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5293Y1 - 유해먼지 차단망 - Google Patents

유해먼지 차단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5293Y1
KR200425293Y1 KR2020060014964U KR20060014964U KR200425293Y1 KR 200425293 Y1 KR200425293 Y1 KR 200425293Y1 KR 2020060014964 U KR2020060014964 U KR 2020060014964U KR 20060014964 U KR20060014964 U KR 20060014964U KR 200425293 Y1 KR200425293 Y1 KR 20042529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body
network
frame
blocking
harmfu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496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만춘
유선애
Original Assignee
서만춘
유선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만춘, 유선애 filed Critical 서만춘
Priority to KR202006001496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529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529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529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54Fixing of glass panes or like plates
    • E06B3/5454Fixing of glass panes or like plates inside U-shaped section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66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02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for providing ventilation, e.g. through double windows; Arrangement of ventilation ro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ltering Materials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실외측의 제 1망체에 대해 착탈가능한 제 2망체의 사이에 교체가능한 필터체가 제공되어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 중에 포함된 인체에 유해한 미세먼지(예컨대, 황사, 매연, 화분 등)를 여과하여 실내공기의 오염을 최소화하도록 된 유해먼지 차단망에 관한 것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해먼지 차단망은 상면과 하면에는 창문섀시에 대응하는 가이드요홈이 형성되고 내주면에 형성된 요홈에는 제 1망체가 고정설치된 차단망프레임과, 상기 차단망프레임의 요홈에 대해 착탈식으로 수납되는 필터체프레임에 취부되어 공기여과기능을 갖는 필터체 및, 상기 차단망프레임의 요홈에 착탈식으로 결합되어 상기 필터체를 지지하는 제 2망체를 포함하게 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필터체가 취부된 상기 필터체프레임에는 항균필터체 및/또는 미세먼지/세균의 여과를 위한 메인필터체가 더 갖추어지게 된다.

Description

유해먼지 차단망{HARMFUL DUST FILTERING NET ASSEMBLY}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해먼지 차단망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고안에 따른 유해먼지 차단망의 횡단면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1과 도 2에 도시된 제 2차단망체의 착탈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해먼지 차단망의 제 1변형예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해먼지 차단망의 제 2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차단망프레임, 12: 제 1차단망체,
14: 필터체, 14a: 필터체프레임,
16: 제 2차단망체, 16a: 차단망틀,
16b: 판스프링, 20: 항균필터체,
22: 메인필터체.
본 고안은 유해먼지 차단망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창문 섀시 또는 현관 내측에 설치되어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 중에 포함된 유해먼지(예컨대, 황사, 매연, 화분(花粉)-꽃가루 등)를 여과하여 실내공기의 청정도를 보다 향상시키고 해충(예컨대, 모기, 파리 등)의 실내 침입도 방지하기 위한 기능도 갖도록 된 유해먼지 차단망에 관한 것이다.
대개, 주택의 창문 섀시에는 파리나 모기 등을 포함하는 해충이 실내로 침입하는 일을 방지하기 위해 방충망이 설치되는 바, 종래의 일예에 따른 방충망은 예컨대 철/구리/황동/알루미늄제의 세선(細線) 또는 합섬사(合纖絲)라든지 합성수지제의 세선을 적용하여 공기는 통과하면서 해충은 차단하기에 적합한 구조로 제작된다.
그러한 방충망은 실내공기의 순환을 위해 창문을 개방하거나 현관출입을 위해 현관문이 개방되는 경우 유해한 해충은 실내로 침입하지 못하도록 차단하기 위한 목적은 어느 정도 달성되기는 하지만, 외기에 포함되어 실내로 유입되는 유해물질(예컨대, 미세먼지로서의 황사, 매연, 화분 등)에 대한 여과 또는 차단기능은 전혀 갖지 못하게 된다.
즉, 상기한 구조의 방충망을 사용하여도 계절적인 요인에 의한 대기오염원으로 대표되는 황사 및/또는 화분이라든지 차량에서 배출되는 배기개스(매연) 등의 유해 물질을 차단하지 못하기 때문에, 그러한 유해 물질이 방충망을 통과하여 실내로 유입되면 인체의 호흡기라든지 피부에 악영향을 주게 되어 호흡기질환이라든지 피부질환(예컨대, 아토피성 피부염 등)을 유발하게 된다.
그 점을 고려하여, 현재에는 실내공기에 포함된 유해물질을 제거하도록 하기 위해 실내에 설치되는 공조기(냉방기/난방기)에 실내공기정화기능이 부가되거나 별개의 공기청정기가 보급되는 상황이기는 하지만, 그러한 공조기의 실내공기청정기능 또는 별개의 공기청정기는 실내공기의 순환시에 방충망을 통과해 유입된 유해물질에 의해 오염된 실내공기만을 필터링하게 되는 바, 그러한 이유에서 실내공기의 순환을 위해 외기가 실내로 유입되는 도중에 유해물질을 여과하여 차단하지는 못하는 실정이다.
따라서, 최근에는 방충기능이 기본적으로 상정되면서 실내로 유입되는 유해물질의 1차적인 필터링기능이 부가되는 방충망도 제안되고 있다.
그 일예의 방충망은 금속세선의 망구조에 부직포를 일체로 성형하여 공기필터링기능을 갖게 되고, 그 부직포에 유해성분이 점착되는 경우에는 세척용수를 분사하여 세척이 가능하도록 한 구조를 갖게 된다.
하지만, 그러한 방충망 구조에서는 부직포가 유해성분에 의해 막혀버리게 되면 공기의 순환이 불가능하게 되고, 그 상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세척용수에 의한 세척이 필요하게 되며, 고층 건물의 경우에는 방충망에 대한 세척이 용이하지 않게 된다.
또한, 그 부직포가 수분을 함유하게 되면 상당한 중량을 받게 되어 구조적으 로도 취약하여 장기간 사용을 위한 내구성의 면에서도 불리하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금속/비철금속의 세선(또는 합섬사나 합성수지제의 세선)으로 제작되는 실외측의 제 1차단망체와 금속/비철금속의 세선(또는 합섬사나 합성수지제의 세선)으로 제작되는 실내측의 착탈식 제 2차단망체의 사이에 공기여과용 필터체가 교체가능하게 배치되어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 중에서 인체에 유해한 성분의 필터링이 가능하도록 된 유해먼지 차단망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면과 하면에는 창문섀시에 대응하는 가이드요홈이 형성되고 내주면에 형성된 요홈에는 제 1망체가 고정설치된 차단망프레임과; 상기 차단망프레임의 요홈에 대해 착탈식으로 수납되는 필터체프레임에 취부되어 공기여과기능을 갖는 필터체 및; 상기 차단망프레임의 요홈에 착탈식으로 결합되어 상기 필터체를 지지하는 제 2망체를 포함하는 유해먼지 차단망이 제공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필터체는 부직포로 형성되고, 그 외면에는 방수제가 코팅되며, 그 내면에는 항균제가 코팅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필터체가 취부된 상기 필터체프레임에는 항균필터체가 더 갖추어지게 된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필터체와 상기 항균필터체가 취부된 상기 필터체프레임에는 미세먼지/세균의 여과를 위한 메인필터체가 더 갖추어지게 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제 2차단망체에는 나노실버에 의한 항균처리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해먼지 차단망의 개략적인 분해사시도를 나타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고안에 따른 유해먼지 차단망의 횡단면 구조를 나타낸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유해먼지 차단망에는 창문섀시(도시 생략)에 결합되는 장방형의 차단망프레임(10)이 포함되는 바, 그 차단망프레임(10)의 내주면에는 후술하는 제 1차단망체와 제 2차단망체 및 공기여과용 필터체가 조립되는 요홈(10a)이 형성된다.
또, 상기 차단망프레임(10)의 상면과 하면에는 창문섀시에 결합되면 임의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하면서 필요한 경우 창문섀시에 형성된 안내레일에 의해 슬라이드되도록 하기 위한 가이드요홈(10b)이 형성된다.
상기 차단망프레임(10)의 내주면에 형성된 요홈(10a)내에는 금속/비철금속제의 세선으로 형성되는 제 1차단망체(12)의 장방형 외주단이 견고하게 취부되고, 그 요홈(10a)내에서 상기 제 1차단망체(12)의 내측에는 공기여과용 필터체(14)의 필터체프레임(14a)이 수납된다.
여기서,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필터체(14)로는 부직포가 상정되는 바, 그 부직포의 실외측 면에 대해서는 예컨대 도료형태의 방수제가 코팅되면 바람직하게 된다.
또, 그 필터체(14)를 형성하는 부직포의 실내측 면에 대해서는 세균의 번식을 억제하기 위해 나노실버로 대표되는 항균제에 의한 처리가 이루어지면 더욱 바람직하게 된다.
또, 상기 차단망프레임(10)의 요홈(10a)내에서 상기 필터체(14)의 실내측에는 금속/비철금속제의 세선이나 합섬사 또는 합성수지제의 세선으로 형성되는 제 2차단망체(16)가 착탈가능하게 제공되는 바, 그 제 2차단망체(16)는 차단망틀(16a)에 의해 장방형 외주단이 고정되어 그 차단망틀(16a)이 상기 차단망프레임(10)의 요홈(10a)내에 수납된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상기 제 1차단망체(12)는 상기 차단망프레임(10)의 내주면 요홈(10b)에 견고하게 취부되고, 그 제 1차단망체(12)에 대해 상기 필터체(14)의 필터체프레임(14a)이 수납되며, 그 필터체프레임(14a)의 실내측에 상기 제 2차단망체(16)의 차단망틀(16a)이 수납된다.
따라서, 상기 제 2차단망체(16)를 분리해내면 상기 필터체(14)는 교체가능하게 되는 바, 상기 제 2차단망체(16)의 착탈구조의 일예에 따르면 그 제 2차단망체(16)의 차단망틀(16a)의 일측면(예컨대, 도면에서 좌측면)에는 복수의 판스프링(16b)이 제공되고, 각 판스프링(16b)의 일단은 상기 제 2차단망체(16)의 차단망틀(16a)에 고정되는 반면 그 타단은 비고정된 상태로 유지되는 구조를 갖게 된다.
즉, 상기 제 2차단망체(16)의 착탈구조의 일예에 따르면 상기 제 1차단망 체(12)가 고정취부된 상기 차단망프레임(10)의 요홈(10b)의 좌측부분에 상기 필터체(12)의 필터체프레임(12a)이 수납된 상태에서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2차단망체(16)의 차단망틀(16a)의 판스프링(16b)을 가압하고나서 그 차단망틀(16a)의 타측을 상기 차단망프레임(10)의 요홈(10b)의 우측부분에 밀어 넣으면 그 제 2차단망체(16)의 조립이 이루어지게 되며, 그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판스프링(16b)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제 2차단망체(16)와 상기 필터체(14)가 상기 차단망프레임(10)으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된다.
그와 반대로, 상기 제 2망체의 망체프레임(16a)을 분리하기 위해서는 상기 망체프레임(16a)을 좌측으로 가압하면 상기 판스프링(16b)이 수축하게 되고 그 상태에서 그 망체프레임(16a)의 타측을 상기 차단망프레임(10)의 요홈(10b)으로부터 인출해내면 상기 제 2망체(16)가 분리되고, 그 제 2망체(16)가 분리되면 상기 필터체(14)도 분리가 가능하게 되어 그 필터체(14)의 교환이 가능하게 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제 2차단망체(16)의 차단망틀(16a)에 형성되는 착탈구조는 상기 필터체(14)의 교체가 가능하면 상기한 예로 한정되지는 않고 어떠한 착탈구조가 적용되어도 된다.
따라서, 상기한 유해먼지 차단망에서는 상기 제 1차단망체(12)가 상기 차단망프레임(10)에 견고하게 취부되기 때문에 방충기능이 달성될 뿐만 아니라 방범기능도 제공된다.
또, 상기 제 1차단망체(12)에 대해 공기의 여과기능을 갖는 상기 필터체(14)가 상기 착탈식의 제 2차단망체(16)의 지원하에 교체가능하게 제공되기 때문에 실 내공기의 순환시 외기에 포함되어 유입되는 유해먼지의 제거가 가능하게 되고, 그에 따라 실내공기의 오염이 현저하게 감소될 수 있게 된다.
더욱이, 상기 필터체(14)가 부직포로 제조되는 경우 그 외면에는 방수제가 처리되기 때문에 빗물에 의해 부직포에 의한 필터체(14)가 젖는 경우가 억제되어 유리하게 되고, 그 필터체(14)의 내면에 항균제가 처리되면 자체적으로 항균기능이 보장되어 바람직하게 된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해먼지 차단망의 제 1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제 1변형예에 따른 유해먼지 차단망의 전체적인 구조는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바와 유사하면서 상기 필터체프레임(14a)에는 상기한 필터체(14)에 추가적으로 항균기능의 필터(즉, 항균필터체)(20)가 추가적으로 취부된다.
그 경우, 상기 필터체(14)의 외면에는 방수처리가 이루어지고, 상기 항균필터체(20)는 항균제가 코팅된 부직포로 형성된다.
따라서, 본 제 1변형예에 따른 유해먼지 차단망에서는 상기 필터체(14)에 방수처리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외부로부터의 수분(예컨대 빗물)에 대한 방수기능이 달성되고, 상기 항균필터체(20)에 의한 항균기능이 달성된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해먼지 차단망의 제 2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제 2변형예에 따른 유해먼지 차단망은 도 4에 도시된 제 1변형예의 구조에서 상기 필터체프레임(14a)에 예컨대 0.5∼0.01㎛의 미세먼지라든지 세균을 여과 하기 위한 메인필터체(22)가 더 갖추어지게 된다.
따라서, 본 제 2변형예의 경우에는 상기 필터체(14)에 방수처리가 이루어지고 상기 항균필터체(20)와 미세먼지/세균의 여과를 위한 메인필터체(22)가 복합적으로 갖추어지기 때문에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유해물질에 대한 여과효과가 더욱 향상되게 된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르면 금속/비철금속제의 세선이나 합섬사 또는 합성수지제의 세선으로 형성되는 상기 제 2차단망체(16)에 대해 나노실버에 의한 코팅처리가 이루어지도록 하면 항균효과가 더욱 향상되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은 상기한 적용 예로 한정되지는 않고 고안의 기술적 요지 및 요점을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변형 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예컨대, 상기한 예에서는 상기 차단망프레임(10)에 대해 착탈되는 제 2차단망체(16)는 그 일측이 상기 차단망프레임(10)에 대해 선회가능하게 지지되어 여닫이식으로 취부되어도 된다.
또, 상기 제 2차단망체(16)라든지 상기 항균필터체(20) 및/또는 상기 제 1차단망체(12)에 처리되는 항균제로서는 나노실버로 한정되지는 않고 광물 또는 식물에서 추출된 항균제도 포함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유해먼지 차단망에 의하면 제 1차단망체가 취부된 차단망프레임에 방수처리된 필터체 및/또는 항균필터체와 메인필터체가 교체가능하게 제공됨과 더불어 상기 차단망프레임에 대해 제 2차단망체가 착탈가능 하게 제공됨에 따라 상기 필터체 및/또는 항균필터체와 메인필터체에 의해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 중에 포함된 유해물질의 여과가 가능하게 되고, 그에 따라 실내공기의 오염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더욱이, 상기 필터체 및/또는 항균필터체와 메인필터체는 주기적으로 또는 필요시마다 교체가 가능하기 때문에 종래의 고정식 필터구조에 비해 항균효과라든지 공기청정효과가 현저하게 개선될 수 있게 된다.

Claims (5)

  1. 상면과 하면에는 창문섀시에 대응하는 가이드요홈이 형성되고 내주면에 형성된 요홈에는 제 1망체가 고정설치된 차단망프레임과;
    상기 차단망프레임의 요홈에 대해 착탈식으로 수납되는 필터체프레임에 취부되어 공기여과기능을 갖는 필터체 및;
    상기 차단망프레임의 요홈에 착탈식으로 결합되어 상기 필터체를 지지하는 제 2망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먼지 차단망.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체는 부직포로 형성되고,
    그 외면에는 방수제가 코팅되며,
    그 내면에는 항균제가 코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먼지 차단망.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체가 취부된 상기 필터체프레임에는 항균필터체가 더 갖추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먼지 차단망.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체와 상기 항균필터체가 취부된 상기 필터체프레임에는 미세먼지/세균의 여과를 위한 메인필터체가 더 갖추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먼지 차단망.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차단망체에는 나노실버에 의한 항균처리가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먼지 차단망.
KR2020060014964U 2006-06-05 2006-06-05 유해먼지 차단망 KR20042529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4964U KR200425293Y1 (ko) 2006-06-05 2006-06-05 유해먼지 차단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4964U KR200425293Y1 (ko) 2006-06-05 2006-06-05 유해먼지 차단망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0149A Division KR20070116296A (ko) 2006-06-05 2006-06-05 유해먼지 차단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5293Y1 true KR200425293Y1 (ko) 2006-09-01

Family

ID=417738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4964U KR200425293Y1 (ko) 2006-06-05 2006-06-05 유해먼지 차단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5293Y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121469A (zh) * 2015-05-06 2016-11-16 东北大学 一种空气净化窗
KR101917256B1 (ko) * 2017-09-29 2018-11-12 주식회사 윈로드시스템 방충 및 미세먼지 차단용 복합 미서기 창호
KR20190020449A (ko) * 2017-08-21 2019-03-04 강산이디에스 주식회사 미세먼지 방충망
KR101971168B1 (ko) 2017-10-19 2019-04-22 성상규 환기용 공기 청정기를 구비한 미세먼지 차단 창호 시스템
KR20190113203A (ko) * 2018-03-28 2019-10-08 최재혁 방충망에 설치되는 미세먼지 차단방충망
KR102108407B1 (ko) * 2018-12-04 2020-05-07 박병은 미세먼지 유입방지 방충망
KR20210002827A (ko) 2019-07-01 2021-01-11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전기장을 이용한 미세먼지제거 창호 환기장치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121469A (zh) * 2015-05-06 2016-11-16 东北大学 一种空气净化窗
KR20190020449A (ko) * 2017-08-21 2019-03-04 강산이디에스 주식회사 미세먼지 방충망
KR101979100B1 (ko) * 2017-08-21 2019-05-15 강산이디에스 주식회사 미세먼지 방충망
KR101917256B1 (ko) * 2017-09-29 2018-11-12 주식회사 윈로드시스템 방충 및 미세먼지 차단용 복합 미서기 창호
KR101971168B1 (ko) 2017-10-19 2019-04-22 성상규 환기용 공기 청정기를 구비한 미세먼지 차단 창호 시스템
KR20190113203A (ko) * 2018-03-28 2019-10-08 최재혁 방충망에 설치되는 미세먼지 차단방충망
KR102153306B1 (ko) * 2018-03-28 2020-09-08 최재혁 방충망에 설치되는 미세먼지 차단방충망
KR102108407B1 (ko) * 2018-12-04 2020-05-07 박병은 미세먼지 유입방지 방충망
KR20210002827A (ko) 2019-07-01 2021-01-11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전기장을 이용한 미세먼지제거 창호 환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25293Y1 (ko) 유해먼지 차단망
CN204187736U (zh) 具有可分流的空气管的空气净化装置
KR20070116296A (ko) 유해먼지 차단망
KR20170134112A (ko) 나노섬유 필터를 이용한 방진망
CN103747844A (zh) 抗微生物的过滤介质和过滤模块
KR20170084864A (ko) 유해물질 차단용 필터
KR200442850Y1 (ko) 건축물 실내 환기장치용 실내측 디퓨져의 필터장치
KR101752965B1 (ko) 공기 정화기의 악취와 미세먼지 여과방법 및 그 장치
DE102006009754A1 (de) Lösbare Filtervorrichtung für eine Klimaanlage und Montageverfahren dafür
DE102009060764A1 (de) Raumluftverbesserungseinrichtung
KR101841086B1 (ko) 금속사를 이용한 미세먼지 및 중금속 차단 특성을 갖는 창호용 망 장치
KR20030020105A (ko) 방충과 방진기능을 겸한 창호시스템
KR200401049Y1 (ko) 방충망
US20080216456A1 (en) Filter apparatus and method
KR200360601Y1 (ko) 공기정화 기능을 가지는 방충망
KR101971168B1 (ko) 환기용 공기 청정기를 구비한 미세먼지 차단 창호 시스템
KR200305712Y1 (ko) 에어필터겸용 방충망
US11969679B2 (en) Surface-enhanced copper filter for air purification and system and method for using
DE20216538U1 (de) Gerätegehäuse- und Luftreinigeranordnung
KR102630278B1 (ko) 청소기능을 구비한 롤타입 방충망장치
KR100779132B1 (ko) 롤 환경방충망
KR102108407B1 (ko) 미세먼지 유입방지 방충망
KR200367963Y1 (ko) 공기청정기를 구비한 엘리베이터
KR200426154Y1 (ko) 외기여과필터
JPH112445A (ja) 室内空気の換気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