를 기밀히 폐쇄시키도록 개스킷(531a)이 구비된 제3출구도어(531), 상기 제3출구도어(531)를 개폐시키도록 슬라이딩시키는 제4개폐수단(53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징 자동화 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4개폐수단(532)은, 상기 제3출구도어(531)의 양측 상하로 구비된 제4압착로드(533)에 축핀(533a)으로 회전가능하게 축설되어 제3출구도어(231)의 폐쇄시 개스킷(531a)을 압착하도록 제4압착로드(533)를 직선운동시키는 제4캠롤러(534), 상기 제4캠롤러(534)를 상하로 안내하도록 출구측 분위기챔버(510)에 설치되는 제4수직가이드레일(535), 상기 제4수직가이드레일(535)을 따라 제4캠롤러(534)를 슬라이딩시키기 위해 제4캠롤러(534)를 연결하는 롤러샤프트(534a)에 작동로드(536a)로 연결되는 제6실린더(23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징 자동화 장치.
  20.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4가스주입부재(570)는, 출구측 분위기챔버(510)의 내부로 분위기가스를 주입하도록 설치된 제4가스주입노즐(571), 상기 제4가스주입노즐(571)로 분위기가스를 공급하도록 연결된 제4가스공급탱크(57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징 자동화 장치.
  2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유닛(600)은, 적절한 높이를 갖는 이송대(610), 상기 이송대(61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피접합물(M)을 이송시키는 다수개의 제5이송롤러(620), 상기 제5이송롤러(620)를 구동시키도록 연결된 제5구동모터(6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징 자동화 장치.
KR2020060018270U 2006-07-05 2006-07-05 브레이징 자동화 장치 KR20042869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8270U KR200428695Y1 (ko) 2006-07-05 2006-07-05 브레이징 자동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8270U KR200428695Y1 (ko) 2006-07-05 2006-07-05 브레이징 자동화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2887 Division 2006-07-05 2006-07-0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8695Y1 true KR200428695Y1 (ko) 2006-10-16

Family

ID=417770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8270U KR200428695Y1 (ko) 2006-07-05 2006-07-05 브레이징 자동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869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7496A (ko) * 2018-03-12 2019-09-20 오덕환 연속 공정이 이루어지는 브레이징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7496A (ko) * 2018-03-12 2019-09-20 오덕환 연속 공정이 이루어지는 브레이징 장치
KR102076504B1 (ko) * 2018-03-12 2020-02-12 오덕환 연속 공정이 이루어지는 브레이징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67071B1 (ko) 브레이징 자동화 장치
KR101707577B1 (ko) 가열 용융 처리 장치 및 가열 용융 처리 방법
TWI278267B (en) Soldering apparatus and soldering method
US20130119112A1 (en) Reflow soldering system
US20080258360A1 (en) Continuous carburizing furnace
CN110035647A (zh) 一种贴片机及其贴片方法
KR200428695Y1 (ko) 브레이징 자동화 장치
KR101057477B1 (ko) 라디에이터 커버용 실리콘 부착장치
JP2009289973A (ja) リフローはんだ付け方法およびリフローはんだ付け装置
CN110129520B (zh) 热处理装置
CN108027208B (zh) 热处理装置
CN209065756U (zh) 一种用于烘干玻璃片的烤炉
CN201755708U (zh) 一种两段式波峰焊接设备
KR20100022884A (ko) 플럭스에 의한 컨베이어의 이동불량이 방지되는 브레이징 장치
CN114029575A (zh) 分段钎焊方法及分段钎焊装置
KR102076504B1 (ko) 연속 공정이 이루어지는 브레이징 장치
KR101094340B1 (ko) 리플로우 장치
US20070137061A1 (en) Freeze dryer shelf assembly
CN110091025A (zh) 连续钎焊设备及方法
KR102464571B1 (ko) 웨이브 가이드 제작 공법 개선 시스템
JPH1098263A (ja) 半田付け装置および半田付け方法
KR102322722B1 (ko) 사출기 및 압출기용 바이메탈 실린더 제조장치
CN117415402B (zh) 一种利用焊接处理室制造真空开关管组件的方法
KR102509080B1 (ko) 자동 용접 장치
JP2014049746A (ja) 加熱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