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6216Y1 - 자동 주차 지킴이 - Google Patents

자동 주차 지킴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6216Y1
KR200426216Y1 KR2020060017491U KR20060017491U KR200426216Y1 KR 200426216 Y1 KR200426216 Y1 KR 200426216Y1 KR 2020060017491 U KR2020060017491 U KR 2020060017491U KR 20060017491 U KR20060017491 U KR 20060017491U KR 200426216 Y1 KR200426216 Y1 KR 20042621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king
clutch
rotating
main body
gu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749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현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위쥬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위쥬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위쥬테크
Priority to KR202006001749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621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621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621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3/00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3/00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 E01F13/04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movable to allow or prevent passage
    • E01F13/042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movable to allow or prevent passage for controlling access to an individual parking spa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9/00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 F21S9/02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 F21S9/03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rechargeable by exposure to ligh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르면, 주차를 통제하고자 하는 지면에 고정되는 본체와 본체에 상하부로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봉 형태의 주차방지대와 주차방지대의 회동중심부와 본체를 연결하여 주차방지대가 회동할 수 있도록 하는 회전축과 이 회전축과 부싱형태로 결합하는 클러치와 회전축을 감싸는 형태로 위치하며 클러치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회전축에 연결되어, 이 회전축과 클러치가 서로 회전탄성을 갖고 결합되도록 하는 코일스프링 및 클러치에 위치하고 주차방지대가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일 경우 클러치가 본체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걸쇠형태의 클러치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주차 지킴이가 제공된다.
개시된 자동 주차 지킴이에 의하면, 파손의 위험이 현저하게 낮아지게 되고, 설치가 간편하며 전기적인 고장이 발생할 경우에도 수동으로 작동이 가능하게 된다.
주차, 주차공간, 주차방지대, 주차지킴이

Description

자동 주차 지킴이{Automatic protector for parking area}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주차 지킴이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주차 방지대가 눕혀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동부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회동부의 결합 사시도,
도 5a 내지 도 5d는 도 4에 도시된 회동부의 측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자동 주차 지킴이. 110...본체
111...본체홈 120...주차 방지대
130...태양충전지 140...회동부
141...회전축 142...회전체
142a...회전체 돌출부 143...클러치고정부
144...클러치고정부 스프링 145...클러치
145a...클러치홈 146...코일스프링
147...코일스프링 고정부 148...회동보조스프링 고정부
149...회동보조스프링 150...기어
본 고안은 주차 방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파손의 위험을 현저하게 낮춘 자동 주차 지킴이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산업의 발전 및 국민의 생활수준이 향상됨에 따라 자동차는 이제 생활 필수품의 하나로 인식되어 최근에는 그 숫자가 급진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와 같이 급진적으로 증가하는 많은 자동차에 비하여 주차공간은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결국에는 허가받지 않은 차량의 주차를 물리적으로 막을 수 있는 장치가 등장할 수 밖에 없게 되었다.
허가받지 않은 차량의 무단 주차를 방지하기 위한 기존의 주차 방지 장치는 얇은 두께의 판재 재료를 사용하여 주차 공간에 직립 위치시킬 수 있는 삼각대 형상의 주차금지 표시판이나 철강재 파이프 등으로 제조된 바리케이트 등의 형태로 존재하였으나, 상기와 같은 주차 방지 장치들은 주차 공간상에 견고히 고정되어 있지 않으므로 임의로 제거될 수 있어서 허가받지 않은 차량의 무단 주차를 방지하고자 하는 소정의 목적을 달성하지 못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주차방지대가 수직으로 회동하는 주차 방지 장치를 주차공간에 고정하여, 주차시에는 주차방지대를 눕히고 출차시에는 주차방지대를 세워서 허가받지 않은 차량이 주차하지 못하도록 하는 주차 방지 장치를 사용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주차 방지 장치는 주차방지대가 세워져 있는 상태에서 주차 방지대에 차량이 부딪히는 등의 외력이 가하여지면 쉽게 파손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주차 방지대가 자동으로 회동되도록 하기 위하여는 회동모터를 설치하게 되는데 이 회동모터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하여 전선이 설치되어야 하며, 회동모터로 전원이 공급되지 않거나 기타 전기적인 고장이 발생할 경우에는 작동이 불가능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파손의 위험을 현저하게 낮출 수 있고 설치가 간편하며 전기적인 고장이 발생할 경우 수동으로 작동이 가능한 자동 주차 지킴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며,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해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목적 및 장점들은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자동 주차 지킴이는 주차를 통제하고자 하는 지면에 고정되는 본체; 상기 본체에 상하부로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봉 형태의 주차방지대; 상기 주차방지대의 회동중심부와 본체를 연결하여 상기 주차방지대가 회동할 수 있도록 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과 부싱형태로 결합하는 클러치; 상기 회전축을 감싸는 형태로 위치하며 상기 클러치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회전축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축과 상기 클러치가 서로 회전탄성을 갖고 결합되도록 하는 코일스프링; 및 상기 클러치에 위치하고 상기 주차방지대가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일 경우 상기 클러치가 본체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걸쇠형태의 클러치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전축은 일단이 상기 회전축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본체에 고정된 회동보조스프링을 더 포함하여, 상기 회전축이 상기 주차방지대가 하부로 회동하는 방향으로 회전할 경우 상기 회동보조스프링이 변형되고, 상기 회전축이 상기 주차방지대가 상부로 회동하는 방향으로 회전할 경우 상기 변형된 회동보조스프링의 복원력이 상기 회전축의 회전력에 부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게다가, 상기 본체의 내부에 위치한 모터; 상기 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회전축과 부싱형태로 결합하며, 측면에 돌출부가 형성된 회전체; 상기 모터의 회전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모터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클러치는 상기 회전체의 돌출부와 결합할 수 있는 결합홈이 형성되어 상기 회전체와 같이 회전하며, 상기 결합홈은 상기 회전체의 돌출부가 상기 결합홈의 내부에서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회전체의 돌출부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회전체의 회전방향이 상기 주차방지대를 하부로 회동시키는 방향일 경우 상기 회전체의 돌출부가 이동하여 상기 클러치고정부와 상기 본체와의 고정을 해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제어부는 RF(radio frequency)를 이용한 리모트 콘트롤러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제어부는 차량의 주차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감지부를 더 포 함하여, 상기 감지부에서 차량이 주차되어 있음을 감지할 경우 상기 주차방지대가 세워지지 않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전원공급부는 태양 에너지를 이용하여 충전되는 태양충전지를 더 포함하여, 상기 태양충전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주차 지킴이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주차방지대가 눕혀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주차 지킴이(100)는 본체(110) 및 주차방지대(120)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110)는 주차를 방지하고자 하는 주차공간에 임의로 제거할 수 없도록 고정되어 설치된다. 또한, 본체(110)의 각측면부는 경사진 형태인 것이 바람 직하다. 따라서, 운전자의 실수로 인하여 차량의 타이어가 상기 본체(110)를 밟게 되더라도 타이어가 본체(110)에 걸리지 않고 본체(110)의 경사진 측면부를 타고 자연스럽게 본체(110)를 넘어가게 되므로 운전자의 실수로 인한 본체(110)의 파손 위험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다.
그리고, 주차방지대(120)는 상하방향으로 회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본체(110)에 설치된다. 따라서, 주차를 허용할 경우에는 상기 주차방지대(120)를 하부로 회동시켜 눕히게 되고, 주차를 방지하고자 할 때에는 주차방지대(120)를 상부로 회동시켜 세우게 된다.
여기서, 상기 주차방지대(120)는 차량의 진입을 방지할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면 당업자간의 다양한 변형례가 본 고안에 의한 기술사상의 범위에 포함됨은 자명하다.
그런데, 상기 주차방지대(120)가 세워져 있는 상태에서 운전자의 실수로 인하여 차량이 주차공간으로 진입하게 되는 경우 주차방지대(120)가 쉽게 파손될 수 있으며 또한 진입한 차량도 파손될 위험이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주차방지대(120)가 탄성을 갖고 회동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을 채택하고 있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주차방지대(120)가 탄성을 갖고 회동할 수 있도록 하는 회동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회동부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동부(140)는 회전 축(141), 클러치(145), 코일스프링(146), 클러치고정부(14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회전축(141)은 주차방지대(120)의 회동중심부와 본체(110)를 연결하여 주차방지대(120)가 회동할 수 있도록 한다.
클러치(145)는 상기 회전축(141)과 축받침의 형태인 부싱(bushing) 형태로 결합하여 회전축(141)과 별개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회전축(141)에 결합된다.
코일스프링(146)은 일단이 상기 클러치(145)에 고정되어 있으며 타단이 상기 회전축(141)에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회전축(141)과 클러치(145)는 상기 코일스프링(146)에 의하여 서로 탄성적인 회전유격을 갖고 같이 회전하게 된다.
또한, 상기 클러치(145)는 회전각도에 따라 본체(110)에 고정될 수 있는 걸쇠형태의 클러치고정부(143)를 더 포함하여 상기 주차 방지대(120)가 세워진 상태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주차방지대(120)가 세워지고 클러치(145)가 본체(110)에 고정되더라도 클러치(145)와 회전축(141)은 탄성적인 회전유격을 갖고 있으므로 주차방지대(120)는 탄성적으로 회동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주차방지대(120)가 탄성 회동을 하게 되므로 주차 방지대(120)에 차량이 충돌하거나 기타 외력이 가하여지더라도 충격을 흡수하여 파손되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주차방지대(120)가 상부로 회동할 경우 회전력을 배가할 수 있는 회동보조스프링(149)이 더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동보조스프링(149)은 일단이 본체(110)에 고정되고 타단이 회전축(141)에 고정되어 주차방지대(120)가 하부로 회동하는 경우 변형되고, 주차방지대(120)가 상부로 회동하는 경우 변형된 회동보조스프링(149)의 복원력이 회전축(141)의 회전력에 부가된다.
즉, 주차방지대(120)가 하부로 회동할 경우의 회전력을 축적하여 상기 회전력이 주차방지대(120)가 상부로 회동하는 경우에 부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회동보조스프링(149)의 타단은 회동보조스프링 고정부(148)에 의하여 회전축(141)과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의 자동 주차 지킴이(100)는 자동으로 주차방지대(120)를 회동시킬 수 있도록 모터(미도시), 회전체(142), 제어부(미도시) 및 전원공급부(미도시)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모터(미도시)는 주차방지대(120)를 회동시키기 위한 회전동력을 발생시키며 상기 본체(110)의 내부에 설치된다.
회전체(142)는 상기 모터(미도시)의 회전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게 되며, 회전축(141)과 축받침의 형태인 부싱 형태로 결합한다.
또한, 회전체(142)의 측면부에는 돌출부(142a)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142a)는 클러치(145)의 측면에 형성된 클러치통공(145a)에 삽입되어 회전체(142)와 클러치(145)가 함께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클러치통공(145a)은 돌출부(142a)보다 크게 형성되어 회전체(142)와 클러치(145)는 소정의 유격을 갖고 함께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 람직하다.
제어부(미도시)는 모터(미도시)의 회전을 제어하여 주차방지대(120)가 세워지거나 눕혀질 수 있도록 하며 전원공급부(미도시)는 상기 모터(미도시)로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도 5a 내지 도 5d는 주차방지대(120)가 모터에 의하여 상하로 회동하는 경우의 회동부(140)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5a 내지 도 5d를 참조하여 주차방지대(120)가 상하로 회동하는 과정에 대하여 살펴보도록 하겠다.
도 5a는 주차방지대(120)가 눕혀진 상태를 나타낸 회동부(140)의 측면도이고, 도 5b는 주차방지대(120)가 세워진 상태에서 클러치(145)가 본체(110)에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회동부(140)의 측면도이다.
먼저,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여 주차방지대(120)가 상부로 회동하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모터(미도시)의 회전동력이 전달되는 순서를 살펴보면, 제어부(미도시)에서 모터(미도시)를 회전시키게 되고, 모터(미도시)는 회전체(142)를 회전시키게 된다.
이때, 모터와 회전체(142)는 기어에 의하여 동력이 전달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로 상기 회전체(142)를 기어로 도시하였으며 모터(미도시)에 연결된 기어(150)가 회전체(142)를 회전시키게 된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 모터(미도시)와 회전체(142)의 동력전달에 체인이나 벨트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회전체(142)의 돌출부(142a)가 클러치홈(145a)에 삽입되어 있으므로, 회전체(142)의 회전에 따라 클러치(145)도 같이 회전하게 되며, 클러치(145)는 코일스프링(146)을 회전시키게 되고 코일스프링(146)은 회전축(141)을 회전시키게 된다. 이때, 코일스프링(146)과 회전축(141)의 연결에는 코일스프링 고정부(147)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회전동력의 전달에 의하여 회전축(141)에 고정된 주차방지대(120)가 상부로 회동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주차방지대(120)가 상부로 회동하여 수직으로 세워지게 되면 클러치고정부(143)의 일단이 본체(110)에 형성된 본체홈(111)에 삽입되어 클러치(145)는 고정되게 되며, 제어부(미도시)에서는 모터(미도시)의 회전을 멈추게 된다.
상기 클러치고정부(143)는 일단이 클러치(145)의 외주면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타단은 상기 회전체(142)의 돌출부(142a)가 접촉할 수 있도록 위치한다. 또한, 상기 돌출부(142a)가 클러치고정부(143)의 타단을 밀게되면 일단은 클러치(145)의 외주면으로 돌출되지 않는다.
이때, 클러치고정부(143)는 일단이 항상 클러치(145)의 외주면으로 돌출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클러치고정부 스프링(144)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주차방지대(120)가 수직으로 세워져 고정되므로 허가되지 않은 차량의 주차를 물리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이때 차량이 진입하여 주차방지대(120)와 충돌하게 되더라도 클러치(145)와 회전축(141)을 연결하는 코일 스프링(146)에 의하여 주차방지대(120)가 탄성회동하게 되므로 주차방지대(120) 및 차량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c는 클러치(145)와 본체(110)와의 고정이 해제된 상태를 나타낸 회동부(140)의 측면도이고 도 5d는 주차방지대(120)가 하부로 회동하는 상태를 나타낸 회동부(140)의 측면도이다. 도 5c 및 도 5d를 참조하여 상기 주차방지대(120)가 하부로 회동하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먼저 제어부(미도시)는 주차방지대(120)가 하부로 회동하는 방향으로 모터(미도시)가 회전하도록 제어하며, 모터(미도시)는 회전체를 회전시킨다. 이때, 회전체(142)에 형성된 돌출부(142a)는 클러치고정부(143)의 타단을 밀게 되며 클러치고정부(143)의 일단은 클러치홈(145a)에서 빠져나오게 된다.
상기와 같은 동작에 의하여 클러치(145)와 본체(110)와의 고정이 해제되게 되며, 본체(110)와의 고정이 해제된 클러치(145)는 회전체(142)와 같이 회전하게 되고 클러치(145)의 회전에 따라 주차방지대(120)는 하부로 회동하여 눕혀지게 된다.
여기서, 상기 본체홈(111)에는 본체홈(111)에 삽입된 클러치고정부(143)를 밀어낼 수 있는 고정해제수단(미도시)을 구비하여 모터(미도시)가 회전하지 않더라도 수동으로 클러치(145)와 본체(110)와의 고정을 해제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전원이 공급되지 않거나, 기타 전기적인 고장이 발생할 경우에도 수동으로 자동 주차 지킴이(100)를 작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RF(radio frequency)를 이용한 리모트 콘트롤 러에 의하여 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사용자는 자동차에 탑승한 상태에서도 자동 주차 지킴이(10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차량의 주차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감지부(미도시)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감지부(미도시)에서 차량이 주차되어 있음을 감지할 경우 사용자가 자동 주차 지킴이(100)를 조작하더라도 주차방지대(120)가 세워지지 않도록 제어하여 사용자의 실수에 따른 주차방지대(120) 및 차량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게다가, 전원공급부(미도시)는, 태양 에너지를 이용하여 충전이 가능한 태양충전지(130)를 더 포함하여, 상기 태양충전지(13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자체 전원을 사용하여 작동이 가능하므로 자동 주차 지킴이(100)를 주차공간에 설치하는 경우 전원선의 포설 작업이 필요 없게 되며, 전기료도 절약할 수 있게 되는 효과를 도출해낼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고안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고안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고안의 자동 주차 지킴이에 따르면, 파손의 위험을 현저하게 낮출 수 있고 설치가 간편하며 전기적인 고장이 발생할 경우에도 수동으로 작동이 가능하게 된다.

Claims (6)

  1. 주차를 통제하고자 하는 지면에 고정되는 본체;
    상기 본체에 상하부로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봉 형태의 주차방지대;
    상기 주차방지대의 회동중심부와 본체를 연결하여 상기 주차방지대가 회동할 수 있도록 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과 부싱형태로 결합하는 클러치;
    상기 회전축을 감싸는 형태로 위치하며 상기 클러치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회전축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축과 상기 클러치가 서로 회전탄성을 갖고 결합되도록 하는 코일스프링; 및
    상기 클러치에 위치하고 상기 주차방지대가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일 경우 상기 클러치가 본체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걸쇠형태의 클러치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주차 지킴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은,
    일단이 상기 회전축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본체에 고정된 회동보조스프링을 더 포함하여,
    상기 회전축이 상기 주차방지대가 하부로 회동하는 방향으로 회전할 경우 상기 회동보조스프링이 변형되고, 상기 회전축이 상기 주차방지대가 상부로 회동하 방향으로 회전할 경우 상기 변형된 회동보조스프링의 복원력이 상기 회전축의 회전 력에 부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주차 지킴이.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내부에 위치한 모터;
    상기 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회전축과 부싱형태로 결합하며, 측면에 돌출부가 형성된 회전체;
    상기 모터의 회전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모터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클러치는 상기 회전체의 돌출부와 결합할 수 있는 결합홈이 형성되어 상기 회전체와 같이 회전하며,
    상기 결합홈은 상기 회전체의 돌출부가 상기 결합홈의 내부에서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회전체의 돌출부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회전체의 회전방향이 상기 주차방지대를 하부로 회동시키는 방향일 경우 상기 회전체의 돌출부가 이동하여 상기 클러치고정부와 상기 본체와의 고정을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주차 지킴이.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RF(radio frequency)를 이용한 리모트 콘트롤러에 의하여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주차 지킴이.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차량의 주차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감지부를 더 포함하여, 상기 감지부에서 차량이 주차되어 있음을 감지할 경우 상기 주차방지대가 세워지지 않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주차 지킴이.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부는,
    태양 에너지를 이용하여 충전되는 태양충전지를 더 포함하여, 상기 태양충전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주차 지킴이.
KR2020060017491U 2006-06-28 2006-06-28 자동 주차 지킴이 KR20042621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7491U KR200426216Y1 (ko) 2006-06-28 2006-06-28 자동 주차 지킴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7491U KR200426216Y1 (ko) 2006-06-28 2006-06-28 자동 주차 지킴이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8740A Division KR100679747B1 (ko) 2006-06-28 2006-06-28 자동 주차 지킴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6216Y1 true KR200426216Y1 (ko) 2006-09-19

Family

ID=417747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7491U KR200426216Y1 (ko) 2006-06-28 2006-06-28 자동 주차 지킴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621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1209332Y (zh) 电子遥控车位锁
US20140021915A1 (en) Vehicle recharging station and support devices
CN111225821A (zh) 用于充电装置的组件和具有该组件的充电装置
US9862284B2 (en) Pop up electrical apparatus with wireless charging component for electric vehicles
JP6034171B2 (ja) ロック装置
JP2003262054A (ja) 自動車ドア等用のロッキング解除装置
CN106088750A (zh) 一种地锁装置
CN106081819A (zh) 电梯轿门锁装置以及电梯
KR100679747B1 (ko) 자동 주차 지킴이
KR101778035B1 (ko) 자동 주차시설에 구비되는 차량진입 방지장치
KR200426216Y1 (ko) 자동 주차 지킴이
CN204782162U (zh) 一种电动车位锁
CN204126342U (zh) 一种智能终端控制的防撞车位锁系统
CN100516439C (zh) 停车位防盗管理方法及其装置
KR20130006849U (ko) 원격제어 힌지표지판
CN207267514U (zh) 一种用于非机动车寄放的装置
KR20180033956A (ko) 차단바 낙하방지용 주차차단기
JP3179052B2 (ja) ロック式駐車装置
CN201460361U (zh) 车位锁
CN201460350U (zh) 防撞车位锁
KR101443704B1 (ko) 원격제어가 가능한 주차표시장치
CN2833008Y (zh) 停车位防盗管理装置
CN202130287U (zh) 一种汽车车门锁止机构
CN104141430A (zh) 一种高可靠性的汽车门锁
CN108521040A (zh) 立体车库及接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