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6154Y1 - 외기여과필터 - Google Patents

외기여과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6154Y1
KR200426154Y1 KR2020060016690U KR20060016690U KR200426154Y1 KR 200426154 Y1 KR200426154 Y1 KR 200426154Y1 KR 2020060016690 U KR2020060016690 U KR 2020060016690U KR 20060016690 U KR20060016690 U KR 20060016690U KR 200426154 Y1 KR200426154 Y1 KR 20042615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air
filtration
microfiber
filte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669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회
Original Assignee
김태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회 filed Critical 김태회
Priority to KR202006001669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615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615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615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10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 plates, sheets or pads having plane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14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 B01D39/16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organic material, e.g. synthetic fibres
    • B01D39/1607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organic material, e.g. synthetic fibres the material being fibrous
    • B01D39/1623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organic material, e.g. synthetic fibres the material being fibrous of synthetic orig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02Casings; Housings; Frame constructions
    • B01D46/0005Mounting of filtering elements within casings, housings or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39/00Aspects relating to 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2239/06Filter cloth, e.g. knitted, woven non-woven; self-supported material
    • B01D2239/0604Arrangement of the fibres in the filtering material
    • B01D2239/0613Wov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227Manipulating filters or filter elements, e.g. handles or extracting too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ering Materials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외부의 공기를 정화하는 외기 정화필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극세사로 제조되어 내부로 유입되는 외부의 공기를 정화시키는 외기 정화필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외기여과필터는, 외기의 오염물질을 걸러주는 여과면(110)와, 상기 여과면(110)과 일체로 성형되며 여과면(110)의 테두리를 형성하면서 복수겹으로 겹치도록 성형되는 필터테두리(120)와, 상기 여과면(110)의 가로 방향으로 복수겹 겹쳐지는 가로겹침부(130)와, 상기 여과면(110)의 세로 방향으로 복수겹 겹쳐지는 세로겹침부(140)와, 상기 세로겹침부(140)와 가로겹침부(130)가 교차되어 형성되는 중앙겹침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러한 여과면(110)은 극세사로 성형되는 극세사천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외기여과필터에 의하면, 조망권이 확보되면서 외기에 포함되어 있는 미세먼지와 같은 오염물질이 실내 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이점이 있다.
외기여과필터, 극세사, 극세사천, 필터테두리, 가로겹침부, 세로겹침부

Description

외기여과필터 {Filter for filtering of outdoor air}
도 1 은 종래 기술에 의한 일반적인 방충망의 외형을 나타낸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에 의한 바람직한 일실시예가 채용된 외기여과필터가 부착된 창문틀을 나타낸 사시도.
도 3 은 본 고안에 의한 바람직한 일실시예가 채용된 외기여과필터의 구성을 나타낸 체결도.
도 4 는 본 고안에 의한 바람직한 일실시예가 채용된 외기여과필터에 방염 처리된 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5 는 본 고안에 의한 다른 실시예가 채용된 외기여과필터에 방수 또는 발수 처리된 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6 은 본 고안에 의한 다른 실시예가 채용된 외기여과필터의 외형을 나타낸 정면도.
도 7 은 본 고안에 의한 다른 실시예가 채용된 외기여과필터의 외형을 나타낸 정면도.
도 8 은 본 고안에 의한 다른 실시예가 채용된 외기여과필터의 외형을 나타낸 정면도.
도 9 는 본 고안에 의한 다른 실시예가 채용된 외기여과필터가 창문틀에 설 치되는 상태를 나타낸 체결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외기여과필터 110. 여과면
120. 필터테두리 130. 가로겹침부
140. 세로겹침부 150. 중앙겹침부
160. 필터손잡이 200. 창문틀
300. 방염층 400. 방수층
본 고안은 외부의 공기를 정화하는 외기 정화필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극세사로 제조되어 내부로 유입되는 외부의 공기를 정화시키는 외기 정화필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내 공간의 공기가 오염되면, 외부의 공기와 교환시키는 환기를 실시하게 된다. 이러한 환기는 창문이나 환기통 등을 이용하는 자연환기와 송풍기나 환풍기를 사용하는 기계환기(강제환기)로 나뉘어진다. 이와 같은 환기에 의해 실내 공간의 오염된 공기가 실외 공간의 깨끗한 공기와 교환되어 실내 공간에서 생활하게 되는 사람의 인체를 보호하게 된다.
이처럼, 환기는 오염된 공기를 청정한 공기와 교환하게 되거나, 실내 공간의 열이나 습기 등을 제거하기 위해 실시하게 되며, 오염된 공기는 실내 공간의 부적 당한 냄새, 연기, 먼지, 세균, 습기, 가스 등이 어느 정도 이상 포함된 공기를 의미하며, 사람이 생활하는 실내 공간의 공기 상태가 좋고 나쁨의 판단에는 그 공기 중의 탄산가스(예컨데, 이산화탄소 등)의 농도를 기준으로 사용하기도 한다.
실내 공간에는 실내 공간에서 생활하는 사람의 호흡 등 각종 원인에 의하여 탄산가스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산소량은 감소하게 되고, 냄새는 증가하게 되어 전반적으로 공기의 상태가 나빠지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그 종합적인 지표로서 탄산가스(이산화탄소)의 농도를 그 지표로 삼는 것이다.
실내 공간의 공기 중에 탄산가스의 농도가 4∼5% 이상이 되면, 실내 공간에 서 생활하는 사람의 인체가 위험하게 되며, 유해 가스가 많이 발생하는 장소는 탄산가스의 농도가 한도 이하라고 할지라도 안전하지는 못하다. 예를 들어, 난방 중인 실내 공간에서는 일산화탄소(CO)의 농도에 따라 환기를 하여야 하며, 먼지가 많이 발생하게 되는 작업장에서는 그 먼지의 농도에 따라 환기를 하게 된다.
또한, 무더운 여름철에는 뜨거운 실내의 공기를 환기시키기 위하여 건물 외벽 또는 베란다 등에 설치되는 창문을 열어 환기를 실시하게 되며, 이러한 창문에는 대부분 모기 등의 해충이 실내 공간으로 들어오지 못하도록 방충망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외부의 공기 중에는 각종 오염물질이 함유되어 있으며, 오염물질이 함유된 상태에서 실내 공간으로 유동하게 된다. 이러한 오염물질에는 일반적인 먼지를 비롯하여 황사 현상에 따른 미세먼지, 꽃가루, 분진, 산업먼지, 각종 박테리아 등이 포함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일반적인 방충망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발생시키게 된다.
일반 가정의 창문에 장착되는 방충망은 모기 및 파리 등과 같은 해충이 실내 공간으로 침입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하여 설치됨에 따라 메쉬(mesh)의 크기가 크게 성형되어 큰 오염입자 또는 해충을 제외한 오염물질들은 실내 공간으로 유입이 가능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외부 공기중에 포함되어 있는 각종 오염물질이 실내 공간으로 그대로 유입되어 유입된 오염물질이 실내 공간에서 생활하는 인체의 호흡기를 통해 인체의 내부로 흡인되어 두통 및 호흡기 질환, 피부질환 등 각종 질병의 원인이 되어 거주자의 건강에 많은 지장을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뿐만아니라, 최근에는 공기정화기가 구비되어 오염물질을 여과하게 되는데, 이러한 공기정화기들은 국소적인 작용범위에 의해 실내 공간 전체 공기를 정화시키기 어려운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며, 오염물질이 실내 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오염물질의 여과가 가능한 방충망을 구비하여 설치하게 되더라도 황사 먼지 등과 같은 미세한 크기의 오염물질의 유입을 차단하지 못하게 되며, 외부에서 실내 공간이 그대로 투과되어 사생활의 보호가 어려운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미세먼지의 유입이 차단되는 외기 여과필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외부에서 실내 공간을 볼 수 없게 하고, 실내 공간에서는 외부를 볼 수 있게 함으로써 사생활을 보호함과 동시에 조망권을 보호할 수 있는 외기 여과필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비 또는 화재 등의 재해로부터 실내공간을 보호할 수 있는 외기 여과필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외기여과필터는, 외기의 오염물질을 걸러주는 여과면와; 상기 여과면과 일체로 성형되며 여과면의 테두리를 형성하면서 복수겹으로 겹치도록 성형되는 필터테두리와; 상기 여과면의 가로 방향으로 복수겹 겹쳐지도록 성형되며, 상기 여과면의 견고성과 원형복원력을 향상시키는 가로겹침부와; 상기 여과면의 세로 방향으로 복수겹 겹쳐지도록 성형되며, 상기 여과면의 견고성과 원형복원력을 향상시키는 세로겹침부와; 상기 세로겹침부와 가로겹침부가 교차되어 형성되는 중앙겹침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여과면은 극세사로 성형되는 극세사천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중앙겹침부의 전면에는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필터손잡이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여과면의 실내측면은 화재 발생시 화재의 확산을 방지하도록 방염 가공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여과면의 실외측면은 우천시 빗방울의 유입을 방지하도록 방수 가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여과면은 창문이 설치되는 창문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필터손잡이는 상기 여과면과 동일한 소재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외기여과필터에 의하면, 조망권이 확보되면서 외기에 포함되어 있는 미세먼지와 같은 오염물질이 실내 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이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의한 외기여과필터를 상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도 2에는 본 고안에 의한 바람직한 일실시예가 채용된 외기여과필터가 부착된 창문틀을 나타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3에는 본 고안에 의한 바람직한 일실시예가 채용된 외기여과필터의 구성을 나타낸 체결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도 2와 도 3을 참조하여 외기여과필터를 상세히 살펴보면, 일반적인 실내 공간의 외벽 등에는 외부 공기와의 환기 및 햇빛의 투과 등을 위한 창문이 구비된다.
상기 창문은 실내 공간의 외벽에 설치되는 창문틀(200)에 장착되며, 사용자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방 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창문틀(200)은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사각판재 형상으로 성형되며, 소정의 폭을 가지는 테두리 부분을 제외한 중앙부가 천공 형성된다. 이러한 창문틀(200)의 중앙부에 창문이 장착되어 실내 공간의 공기를 외부 공기와 환기시키게 된다.
상기 창문틀(200)의 전면에는 극세사(極細絲)를 사용하여 제작하는 극세섬유(極細纖維)로 이루어지는 외기여과필터(100)가 부착된다. 창문틀(200)의 전면에 상기 외기여과필터(100)가 부착되는 것은 접착제 또는 벨크로 등의 다양한 방법으로 부착되는 것이 가능하며, 창문틀(200)에 맞는 프레임을 제작하여 프레임에 외기여과필터(100)를 고정시키고, 외기여과필터(100)가 고정된 프레임을 창문틀(200)에 장착하는 방법도 가능할 것이다.
극세사는 9㎞의 길이에 무게가 1g도 나가지 않는 천을 생산하는데 사용하는 섬유로 사람의 머리카락보다 100배나 가는 극히 미세한 섬유를 일컫는다. 일반적으로 합성사를 나타내는 표기는 데니어라는 단위를 사용하며, 이러한 데니어는 9㎞에서의 실의 무게를 그램(g)으로 표기하게 된다.
일반사의 무게는 보통 1g∼5g 까지 다양하게 생산되며, 통상적으로 75/36이라고 표기하게 되면, 9㎞에서 36가닥이 75g이 되는 것을 나타내는 것이다. 이는 1가닥을 기준으로 보면 대략 2g 정도가 된다.
통상 0.5g 이하의 실을 극세사라 칭하며, 최근에는 기술이 많이 발전하여 0.05g 정도까지 섬유를 생산해내고 있다. 일반적인 방사에는 0.15g까지 생산되고 복합사라고 하는 녹는 중합물(이용성)과 함께 방사한 후 이용성 중합물을 녹여버리면 0.15g의 아주 가는 실이 제작된다.
사람의 머리카락과 극세사를 비교하게 되면, 사람의 머리카락이 통상 3g 정도되므로 0.15g의 극세사가 상당히 가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단위 무게당 가는 실 즉, 극세사가 들어가면 그만큼 표면적이 넓어지게 되고, 이는 물의 흡수성 이 좋으며, 공기 함유층을 많이 가지고 있으므로 피부에 닿는 감촉도 좋아진다.
이러한 극세사로 제작되는 극세섬유 즉, 극세사천은 면에 비해 흡수과 탈수력이 4∼5배 달하는 뛰어난 섬유이며, 각종 스포츠 웨어에 사용될 만큼 흡수력과 탈수력은 검증되어 있다. 또한, 촘촘한 구조로 짜여진 섬유이기 때문에 피부에 거의 자극이 없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상기 극세사천은 0.001㎜의 극세사로 짜여진 직물로 실과 실 사이의 간격이 2/100㎜ 밖에 되지 않으므로 생활 주면에 기생하며 각종 알레르기와 피부염, 천식 등을 유발시키고 있는 집먼지 진드기 등이 서식할 수 없을 만큼 촘촘하기 때문에 세균의 서식을 방지하는 장점도 가지게 된다.
뿐만아니라, 극세사천의 경우 세제 등을 사용하지 않고 일반적인 물로만 세탁하여 사용함으로써 별도의 섬유유연제 또는 표백제 등의 사용이 불필요하게 됨으로써 세제에 의한 환경 오염을 방지하게 되며, 세탁이 편리한 이점을 가지게 된다. 그리고, 젖은 상태로도 냄새가 나지 않아 언제나 보송보송한 촉감을 유지하고 있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장점으로 인해 극세사천을 이용하여 성형되는 상기 외기여과필터(100)는 극세사천이 가지는 장점을 그대로 가지게 된다.
한편, 상기 창문틀(200)에 부착되는 상기 외기여과필터(100)를 살펴보면, 외기여과필터(100)에는 외부 공기의 내부에 포함되어 있는 오염물질이 실내 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여과면(110)이 구비된다. 이러한 여과면(110)은 대략 창문틀(200)의 면적과 대응되는 면적을 가지는 사각판재 형상으로 성형된다.
상기 여과면(110)은 촘촘히 짜여지는 극세사천의 특성상 황사현상에 따른 미세먼지까지 걸러주는 것이 가능하게 되며, 여과면(110)의 테두리에는 다수 겹으로 겹쳐지도록 성형되어 여과면(110)의 테두리 즉, 외기여과필터(100)의 테두리를 형성하는 필터테두리(120)가 성형된다.
상기 필터테두리(120)는 극세사천이 다수겹으로 겹쳐짐으로써 소정의 자체 강도를 가지게 되며, 상기 여과면(110)과 일체로 성형된다. 이러한 여과면(110)의 세로 방향 중앙부에는 여과면(110)의 상단부로부터 하단부까지 세로 방향으로 가로질러 세로겹침부(140)가 성형된다. 세로겹침부(140)는 여과면(110)이 다수겹으로 겹쳐짐으로써 여과면(110)의 강도를 보강하게 된다.
또한, 상기 여과면(110)의 가로 방향 중앙부에는 여과면(110)의 좌측단부로부터 우측단부까지 가로 방향으로 가로질러 가로겹침부(130)가 성형된다. 가로겹침부(130)는 여과면(110)이 다수겹으로 겹쳐짐으로써 여과면(110)의 강도를 보강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가로겹침부(130)와 세로겹침부(140)가 서로 교차되는 중앙겹침부(150)는 가로겹침부(130)의 두께와 세로겹침부(140)의 두께를 합한 두께만큼 성형된다. 이러한 중앙겹침부(150)의 전면에는 사용자가 상기 여과면(110)의 전면(前面)에 붙어있는 먼지 등을 털어낼 때 파지하기 위한 필터손잡이(160)가 더 구비된다.
상기 필터손잡이(160)는 상기 여과면(110)이 성형되는 소재와 동일한 소재로 성형되며, 상기 중앙겹침부(150)의 전면에 성형되어 여과면(110)의 전면에 붙어있는 먼지 등을 털어낼 때 파지하기 위함이다. 즉, 사용자가 상기 필터손잡이(160)를 파지하여 전방으로 인출하게 되면, 여과면(110)은 자체 신축성(伸縮性)에 의해 전방으로 신축된다.
이때, 사용자가 상기 필터손잡이(160)를 높게 되면, 상기 여과면(110)은 자체 복원력에 의해 신축되었던 여과면(110)이 원위치하게 된다. 여과면(110)이 원위치되면서 여과면(110)에 붙어있던 먼지 등의 이물질이 여과면(110)으로부터 분리된다.
또한, 수개월이 경과된 후에는 상기 외기정화필터(100)를 상기 창문틀(200)로부터 이탈시켜 외기정화필터(100)를 세척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상기 외기여과필터(100)를 제작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먼저, 극세사로 짜여지는 극세사천을 상기 창문틀(200)의 가로폭과 대응되는 가로폭으로 제단하게 되며, 창문틀(200)의 길이보다 더 길게 제1극사사천을 제단된다. 창문틀(200)의 가로폭과 대응되는 가로 폭으로 제단되는 제1극세사천은 상단부로부터 다수겹 겹쳐지게 성형되면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성형된다. 다수겹으로 겹쳐지면서 성형되는 극세사천의 상단부가 상기 여과면(110)의 상단부에 성형되는 상기 필터테두리(120)의 상부가 된다.
상단부가 다수회 겹쳐지면서 성형되는 상기 여과면(110)은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면서 상기 창문틀(200)의 세로 방향 중앙부에서 다수회 겹쳐지도록 성형된다. 이처럼 세로 방향 중앙부에 다수회 겹쳐지도록 성형되는 부분이 상기 가로겹침부(130)가 되며, 가로겹침부(130)가 성형되는 여과면(110)의 세로 방향 중앙부로부터 하방으로 다시 연장 형성된다.
상기 가로겹침부(130)로부터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상기 여과면(110)은 다시 하단부에서 다수회 겹쳐지면서 여과면(110)의 하단부에 성형되는 상기 필터테두리(120)의 하부가 된다.
상단부에 상기 필터테두리(120)의 상부가 성형되며, 하단부에 필터테두리(120)의 하부가 성형되는 상기 여과면(110)의 세로 방향 길이는 상기 창문틀(200)의 세로 방향 길이와 대응되는 길이로 제단된다.
또한, 극세사천을 상기 창문틀(200)의 세로 방향 길이와 대응되는 세로 방향 길이를 가지도록 제단되며, 창문틀(200)의 가로 방향 길이보다 더 길게 제2극세사천을 제단하게 된다. 창문틀(200)의 가로 방향 길이보다 더 길게 제단되는 제2극세사천은 좌측단부로부터 다수겹으로 겹쳐지면서 성형되어 우측방으로 연장 형성된다.
다수겹으로 겹쳐지면서 성형되는 제2극세사천의 좌측단부가 상기 필터테두리(120)의 좌측부가 되며, 이러한 필터테두리(120)의 좌측부로부터 우측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2극세사천은 상기 창문틀(200)의 가로 방향 중앙부에서 다시 다수겹으로 겹쳐지도록 성형된다. 이처럼, 창문틀(200)의 가로 방향 중앙부에서 다수겹으로 겹쳐지도록 성형되는 부분이 상기 세로겹침부(140)가 된다.
제2극세사천은 상기 창문틀(200)의 가로 방향 중앙부에 다수겹으로 겹쳐지도 록 성형되는 상기 세로겹침부(140)로부터 다시 우측방으로 연장 형성된다. 우측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2극세사천은 우측단부에서 다수겹으로 겹쳐지도록 성형된다. 이러한 우측단부가 상기 필터테두리(120)의 우측부가 된다.
따라서, 제2극세사천의 좌측단부 상단은 제1극세사천의 상단부 좌측단과 접하도록 성형되며, 좌측단부 하단은 제1극세사천의 하단부 좌측단과 접하도록 성형된다. 그리고, 제2극세사천의 우측단부 상단은 제1극세사천의 상단부 우측단과 접하도록 성형되며, 우측단부 하단은 제1극세사천의 하단부 우측단과 접하도록 성형된다.
즉, 제1극세사천의 상단부 좌측단과 제2극세사천의 좌측단부 상단이 접하면서 상기 필터테두리(120)의 좌측 상단부 모서리가 성형되고, 제1극세사천의 상단부 우측단과 제2극세사천의 우측단부 상단이 접하면서 필터테두리(120)의 우측 상단부 모서리가 성형된다.
또한, 제1극세사천의 하단부 좌측단과 제2극세사천의 좌측단부 하단이 접하면서 상기 필터테두리(120)의 좌측 하단부 모서리가 성형되고, 제1극세사천의 하단부 우측단과 제2극세사천의 우측단부 하단이 접하면서 필터테두리(120)의 우측 하단부 모서리가 성형된다.
따라서, 상기 여과면(110)은 두겹으로 성형되며, 상기 필터테두리(120)이 성형되는 여과면(110)의 테두리 부분과 중앙부에 성형되는 상기 가로겹침부(130) 및 세로겹침부(140)는 다수겹으로 성형된다.
도 4에는 본 고안에 의한 바람직한 일실시예가 채용된 외기여과필터의 내측 면에 방염층이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방염층이 형성되는 외기여과필터를 살펴보면, 상기 여과면(110)의 내측면 다시말해, 상기 창문틀(200)에 상기 외기여과필터(100)가 장착될 때 창문틀(200)측에 성형되는 면에 화재 발생시 화재의 확산을 방지하게 되는 방염층(300)이 성형된다.
상기 외기여과필터(100)의 내측면에 상기 방염층(300)을 성형하기 위한 방염가공은 가연성(可燃性)을 방지하는 가공으로 난연가공(難燃加工)이라고도 하며, 착화성이나 불꽃을 일으켜 번져가는 연소성을 저하시키는 가공 방법이다. 주로 가연성이 강한 면이나 레이온,삼[麻]이 대상이 되는데, 비단이나 합성섬유에 대한 가공도 시도되고 있다.
방염가공은 효과의 지속성에 따라 일시적인 방염가공과 내구적인 방염가공으로 구분되며, 일시적인 방염가공은 방화성이 있는 가용성 금속염류를 부착시키는 방법이다. 이러한 일시적인 방염가공은 천의 유연성이나 촉감을 해치는 일이 적고 처리가 간단하며, 비용이 적게 드는 이점이 있으나, 내수성이 없는 결점으로 외기여과필터(100)의 제작시에는 내구적 방염가공을 사용하게 된다.
내구적 방염가공법은 난용성 화합물을 섬유에 부착시키는 방법으로 이러한 내구적 방염가공을 하게 되면, 비바람이나 햇볕에 잘 견디면서 화재에 강한 외기여과필터(100)가 성형된다.
또 다른 방염가공으로는 방염섬유의 극세사를 사용하여 극세사천을 제작하는 방법이다. 방염섬유는 불꽃이 닿았을 때는 타지만 불꽃이 떨어지면 자연히 소화되는 성질을 가지는 섬유를 일컫는다. 이러한 방염가공법으로는 화학섬유 원료에 방 염제를 섞어 극세사를 성형하는 방법과, 방염 약품으로 천을 후처리하는 방법 등이 있다.
도 5에는 본 고안에 의한 바람직한 일실시예가 채용된 외기여과필터의 외측면에 방수층이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5를 참조하여 방수층이 성형되는 외기여과필터를 살펴보면, 상기 여과면(110)의 외측면 다시 말해, 상기 창문틀(200)에 상기 외기여과필터(100)가 장착될 때 실외 공기와 접하는 면에 방수층(400)이 성형된다.
상기 방수층(400)을 형성하기 위한 방수가공은 상기 외기여과필터(100)에 방수성을 주어 외부로부터 물의 침투를 방지하기 위해 실시하는 가공법으로 공기가 통하도록 하는 방수가공법과, 공기가 통하지 않는 방수가공법이 있다.
공기가 통하도록 하는 가공법은 직물의 기공을 그대로 남겨두어 통기성을 유지하면서 방수성을 가지도록 하는 방법으로 위생적이지만 완전한 방수효과를 거두기는 힘든 점이 있으며, 공기가 통하지 않도록 하는 가공법은 기공을 남기지 않고 방수성을 가지도록 하는 방법으로 완전한 방수 효과를 거둘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통기성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사용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외기여과필터(100)의 경우에는 공기가 통하도록 하는 방수가공법을 사용하게 된다.
한편, 상기 외기여과필터(100)의 전면(前面)에 발수가공을 하여 방수층(400)이 아닌 발수층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발수가공은 섬유에 소수성 물질을 도포하는 방법과, 화학 반응에 의해 직접 소수성 물질을 섬유 분자에 결합시켜 물에 젖는 것을 방지하는 방법이다.
이러한 발수가공은 섬유 표면에 엷게 발수제가 도포된 상태로 고착되어 있으므로 공기 또는 수증기 등의 기체는 통과가 가능하게 된다.
이처럼, 상기 외기여과필터(100)의 외측면에 공기가 통하도록 하는 방수가공 또는 발수가공을 하게 되면, 외부 공기는 상기 여과면(110)을 통과하면서 여과된 공기가 실내 공간으로 유입될 수 있게 된다.
도 6에는 본 고안에 의한 다른 실시예가 채용된 외기여과필터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7에는 본 고안에 의한 다른 실시예가 채용된 외기여과필터의 외형을 나타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8에는 본 고안에 의한 다른 실시예가 채용된 외기여과필터의 외형을 나타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여 다른 실시예가 채용된 외기여과필터를 살펴보면, 도 6에는 상기 여과면(110)의 외면에 소정의 그림을 프린트하거나 그려줌으로써 건물의 외관과 조화되도록 성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7과 도 8에는 상기 가로겹침부(130)와 세로겹침부(140)가 대각선 방향 또는 창살 형상으로 성형되어 상기 여과면(110)의 견고성과 원형복원력을 향상시키게 된다.
도 9에는 본 고안에 의한 다른 실시예가 채용된 외기여과필터가 창문틀에 설치되는 상태를 나타낸 체결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9를 참조하여 상기 창문틀(200)에 상기 외기여과필터(100)가 장착되는 다른 실시예를 살펴보도록 한다.
상기 필터테두리(120)의 외측 단부는 소정의 직경을 가지는 원형파이프 형상 으로 성형되는 원형빔을 감싸면서 고정되도록 성형된다. 이러한 원형빔은 소정의 내부 공간을 가지면서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성형되는 원형빔케이스의 내부 공간에 수용된다.
상기 원형빔케이스의 일면은 상기 원형빔의 직경과 대응되는 폭으로 절제되어 원형빔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성형된다. 원형빔이 내부 공간에 수용되는 원형빔케이스는 상기 창문틀(200)의 전면에 후방으로 함몰 성형되는 케이스홈에 수용되면서 안착된다. 원형빔케이스의 폭과 케이스홈의 폭은 대응되는 폭을 가지도록 성형되어 원형빔케이스가 케이스홈에 억지끼움 방식으로 수용되면서 안착된다.
이때, 상기 창문틀(200)의 전면 일부가 후방으로 함몰 형성되며, 이러한 함몰 형성된 케이스홈에 상기 원형빔케이스가 수용되면서 안착될 때 원형빔케이스의 절제된 면이 상기 창문틀(200)의 전방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절제된 면이 측방 또는 후방으로 가도록 원형빔케이스를 상기 창문틀의 케이스홈에 억지까움으로 체결하게 된다.
이는 원형빔케이스의 내부 공간에 수용되는 원형빔이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외기여과필터(100)의 작용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외기여과필터(100)를 상기 창문틀(200)에 부착하는 방법은 다양하게 실시 가능하게 된다. 즉, 외기여과필터(100)의 상기 필터테두리(120)의 후면에 접착제를 도포하고 창문틀(200)의 전면에 필터테두리(120)의 후면을 접하도록 하면서 부착하는 방법도 가능하며, 외기여과필터(100)의 테두리에 별도의 필터프레임을 구비하여 창문틀(200)에 장착하는 방법도 가능하게 될 것이다. 또한, 벨크로 등의 부재를 사용하여 외기여과필터(100)를 창문틀(200)에 부착하는 방법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고안에서는 상기 외기여과필터(100)를 상기 창문틀(200)의 전면에 부착하는 것을 예를 들어 살펴보도록 한다.
먼저, 상기 필터테두리(120)의 후면에 접착제를 도포한 다음 상기 창문틀(200)의 전면(前面)에 부착시키게 된다. 창문틀(200)의 전면에 필터테두리(120)의 후면이 접하면서 창문틀(200)에 부착되면, 창문의 여닫음과 관계없이 계속적으로 창문틀(200)에 상기 외기여과필터(100)가 부착된 상태로 유지된다.
상기 창문틀(200)의 전면에 상기 외기여과필터(100)가 부착된 다음 창문을 개방하여 실내 공간으로 실외 공기를 유입시키게 되면, 외부의 공기는 실내 공간으로 유입되며, 실내 공기는 실외 공간으로 유동된다.
실외 공기 즉, 외기가 실내 공간으로 유입될 때 극세사천으로 성형되는 상기 외기여과필터(100)를 통과하면서 오염물질은 여과된다. 이는 외기여과필터(100)의 상기 여과면(110)에 형성되는 통기공이 0.02㎜ 이하로 형성됨에 따라 외부 공기에 포함되어 있는 미세 먼지 및 이물질는 여과면(110)을 통과하지 못하게 되어 여과면(110)의 전면(前面)에 걸러지게 되고, 먼지 및 이물질이 걸러진 깨끗한 공기는 실내 공간으로 유입된다.
또한, 극세사천으로 성형되는 상기 여과면(110)의 전면(前面)에는 여과 면(110)을 통과하지 못하는 외부 공기에 포함되어 있는 먼지 또는 이물질이 남아 있게 된다. 이러한 먼지 또는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상기 창문틀(200)에 부착되어 있는 상기 외기여과필터(100)를 창문틀(200)에서부터 탈거시켜 청소를 하게 된다.
상기 외기여과필터(100)의 청소는 물청소를 하거나 소정의 충격을 가하여 털어주는 방법을 사용하게 되며, 세제 또는 화학약품을 사용하여 세척하지는 않는다. 이는 세제 또는 화학약품에 의해 외기여과필터(100)를 세척하게 되면, 극세사의 특성상 세제 또는 화학약품의 찌꺼기가 상기 여과면(110)의 통공에 협착되어 통기의 기능이 감소하게 된다.
그리고, 물세척을 하지 않을 때에는 상기 외기여과필터(100)가 창문틀(200)로부터 탈거시킨 다음, 사용자는 상기 중앙겹침부(150)의 전면에 성형되는 필터손잡이(160)를 파지하여 외기여과필터(100)를 털어주게 된다.
이러한 본 고안의 범위는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 범위 안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고안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의한 외기여과필터에서는 극세사로 제작되는 극세사천으로 성형된다.
이처럼, 극세사천으로 성형되는 상기 외기여과필터는 외부 공기에 포함되어 먼지 및 이물질이 실내 공간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극세사천으로 성형되는 상기 외기여과필터에 의해 황사 현상 및 여러 원인에 따라 외부의 공기에 포함되어 있는 미세 먼지 등을 걸러주는 효과도 있다.
뿐만아니라, 물세척 만으로도 세척이 가능하며 자체 신축성 및 탄성에 의해 털어줌으로써 전면에 협착되는 먼지 및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게 됨으로써 사용의 편의성이 극대화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극세사천으로 성형되는 외기여과필터에 의하면, 실내 공간에서 실외 공간의 관망이 가능해지며, 햇빛의 투과가 가능하여 조망권과 일조권이 확보되는 효과도 있다.
상기 외기여과필터의 전면(실외측)에는 방수가공 및 발수가공을 하게 됨으로써 우천시에도 창문을 개방하여 실내 공기를 환기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으며, 후면(실내측)에는 방염가공을 하게 됨으로써 화재시에도 외부로 화재가 번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효과도 있다.

Claims (7)

  1. 외기의 오염물질을 걸러주는 여과면와;
    상기 여과면과 일체로 성형되며 여과면의 테두리를 형성하면서 복수겹으로 겹치도록 성형되는 필터테두리와;
    상기 여과면의 가로 방향으로 복수겹 겹쳐지도록 성형되며, 상기 여과면의 견고성과 원형복원력을 향상시키는 가로겹침부와;
    상기 여과면의 세로 방향으로 복수겹 겹쳐지도록 성형되며, 상기 여과면의 견고성과 원형복원력을 향상시키는 세로겹침부와;
    상기 세로겹침부와 가로겹침부가 교차되어 형성되는 중앙겹침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기여과필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면은 극세사로 성형되는 극세사천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기여과필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겹침부의 전면에는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필터손잡이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기여과필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면의 실내측면은 화재 발생시 화재의 확산을 방지하도록 방염 가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기여과필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면의 실외측면은 우천시 빗방울의 유입을 방지하도록 방수 또는 발수 가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기여과필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면은 창문이 설치되는 창문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기여과필터.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손잡이는 상기 여과면과 동일한 소재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기여과필터.
KR2020060016690U 2006-06-21 2006-06-21 외기여과필터 KR20042615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6690U KR200426154Y1 (ko) 2006-06-21 2006-06-21 외기여과필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6690U KR200426154Y1 (ko) 2006-06-21 2006-06-21 외기여과필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6154Y1 true KR200426154Y1 (ko) 2006-09-08

Family

ID=417747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6690U KR200426154Y1 (ko) 2006-06-21 2006-06-21 외기여과필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6154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45703A1 (ko) * 2018-08-30 2020-03-05 주식회사 바이오테라 덕트 유해 배출가스 저감장치
KR20200002596U (ko) * 2019-05-22 2020-12-02 윤형빈 유해물질 차단필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45703A1 (ko) * 2018-08-30 2020-03-05 주식회사 바이오테라 덕트 유해 배출가스 저감장치
KR20200002596U (ko) * 2019-05-22 2020-12-02 윤형빈 유해물질 차단필터
KR200493111Y1 (ko) 2019-05-22 2021-02-01 윤형빈 유해물질 차단필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083038B (zh) 用于净化pm2.5的雪尼尔屏风
KR20170084864A (ko) 유해물질 차단용 필터
JPH10317851A (ja) 網 戸
KR101841086B1 (ko) 금속사를 이용한 미세먼지 및 중금속 차단 특성을 갖는 창호용 망 장치
KR200426154Y1 (ko) 외기여과필터
KR200425293Y1 (ko) 유해먼지 차단망
KR20030020105A (ko) 방충과 방진기능을 겸한 창호시스템
JP6076077B2 (ja) エアフィルター
KR100564445B1 (ko) 환기시스템
CN107939266A (zh) 一种净化空气的纱网及其制备方法
KR20070116296A (ko) 유해먼지 차단망
JP2004324241A (ja) フィルター素材として不織布を結合したフィルター付の網。
CN204048947U (zh) 一种用于净化pm2.5的雪尼尔屏风
KR102237649B1 (ko) 미세먼지 창문 필터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200305712Y1 (ko) 에어필터겸용 방충망
KR102314477B1 (ko) 항균 파티션
KR20180003521U (ko) 먼지 차단 가림망 및 이를 포함하는 물품
CN211542666U (zh) 一种阻燃遮光的环保窗帘布料
JP2002045632A (ja) 空気清浄機
KR20070047915A (ko) 롤 환경방충망
KR20060004605A (ko) 벨크로테이프가 일체로 형성된 부직포필터
KR102369939B1 (ko) 창틀 설치형 공기여과장치
MX2012009470A (es) Metodo y aparato que combaten el sindrome del edificio enfermo.
CN206394140U (zh) 一种多功能窗帘用复合布料
KR100357614B1 (ko) 외기 여과용 필터 세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730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