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57614B1 - 외기 여과용 필터 세트 - Google Patents

외기 여과용 필터 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57614B1
KR100357614B1 KR1020000030019A KR20000030019A KR100357614B1 KR 100357614 B1 KR100357614 B1 KR 100357614B1 KR 1020000030019 A KR1020000030019 A KR 1020000030019A KR 20000030019 A KR20000030019 A KR 20000030019A KR 100357614 B1 KR100357614 B1 KR 1003576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screen
cut
window frame
adhes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300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109442A (ko
Inventor
원하연
남임우
Original Assignee
원하연
남임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하연, 남임우 filed Critical 원하연
Priority to KR10200000300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57614B1/ko
Publication of KR200101094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94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76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7614B1/ko

Lin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기 여과용 필터 세트에 관한 것으로서, 창틀 또는 방충망에 설치하여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중의 오염입자를 여과하는 필터 세트에 있어서, 선경 0.02mm∼0.05mm의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비닐 또는 섬유 중 하나로 된 실(32)을 단독 또는 병용으로 직제하여 A.F.I 규격 또는 ASHRAE 규격에서 정하는 중량법으로 여과율 30%∼70%를 유지하며, 가위 또는 칼 등으로써 적절한 크기로 재단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롤식으로 권취되어서 제공되는 필터(30); 및 상기 재단된 필터(30)를 창틀 또는 방충망 틀(4)에 부착하기 위하여 양면에 보호지(42)를 갖추어 제공되는 양면접착테이프(40)를 포함하여, 필터(30)의 탈부착이 양면접착테이프(40)에 의하여 간편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또한, 상기 양면접착테이프에 의한 탈부착수단은 고무자석(50)으로 구성할 수 있고, 다르게는 접착천(60)과 다수의 클립(70)으로 구성할 수도 있으며, 또 다르게는 복수의 고정핀(82)이 돌출형성된 플라스틱 성형재(80)의 고정띠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필터 세트는 방충망과 함께 병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면서, 필터가 롤식으로 권취된 상태로 제공되어 창틀 또는 방충망의 크기나 형상에 따라 자유로운 형태로 쉽게 재단하여 사용할 수 있고, 설치와 분리가 간편하다.

Description

외기 여과용 필터 세트{Filter Set For Filtering Air Of Outdoor}
본 발명은 외기 여과용 필터 세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창틀의 크기에 따라 적절히 재단하여 사용할 수 있으면서 설치와 분리가 용이하며 필터의 재사용도 가능한 외기 여과용 필터 세트에 관한 것이다.
공기중에는 타이어 분진, 꽃가루, 산업먼지, 박테리아, 기름, 곰팡이, 가스 등의 오염입자들이 포함되어 있는데, 일정한 정화수단을 설치하지 않은 상태로 창문을 열어 환기를 시키고자 하면, 공기중에 떠다니는 오염입자가 실내에 그대로 유입되고, 유입된 오염입자는 인체의 호흡기로 흡인되기 때문에 두통, 호흡기계통 질환, 피부질환, 신경통 등 각종의 질병을 일으키는 원인이 된다.
특히, 무더운 여름철에 실내의 환기를 위하여 창문을 열어두는 경우가 많다. 이때에, 창문에 아무런 여과수단도 설치되지 않은 경우에는 공기중의 오염입자 뿐만 아니라 파리, 모기 등의 곤충이 실내로 유입되게 된다. 이러한 경우를 대비하여 대부분의 주택에는 공기중의 오염입자중에서 특히 모기나 큰 오염입자의 유입을 막기 위하여 방충망을 설치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러한 방충망의 대부분은 그물망의 메쉬(mesh) 크기가 커서 큰 오염입자나 곤충 이외에는 여과할 수가 없다.
또한, 방충망과는 별도로 실내의 공기정화를 할 수 있는 장치를 설치하기도 하는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방충망의 1차적인 여과기능이 부족하여 무거운 입자는 실내 바닥에 쌓이고 나머지의 가벼운 입자만 여과되게 된다. 따라서 특히 어린이나 노약자의 건강에 나쁜 영향을 미치게 되고, 나아가 실내 바닥이 빨리 오염되어 청소를 자주 하여야 한다. 또한 청정한 작업환경을 요하는 공장의 경우에는 청소에 드는 비용도 무시할 수 없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에 착안한 것으로서, 방충망과 병행사용할 수 있으면서 공기중에 있는 대부분의 오염입자를 여과할 수 있도록 하고, 그러면서도 특히 창틀의 크기나 형상에 따라 자유로운 형태로 재단하여 사용할 수 있으면서, 일반인이라도 쉽게 착탈할 수 있으며, 필터의 재사용도 가능하고 가격도 저렴한 외기 여과용 필터 세트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필터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2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필터 세트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b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필터 세트의 설치상태 사시도
도 2c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필터 세트의 설치상태 측면도
도 3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필터 세트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필터 세트의 설치상태 사시도
도 3c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필터 세트의 설치상태 측면도
도 4a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필터 세트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4b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필터 세트의 설치상태 사시도
도 4c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필터 세트의 설치상태 측면도
도 5a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필터 세트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5b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필터 세트의 설치상태 사시도
도 5c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필터 세트의 설치상태 측면도
도 6은 종래의 전형적인 방충망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방충망 4 : 방충망 틀
6 : 그물망 8 : 방충망 메쉬
30 : 필터 32 : 실
34 : 필터 메쉬 40 : 양면접착테이프
50 : 고무자석 60 : 접착천
70 : 클립 80 : 고정띠
82 : 고정핀 84 :돌기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외기 여과용 필터 세트는, 창틀 또는 방충망에 설치하여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중의 오염입자를 여과하는 필터 세트에 있어서, 선경 0.02mm∼0.05mm의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비닐 또는 섬유 중 하나로 된 실을 단독 또는 병용으로 직제하여 A.F.I 규격 또는 ASHRAE 규격에서 정하는 중량법으로 여과율 30%∼70%를 유지하며, 가위 또는 칼 등으로써 적절한 크기로 재단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롤식으로 권취되어서 제공되는 필터; 및 상기 재단된 필터를 창틀 또는 방충망 틀에 부착하기 위하여 양면에 보호지를 갖추어 제공되는 양면접착테이프를 포함하여, 필터의 탈부착이 양면접착테이프에 의하여 간편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양면접착테이프에 의한 탈부착수단은 고무자석으로 구성할 수 있고, 다르게는 접착천과 다수의 클립으로 구성할 수도 있으며, 또 다르게는 복수의 고정핀이 돌출형성된 플라스틱 성형재의 고정띠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하기에 앞서 첨부도면 도 6을 참조하여 종래의 전형적인 방충망의 구성을 살펴본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방충망(2)은 창틀의 크기에 맞춘 방충망 틀(4)내에 그물망(6)을 갖춘 구조로서, 상기 방충망 틀(4)을 창틀에 설치한 다음, 창문을 열면 상기 그물망(6)의 메쉬(8)를 통하여 외부의 공기가 실내로 들어오게 되어 있다.
다시, 본 발명을 설명한다.
먼저, 첨부도면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필터의 구성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필터(30)는 선경 0.02mm∼0.05mm의 가는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비닐, 섬유질중 하나로 된 실(32)을 단독 또는 병용으로 그물망식으로 직제하여 마련한다.
이러한 필터(30)는, 도시된 예에서는 한겹으로된 일중직 필터를 예시하고 있는데, 통상적으로 두 겹이 유리하며, 특히 먼지가 많은 공장지대 등에서는 두겹으로 즉, 이중직으로 하여 오염입자의 여과에 중점을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한 필터(30)는 투명 또는 반투명으로 하여 밖을 내다볼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한 필터(30)는 그 메쉬(34)의 밀도에 따라 오염입자의 여과율이 결정이 되는데, 본 발명에 있어서는 전술한 선경 0.02mm∼0.05mm의 가는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비닐 또는 섬유질등으로 된 실(32)을 중량법으로 여과율(분진포집효율, 중량법 효율)30∼70%를 유지하는 범위의 메쉬(34) 밀도로 직제한다. 이때에 1중직이거나 2중직이거나 상기한 범위내에 있어야 한다. 따라서, 1중직일 경우와 2중직일 경우의 메쉬(34) 밀도가 달라질 수 있다. 상기의 여과율을 유지함으로써 공기중의 20∼300㎛의 오염물질 예를들어 먼지, 타이어 마모 분진, 꽃가루, 황사, 석면가루 등의 이물질을 여과가능하다.
여기서, 중량법시험은 주로 일반적인 공조용 필터 및 프리필터(pre-filter)에서의 분진 포집효율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이를 시험하는 방법으로서는 현재 일반적으로 인정되고 있는 에이.에프.아이(A.F.I, Air Filter Institute) 규격이나, 아시래(ASHRAE, American Society of Heating, Refrigerating and Air-conditioning Engineers, INC.) 규격에서 정하는 표준시험 방법에 의하여 얻어지는 여과율을 말한다.
상기 표준시험방법에서 채용하고 있는 시험집진 혼합성분상태는, 분진 72%, 카본 블랙 0.08㎛ 25%, 코튼 리닌(Cotten Linen) 3%이며, 상기 분진은 0-5㎛ 39%, 5-10㎛ 18%, 10-20㎛ 16%, 20-4-㎛ 18%, 40-80㎛ 9%로 이루어진다. 필터면에 대한 풍속은 2.5m/sec이다.
첨부도면 도 2a 내지 도 2c는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필터(30)를 별도의 설치수단과 함께 필터 세트로 구성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도 2a는 구성 사시도이고, 도 2b는 설치상태 사시도이며, 도 2c는 설치상태 측면도이다.
먼저,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필터(30)는 롤식으로 권취된 상태로 제공된다. 따라서, 설치할 때에는 필터(30)를 창틀 또는 방충망 틀에 맞추어 가위 또는 칼 등의 수단으로 재단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재단된 필터(30)를 창틀 또는 방충망 틀에 부착하는 수단으로써 별도의 양면접착테이프(40)가 갖추어진다. 이 양면접착테이프(40)는 통상적으로 유통되고 있는 것과 마찬가지로 양측에 보호지(42)가 부착되어 있으며, 사용시에 이 보호지(42)를 벗겨내면 접착제(44)가 드러나도록 되어 있다.
위와 같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필터 세트는 도 2b 및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식으로 권취된 필터(30)를 창틀 또는 방충망 틀(4)에 맞게 재단한 다음, 양면접착테이프(40)를 재단된 필터(30)의 길이에 맞추어 절단하여 그 보호지(42)를 벗겨 필터(30)의 테두리에 붙인 다음, 이를 창틀 또는 방충망 틀(4)에 부착시킴으로써, 창문 또는 방충망 틀(4)을 통하여 들어오는 외기가 필터(30)에서 여과된 후 실내로 들어오게 된다.
분리시에는 창틀 또는 방충망 틀(4)로부터 양면접착테이프(40)를 이탈시키면 되고, 이탈시킨 다음에는 양면접착테이프(40)가 필터(30)에 부착되어 있어 필터(30)로부터 양면접착테이프(40)를 이탈시킬 때 필터(30)에 손상이 갈 수 있으므로, 먼저 설치된 곳에 재사용하지 말고, 양면접착테이프(40)가 붙었던 테두리를 잘라내는 등, 보다 작은 크기로 재단하여 보다 작은 창틀 또는 방충망 틀에 사용할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도 3a 는 구성 사시도이고, 도 3b는 설치상태 사시도이며, 도 3c는 설치상태 측면도이다.
먼저, 도 3a에 도시된 실시예는, 전술한 제1 실시예에서 필터(30)를 방충망(2)에 부착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양면접착테이프(40)를 고무자석(50)으로 대체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필터 세트는 자석에 붙는 성질을 가진 철재 창틀 또는 철재 방충망 틀에 부착하기 적합한 것으로서, 그 설치를 하기 위한 과정은 첨부도면 도 3b 및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식으로 권취된 필터(30)를 창틀 또는 방충망 틀(4)에 맞게 재단한 다음, 재단된 필터(30)를 창틀 또는 방충망 틀(4)에 대고, 그 위에 고무자석(50)을 붙이면 고무자석(50)이 철재 창틀 또는 방충망 틀(4)에 부착되어 필터(30)가 고정되게 된다.
이와 같이 설치된 여과용 필터 세트를 분리할 시에는, 고무자석(50)을 떼어내면 필터(30)가 창틀 또는 방충망 틀(4)로부터 쉽게 이탈될 수 있다. 다음, 필터(30)로부터 고무자석(50)이 분리되어도 필터(30)에는 손상이 가지 않으므로 이의 필터(30)를 청소하여 다시 설치할 수도 있고, 다른 곳에 설치할 수도 있다.
첨부도면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관한 것으로서, 도 4a는 필터 세트의 구성 사시도이고, 도 4b는 설치상태 사시도이며, 도 4c는 설치상태 측면도이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외기 여과용 필터세트는 먼저, 전술한 제1,2 실시예에서 필터(30)를 방충망(2)에 부착하기 위한 수단으로써 제공되는 양면접착테이프(40) 또는 고무자석(50)을 접착천(velcro,60)과 클립(70)으로 대체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접착천(60)은 암,수 접착천(62)(64)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암,수 접착천(62,64)중 하나의 배면에는 전술한 양면접착테이프(40)와 같이 접착제(미도시)가 도포되고, 이 접착제 부분을 보호지(미도시)로써 처리한 것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위와 같은 필터 세트를 설치함에 있어서는 도 4b 내지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식으로 권취된 필터(30)를 창틀 또는 방충망 틀(4)에 맞게 재단하고, 상기 접착천(60)중 배면에 접착제가 도포되지 않은 접착천(편의상 숫 접착천(64)으로 정함)을 필터(30)의 길이에 맞추어 절단한 다음, 이 절단된 숫 접착천(64)을 클립(70)을 사용하여 필터(30)에 적당한 간격으로 고정시킨다. 다음, 상기 접착천(60)중 배면에 접착제가 도포된 접착천(편의상 암 접착천(62)으로 정함)을 창틀 또는 방충망 틀(4)에 부착시킨 후, 여기에 필터(30)측의 숫 접착천(64)을 부착시킴으로써 설치가 간단하게 이루어진다.
나아가, 필터(30)를 분리할 시에는 창틀 또는 방충망 틀(4)의 암 접착천(62)으로부터 필터(30)측의 숫 접착천(64)을 분리하는 동작만으로 쉽게 분리가 가능하며, 분리된 필터(30)측의 클립(70)을 제거하면 숫 접착천(64)이 손상없이 분리됨으로써, 이의 필터(30)를 청소하여 재설치할 수도 있고, 다른 창틀 또는 방충망(2) 틀에 설치할 수도 있는 것이다.
첨부도면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필터 세트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도 5a는 구성 사시도이고, 도 5b는 설치상태 사시도이며, 도 5c는 설치상태 측면도이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외기 여과용 필터 세트는 먼저, 전술한 제1,2,3 실시예에서 필터(30)를 방충망(2)에 부착하기 위한 수단으로써 제공되는 양면접착테이프(40), 고무자석(50) 또는 접착천(60)/클립(70)을 고정띠(80)로 대체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고정띠(80)는 플라스틱 사출물로 이루어지면서 그 일측에는 복수의 고정핀(82)이 돌출되어 있고, 이 고정핀(82)의 단부는 돌기(84)로 이루어져 있다.
위와 같은 필터 세트는 전술한 실시예들과는 달리, 특히 창틀이나 방충망 틀이 아니라 방충망의 그물망에 직접 부착시킬 수 있도록 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필터세트를 설치함에 있어서는 도 5b 내지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식으로 권취된 필터(30)를 방충망(2)의 그물망(6) 크기와 일치하게 재단하고, 상기 고정띠(80)를 필터(30)의 길이에 맞추어 절단한 다음, 절단된 고정띠(80)에 있는 복수의 고정핀(82)을 필터(30)의 메쉬(34)와 방충망(2)의 메쉬(8)로 통과시킨다.
이 경우, 상기 고정띠(80)의 고정핀(82)은 필터(30)의 메쉬(34)와 방충망(2)의 메쉬(8)를 벌리면서 통과하게 되고, 통과된 후에는 고정핀(82)의 돌기(84)가 방충망(2)의 메쉬(8)에 걸려 쉽게 빠지지 않게 된다.
나아가, 필터(30)를 분리할 시에는 고정띠(80)를 잡아당기면, 고정핀(82)의 돌기(84)가 방충망(2)의 메쉬(8)로부터 이탈됨으로써 쉽게 분리할 수 있으며, 분리된 필터(30)를 청소한 후 고정핀(82)이 삽입되어서 벌어져 있는 메쉬 부분을 이용하여 다시 고정띠(80)로써 방충망(2)의 그물망(60)에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고, 고정핀(82)이 삽입되어 벌어져 있는 부분을 포함하는 둘레부분을 절단한 다음, 보다 작은 크기의 방충망(2)에 재사용할 수도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외기 여과용 필터 세트는, 공기중에 있는 대부분의 오염입자를 1차적으로 여과가능하면서, 방충망과 함께 병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필터가 롤식으로 권취된 상태로 제공되므로 창틀 또는 방충망의 크기나 형상에 따라 자유로운 형태로 쉽게 재단하여 사용할 수 있으면서, 간단한 구조의 설치수단을 갖추고 있어, 일반인이라도 쉽게 착탈할 수 있다. 나아가, 경우에 따라서, 분리한 후 재설치하여 사용하거나 보다 작은 크기의 창틀 또는 방충망에 재사용할 수 있다.

Claims (7)

  1. 창틀 또는 방충망에 설치하여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중의 오염입자를 여과하는 필터 세트에 있어서,
    선경 0.02mm∼0.05mm의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비닐 또는 섬유 중 하나로 된 실(32)을 단독 또는 병용으로 직제하여 A.F.I 규격 또는 ASHRAE 규격에서 정하는 중량법으로 여과율 30%∼70%를 유지하며, 가위 또는 칼 등으로써 적절한 크기로 재단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롤식으로 권취되어서 제공되는 필터(30); 및
    상기 재단된 필터(30)를 창틀 또는 방충망 틀(4)에 부착하기 위하여 양면에 보호지(42)를 갖추어 제공되는 양면접착테이프(40)를 포함하여, 필터(30)의 탈부착이 양면접착테이프(40)에 의하여 간편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기 여과용 필터 세트.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선경 0.02mm∼0.05mm의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비닐 또는 섬유 중 하나로 된 실(32)을 단독 또는 병용으로 직제하여 A.F.I 규격 또는 ASHRAE 규격에서 정하는 중량법으로 여과율 30%∼70%를 유지하며, 가위 또는 칼 등으로써 적절한 크기로 재단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롤식으로 권취되어서 제공되는 필터(30); 및
    상기 필터(30)를 철재 창틀 또는 철재 방충망 틀에 대고 그 위에 부착하기 위한 고무자석(50)을 포함하여, 필터(30)의 탈부착이 고무자석(50)에 의하여 간편하게 이루어지면서 탈부착시 필터(30)의 손상이 방지도록 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기 여과용 필터 세트.
  6. 선경 0.02mm∼0.05mm의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비닐 또는 섬유 중 하나로 된 실(32)을 단독 또는 병용으로 직제하여 A.F.I 규격 또는 ASHRAE 규격에서 정하는 중량법으로 여과율 30%∼70%를 유지하며, 가위 또는 칼 등으로써 적절한 크기로 재단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롤식으로 권취되어서 제공되는 필터(30);
    암,수 접착천으로 이루어지면서, 암,수 접착천중 하나의 배면에는 접착제가 도포되어 있어 접착제가 도포된 쪽의 접착천은 창틀 또는 방충망틀(4)에 부착되고, 접착제가 도포되지 않은 나머지 하나의 접착천은 상기 필터(30)측에 배치되도록 한 접착천(60); 및
    상기 접착제가 도포되지 않으면서 상기 필터(30)측에 배치되는 접착천(60)을 필터(30)에 고정하기 위한 다수의 클립(70)을 포함하여, 착탈이 간편하고 착탈시 필터(30)의 손상을 방지하도록 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기 여과용 필터 세트.
  7. 선경 0.02mm∼0.05mm의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비닐 또는 섬유 중 하나로 된 실(32)을 단독 또는 병용으로 직제하여 A.F.I 규격 또는 ASHRAE 규격에서 정하는 중량법으로 여과율 30%∼70%를 유지하며, 가위 또는 칼 등으로써 적절한 크기로 재단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롤식으로 권취되어서 제공되는 필터(30);
    일측면에 상기 필터(30)의 메쉬(34)와 방충망(2)의 그물망(6) 메쉬(8)를 통과하여 그 선단의 돌기(84)가 방충망(2)의 메쉬(8)에 걸림되는 복수의 고정핀(82)이 돌출형성된 플라스틱 성형재의 고정띠(80)를 포함하여, 필터를 방충망의 그물망에 직접 부착시킬 수 있도록 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기 여과용 필터 세트.
KR1020000030019A 2000-06-01 2000-06-01 외기 여과용 필터 세트 KR1003576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0019A KR100357614B1 (ko) 2000-06-01 2000-06-01 외기 여과용 필터 세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0019A KR100357614B1 (ko) 2000-06-01 2000-06-01 외기 여과용 필터 세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9442A KR20010109442A (ko) 2001-12-10
KR100357614B1 true KR100357614B1 (ko) 2002-10-25

Family

ID=458623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0019A KR100357614B1 (ko) 2000-06-01 2000-06-01 외기 여과용 필터 세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5761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7574B1 (ko) * 2008-10-02 2011-02-28 한라대학교산학협력단 점착 및 접착식 공기여과필터
KR101687257B1 (ko) * 2016-10-14 2016-12-16 주식회사 앰버스 창문 방범 센서 장치
KR102574544B1 (ko) * 2022-09-20 2023-10-10 주식회사 동진산업 양면테이프를 이용한 필터프레임용 프레임 및 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2408B1 (ko) * 2017-04-07 2021-07-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천장형 공기 조화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13995U (ko) * 1997-01-29 1997-04-28 엄태인 분진 포집용 창문
JPH10311183A (ja) * 1997-05-13 1998-11-24 Yoshiharu Watanabe 空気清浄調光サッシ
JPH11117637A (ja) * 1997-10-09 1999-04-27 Sekisui Chem Co Ltd 採光・通風窓
KR200201448Y1 (ko) * 2000-05-09 2000-11-01 엄성우 창문형 에어필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13995U (ko) * 1997-01-29 1997-04-28 엄태인 분진 포집용 창문
KR200169129Y1 (ko) * 1997-01-29 2000-02-01 엄태인 분진 포집용 창문
JPH10311183A (ja) * 1997-05-13 1998-11-24 Yoshiharu Watanabe 空気清浄調光サッシ
JPH11117637A (ja) * 1997-10-09 1999-04-27 Sekisui Chem Co Ltd 採光・通風窓
KR200201448Y1 (ko) * 2000-05-09 2000-11-01 엄성우 창문형 에어필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7574B1 (ko) * 2008-10-02 2011-02-28 한라대학교산학협력단 점착 및 접착식 공기여과필터
KR101687257B1 (ko) * 2016-10-14 2016-12-16 주식회사 앰버스 창문 방범 센서 장치
WO2018070823A1 (ko) * 2016-10-14 2018-04-19 주식회사 앰버스 창문 방범 센서 장치
KR102574544B1 (ko) * 2022-09-20 2023-10-10 주식회사 동진산업 양면테이프를 이용한 필터프레임용 프레임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9442A (ko) 2001-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3028983C (en) Compound air filter
JP3281480B2 (ja) 空気フィルターアセンブリ
US5312467A (en) Air filter assembly
US20170246583A1 (en) Air filter configured in a roll
US5906677A (en) Electrostatic supercharger screen
US8182568B2 (en) Two-stage air filter and mask incorporating the same
KR20160104130A (ko) 창문용 미세먼지 차단필터
KR101598756B1 (ko) 미세먼지 차단용 필터
KR20170084864A (ko) 유해물질 차단용 필터
KR100357614B1 (ko) 외기 여과용 필터 세트
US20120198804A1 (en) HVAC Air Filter with Peel Layers
US7052524B1 (en) Fan mounted air purifier
JP2004324241A (ja) フィルター素材として不織布を結合したフィルター付の網。
KR20150114019A (ko) 다기능 필터 및 그 제조방법
KR200305712Y1 (ko) 에어필터겸용 방충망
JP2002045632A (ja) 空気清浄機
US20100251893A1 (en) HVAC Register Filter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CN208694539U (zh) 一种可水洗的初效空气滤芯
KR102369939B1 (ko) 창틀 설치형 공기여과장치
KR102189016B1 (ko) 미세먼지 차단기능을 갖는 통기성 원단의 설치 구조
KR20030024178A (ko) 창문형 에어필터
US20220065494A1 (en) Hvac return fliter holder
JP3101063U (ja) 大型エアコンディショナ用フィルタ
KR200325658Y1 (ko) 보조필터교환이 용이한 공기조화기
US20230347273A1 (en) Pre-filter modules for improving air quali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