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8381Y1 - 시퀸 이송 장치 - Google Patents

시퀸 이송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8381Y1
KR200428381Y1 KR2020060018250U KR20060018250U KR200428381Y1 KR 200428381 Y1 KR200428381 Y1 KR 200428381Y1 KR 2020060018250 U KR2020060018250 U KR 2020060018250U KR 20060018250 U KR20060018250 U KR 20060018250U KR 200428381 Y1 KR200428381 Y1 KR 20042838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quin
lever
locking
guide member
suppor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825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쿠오 다지마
Original Assignee
도카이 고교 미싱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카이 고교 미싱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카이 고교 미싱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202006001825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838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838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838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35/00Work-feeding or -handl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5B35/06Work-feeding or -handl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ttaching bands, ribbons, strips, or tapes or for binding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CEMBROIDERING; TUFTING
    • D05C7/00Special-purpose or automatic embroidering machines
    • D05C7/08Special-purpose or automatic embroidering machines for attaching cords, tapes, band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시퀸 이송장치(6)에 있어서, 이송 레버(18)에 설치한 조정 부재(100)는, 그 조정편(100a)에 의해 락킹 레버(33)에 맞닿아 이 락킹 레버(33)의 요동 타이밍을 규제하는 부재로서, 이 조정편(100a)의 상대 위치에 따라 상기 요동 타이밍을 임의로 조정 가능하다. 이것에 의해, 걸어맞춤 갈고리(33a)가 시퀸에 걸어 맞춤하는 타이밍을 임의로 조정할 수 있다. 또, 지지판(8)에는, 시퀸 연결체(3)가 똑 바로 송출되도록 안내하는 시퀸 송출 안내부재(102)가 설치되어 있다. 안내 부재(102)는, 그 측변을 지지판(8)의 측벽에 맞닿음 시킨 상태로 지지판(8)에 고정하는 것만으로 위치 결정되므로 각별한 위치 조정을 실시하지 않아도 되며, 교환 작업이 용이하다.

Description

시퀸 이송 장치{SEQUIN TRANSFERING APPARATUS}
[도 1] 본 고안에 따른 시퀸 이송 장치를 실시한 자수 미싱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외관 사시도.  
[도 2] 동 실시예에 있어서의 시퀸 재봉 유닛의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측면도.  
[도 3] 동 실시예에 있어서의 시퀸 재봉 유닛에 있어서의 시퀸 이송장치의 부분을 더 확대하여 나타내는 측면도.  
[도 4] 도 3에 나타낸 시퀸 이송 장치의 부분 사시도.  
[도 5] 도 4에 나타낸 시퀸 이송 장치의 주요부를 더 확대하여 나타내는 일부 절결 사시도.  
[도 6] 동 실시예에 따른 조정 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 동 실시예에 따른 안내 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 (a)는 이송 레버가 최대로 전진하여 하나의 시퀸 이송 동작이 종료한 상태를 나타내는 시퀸 이송 장치의 주요부의 일부 단면 측면도, (b)는 그 평면 개략도.  
[도 9] (a)는 이송 레버가 최대로 후퇴한 상태를 나타내는 시퀸 이송 장치의 주요부의 일부 단면 측면도, (b)는 그 평면 개략도.  
[도 10] (a)는 이송 레버가 전진하여 후크부가 시퀸의 재봉 멈춤구멍에 걸어맞춤한 상태를 나타내는 시퀸 이송 장치의 주요부의 일부 단면 측면도, (b)는 그 평면 개략도.  
[도 11] (a)는 이송 레버의 전진시에 락킹 레버의 걸어맞춤 갈고리가 시퀸의 재봉 멈춤구멍에 걸어 맞춤한 직전 상태를 나타내는 시퀸 이송 장치의 주요부의 일부 단면 측면도, (b)는 그 평면 개략도.  
[도 12] 도 7의 안내 부재의 다른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3] 도 7의 안내 부재의 또 다른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4] (a) ~ (c)는 시퀸의 각종 형태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15] (a) 및 (b)는 종래 기술에 있어서의 이송 레버 전진 동작시의 락킹 레버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1 시퀸(sequin) 재봉 유닛 2 침봉(針棒) 케이스
3 시퀸 연결체 3a 시퀸의 재봉 멈춤구멍
S 시퀸 S1 시퀸의 접합부
4 설치 베이스 5 실패(reel)
6 시퀸 이송장치 7 지지 플레이트
8 지지판 16 요동 암
18 이송 레버 18a 이송 레버의 후크부
33 락킹 레버 33a 락킹 레버의 걸어맞춤 갈고리
100 조정 부재 102, 104, 105 시퀸 송출 안내부재
본 고안은, 시퀸 연결체로부터 시퀸(sequin)을 절단하면서 시퀸을 피봉제체(被縫製休)에 봉착(縫着)하는 미싱에 있어서의 시퀸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미싱에 있어서의 시퀸 이송장치의 종래 기술로서는, 예를 들면 실패(reel)로부터 풀려 나와서 지지판의 상부면에 얹혀진 시퀸 연결체를 송출하는 이송 레버와, 이송 레버에 의한 시퀸 이송 동작 종료시에 그 시퀸 연결체를 이동 불가능하게 잠그는 락킹 레버를 구비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하기 특허문헌 1을 참조). 이런 종류의 시퀸 이송장치에 있어서, 이송 레버는, 그 선단에 구비되는 후크부를 시퀸의 재봉 멈춤구멍에 걸어 맞춤시켜서 전진시킴으로써 시퀸 이송 동작을 실시하는 것으로서, 이 이송 레버의 전진 및 후퇴 동작을 반복함으로써, 시퀸 연결체에서의 상기 이송 레버의 후크부가 걸어 맞춤된 시퀸을 하나씩 송출하도록 구성되어 있었다. 한편, 락킹 레버는 이송 레버의 근방에서 요동 가능하게 지지된 것이며, 이 락킹 레버의 선단에 설치된 맞물림 걸어맞춤 갈고리가 이송 레버에 형성된 투과 구멍을 관통하도록 배설되는 동시에, 그 걸어맞춤 갈고리가 시퀸의 재봉 멈춤구멍에 걸어 맞춤하도록 스프링 부재 등에 의해 회동 가압 되고 있다.
이송 레버에 의한 시퀸 송출동작 종료시에, 이 락킹 레버의 걸어맞춤 갈고리가 시퀸의 재봉 멈춤구멍에 걸림으로써, 시퀸 연결체를 이동 불가능하게 잠글 수 있다. 이송 레버와 락킹 레버의 동작 관계를 간단히 기술하면, 그것은 다음과 같 다. 이송 레버가 후퇴할 때는, 이송 레버의 투과 구멍의 입구 가장자리가 락킹 레버에 맞닿아 이것을 가압하여 움직임으로써, 이 락킹 레버의 걸어맞춤 갈고리에 의한 시퀸의 재봉 멈춤구멍에 대한 걸림이 해제된다. 반대로, 이송 레버가 전진할 때는, 이 투과 구멍의 입구 가장자리가 락킹 레버로부터 이탈함으로써 락킹 레버가 요동이 자유로운 상태로 되고, 가압력에 의해 요동된 락킹 레버의 걸어맞춤 갈고리가 시퀸의 상부면에 맞닿고, 이 이송 레버가 전진하는 동안, 이 시퀸의 상부면에 맞닿은 걸어맞춤 갈고리는 해당 시퀸의 상부면을 상대적으로 슬라이딩한다. 그리고, 이송 레버가 송출을 종료했을 때에 걸어맞춤 갈고리가 시퀸의 재봉 멈춤구멍에 걸려 시퀸 연결체를 이동 불가능하게 잠근다. 
[특허문헌 1] 특개 2004-167097
상기 구성에 있어서는, 락킹 레버는 이송 레버의 투과 구멍의 입구 가장자리에 대해 맞닿음으로써, 이송 레버의 후퇴 동작에 따라 시퀸으로부터 이탈하는 방향으로 요동하고, 이송 레버의 전진 동작에 따라 시퀸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요동 하고 있었다. 바꾸어 말하면, 이송 레버의 전진 즉 시퀸 송출 행정에 있어서, 이송 레버의 투과 구멍의 입구 가장자리는 락킹 레버의 걸어맞춤 갈고리가 낙하(시퀸에 접근하는 방향으로의 요동)하는 타이밍을 규제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있었다. 여기서, 이송 레버의 전진 및 후퇴 동작(시퀸 연결체를 송출하는 동작)의 1 스트로크(stroke)의 피치(pitch)는, 사용하는 시퀸 연결체의 시퀸의 사이즈에 따라 다르다. 이것에 대하여, 이송 레버의 투과 구멍의 크기는, 여러 가지 사이즈의 시퀸에 대응할 수 있도록, 약간 크게(시퀸 이송 방향에 대응하는 길이) 형성되어 있고, 시 퀸의 사이즈에 따라 걸어맞춤 갈고리의 낙하 타이밍을 조정하는 것을 고려하고 있지 않다. 따라서. 종래의 시퀸 이송장치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이송 레버의 전진 동작시 즉 시퀸 송출 동작시에 있어서, 락킹 레버는 이송 레버의 투과 구멍의 입구 가장자리로부터 이탈한 시점에서 자유 상태로 되며, 그 걸어맞춤 갈고리가 시퀸의 상부면을 상대적으로 슬라이드 하고 있었다. 이 때문에, 시퀸의 재질에 의해서는 상기 걸어맞춤 갈고리에 의한 슬라이드 흔적이 남아 버리는 문제가 있었다. 
또, 시퀸에는 다양한 형상의 것이 있고, 근래에는 시퀸 봉착체(縫着休)의 장식성을 보다 높이기 위해 도 14(a),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재봉 멈춤구멍을 시퀸의 중심으로부터 편심시켜서 설치한 시퀸을 볼 수 있게 되어 왔다. 그렇지만, 도 14(a),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재봉 멈춤구멍이 시퀸의 중심으로부터 편심한 시퀸을 종래의 시퀸 이송장치에 의해 송출할 때에는 이하의 문제가 있었다. 즉, 이송 레버에 설치된 투과 구멍이 약간 크게(이송 방향에 대응하는 길이) 형성되어 있었기 때문에, 시퀸의 사이즈에 따라서는, 이송 레버의 전진 행정에서 각 시퀸의 접합부(接合部)보다 바로 앞의 위치에서 락킹 레버가 자유 상태로 되어 버리는 경우가 있었다. 이 때의 상태를 도 15에 나타내고 있다.
도 15 (a)는 재봉 멈춤구멍이 중심에 있는 시퀸을 이송하는 경우, (b)는 재봉 멈춤구멍이 중심으로부터 편심 하고 있는 시퀸을 이송하는 경우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도 15(a), (b) 에 있어서는, 락킹 레버(33)의 걸어맞춤 갈고리(33a)가 시퀸의 상부면에 탄성 접촉(스프링 등의 가압력에 의해 맞닿음)하고 있고, 이송 레버가 전진하면 시퀸 연결체는 화살표 A방향으로 송출되고, 걸어맞춤 갈고리(33a)는 시퀸의 상부면을 상대적으로 화살표 B방향으로 슬라이딩 한다. 이 때, 재봉 멈춤구멍이 중심에 있는 시퀸이면, 걸어맞춤 갈고리(33a)는 시퀸의 접합부 상을 통과하여 후속의 시퀸 상부면으로 이행한다(도 15(a)를 참조). 이것에 대하여, 도 15(b)의 재봉 멈춤구멍이 중심으로부터 편심하고 있는 시퀸의 경우는, 락킹 레버(33)의 걸어맞춤 갈고리(33a)가 시퀸 중심으로부터 편심한 재봉 멈춤구멍에 적합하도록 위치 조정되어 있으므로, 이 걸어맞춤 갈고리(33a)는 시퀸의 접합부로부터 벗어난(시퀸 사이가 떨어져 있다) C부 상을 슬라이딩 하고 만다. 이 때문에, 걸어맞춤 갈고리(33a)는, 이 C부 상에 위치했을 때에, 락킹 레버(33)에 부여되고 있는 회동 가압에 의해 해당 이간(離間) 부분(C부)으로 들어가고 만다. 이 상태로, 이송 레버가 다시 전진하면, 해당 이간 부분(C부)에 들어간 걸어맞춤 갈고리(33a)가 후속 시퀸의 가장자리부에 간섭하므로, 시퀸 연결체는 걸어맞춤 갈고리(33a)로부터 도망치듯이 사행(蛇行), 혹은 변형하고 만다.
또, 종래의 기술에서는, 이송 레버의 선단을 재봉 멈춤구멍에 걸어 맞춤시키는 한 점만을 지점으로 한 시퀸의 송출 동작을 실시하고 있었기 때문에, 재봉 멈춤구멍이 시퀸의 중심으로부터 편심한 시퀸, 특히, 그 재봉 멈춤구멍이 시퀸 연결체의 이송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편심하고 있는 경우(도 14(a), (b)등이 그것에 상당한다), 시퀸 연결체를 각 시퀸의 접합부 근처를 중심으로 회전시키려고 하는 힘이 작용하고, 이 접합부가 변형하여 시퀸에 경사(연직축 주위에)가 발생하게 되고 만다. 이 점에 대해서는, 시퀸 연결체를 똑바로 이송하기 위한 안내 부재를 구비하는 시퀸 이송장치의 구성이 주지되어 있다. 종래의 안내 부재로서는, 시퀸 연 결체의 좌우단을 규제하는 측벽을 구비하고, 이 양 측벽이 일체로 고정된 것, 혹은, 분할식으로 조정 가능한 것 등이 알려져 있다. 양 측벽이 일체로 고정된 타입의 안내 부재에서는, 시퀸의 사이즈에 따라 안내 부재를 교환하도록 되어 있고, 양 측벽이 분할식으로 조정 가능한 타입의 안내 부재에서는, 그 간격을 조정하도록 되어 있다. 그렇지만, 이들 종래의 안내 부재에는 이하의 문제점이 있다. 즉, 양 측벽이 분할식으로 조정 가능한 타입의 안내 부재에서는, 시퀸의 사이즈에 따라 양 측벽의 간격을 조정하는 것은 매우 수고가 들며, 특히 재봉 멈춤구멍이 편심하고 있는 시퀸에서는 양 측벽의 간격을 조정하는 동시에, 재봉 멈춤구멍을 봉침 낙하 위치에 합치시키지 않으면 안되어 조정 작업이 매우 귀찮다. 또한, 다두(多頭) 미싱에서는 그와 같은 조정 작업을 전체에 걸쳐서 행하지 않으면 안 되므로 시간이 걸려 작업 효율이 안 좋았다. 또, 양 측벽이 일체로 고정된 타입의 안내 부재에 있어서는, 각 시퀸의 사이즈에 대응한 안내 부재를 준비할 필요가 있고, 그만큼 코스트가 커져 비경제적 등의 문제는 있지만, 상기 양 측벽 분할식의 안내 부재로 조정을 행하는 것보다도 안내 부재의 교환 쪽이 작업을 단시간에 끝낼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
그렇지만, 이 타입의 안내 부재로서 종래부터 알려진 것으로는, 적어도 고정 위치의 조정 작업을 실시할 필요가 있고, 또 교환 작업도 그만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것은 아니었기 때문에, 역시 사용에 즈음하여 수고가 들어가고 말아 번거로웠다.
본 고안은, 상술한 점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사이즈, 형상 등이 다른 여러 가지 타입의 시퀸에 대응 가능한 것으로, 특히 재봉 멈춤구멍이 시퀸의 중심으로부터 편심한 시퀸의 송출 동작에 매우 적합한 시퀸 이송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시퀸 이송장치는, 시퀸 연결체를 이송 부재의 이동에 의해 소정 피치(pitch)씩 송출하는 이송 기구와, 상기 시퀸 연결체에 걸려 그 시퀸 연결체를 이동 불가능하게 잠그기 위한 걸림 돌기를 가지는 락킹 부재와, 상기 이송 부재에 의한 상기 시퀸 연결체의 송출 이동 행정에 있어서의 상기 걸림 돌기의 걸림 타이밍을 조정하는 조정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고안에 따른 시퀸 이송장치는, 시퀸 연결체를 소정의 송출 위치에 정합(整合)시킨 상태로 이송 부재의 이동에 의해 송출하는 이송 기구와, 송출하는 시퀸 연결체에 대응한 안내용 경로를 포함하고, 시퀸 연결체가 똑 바로 송출되도록 안내하는 시퀸 송출 안내부재와, 상기 안내 부재를 소정의 고정 위치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하는 설치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 위치에서 상기 소정의 송출 위치와 상기 경로가 정합(整合)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 형태의 일례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4개의 미싱 헤드를 가지는 4두(4頭) 조립 자수 미싱에서의 본 고안의 하나의 실시예를 나타낸다. 각 미싱 헤드에 대응하여 침봉(針棒)케이스(2)가 설 치되어 있고, 각 미싱 헤드의 침봉 아래쪽에 침판(針板, 50)이 배치되어 있다. 
시퀸 재봉 유닛(1)은 각 침봉 케이스(2)의 왼쪽 사이드 및/또는 오른쪽 사이드에 각각 장착되게 되어 있고, 본 실시예에서는 왼쪽 사이드에만 장착되어 있다. 각 침봉 케이스(2)는 다침(多針)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고, 본 실시예와 같이 시퀸 재봉 유닛(1)을 침봉 케이스(2)의 왼쪽 사이드에 장착하는 경우는, 침봉 케이스(2) 내의 최좌측의 바늘이 시퀸 재봉용의 바늘로서 사용된다. 통상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자수틀(51)은 재봉 데이터에 따라 횡 방향(X방향) 및 전후 방향(Y방향)으로 구동된다. 각 시퀸 재봉 유닛(1)에는, 시퀸 연결체를 감은 실패(5)가 각각 구비된다.
도 2는 시퀸 재봉 유닛(1)의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은 이 시퀸 재봉 유닛(1)에서의 시퀸 이송장치(6)의 부분을 더욱 확대하여 나타내는 측면도, 도 4는 시퀸 이송장치(6)의 부분 사시도, 도 5는 시퀸 이송장치(6)의 주요부를 더욱 확대하여 나타내는 일부 절결 사시도이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퀸 재봉 유닛(1)은, 설치 베이스(4)에서, 시퀸 연결체(3)를 감은 실패(5)와 시퀸 이송장치(6)를 지지하여 구성된다. 설치 베이스(4)는 링크(미도시)를 통하여, 침봉 케이스(2)에 대하여 승강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도 2 및 도 3에는, 설치 베이스(4)가 하강 위치로 내려지고, 시퀸 재봉이 가능한 상태로 되어 있는 자세를 나타낸다. 한편, 시퀸 봉재를 실행하지 않을 때는, 통상의 자수 재봉의 방해가 되지않도록 설치 베이스(4)를 윗쪽 위치에 퇴피(退避)시키도록 되어 있다. 그 승강 구동은, 도시하지 않는 에어 실린더에 의해 각 헤드에서 동시에 실행한다. 또한, 자수 미싱이 1두기(頭機)와 같이 미싱 헤드 수가 적은 것인 경우는 수동으로 승강시키도록 해도 된다.
시퀸 연결체(3)를 감은 실패(5)는, 설치 베이스(4)의 상부에 형성한 암부 (4a)의 상단에 회전 자유롭고,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실패(5)에 감겨진 시퀸 연결체(3)가 시퀸 이송장치(6)에 대하여 풀려 나온다. 시퀸 연결체(3)는 일정 폭의 합성수지제의 필름으로부터 타발(打拔)하는 것으로, 다수의 원형의 시퀸(S)을 접합부(S1)를 통하여 연결한 형태로 한 것(도 4 참조)이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각 시퀸(S)에는, 상술한 도 14(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재봉 멈춤구멍(바늘 끼우기용 구멍, 3a)이 시퀸의 이송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편심하여 형성되어 있다. 즉, 이 실시예에 나타내는 시퀸(S)은 재봉 멈춤구멍(3a)이 시퀸의 중심으로부터 편심된 것이다.
시퀸 이송장치(6)의 구성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시퀸 이송장치(6)는, 설치 베이스(4)의 하부에 설치된 지지 플레이트(7)에 조립되어 있다. 지지 플레이트(7)의 하단에는 시퀸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판(8)이 수평으로 형성되어 있다. 실패(5)로부터 풀려나온 시퀸 연결체(3)는 텐션 롤러(45) 및 전향 롤러(46, 도 2 참조)를 통하여 설치 베이스(4)에 따라 걸려 있고, 브래킷(11)의 후면에 설치된 가이드부(12, 도 2, 도 3을 참조)를 거쳐 지지판(8) 상으로 유도되고, 자수 미싱의 정면에서 볼 때 후방으로 송출된다. 또한, 시퀸 재봉 유닛(1)에 관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설명의 편의상, 전후 방향을 자수 미싱에 있어서의 전후 관계와는 반대로 기술하는 것으로 한다. 즉, 시퀸의 송출 방향의 지향 방향(자수 미싱의 정면에서 볼 때 후방:도 2에 있어서 우측)을「전방」으로 한다.
지지판(8)에는, 시퀸 송출 방향(전후방향)에 따라 소정의 길이로 적절한 폭의 슬릿(8a, 후술 도 7 참조)이 설치되어 있고, 이 슬릿(8a)은 후술하는 이송 레버(18)의 선단의 후크부(18a) 및 락킹 레버(33)의 걸어맞춤 갈고리(33a)(도 5 참조)의 파고듬을 허용하기 위해 설치되어 있다. 가이드부(12)는, 좌우 방향의 위치 조정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지지판(8) 상에 유도된 시퀸 연결체(3)의 각 시퀸(S)의 재봉 멈춤구멍(3a)이 상기 슬릿(8a)에 정합되도록 상기 위치 조정이 이루어지고 있다. 또, 가이드부(12)는, 판재를 절곡하여 단면 コ자형의 안내부(12a)를 2개 형성한 것이며, 세트된 시퀸 연결체(3)의 폭에 따라 교환 가능하다. 이 가이드부(12)를 설치한 브래킷(11)의 전면에는 가압부재(44)가 설치되어 있다. 가압부재(44)는, 스프링 강판과 같은 탄력을 가진 판재로 형성되어 있고, 시퀸(S)의 폭과 동등 혹은 약간 넓은 폭으로 소정 길이를 가지고 있다. 가압부재(44)의 일단측이 브래킷(11)에 고정되고, 중앙부가 원호형상으로 만곡 형성되면서 타단측이 지지판(8)의 상부면에 탄성 접촉한다. 가이드부(12)를 통하여 지지판(8) 상에 풀려나온 시퀸 연결체(3)는, 이 지지판(8)과 그 상부면에 탄성 접촉하는 가압부재(44)와의 사이에 끼워져 통과된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지 플레이트(7)의 중앙부에는 축심을 좌우 방향(도 1의 X방향)에 따르게 한 회동축(15)이 회동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회동축(15)에는 요동 암(16)이 나사(17)에 의해 고정된다. 또, 회동축(15)에는 상기 요동 암(16)의 근처에 종동레버(20)가 나사(21)에 의해 고정되어 있고, 이 종동레 버(20)와 요동 암(16)과는 결과적으로 벨 크랭크 형상으로 일체로 되어 있다. 회동축(15)에 끼워 장착된 토션 스프링(22)의 일단이 지지 플레이트(7)에 고정되고, 타단이 종동레버(20)에 걸려져 있고, 이것에 의해, 요동 암(16)이 도 3에 있어서 반시계방향으로 요동 가압 되고 있다. 토션 스프링(22)에 의해, 반시계 방향으로 요동 가압된 요동 암(16)은, 지지 플레이트(7)에 설치한 스토퍼(25)에 맞닿음으로써, 도 2 ~ 도 5에 나타낸 자세로 유지된다. 또한 스토퍼(25)는, 지지 플레이트(7)에 고정한 브래킷(26)에 나사식 붙임된 나사 봉으로 이루어지며, 너트의 죄임에 의해 잠금되는 것으로, 그 후단에 요동 암(16)이 맞닿는다. 도 2 ~ 도 5에 나타내는 요동 암(16)의 자세는, 상세하게는 후술하는 하나의 시퀸 송출 동작이 종료한 상태에 대응한다. 하나의 시퀸 송출이 종료한 상태에서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두와 선두로부터 2번째의 시퀸(S) 사이의 접합부가, 지지판 (8)의 전단(前端) 가장자리에 형성된 고정 날(8b)의 칼끝에 위치하고 있다. 지지 플레이트(7)의 하부에는 가동 날(27)이 핀(28)에 의해 회동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고, 토션 스프링(30)에 의해, 항상 고정 날(8b)로부터 윗쪽으로 떨어진 퇴피 자세로 유지되어 있다. 가동 날(27)은 침봉(針棒, 31)이 하강했을 때 그 하단의 바늘 용기(32)에 의해 가압되어 움직이게 되어 있다. 가동 날(27)은, 이 바늘 용기(32)에 의한 가압 이동에 따라 토션 스프링(30)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아래쪽으로 요동하고, 고정 날(8b)과 협동하여 시퀸(S)의 접합부(S1)를 절단한다. 침봉(31)과 함께 바늘 용기(32)가 상승하면, 가동 날(27)은 토션 스프링(30)의 복원력에 의해 퇴피 자세로 돌아온다.
요동 암(16)의 자유단에는, 이송 레버(18)가 축(19)에 의해 회동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축(19)에 끼워 장착된 토션 스프링(도시 생략)의 일단은 요동 암(16)에 고정되고, 타단은 이송 레버(18)에 걸려져 있다. 이 토션 스프링에 의해, 이송 레버(18)는 시계 방향으로 회동 가압됨으로써, 이송 레버(18)의 선단측은 항상 지지판(8)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가압된다.
이송 레버(18)의 선단에는 후크부(18a)가 형성되어 있다. 이송 레버(18)는 그 선단의 후크부(18a)를 지지판(8)의 상부면에 얹혀진 시퀸 연결체(3)의 시퀸(S)의 재봉 멈춤구멍(3a)에 건 상태로 전진 동작하는 것으로, 시퀸 연결체(3)를 전방에 소정 피치로 송출하는 동작을 실시하는 부재이다. 나중에 상세하게 설명하는 바와 같이 요동 암(16)의 요동에 따라 이송 레버(18)가 전진 및 후퇴 동작을 실행하고, 시퀸 연결체(3)를 전방으로 소정 피치씩 순차적으로 송출하도록 되어 있고, 이 요동 암(16) 및 이것을 요동시키는 기구가, 이 이송 레버(18)에 전진 및 후퇴 동작을 실행하게 하는 이송 기구에 상당한다. 요동 레버(16)와 일체인 상기 종동 레버(20)의 자유단은 연결 링크(37)를 통하여 구동 레버(38)의 자유단에 연결되어 있다. 구동 레버(38)는, 설치 베이스(4)의 좌측면에 고정된 모터(36)의 출력축(40)에 고정되어 있다. 모터(36)의 구동에 의해, 구동 레버(38)를 소정 각도 범위에서 왕복 요동 구동함으로써, 연결 링크(37) 및 종동 레버(20)를 통하여 요동 암(16)을 요동시키고, 이 요동 암(16)의 요동에 따라 이송 레버(18)를 전진 및 후퇴 구동하는 것으로, 시퀸 연결체(3)의 송출 동작이 행해 진다.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송 레버(18)에는 이송 레버(18)에 의한 시퀸 연결체(3)의 송출 이동 행정에 있어서, 후술하는 걸어맞춤 갈고리가 시퀸 에 걸어 맞추는 타이밍을 조정하기 위한 조정 수단으로서 조정 부재 (100)가 배설(配設)되어 있다. 도 6은 이송 레버(18)에 대한 조정 부재(100)의 설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정 부재(100)는 나사(101)에 의해 이송 레버(18)에 대해 설치되어 있고, 그 설치구멍은 이송 레버(18)의 동작 방향에 따르는 긴 구멍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조정 부재(100)는, 전체적으로 이송 레버(18)의 동작 방향에 따라 길이로 연장한 부재로서, 그 단부에서 조정편(100a)이 형성되어 있다. 조정편(100a)은, 조정 부재(100)가 이송 레버(18)에 설치되었을 때에, 이 이송 레버(18)의 투과 구멍(18b) 상을 횡단하는 것처럼 연장된 것으로 이 투과 구멍(18b)의 일부를 덮을 수 있다. 또, 조정 부재(100)를 이송 레버(18)에 대해 설치하기 위한 설치 구멍이 이송 레버의 동작 방향에 따르는 긴 구멍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부터, 조정 부재(100)의 이송 레버(18)에 대한 고정 위치는 설치 구멍에 따라 조정 가능하다. 조정 부재(100)의 이송 레버(18)에 대한 고정 위치를 조정하는 것으로, 조정편(100a)의 투과 구멍(18b)에 대한 상대 위치를 위치 조정할 수 있다.
이 조정편(100a)이 후술하는 락킹 레버(33)의 맞닿음부로서 기능을 하기 때문에, 조정편(100a)의 고정 위치에 따라 락킹 레버(33)의 움직임을 규제하고, 그 단부(걸어맞춤 갈고리)가 시퀸에 걸어 맞춤하는 타이밍을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이 점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시퀸 이송 동작의 설명에서 상세하게 기술하는 것으로 한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지판(8)의 상부면에는 지지판(8) 상에 유도된 시퀸 연결체(3)가 이송 레버(18)의 송출 동작에 따라 바로 송출되도록 이 시퀸 연결체(3)를 안내하는 수단으로서 시퀸 송출 안내부재(102)가 배설되어 있다. 도 7은 지지판(8)에 대한 송출 안내 부재(102)의 설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지지판(8)과 송출 안내 부재(102)를 비스듬히 위쪽에서 본 사시도이다. 송출 안내 부재(102)는, 지지판(8)에 대하여 나사(103)에 의해 고정되는 것으로, 시퀸 연결체(3)의 시퀸(S)의 좌우 가장자리부를 규제하는 한 쌍의 안내벽(102a, 102b)을 구비한다. 안내벽(102a)와 안내벽(102b)의 간격은 가이드 해야 할 시퀸(S)의 폭보다 약간 크게 설정되어 있고, 이 안내벽(102a, 102b) 사이에 시퀸 연결체(3)를 통과하게 하는 것으로, 이 연결체(3)를 똑 바로 송출하도록 가이드 할 수 있다. 
송출 안내 부재(102)에는, 지지판(8)의 슬릿(8a)에 대응하여 전후 방향으로 연장한 소정 길이의 슬릿(102c)이 설치되어 있고, 안내벽(102a, 102b) 사이에 유도된 시퀸의 재봉 멈춤구멍(3a)은 슬릿(102c)에 정합되도록 되어 있다. 슬릿(102c)은, 이송 레버(18)의 후크부(18a) 및 락킹 레버(33)의 걸어맞춤 갈고리(33a, 도 5 참조)가 시퀸(S)의 재봉 멈춤구멍(3a)에 걸렸을 때에, 각 선단부의 파고듬을 허용하기 위해 형성되어 있고, 이 슬릿(102c)을 지지판(8)의 슬릿(8a)에 일치시킨 위치가 송출 안내 부재(102)의 고정 위치로 된다. 그렇다고 하는 것도, 이송 레버(18)의 후크부(18a) 및 락킹 레버(33)의 걸어맞춤 갈고리(33a)가 양 슬릿에 끼워 넣지 않으면, 시퀸 이송 동작을 적절히 실행할 수 없기 때문이다.
송출 안내 부재(102)는, 안쪽의 측변(102d)을 지지판(8)의 측벽(8c)에 맞닿음시킨 상태로 지지판(8)에 고정하면, 슬릿(102c)이 지지판(8)의 슬릿(8a)과 일치 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 송출 안내 부재(102)는, 안쪽의 측변(102d)을 지지판(8)의 측벽(8c)에 맞닿음 시키는 것만으로 위치 결정을 행할 수 있고, 또 지지판(8)에 대한 고정도 1개의 나사(103) 만으로 실시할 수 있으므로, 그 고정 작업이 매우 용이하다. 
이 송출 안내 부재(102)는 안내벽(102a, 102b)의 간격이 불변이기 때문에, 꿰매 붙이는 시퀸이 다른 사이즈의 것으로 변경되었을 경우에는, 변경된 시퀸의 사이즈에 따른 안내벽(102a, 102b)의 간격을 가지는 다른 송출 안내 부재(102)로 바꿀 필요가 있다. 그와 같은 경우에도, 이 실시예에 관련하는 송출 안내 부재(102)는 상기와 같이 그 착탈 작업이 매우 용이하기 때문에 교환에 수고가 들지 않는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한쪽(도 7에서 바로 앞쪽)의 안내벽(102a)을 송출 안내 부재(102)의 최후부(崔後部)까지 형성하고 있으나, 이것을 다른쪽의 안내벽(102b)과 같은 길이로 해도 된다. 또, 한쪽의 안내벽(102b)의 길이도 시퀸 연결체(3)를 똑바로 송출할 수 있다면 더 짧게 해도 된다. 즉, 안내벽(102a, 102b)의 길이는, 도시의 예에 한정하지 않고, 시퀸 연결체(3)를 똑바로 송출할 수 있기만 하면 어떠한 길이라도 무방하다.
다음에, 락킹 레버(33)의 구성과 그 구동 기구에 대해 간단히 설명한다.
도 3,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락킹 레버(33)는, 일단측의 선단에 걸어맞춤 갈고리(걸림 돌기, 33a)가, 타단측에 스토퍼부(33b)가 형성되어 있고, 그 중간부가 지지 플레이트(7)에 설치된 지지 블록(35)에 대해 핀(39)에 의해 회동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도 5에 있어서는, 락킹 레버(33)를 보기 쉽게 하기 위해 이송 레버(18), 조정 부재(100)의 앞부분을 절결하여 그려져 있다. 락킹 레버(33)의 걸어맞춤 갈고리(33a)는 이송 레버(18)에 형성된 투과 구멍(18b)을 관통하고 있다. 이송 레버(18)의 투과 구멍(18b)의 일부를 덮도록 배치된 상기 조정 부재(100)의 조정편(100a)은, 이 투과 구멍(18b)을 관통한 걸어맞춤 갈고리(33a)에 대해, 시퀸 이송 방향의 전방 측에 위치하고 있다. 즉, 조정편(100a)은 걸어맞춤 갈고리(33a)에 대한 투과 구멍(18b)의 크기(시퀸 이송 방향의 길이)를 조정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지지 블록(35)에 설치된 핀(39)에는 토션 스프링(미도시)이 설치되어 있고, 이 토션 스프링에 의해 락킹 레버(33)는 지지 블록(35)에 대해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 가압 되어 있다. 이 회동 가압에 의해, 락킹 레버(33)는 자유 상태에서는 스토퍼부(33b)가 지지 블록(35)이 받이부(35a)에 맞닿음 하고, 걸어맞춤 갈고리(33a)의 단부가 지지판(8)의 슬릿(8a) 내에 임하는 자세로 유지되도록 되어 있다. 이 자세로 유지된 락킹 레버(33)의 걸어맞춤 갈고리(33a)는, 지지판(8) 상에 유도된 시퀸 연결체(3) 중 하나의 시퀸(S)의 봉지구멍(3a)에 계합하고, 시퀸 연결체(3)를 이동 불능하게 잠근다. 한편, 도 5에 나타내는 상태에서, 이송 레버(8)가 후퇴 동작하면, 이 이송 레버(18)에 고정된 조정 부재(100)의 조정편(100a)의 가장자리부가 락킹 레버(33)에 맞닿는다. 이 때문에, 락킹 레버(33)는, 이송 레버(8)의 후퇴 동작에 추종하여 가압 이동되고, 상기 토션 스프링에 의한 반시계 방향의 회동 가압력에 대항하여 핀(39)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동한다. 락킹 레버(33)의 시계 방향으로의 회동에 의해, 그 걸어맞춤 갈고리(33a)가 상향(시퀸으로부터 멀어지는 방 향)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이 걸어맞춤 갈고리(33a)의 시퀸(S)의 재봉 멈춤구멍(3a)에 대한 걸어 맞춤이 해제되게 된다. 이와 같이, 토션 스프링(미도시)에 의한 반시계 방향의 회동 가압 및 이송 레버(18)의 후퇴 동작에 의한 시계 방향의 회동 가압에 의해, 락킹 레버(33)는 회동(요동) 구동된다.
또한, 락킹 레버(33)를 지지한 지지 블록(35)은, 지지 플레이트(7)에 대한 전후 방향(지지판(8) 상에서의 시퀸 연결체(3)의 이송 방향)의 고정 위치를 조정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락킹 레버(33)의 걸어맞춤 갈고리(33a)가 시퀸(S)에 걸어 맞춤하는 위치를, 이 시퀸(S)의 사이즈에 맞추어서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지지 플레이트(7)도 설치 베이스(4)에 대하여 전후 방향(지지판(8) 상에서의 시퀸 연결체(3)의 이송 방향)으로 고정 위치의 조정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다음에, 본 실시예에 따르는 시퀸 이송 동작에 대하여, 그 동작을 순서를 쫓아 나타낸 도 8 ~ 도 11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8 ~ 도 11의 각 도면에 있어서, (a)는 시퀸 이송 동작의 각 상태를 나타내는 시퀸 이송 기구의 일부 단면 측면도이며, (b)는 시퀸 이송 동작의 각 상태를 평면 개략도로 나타낸다. 
도 8은 하나의 시퀸 이송 동작이 종료한 상태를 나타낸다. 하나의 시퀸 송출 동작이 종료한 상태에 있어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시퀸 연결체(3)의 선두에 위치하는 하나의 시퀸(S)이 지지판(8)의 전방으로 돌출하고, 이 선두의 시퀸(S)과 선두로부터 2번째의 시퀸(S) 사이의 접합부(S1)가, 지지판(8)의 전단 가장자리에 형성된 고정 날(8b)의 칼끝에 정합하고 있다. 또, 이송 레버(18)의 후크부(18a)가 선두로부터 2번째의 시퀸(S)의 봉지 구멍(3a)에 걸어 맞춤하고 있는 동시에, 그 3개 후 에 계속되는 시퀸(S)의 재봉 멈춤구멍(3a)에 락킹 레버(33)의 걸어맞춤 갈고리(33a)가 걸어 맞춤하고 있다. 도 8(b)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조정 부재(100)의 조정편(100a)은, 이송 레버(18)의 투과 구멍(18b)의 전방측(도 8(b)에서는 우측)을 일부 덮는 것으로, 투과 구멍(18b)의 크기(시퀸 이송 방향의 길이)를 좁히고 있다. 조정 부재(100)의 고정 위치는, 하나의 시퀸 송출 동작이 종료한 상태에서, 조정편(100a)이 락킹 레버(33)로부터 약간 전방으로 떨어지는 것과 같은 위치에 조정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침봉(31, 도 3 참조)의 하강 동작에 따라, 시퀸 재봉 동작이 이하의 순서로 행해진다. 먼저, 침봉(31) 하단의 재봉침(41, 도 3 참조)이, 시퀸 연결체(3)의 선두에 위치하는 시퀸(S)의 재봉 멈춤구멍(3a)에 끼워 넣는다. 이어서 바늘 용기(32)의 하단부가 가동 날(27)의 상부에 맞닿아 이것을 눌러 내린다. 그러면, 눌러 내려진 가동 날(27)과 고정 날(8b)의 협동에 의해 시퀸 연결체(3)의 접합부(S1)가 절단되고, 선두의 시퀸(S)이 이 연결체(3)로부터 절단 분리된다. 이 절단 분리된 하나의 시퀸(S)은, 그 재봉 멈춤구멍(3a)에 재봉 침(41)이 끼워 넣은 상태를 유지한 채 피자수옷감(W, 도 3 참조) 상에 낙하하고, 이후, 피자수옷감(W)을 유지한 자수틀의 이동 제어와 침봉(31)의 상하 이동에 의해, 그 시퀸(S)의 피자수옷감(W)으로의 꿰매기가 행해진다.
다음으로, 모터(36)의 구동에 의해 요동 레버(16)가 시계 방향으로 회동되면, 이것에 따라 이송 레버(18)가 후퇴한다. 이송 레버(18)의 후퇴 방향은 도 8(a) 상에서는 좌측에 상당한다. 이송 레버(18)가 후퇴하기 시작하면, 이 이송 레버(18) 에 고정되어 있는 조정 부재(100)의 조정편(100a)의 가장자리부가, 투과 구멍(18b) 내를 관통하는 락킹 레버(33)에 맞닿고, 이것을 토션 스프링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시계 방향으로 회동시킨다. 이 락킹 레버(33)의 회동에 의해, 걸어맞춤 갈고리(33a)가 시퀸(S)에서 윗쪽으로 멀어지고, 걸어맞춤 갈고리(33a)의 시퀸(S)의 재봉 멈춤구멍(3a)에 대한 걸림이 해제된다. 
이송 레버(18)의 후퇴에 수반하여 락킹 레버(33)가 시계 방향으로 회동하는 타이밍은, 조정 부재(100)의 조정편(100a)과 락킹 레버(33)의 위치 관계 즉 도 8의 상태에서의 양자의 이간간격(離間間隔)에 대응한다. 이간간격이 작으면, 이송 레버(18)의 후퇴 개시에 대하여 약간 빠른 타이밍으로 되고, 이 이간 간격이 크면, 이송 레버(18)의 후퇴 개시에 대하여 약간 늦은 타이밍으로 된다.
도 9는 이송 레버(18)가 가장 후퇴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8로부터 도 9에 이르는 이송 레버(18)의 후퇴 과정에 있어서는, 이송 레버(18)의 후크부(18a)가 시퀸(S)의 재봉 멈춤구멍(3a)으로부터 빠져 나와 이송 레버(18)가 시퀸 연결체(3)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후퇴하게 된다. 이 때, 락킹 레버(33)의 걸어맞춤 갈고리(33a)의 시퀸(S)의 재봉 멈춤구멍(3a)에 대한 걸어 맞춤이 풀린 상태로, 이송 레버(18)가 후퇴하게 되나, 가압 부재(44)의 스프링 탄성력에 의해 시퀸 연결체(3)가 가압되어 있으므로, 이 이송 레버(18)의 후퇴에 수반하여 시퀸 연결체(3)가 함께 후퇴해버리는 일은 없다. 
또, 이송 레버(18)의 후크부(18a)가 재봉 멈춤구멍(3a)으로부터 빠져 나갈 때(이송 레버(18)의 후퇴 시동시)에는 락킹 레버(33)의 걸어맞춤 갈고리(33a)가 아 직 봉지구멍(3a)에 걸어 맞춤하고 있으므로, 이송 레버(18)의 후크부(18a)가 센터 구멍(3a)으로부터 빠져나올 때에 시퀸 연결체(3)가 이동해 버리는 것은 방지된다. 이것으로부터, 적어도 후크부(18a)가 센터 구멍(3a)으로부터 빠져나올 때까지는, 락킹 레버(33)가 회동되지 않도록 조정 부재(100)의 조정편(100a)과 락킹 레버(33)의 이간 간격을 두고, 락킹 레버(33)의 회동 타이밍을 조정하면 된다.
그 후, 모터(36, 도 3, 도 4 참조)의 역회전에 의해 요동 레버(16)가 반시계방향으로 요동 구동되고, 이송 레버(18)가 도 8에 나타내는 위치까지 전진한다. 도 10 및 도 11은, 그 전진 과정의 상태 천이를 나타내고 있다.
먼저, 도 10은 이송 레버(18)가 전진하고, 그 후크부(18a)가 시퀸(S)의 재봉 멈춤구멍(3a)에 걸어 맞춤한 시점을 나타내고 있다. 이 시점 이후의 이송 레버(18)의 전진에 의해 시퀸 연결체(3)의 송출이 실행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락킹 레버(33)는 토션 스프링에 의해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 가압되어 있으나, 도 10에 나타내는 시점에서는, 조정 부재(100)의 조정편(100a)이 락킹 레버(33)에 맞닿아 있으므로, 이 스프링의 가압력에 의한 회동은 억제되어 있다. 그러나, 이송 레버(18)의 전진 동작에 따라 조정편(100a)의 락킹 레버(33)에 대한 상대 위치가 시퀸 이송 방향으로 천이하는데 추종하고, 락킹 레버(33)도 반시계 방향(시퀸 이송 방향)으로 회동한다. 이 락킹 레버(33)의 회동에 수반하여 걸어맞춤 갈고리(33a)는 시퀸(S)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내려온다. 도 11은, 락킹 레버(33)의 걸어맞춤 갈고리(33a)가 시퀸(S)의 재봉 멈춤구멍(3a)에 걸어 맞춤하기 직전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시점에서는, 아직 조정 부재(100)의 조정편(100a)이 락킹 레버(33)와 맞닿아 있다. 이곳으로부터, 계속해서 이송 레버(18)가 전진하면, 조정편(100a)이 락킹 레버(33)로부터 멀어지고, 도 8에 나타내는 송출 종료의 자세에 도달 직전에, 락킹 레버(33)가 자유 상태로 된다. 그리고, 이송 레버(18)가 도 8에 나타내는 송출 종료 자세에 도달했을 때에, 상술한 토션 스프링의 가압력에 의해 락킹 레버(33)의 걸어맞춤 갈고리(33a)가 시퀸(S)의 재봉 멈춤구멍(3a)에 완전히 걸어 맞춤한다.
즉, 조정 부재(100)의 조정편(100a)의 락킹 레버(33)에 대한 상대 위치에 따라, 이송 레버(18)의 전진 동작시에서 락킹 레버(33)가 조정편(100a)으로부터 멀어져서 자유 상태로 되는 타이밍 즉 그 걸어맞춤 갈고리(33a)가 시퀸(S)의 재봉 멈춤구멍(3a)에 걸어 맞춤하는 타이밍을, 시퀸 송출 종료시 내지 그 직전으로 되도록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것에 의해, 걸어맞춤 갈고리(33a)가 시퀸의 상부면을 슬라이드 하는 것을 완전히 없애거나 혹은 극히 짧은 거리로 할 수 있고, 시퀸의 상부면에 슬라이드 흔적이 남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또, 이 실시예와 같이 재봉 멈춤구멍(3a)이 중심으로부터 편심하고 있는 시퀸(S)의 연결체(3)를 사용하는 경우라도, 각 시퀸(S)의 접합 부분에 걸어맞춤 갈고리(33a)가 파고 들어가 송출에 간섭하는 일이 없으므로, 확실히 시퀸을 송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낸 시퀸 연결체(3)를 송출하는 과정에 있어서, 시퀸 연결체(3)는 안내 부재(102)의 안내벽(102a, 102b)에 의해서 안내되어 있기 때문에, 시퀸(S)을 그 접합부(S1) 근방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려고 하는 힘이 작용하여도, 안내벽(102a, 102b)에 따라 똑바로 확실히 송출할 수 있다.
다음에, 실패(5)를 교환하고, 꿰매는 시퀸(S)을 다른 사이즈의 것으로 변경 했을 때의 각부의 조정예에 대해 설명한다. 이 각부의 조정은, 하기의 (1)~(6)의 조정을 동시에 또는 적당한 차례로 실행하면 된다.
(1) 시퀸 이송 피치의 조정
시퀸 이송 피치를 조정하기 위해서는, 요동 레버(16)를 고정하고 있는 나사(17, 도 3 참조)를 느슨하게 하고, 회동축(15)에 대해 요동 레버(16)를 손으로 용이하게 돌릴 수 있도록 한다. 또, 스토퍼(25)의 잠금을 풀고, 한편, 시퀸 연결체(3)를 실패(5)로부터 지지판(8) 상에 풀어 내어서 도 8(b) 등에 나타낸「송출 종료 상태」와 같이 연결체(3)의 선두의 시퀸(S)을 지지판(8)의 전단으로부터 돌출시키는 동시에, 요동 레버(16)와 이송 레버(18)를 수동 조작하고, 이 선두의 시퀸(S)로부터 2번째의 시퀸의 재봉 멈춤구멍(3a)에 이송 레버(18)의 후크부(18a)를 걸어 맞춤시킨다. 이와 같이, 요동 레버(16) 및 이송 레버(18)를 포함하는 이송 기구를, 신규로 변경된 시퀸의 사이즈에 맞춘「송출 종료 상태」에 조정한 상태로, 스토퍼(25)를 잠궈 나사(17)를 조인다.
(2) 락킹 레버의 조정
락킹 레버(33)의 조정을 하기 위해서는, 먼저, 지지 블록(35)의 잠금을 해제한다. 그리고, 락킹 레버(33)의 상단의 스토퍼부(33b)가 지지 블록(35)이 받이부(35a)에 맞닿은 상태로, 락킹 레버(33)의 걸어맞춤 갈고리(33a)가, 도 8(b)에 나타낸 소정의 시퀸(S, 후크부(18a)가 걸어 맞춤한 시퀸으로부터 다시 3개 후의 시퀸)의 재봉 멈춤구멍(3a)에 걸어 맞추도록, 지지 블록(35)의 전후 위치를 수동 조정하는 것으로 락킹 레버(33)의 위치를 조정한다. 이와 같이, 도 8 등에 나타내는 「송출 종료 상태」와 같이 락킹 레버(33)의 걸어맞춤 갈고리(33a)가 소정의 시퀸(S)의 재봉 멈춤구멍(3a)에 걸어 맞추도록 락킹 레버(33)의 위치를 조정한 상태로, 지지 블록(35)을 잠근다. 
(3) 재봉 침 위치에 대한 시퀸의 재봉 멈춤구멍의 위치 조정
재봉 침(41)과 시퀸(S)의 봉지 구멍(3a)과의 위치 조정은, 지지 플레이트(7)의 설치 베이스(4)에 대한 위치 조정에 의해 실행된다. 지지 플레이트(7)는 설치 베이스(4)에 대해 전후 방향의 가이드 부재를 통하여 설치되어 있으므로, 먼저, 이 가이드 부재에 관련하여 설치되어 있는 잠금(미도시)을 해제하고, 지지 플레이트(7)를 설치 베이스(4)에 대해 전후 방향으로 수동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지지판(8)으로부터 송출하여 접합부(S1)를 고정 날(8b)의 칼끝에 정합시킨 상태의 시퀸(S)의 재봉 멈춤구멍(3a)의 중심이 재봉 침(41)의 중심에 맞도록 위치 조정한다. 이 조정이 끝나면, 가이드 부재 및 지지 플레이트(7)를 잠궈 설치 베이스(4)에 대해 고정한다 
(4) 가이드부의 교환
브래킷(11)에 설치된 가이드부(12)는, 필요에 따라 교환한 시퀸(S)의 폭에 맞는 것과 교환하면 된다.
(5) 조정 부재(100)의 조정
조정 부재(100)를 이송 레버(18)에 고정하고 있는 나사(101)를 느슨하게 하고, 이송 레버(18)가 도 8에 나타낸「송출 종료 상태」에 있을 때에, 조정 부재(100)의 조정편(100a)이 락킹 레버(33)로부터 약간 떨어지도록 조정 부재(100)의 위치를 조정하여 나사(101)를 조인다. 이 이간의 간격이, 이송 레버(18)의 전진/후퇴에 수반하는 락킹 레버(33)의 요동의 타이밍(걸어맞춤 갈고리(33a)가 시퀸(S)에 계합하는 타이밍)을 규정하고 있는 것은, 상술한 바와 같다. 
(6) 시퀸 송출 안내부재(102)의 교환
송출 안내 부재(102)는, 필요에 따라, 교환된 시퀸(S)의 사이즈, 형상에 대응하는 것으로 교환한다. 즉, 나사(103)를 제거하여 전회 사용한 송출 안내 부재(102)를 장치로부터 제거하는 동시에, 변경된 시퀸(S)의 사이즈, 형상에 적합한 송출 안내 부재(102)를, 그 측변(102d)을 지지판(8)의 측벽(8c)에 맞닿음 시키는 것으로 위치 결정하고, 나사(103)에 의해 지지판(8)에 고정한다. 
상기 도 7에 나타낸 시퀸 송출 안내부재(102)와는 다른 시퀸 송출 안내부재의 구성 예를 도 12 및 도 13에 나타낸다.
도 12에 있어서, 시퀸 송출 안내부재(104)는, 도 14(b)에 나타내는 타입의 시퀸 연결체에 매우 적합한 것이다. 송출 안내 부재(104)는, 한 쌍의 안내벽(104a, 104b), 슬릿(104c) 및 위치 결정을 위한 측변(104d)를 가지는 동시에, 안내벽(104b)의 상단에 차양 형상으로 형성된 가압편(104e)을 구비하고 있다. 도 14(b)에 나타낸 타입의 시퀸은, 재봉 멈춤구멍의 위치와 이 재봉 멈춤구멍과는 반대측의 단부가 떨어져 있기 때문에, 이송 레버(18)의 후크부(18a)가 재봉 멈춤구멍에 걸어 맞추었을 때에, 이 반대측의 단부 부근이 위로 휘어지기 쉽다. 그래서, 송출 안내 부재(104)는 안내벽(104b)의 상단에 형성된 가압편(104e)에 의해, 이 반대측의 단부 부근의 위로 휘어지는 상태를 누를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송출 안내 부 재(104)에 관해서도, 도 12(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측변(104d)을 지지판(8)의 측벽(8c)에 맞닿음 시켜 고정하면, 슬릿(104c)이 지지판(8)의 슬릿(8a)과 일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그 위치 결정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 도 13에서, 시퀸 송출 안내부재(105)는 도 14(c)에 나타낸 타입의 시퀸 연결체에 매우 적합한 것이다. 이 시퀸은 접시 형상으로 거북이의 등딱지와 같은 형상을 한 소위 거북등 시퀸으로 불리는 것이다. 송출 안내 부재(105)는, 한 쌍의 안내벽(105a, 105b), 슬릿(105c) 및 측변(105d)을 가지는 동시에, 양 안내벽(105a, 105b)의 상단에 있어서 차양 형상으로 형성된 가압편(105e)을 구비하고 있다. 도 14(c)에 나타내는 것과 같은 거북등 타입의 시퀸의 연결체는, 선단의 시퀸을 분리할 때에, 시퀸의 접합부가 가동 날(27)에 눌려 내려지면 후속의 시퀸이 위로 튀고 만다. 그래서, 송출 안내 부재(105)는 양 안내벽(105a, 105b)의 상단에 차양 형상의 가압편(105e)을 형성하는 것으로, 분리시의 시퀸 도약을 방지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안내 부재(105)에 관해서도, 도 1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측변(105d)을 지지판(8)의 측벽(8c)에 맞당음 시켜 고정하면, 슬릿(105c)이 지지판(8)의 슬릿(8a)과 일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그 위치 결정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시퀸 송출 안내부재(104, 105)는, 그 위치 결정 작업에 있어서, 각별한 고정 위치의 조정을 행할 필요가 없고, 또, 그 착탈은 한 개의 나사(103)에 의해 행할 수 있기 때문에, 시퀸의 형상이나 사이즈에 따라 송출 안내 부재를 교환할 때의 작업이 용이 또한 단시간에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도 12 및 도 13에 나타내는 송출 안내 부재(104, 105)에 있어서도, 각 안내벽(104a, 104b) 및 (105a, 105b)의 길이는 도시의 예에 한하지 않고, 시퀸 연결체(3)를 똑바로 송출할 수 있기만 하면 어떠한 길이가 되어도 무방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에 의하면, 조정 부재에 의해 락킹 레버의 요동 타이밍을 임의로 조정할 수 있으므로, 이송 레버의 전진 이동 행정에 있어서, 락킹 레버의 걸어맞춤 갈고리가 시퀸에 걸어 맞춤하는 타이밍을 시퀸 송출 종료시 또는 그 직전이 되도록 조정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락킹 레버의 걸어맞춤 갈고리가 시퀸의 상부면을 슬라이딩 하는 것을 없애거나, 혹은 그것을 극히 짧은 거리로 할 수 있다. 따라서, 시퀸의 상부면에 걸어맞춤 갈고리의 슬라이드 흔적이 남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또, 재봉 멈춤구멍이 중심으로부터 편심한 시퀸에서는, 시퀸 연결체의 송출이 걸어맞춤 갈고리에 간섭되는 일 없이, 확실히 송출 동작을 행할 수 있게 된다. 또, 시퀸 송출 안내부재에 의해, 재봉 멈춤구멍이 중심으로부터 편심하고 있는 시퀸의 접합부 부근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힘이 작용하여도, 이것을 똑바로 확실히 송출할 수 있게 되며, 또한, 그 송출 안내 부재의 착탈 작업이 지극히 간편하기 때문에, 시퀸의 형상이나 사이즈에 따라 송출 안내 부재를 교환하는 작업도 용이하게 단시간에 실행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실시예에 관한 조정 부재와 시퀸 송출 안내부재를 구비한 시퀸 이송장치는, 사이즈, 형상 등이 다른 여러 가지 타입의 시퀸에 대응 가능하며, 특히, 재봉 멈춤구멍이 중심으로부터 편심하고 있는 시퀸의 송출에 매우 적합하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 본 고안에 따른 조정 부재와 시퀸 송출 안내부 재(102, 104, 105)를, 이송 레버(18)의 후크부(18a)에 걸어 맞추는 시퀸에 후속하는 시퀸의 재봉 멈춤구멍(3a)에 락킹 레버(33)의 걸어맞춤 갈고리(33a)가 걸어 맞추는 구성의 시퀸 이송 장치에 적용하는 예를 나타내었으나, 본 고안을 적용하는 시퀸 이송 장치의 구성은, 상기에 한하지 않고, 이송 레버(18)의 후크부(18a)에 걸어 맞추는 시퀸과는 다른 시퀸에 락킹 레버(33)의 걸어맞춤 갈고리(33a)가 걸어 맞추는 구성이라면, 예를 들면, 이송 레버(18)의 후크부(18a)가 걸어 맞추는 시퀸에 선행하는 전방의 시퀸의 재봉 멈춤구멍(3a)에 락킹 레버(33)의 걸어맞춤 갈고리(33a)를 걸어 맞추는 구성의 것 등에 적용해도 무방하다. 또, 락킹 레버(33)는, 레버 형상의 부재에 의해 구성하는 것에 한하지 않고, 시퀸 연결체에 걸어 맞춰 이 시퀸 연결체를 이동 불능하게 잠그기 위한 걸림 돌기를 가지는 잠금 수단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상관없다.
또, 봉지 구멍이 중심에 있는 시퀸을 송출하는 경우에는, 시퀸 송출 안내부재(102)의 장착은 필수는 아니다.
본 고안에 의하면, 시퀸 이송장치가, 시퀸 연결체를 이송 부재의 이동에 의해 소정 피치씩 송출하는 이송 기구와, 시퀸 연결체에 걸어 맞춰 시퀸 연결체를 이동 불가능하게 잠그기 위한 걸림 돌기를 가지는 락킹 부재와, 이송 부재에 의한 시퀸 연결체의 송출 이동 행정에 있어서의 걸림 돌기의 걸림 타이밍을 조정하는 조정 수단을 구비하는 것으로, 조정 수단에 의해, 락킹 부재의 걸림 돌기가 시퀸 연결체에 걸어 맞추는 타이밍을 임의로 조정할 수 있게 된다. 이것에 의해, 락킹 부재의 걸림 돌기가 시퀸의 상부면을 슬라이딩 하는 것을 없애거나, 혹은 그것을 극히 짧은 거리로 할 수 있다. 따라서, 시퀸의 상부면에 걸림 돌기의 슬라이드 흔적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또, 재봉 멈춤구멍이 중심으로부터 편심한 시퀸에서는, 시퀸 연결체의 송출이 걸림 돌기에 간섭되는 일이 없어지므로, 확실히 송출 동작을 행할 수 있게 된다고 하는 뛰어난 효과를 나타낸다.
또, 본 고안에 따른 시퀸 이송장치에 의하면, 이송 기구에 의해, 시퀸 연결체를 소정의 송출 위치에 정합시킨 상태로 이송 부재의 이동에 의해 송출할 때에, 안내 부재가 상기 시퀸 연결체를 똑바로 송출하도록 안내하는 것으로, 재봉 멈춤구멍이 중심으로부터 편심하고 있는 시퀸의 접합부 부근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힘이 작용하여도, 이것을 똑바로 확실하게 송출할 수 있다. 이 송출 안내 부재가 송출하는 시퀸 연결체에 대응한 안내용 경로를 가지며, 또, 상기 안내 부재를 소정의 고정 위치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하는 설치부재를 가지며, 상기 고정위치에서 상기 소정의 송출 위치와 상기 경로가 정합되도록 구성되고 있으므로, 이 설치부재에 의해 이 안내 부재를 소정의 고정 위치에 설치하는 것만으로, 이 안내 부재의 위치 결정을 행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송출 안내 부재는, 번잡한 고정 위치의 조정 작업을 행하는 일 없이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시퀸의 형상이나 사이즈에 따라 송출 안내 부재를 교환하는 작업도 용이하게 단시간에 행할 수 있다고 하는 뛰어난 효과를 나타낸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조정 부재 및/또는 시퀸 송출 안내부재를 구비한 시퀸 이송장치는, 사이즈, 형상 등이 다른 여러 가지 타입의 시퀸에 대응 가능하 며, 특히 재봉 멈춤구멍이 중심으로부터 편심하고 있는 시퀸의 송출 동작에 매우 적합하다. 

Claims (3)

  1. 시퀸 연결체를 이송 부재의 이동에 의해 소정 피치씩 송출하는 이송 기구와,
    상기 시퀸 연결체에 걸어 맞추어 그 시퀸 연결체를 이동 불가능하게 잠그기 위한 걸림 돌기를 가지는 락킹 부재와,
    상기 이송 부재에 의한 상기 시퀸 연결체의 송출 이동 행정에서의 상기 걸림 돌기의 걸림 타이밍을 조정하는 조정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퀸 이송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 부재는, 상기 락킹 부재에 맞닿아 그 락킹 부재의 이동을 규제하는 조정편을 가지며, 상기 조정편과 그 락킹 부재의 상대 위치에 따라 상기 걸림 돌기의 걸림 타이밍을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퀸 이송장치.  
  3. 시퀸 연결체를 소정의 송출 위치에 정합(整合)시킨 상태로 이송 부재의 이동에 의해 송출하는 이송 기구와,
    송출하는 시퀸 연결체에 대응한 안내용 경로를 포함하고, 시퀸 연결체가 똑바로 송출되도록 안내하는 시퀸 송출 안내부재와,
    상기 안내 부재를 소정의 고정 위치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하는 설치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 위치에서 상기 소정의 송출 위치와 상기 경로가 정합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퀸 이송장치.
KR2020060018250U 2005-07-08 2006-07-05 시퀸 이송 장치 KR20042838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8250U KR200428381Y1 (ko) 2005-07-08 2006-07-05 시퀸 이송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200171 2005-07-08
KR2020060018250U KR200428381Y1 (ko) 2005-07-08 2006-07-05 시퀸 이송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2942A Division KR100723544B1 (ko) 2005-07-08 2006-07-05 시퀸 이송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8381Y1 true KR200428381Y1 (ko) 2006-10-16

Family

ID=417767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8250U KR200428381Y1 (ko) 2005-07-08 2006-07-05 시퀸 이송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838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23544B1 (ko) 시퀸 이송 장치
KR100548201B1 (ko) 시퀸 이송 장치
US7370590B2 (en) Sequin feeder apparatus
KR100850413B1 (ko) 시퀸 이송 장치
JP5091601B2 (ja) シークイン送り装置及びシークイン縫いが可能なミシン
KR100597201B1 (ko) 세퀸 공급장치
KR100740662B1 (ko) 시퀸 봉착 장치
DE102007013464A1 (de) Nähmaschine
KR200428381Y1 (ko) 시퀸 이송 장치
KR100665307B1 (ko) 시퀸 이송장치
KR200373160Y1 (ko) 세퀸 봉제장치
JP2010213858A (ja) シークイン送り装置
KR200428358Y1 (ko) 시퀸 이송 장치
US7055445B1 (en) Top transport device for sewing machines
US7600481B2 (en) Upper looper driving device of sewing machine
JP2007135837A (ja) シークイン縫着装置
KR200415928Y1 (ko) 시퀸 봉착 장치
KR100665306B1 (ko) 시퀸 이송장치
KR100665305B1 (ko) 시퀸 이송장치
KR100720062B1 (ko) 시퀸 이송장치
JP2005104077A (ja) 皿状シークイン連結体形成装置
DE7536592U (de) Stoffvorschubvorrichtung fuer naehmaschin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413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