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6810Y1 - 차량용 커넥터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커넥터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6810Y1
KR200426810Y1 KR2020060018499U KR20060018499U KR200426810Y1 KR 200426810 Y1 KR200426810 Y1 KR 200426810Y1 KR 2020060018499 U KR2020060018499 U KR 2020060018499U KR 20060018499 U KR20060018499 U KR 20060018499U KR 200426810 Y1 KR200426810 Y1 KR 20042681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fastening
fixing device
vehicle
bo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849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성
Original Assignee
경신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신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경신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6001849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681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681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681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73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to apparatus or structures, e.g. to a wa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30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on walls, floors or ceiling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차량용 커넥터 고정장치에 대한 고안이 개시된다. 개시된 차량용 커넥터 고정장치는: 전선의 일단에 커넥터가 구비된 차량용 커넥터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선과 상기 커넥터가 연결되는 부분을 감싸며 설치된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측면 양측에 돌출 형성되어 볼트가 삽입되기 위한 체결공이 구비된 고정부 및 상기 체결공을 둘러싼 상기 고정부에는 내측을 향하여 탄성적 가압력을 제공하는 체결편이 구비된 체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커넥터, 전선, 체결편, 체결부, 체결공

Description

차량용 커넥터 고정장치{Fixing device for car's connector}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용 커넥터의 고정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커넥터 고정장치를 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차량용 커넥터 고정장치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서 "A-A"방향의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서 볼트가 삽입되기 전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
10 : 전선 20 : 몸체부
30 : 고정부 32 : 체결공
40 : 체결부 42 : 체결편
44 : 고정편 50 : 커넥터
60 : 볼트 70 : 프레임
본 고안은 차량용 커넥터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선의 일단에 구비된 커넥터를 별도의 브라켓 없이 개별적으로 프레임에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는 차량용 커넥터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커넥터는 각종 전기 전자장치에 배선되는 라인과 라인을 서로 접속하는 장치의 일종으로, 상기 커넥터는 적용되는 전기, 전자장치에 따라 그에 맞는 사양에 의하여 설계되어 제작되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차량용 커넥터의 고정구조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용 커넥터의 고정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차의 내측에는 강성 유지 및 각종 부품들이 장착되는 프레임(1)이 설치된다.
상기 프레임(1) 일측에는 판재 형상의 브라켓(5)이 볼트(3)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브라켓(5)의 일측과 타측으로 연장된 고정바(6)에는 전선(9)이 일측에 연결된 커넥터(7)가 삽입된 상태로 설치된다.
그러나, 상기 커넥터(7)를 고정하기 위하여 별도의 브라켓(5)을 프레임(1)에 고정하는 작업이 필수적으로 요청되며, 차체 프레임(1) 가운데 소음 발생이나 협소한 공간 등으로 인하여 브라켓(5) 설치가 어려운 부분에는 상기 커넥터(7)를 고정함에 있어 문제가 발생된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차체 일단에 연결된 커넥터를 별도의 브라켓을 이용하여 프레임에 고정함으로 작업 공정이 난해하게 되는 것을 방지 할 수 있는 차량용 커넥터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커넥터 고정장치는: 전선의 일단에 커넥터가 구비된 차량용 커넥터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선과 상기 커넥터가 연결되는 부분을 감싸며 설치된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측면 양측에 돌출 형성되어 볼트가 삽입되기 위한 체결공이 구비된 고정부 및 상기 체결공을 둘러싼 상기 고정부에는 내측을 향하여 탄성적 가압력을 제공하는 체결편이 구비된 체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체결편은 상기 체결공을 중심으로 마주하는 양측에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전선의 일단에 구비된 커넥터를 별도의 브라켓 없이 개별적으로 프레임에 직접 장착할 수 있게 되어 브라켓이 설치되기 어려운 부분에도 커넥터를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커넥터 고정장치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커넥터 고정장치를 분해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차량용 커넥터 고정장치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4는 도 3에서 "A-A"방향의 측단면도이며, 도 5는 도 4에서 볼트가 삽입되기 전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선(10)의 일단에는 전자장치에 배선되는 라인과 라인을 서로 접속하는 커넥터(50)가 구비된다.
상기 전선(10)과 상기 커넥터(50)가 연결되는 부분을 감싸며 몸체부(20)가 설치된다.
상기 몸체부(20)는 상형과 하형이 분리된 조립형으로 이루어지거나 사출 성형 등에 의하여 일체로 이루어지기도 한다.
상기 몸체부(20)의 측면 양측에 돌출 형성된 고정부(30)에는 볼트(60)가 삽입되기 위한 체결공(32)이 구비된다.
상기 체결공(32)을 둘러싼 상기 고정부(30)에는 내측을 향하여 탄성적 가압력을 제공하는 체결편(42)과 상기 체결편(42)과 이격되어 돌출 형성된 고정편(44)으로 체결부(40)를 구성하게 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체결편(42)은 상기 체결공(32)을 중심으로 마주하는 양측에 설치되어, 상기 볼트(60)의 나사산에 걸려서 고정된다.
상기 체결편(42)은 탄성적 휨 성질을 갖게 되며, 이를 위하여 상기 체결편(42)은 절곡된 판재로 성형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커넥터 고정장치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프레임(70)에 볼트(60) 체결을 위한 구멍을 형성하고, 상기 프레임(70) 후측으로 부터 볼트(60)를 삽입 장착한다.
볼트(60)가 삽입되기 전에 체결부(4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편(42)이 내측으로 절곡된 상태이다.
상기 상태에서 볼트(60)가 체결공(32)에 삽입된 상태가 되면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편(42)이 볼트(60)에 의하여 외측으로 밀리면서 상기 볼트(60)의 나산산에 걸려서 고정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상기 몸체부(20)는 별도의 너트를 사용하지 않고도 끼움 작업에 의해서 상기 프레임(70)에 고정된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커넥터 고정장치는 종래 고안과 달리 프레임에 돌출 형성된 볼트가 커넥터를 고정시키기 위한 체결부에 삽입되도록 하여 체결편이 탄성적으로 볼트의 나사산에 걸려서 고정되는 것에 의하여 작업공정이 용이하게 되며, 브라켓을 설치할 수 없는 곳에도 커넥터를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게 된다.

Claims (2)

  1. 전선의 일단에 커넥터가 구비된 차량용 커넥터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선과 상기 커넥터가 연결되는 부분을 감싸며 설치된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측면 양측에 돌출 형성되어 볼트가 삽입되기 위한 체결공이 구비된 고정부; 및
    상기 체결공을 둘러싼 상기 고정부에는 내측을 향하여 탄성적 가압력을 제공하는 체결편이 구비된 체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커넥터 고정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편은 상기 체결공을 중심으로 마주하는 양측에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커넥터 고정장치.
KR2020060018499U 2006-07-07 2006-07-07 차량용 커넥터 고정장치 KR20042681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8499U KR200426810Y1 (ko) 2006-07-07 2006-07-07 차량용 커넥터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8499U KR200426810Y1 (ko) 2006-07-07 2006-07-07 차량용 커넥터 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6810Y1 true KR200426810Y1 (ko) 2006-09-15

Family

ID=417753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8499U KR200426810Y1 (ko) 2006-07-07 2006-07-07 차량용 커넥터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681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3042387A1 (ja) クランプ
JP5309328B2 (ja) 引出しの接続デバイス
KR20070049960A (ko) 내부 도어 피스 및 캐리어 요소를 포함하는 어셈블리 유닛
JP5299699B2 (ja) 電気接続箱
JP2017206197A (ja) ワイヤハーネス及びそれを備えた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モジュールの車体への組付方法
JP4880112B2 (ja) 自動車用フロントエンド
KR200426810Y1 (ko) 차량용 커넥터 고정장치
JP2007510576A (ja) 車両用ドアのための、一体式ロック固定装置を有するユニットキャリア
KR200441805Y1 (ko) 와이어 하네스용 프로텍터
JP5922162B2 (ja) 自動車用ルーフレール
JP2007055496A (ja) 部品取付構造
JP5473945B2 (ja) 固定部としての差込部材を有するワイパ装置の伝動装置ハウジング
KR101301744B1 (ko) 조수석 에어백 모듈 장착 장치
KR200457519Y1 (ko) 모터 설치용 클램핑수단
KR100922155B1 (ko) 박스의 브라켓
KR101275024B1 (ko) 자동차의 실내 손잡이 조립용 클립 모듈
JP4466317B2 (ja) 車両用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への機器の取付構造
KR102610775B1 (ko) 정션블록
KR100507229B1 (ko) 엔진 커버의 장착장치
KR100570396B1 (ko) 버스 아웃사이드미러 체결구조
KR200447575Y1 (ko) 와이어용 슬라이드 클립
CN209776569U (zh) 汽车、副仪表板总成及副仪表板固定结构
KR20090027064A (ko) 자동차 스티어링 휠의 오디오 스위치 조립체의 장착구조
CN206436832U (zh) 汽车副仪表板与仪表板本体前端连接结构
JP3179851U (ja) ステアリングコラムカバーの取付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703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