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6057Y1 - 콘크리트 슬래브 난간지주 설치용 노출철근 파지식 하부연결구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슬래브 난간지주 설치용 노출철근 파지식 하부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6057Y1
KR200426057Y1 KR2020060015395U KR20060015395U KR200426057Y1 KR 200426057 Y1 KR200426057 Y1 KR 200426057Y1 KR 2020060015395 U KR2020060015395 U KR 2020060015395U KR 20060015395 U KR20060015395 U KR 20060015395U KR 200426057 Y1 KR200426057 Y1 KR 20042605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posed
concrete slab
pair
clamp
re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539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영훈
윤만
정순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코
Priority to KR202006001539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605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605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605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E04G21/3204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against falling down
    • E04G21/3223Means supported by building floors or flat roofs, e.g. safety rail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7/00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 E04G7/02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with separate coupling elements
    • E04G7/06Stiff scaffolding clamps for connecting scaffold members of common sha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콘크리트 슬래브 난간지주 설치용 노출철근 파지식 하부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콘크리트 슬래브 상에 노출된 철근 및 그 표면상에 입설되는 난간지주를 각각 삽입 수용하며 이를 결속시켜줄 수 있는 한 쌍의 관체수용부가 일체로 형성된 개폐 단속구조의 클램프와, 상기 노출철근이 수용되는 일측 관체수용부의 폐쇄 결속시 그 내주면과 노출철근을 유격 없이 밀착시켜 상기 클램프와 노출철근이 일체로 결합될 수 있도록 그 관체수용부 내에 개재되어 상기 노출철근을 압착시켜주는 삽입부재로서 상기 노출철근을 미끄러지지 않게 해주는 논슬립 심재가 마련된 철근삽입홈을 갖는 한 쌍의 반원통형 인서트 몸체로 된 인서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이러한 본 고안의 장치에 의하면, 콘크리트 슬래브에 난간지주를 설치하기 위해 콘크리트 슬래브 내에 배근된 철근과 용접하여 지주받침대를 매립하거나 다수의 앵커보울트로 콘크리트 슬래브의 표면상에 지주받침대를 고정하는 준비공정 없이, 기존 또는 별도로 노출된 철근에 직접 착탈시켜 연결할 수 있게 됨으로써, 건축구조물의 강도저하나 번거로운 마감공정 없이 전 공정을 수행할 수 있어 보다 용이하게 시공 가능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콘크리트 슬래브, 난간지주, 철근, 클램프, 인서트(Insert), 논슬립 심재

Description

콘크리트 슬래브 난간지주 설치용 노출철근 파지식 하부 연결구{Lower part coupler for holding tightly concrete slab railing prop with bare reinforcing rod}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콘크리트 슬래브 난간지주 설치용 노출철근 파지식 하부 연결구의 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하부 연결구를 사용하여, 콘크리트 슬래브의 상부로 노출된 철근과 콘크리트 슬래브용 난간지주를 상호 연결 고정한 상태를 도시한 부분절개 결합 단면도 및 그 결합구조에 적용된 인서트의 미끄럼방지를 위한 밀착구조를 보여주는 요부확대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적용되는 인서트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변형구조를 예시한 사시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종래 기술에 따른 난간지주 설치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도 4a는 난간지주를 지지하기 위한 고정구로서의 지주받침대를 콘크리트 슬래브 내에 매립하여 설치한 구조를, 도 4b는 콘크리트 슬래브가 양생된 상태에서 앵커보울트를 사용하여 그 표면상에 상기 지주받침대를 고정한 후 난간지주를 설치한 구조를 각각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콘크리트 슬래브 2 ; (노출)철근
10 ; 난간지주 11 ; 유-보울트
12 ; 나비너트 20 ; 클램프
21 ; 클램프본체 22 ; 관통공
23, 24 ; 힌지축핀 25 ; 관체수용부
26 ; 힌지플레이트 27 ; 걸림단부
27a ; 걸이홈 28 ; 힌지보울트(Hinge Bolt)
29 ; 체결너트 30 ; 인서트(Insert)
31 ; 인서트 몸체 32 ; 철근삽입홈
33 ; 논슬립 심재(Non-slip Protrusion)
34 ; 연접부 120 ; 지주받침대(Prop Stand)
121 ; 앵커체결공 122 ; 앵커보울트(Anchor Bolt)
본 고안은 콘크리트 슬래브 난간지주 설치용 노출철근 파지식 하부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콘크리트 슬래브에 난간지주를 설치함에 있어서, 콘크리트 슬래브 내에 배근된 철근과 용접하여 지주받침대를 매립하거나, 다수의 앵커보울트를 사용하여 콘크리트 슬래브의 표면상에 상기 지주받침대를 고정하는 별도의 준비공정 없이, 콘크리트 슬래브 표면상에 노출된 철근을 이용하여 그 노출철근에 물리적 으로 착탈시켜 연결할 수 있는 구조를 마련함으로써, 용접 또는 앵커보울트를 체결하기 위한 추가공정 발생에 따른 불필요한 인력 및 작업시간 소모를 방지할 수 있고, 용접 후 철근의 인장강도저하나 앵커보울트 정착 후 콘크리트의 강도저하 우려를 완전 해소할 수 있으며, 완공 후 번거로운 마감공정 없이 가설물을 간편하게 분리시켜 제거할 수 있게 한 콘크리트 슬래브 난간지주 설치용 노출철근 파지식 하부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장이나 빌딩 등의 건축물을 시공함에 있어서, 작업 중 인부의 추락 등과 같은 안전사고에 대비할 수 있도록 건축물의 콘크리트 슬래브 둘레에 난간을 설치하게 된다. 통상의 난간설치작업은 우선 상기 콘크리트 슬래브의 표면 둘레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난간지주를 고정 입설한 후 그 난간지주 사이에 다수의 가로대를 고정 배치하여 연결하는 과정을 통해 이루어진다.
도 4a 및 도 4b는 상기 난간지주(10)를 설치하기 위한 종래의 여러 가지 시공방식에 의해 형성된 하부구조들을 각각 도시하고 있다.
먼저, 도 4a의 종단면도에서는, 난간지주(10)를 지지하기 위한 고정구로서의 지주받침대(120)를 콘크리트 슬래브(1) 내에 매립하여 설치하는 방식에 의한 하부구조를 보여주고 있다. 즉, 종횡으로 배근된 철근(2) 사이의 적정위치에 다수의 지주받침대(120)를 용접하여 고정시키고, 콘크리트(몰탈)를 타설하여 콘크리트 슬래브(1)를 양생한 후, 상기 지주받침대(120)의 중공부에 난간지주(10)를 삽입하고 용접하여서 고정시킨 구조를 이룬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121은 앵커체결공이다.
그러나, 이러한 콘크리트 슬래브 난간지주(10)의 설치구조는, 철근(2)에 지 주받침대(120)를 용접하는 준비공정이 필요하므로, 그 과정에 별도의 시간을 할애하여야 함은 물론 많은 인력이 투입되어야 하고, 콘크리트 타설 전에 상기 지주받침대(120)의 중공부에 몰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그 상부를 테이프 등으로 밀봉시키는 작업도 선행되어야 하며, 용접시 철근(2)이 고온의 열에 노출될 수밖에 없어 철근(2)의 인장강도를 저하시키게 됨에 따라 결과적으로 완공 후 건축구조물의 강도에도 악영향을 미칠 수 있고, 완공 후 상기 난간지주(10) 등의 가설재를 제거하여야 하는 경우에 산소절단기를 사용하여 상기 난간지주(10)를 절단한 후 그 중공부에 무수축 몰탈을 타설하여 자리메움하는 등의 매우 번거로운 마감공정을 수행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도 4b의 종단면도에서는, 콘크리트 슬래브(1)가 양생된 상태에서 앵커보울트(122)를 사용하여 그 표면상에 상기 지주받침대(120)를 고정한 후 난간지주(10)를 설치하는 방식에 의한 하부구조를 보여주고 있다. 즉, 종횡으로 배근된 철근(2) 상에 콘크리트(몰탈)를 타설하여 콘크리트 슬래브(1)를 양생한 후, 상기 콘크리트 슬래브(1)의 표면상에 그 둘레를 따라 적정위치마다 다수의 지주받침대(120)를 배치하고, 상기 지주받침대(120)의 각 앵커체결공(121)을 통해 앵커보울트(122)를 정착시킨 다음, 상기 지주받침대(120)의 중공부에 난간지주(10)를 삽입하고 용접하여서 고정시킨 구조를 이룬다. 통상적으로 충분한 체결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하나의 지주받침대(120)에 4개 이상의 앵커보울트(122)가 체결되어야 하는 바, 상기 지주받침대(120)에는 그 사각 모서리부마다 각각 1개씩 모두 4개의 앵커체결공(121)이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콘크리트 슬래브 난간지주(10)의 설치구조는, 다수의 앵커보울트(122)를 콘크리트 슬래브(1)의 표면상에 고정하는 준비공정이 필요하므로, 그 과정에 별도의 시간을 할애하여야 함은 물론 많은 인력이 투입되어야 하고, 앵커보울트(122)의 정착과정에서 콘크리트 슬래브(1)를 일정 깊이로 천공한 후 타격하여 압입 설치하므로 상기 콘크리트 슬래브(1)에 균열이 발생하는 등 미약하게나마 파손될 수밖에 없어 콘크리트 슬래브(1)의 강도를 저하시키게 됨에 따라 결과적으로 완공 후 건축구조물의 강도에도 악영향을 미칠 수 있음은 물론, 이러한 앵커보울트(122)의 정착과정에서 기 매립된 철근(2)과의 위치적 중첩으로 인한 간섭현상이 발생할 수 있어 작업을 수행하는 것이 쉽지 않으며, 완공 후 상기 난간지주(10) 등의 가설재를 제거하여야 하는 경우에 산소절단기나 그라인더를 사용하여 상기 난간지주(10)를 절단하는 등의 매우 번거로운 마감공정을 수행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콘크리트 슬래브에 난간지주를 설치함에 있어서, 콘크리트 슬래브 내에 배근된 철근과 용접하여 지주받침대를 매립하거나, 다수의 앵커보울트를 사용하여 콘크리트 슬래브의 표면상에 상기 지주받침대를 고정하는 별도의 준비공정 없이, 콘크리트 슬래브 표면상에 노출된 철근을 이용하여 그 노출철근에 물리적으로 착탈시켜 연결할 수 있는 구조를 마련함으로써, 용접 또는 앵커보울트를 체결하기 위한 추가공정 발생에 따른 불필요한 인력 및 작업시간 소모를 방지할 수 있고, 용접 후 철근의 인장강도저하나 앵커보울트 정착 후 콘크리트의 강도저하 우려를 완전 해소할 수 있으며, 완공 후 번거로운 마감공정 없이 가설물을 간편하게 분리시켜 제거할 수 있도록 된 콘크리트 슬래브 난간지주 설치용 노출철근 파지식 하부 연결구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콘크리트 슬래브 난간지주 설치용 노출철근 파지식 하부 연결구는, 콘크리트 슬래브의 표면상에 수직상으로 노출된 철근 및 상기 콘크리트 슬래브에 설치되는 난간의 입설부재로의 난간지주 하단부를 각각 삽입 수용할 수 있는 한 쌍의 관체수용부가 인접되어 형성된 일체형의 클램프본체와, 상기 클램프본체 둘레의 각 양단부에 각각 힌지결합되어 자유회전하며 상기 각 관체수용부가 개폐될 수 있도록 이들을 단속시켜주는 각 한 쌍의 힌지플레이트와 힌지보울트 및 체결너트를 구비하여서 된 클램프와; 상기 노출철근이 수용되는 일측 관체수용부의 폐쇄 결속시 상기 관체수용부의 내주면과 노출철근을 유격 없이 밀착시켜 상기 클램프와 노출철근이 일체로 결합될 수 있도록 그 관체수용부 내에 개재되어 상기 노출철근을 탄력적으로 압착시켜주는 삽입부재로서, 대칭되는 한 쌍의 반원통형 인서트 몸체로 이루어지고, 그 인서트 몸체간 접촉면의 중앙에는 원통방향을 따라 철근삽입홈이 각각 대칭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철근삽입홈의 각 원호면상에는 상기 노출철근과의 접촉시 미끄럼 방지를 위한 논슬립 심재가 소정간격을 두고 다수 개 돌출 형성되어진 인서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인서트는, 한 쌍의 반원통형 인서트 몸체가 상호 분리되지 않도 록 그 마주보는 일측 모서리를 일체로 연결시켜주는 연접부가 더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슬래브 난간지주 설치용 노출철근 파지식 하부 연결구를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콘크리트 슬래브 난간지주 설치용 노출철근 파지식 하부 연결구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노출철근 파지식 하부 연결구의 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하부 연결구를 사용하여, 콘크리트 슬래브(1)의 상부로 노출된 철근(2)과 콘크리트 슬래브용 난간지주(10)를 상호 연결 고정한 상태를 도시한 부분절개 결합 단면도 및 그 결합구조에 적용된 인서트(30)의 미끄럼방지를 위한 밀착구조를 보여주는 요부확대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적용되는 인서트(30)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변형구조를 예시한 사시도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콘크리트 슬래브 난간지주 설치용 노출철근 파지식 하부 연결구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 슬래브(1) 표면상으로 노출된 철근(2)과 일반 파이프 형태의 난간지주(10)를, 상호 결합시켜주는 연결장치(클램프)로서, 한 쌍의 관체수용부(25)를 구비한 클램프(20)와, 상기 일측 관체수용부(25)에 개재되는 노출철근(2) 잡이용의 인서트(30)로 구성된다.
즉, 본 고안에 따른 콘크리트 슬래브 난간지주(10) 설치용 노출철근 파지식 하부 연결구에 적용되는 상기 클램프(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 슬래브(1)의 표면상에 수직상으로 노출된 철근(2) 및 상기 콘크리트 슬래브(1)에 설치되는 난간의 입설부재로의 난간지주(10) 하단부를 각각 삽입 수용할 수 있는 한 쌍의 관체수용부(25)가 인접되어 형성된 일체형의 클램프본체(21)와, 상기 클램프본체(21) 둘레의 각 양단부에 각각 힌지축핀(23)(24)으로 힌지결합되어 자유회전하며 상기 각 관체수용부(25)가 개폐될 수 있도록 이들을 단속시켜주는 각 한 쌍의 힌지플레이트(26)와 힌지보울트(28) 및 체결너트(29)를 구비하여서 이루어진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22는 상기 양쪽 관체수용부(25)간을 관통하는 관통공이고, 27 및 27a는 상기 힌지플레이트(26)의 선단부에 형성된 상기 힌지보울트(28) 걸이용의 걸림단부 및 걸이홈이다.
또한, 본 고안에 하부 연결구에 적용되는 인서트(30)는, 도 1의 사시도 및 도 2의 요부확대 단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노출철근(2)이 수용되는 일측 관체수용부(25)의 폐쇄 결속시 상기 관체수용부(25)의 내주면과 노출철근(2)을 유격 없이 밀착시켜 상기 클램프(20)와 노출철근(2)이 일체로 결합될 수 있도록 그 관체수용부(25) 내에 개재되어 상기 노출철근(2)을 탄력적으로 압착시켜주는 삽입부재로서, 대칭되는 한 쌍의 반원통형 인서트 몸체(31)로 이루어지고, 그 인서트 몸체(31)간 접촉면의 중앙에는 원통방향을 따라 철근삽입홈(32)이 각각 대칭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철근삽입홈(32)의 각 원호면상에는 상기 노출철근(2)과의 접촉시 미끄럼 방지를 위한 논슬립 심재(33)가 소정간격을 두고 다수 개 돌출 형성되어진 구조를 이룬다.
이때, 상기 인서트(30)의 재질로는, 통상적으로, 탄력성을 갖는 우레탄고무(Urethane rubber)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논슬립 심재(33)로는 스테이플 형태의 철사 등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서트(30)의 구조에 있어서, 한 쌍의 반원통형 인서트 몸체(31)가 상호 분리되지 않도록 그 마주보는 일측 모서리를 일체로 연결시켜주는 연접부(34)를 갖게 하면, 상기 인서트(30)를 노출철근(2)과 더욱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어 이상적이다.
한편, 상기 난간지주(10)의 상단부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의 안전벨트와 연결된 와이어 또는 후크(미도시) 등을 걸어 고정하기 위한 와이어 걸이구가 고정된다. 즉, 상기 난간지주(10)의 상단부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설치공(도면부호 미도시)이 형성되고 그 설치공을 관통하여 상기 와이어 걸이구가 체결되며, 통상적으로 상기 와이어 걸이구는, 유-보울트(U-Bolt)(11)와 그 양단부에 체결되는 한 쌍의 나비너트(12)로 이루어지고, 이러한 형태의 와이어 걸이구가 상기 난간지주(10)의 상단부에 하나 이상 체결 고정된 구조를 이룰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를 이루는 본 고안에 따른 노출철근 파지식 하부 연결구에 의한 콘크리트 슬래브 난간지주(10)의 설치공정을 도 2에 의거하여 간략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종횡으로 배근된 철근(2) 상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콘크리트 슬래브(1)를 양생한다. 이때, 상기 콘크리트 슬래브(1)의 표면상에는 기존에 임의 또는 고의적으로 돌출시킨 노출철근(2)이 형성되어 있어야 하며, 고의적으로 노출철 근(2)을 돌출시켜야 하는 경우에는, 기 배근된 철근(1)과 함께 콘크리트 타설 전에 별도의 노출철근(2)을 입설 고정한다.
그 다음, 콘크리트 슬래브(1)상으로 입설된 노출철근(2)을 본 고안의 인서트(30)로 감싼 채로, 그 외부에 클램프(20)의 일측 관체수용부(25) 내에 위치시키고, 힌지보울트(28)를 힌지플레이트(26) 걸림단부(27)의 걸이홈(27a) 내에 걸어 체결너트(29)를 육각렌치 등의 공구로 죔으로써 상기 노출철근(2)과 클램프(20)와 우선 고정한다. 그리고, 상기 클램프(20)의 나머지 관체수용부(25) 내에 기존 난간지주(10)의 하단부를 위치시킨 후 상기한 바와 같은 동일한 클램핑 과정을 통해 상기 클램프(20)와 상기 난간지주(10)의 체결과정을 수행하면, 상기 난간지주(10)의 모든 설치공정이 완료되는 것이다.
참고적으로, 본 고안의 출원인은 본 고안에 따른 난간지주 설치구조에 의해 제작된 콘크리트 슬래브 난간의 안전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100kg 재하시험을 수행하였다. 즉, 난간지주(10)간을 연결하는 가로대(미도시)에 100kg 하중의 중량체를 매단 후 이를 자유 낙하시켰을 때 상기 난간의 변형 정도를 확인하는 시험을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 난간 상태의 변위 정도가 규정치 이내로 유지됨을 확인하였다. 통상의 경우 콘크리트 슬래브 난간은 80kg 정도의 하중을 버틸 수 있으면 안전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콘크리트 슬래브 난간지주 설치용 노출철근 파지식 하부 연결구에 의하면, 콘크리트 슬래브에 난간지주를 설치함 에 있어서, 콘크리트 슬래브 내에 배근된 철근과 용접하여 지주받침대를 매립하거나, 다수의 앵커보울트를 사용하여 콘크리트 슬래브의 표면상에 상기 지주받침대를 고정하는 별도의 준비공정 없이, 콘크리트 슬래브 표면상에 노출된 철근을 이용하여 그 노출철근에 물리적으로 직접 착탈시켜 연결 가능한 구조를 마련함으로써, 용접 또는 앵커보울트를 체결하기 위한 추가공정 발생에 따른 불필요한 인력 및 작업시간 소모를 방지할 수 있고, 용접 후 철근의 인장강도저하나 앵커보울트 정착 후 콘크리트의 강도저하 우려를 완전 해소할 수 있으며, 완공 후 번거로운 마감공정 없이 가설물을 간편하게 분리시켜 제거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기준하여 설명되어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라 할 수 있고,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들을 생각해 낼 수 있으므로 이러한 균등한 실시예들 또한 본 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보아야 함은 극히 당연한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결정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2)

  1. 콘크리트 슬래브의 표면상에 수직상으로 노출된 철근 및 상기 콘크리트 슬래브에 설치되는 난간의 입설부재로의 난간지주 하단부를 각각 삽입 수용할 수 있는 한 쌍의 관체수용부가 인접되어 형성된 일체형의 클램프본체와, 상기 클램프본체 둘레의 각 양단부에 각각 힌지결합되어 자유회전하며 상기 각 관체수용부가 개폐될 수 있도록 이들을 단속시켜주는 각 한 쌍의 힌지플레이트와 힌지보울트 및 체결너트를 구비하여서 된 클램프; 및
    상기 노출철근이 수용되는 일측 관체수용부의 폐쇄 결속시 상기 관체수용부의 내주면과 노출철근을 유격 없이 밀착시켜 상기 클램프와 노출철근이 일체로 결합될 수 있도록 그 관체수용부 내에 개재되어 상기 노출철근을 탄력적으로 압착시켜주는 삽입부재로서, 대칭되는 한 쌍의 반원통형 인서트 몸체로 이루어지고, 그 인서트 몸체간 접촉면의 중앙에는 원통방향을 따라 철근삽입홈이 각각 대칭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철근삽입홈의 각 원호면상에는 상기 노출철근과의 접촉시 미끄럼 방지를 위한 논슬립 심재가 소정간격을 두고 다수 개 돌출 형성되어진 인서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슬래브 난간지주 설치용 노출철근 파지식 하부 연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서트는, 한 쌍의 반원통형 인서트 몸체가 상호 분리되지 않도록 그 마주보는 일측 모서리를 일체로 연결시켜주는 연접부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슬래브 난간지주 설치용 노출철근 파지식 하부 연결구.
KR2020060015395U 2006-06-08 2006-06-08 콘크리트 슬래브 난간지주 설치용 노출철근 파지식 하부연결구 KR20042605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5395U KR200426057Y1 (ko) 2006-06-08 2006-06-08 콘크리트 슬래브 난간지주 설치용 노출철근 파지식 하부연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5395U KR200426057Y1 (ko) 2006-06-08 2006-06-08 콘크리트 슬래브 난간지주 설치용 노출철근 파지식 하부연결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1475 Division 2006-06-0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6057Y1 true KR200426057Y1 (ko) 2006-09-19

Family

ID=417746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5395U KR200426057Y1 (ko) 2006-06-08 2006-06-08 콘크리트 슬래브 난간지주 설치용 노출철근 파지식 하부연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6057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7408Y1 (ko) 2008-02-25 2010-01-21 유은상 철근난간대용 고정구
US7965315B2 (en) 2006-01-27 2011-06-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device capable of reducing afterimage and afterimage reduction method thereof
US8054383B2 (en) 2005-08-31 2011-11-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preventing image burn-in
KR200456756Y1 (ko) 2009-12-14 2011-11-21 유은상 기능성 난간지주
JP7156444B1 (ja) * 2021-05-14 2022-10-19 三菱電機ビ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運搬工具および運搬工具の設置方法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54383B2 (en) 2005-08-31 2011-11-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preventing image burn-in
US7965315B2 (en) 2006-01-27 2011-06-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device capable of reducing afterimage and afterimage reduction method thereof
KR200447408Y1 (ko) 2008-02-25 2010-01-21 유은상 철근난간대용 고정구
KR200456756Y1 (ko) 2009-12-14 2011-11-21 유은상 기능성 난간지주
JP7156444B1 (ja) * 2021-05-14 2022-10-19 三菱電機ビ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運搬工具および運搬工具の設置方法
WO2022239443A1 (ja) * 2021-05-14 2022-11-17 三菱電機ビ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運搬工具および運搬工具の設置方法
KR20230151066A (ko) * 2021-05-14 2023-10-31 미쓰비시 덴키 빌딩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운반 공구 및 운반 공구의 설치 방법
CN117295676A (zh) * 2021-05-14 2023-12-26 三菱电机楼宇解决方案株式会社 搬运工具以及搬运工具的设置方法
KR102624747B1 (ko) 2021-05-14 2024-01-15 미쓰비시 덴키 빌딩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운반 공구 및 운반 공구의 설치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26057Y1 (ko) 콘크리트 슬래브 난간지주 설치용 노출철근 파지식 하부연결구
JP5536788B2 (ja) コンクリート部材のリフト装置およびリフト方法
KR100782667B1 (ko) 교량안전점검통로 고정용 매입장치
US20090301023A1 (en)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Reinforced and Cast, Cellular or Foamed Concrete Bodies and Reinforcement Support Frame for the Use in Such a Process
KR101101208B1 (ko) 캔틸레버부 시공을 위한 프리캐스트 데크플레이트 및 이를 이용한 교량 슬래브 시공방법
WO2005111332A2 (en) A load plate and method of casting adjacent slabs of concrete
KR20080073461A (ko) 맨홀 보수공법 및 이에 사용되는 지그
KR200426056Y1 (ko) 노출철근을 이용한 직접 착탈식 콘크리트 슬래브 난간지주
US4991367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inforcing a wooden pole
US6922968B1 (en) Accessory for building construction
US20020053485A1 (en) Rebar anchorage system for horizontal lifeline
US6449919B1 (en) Accessory for building construction
JP3860301B2 (ja) 橋桁の仮受工法およびこれに用いうる架台
JP2913436B2 (ja) 移動式型枠工法とその工法に用いる装置
KR20190118274A (ko) 보철근망 조립 및 이를 이용한 보 시공방법
KR200422931Y1 (ko) 강관 파일의 두부 보강구조
KR200314568Y1 (ko) 건축용 갱폼의 안전난간 체결용 클램핑 구조
JP2004108080A (ja) パネル用吊り具
KR200349955Y1 (ko) 안전난간대 설치용 강관고정장치
JP3017463B2 (ja) 足場板、吊り足場およびその仮設方法
KR101902255B1 (ko) 소방내진 흔들림방지 버팀대 콘크리트 고정장치
JP3194788B2 (ja) シース管固定治具
JP3053847U (ja) 鉄筋組立装置
KR200322141Y1 (ko) 교각 코핑 시공을 위한 가시설 하부 받침틀 구조
CA3098356C (en) Safety anchor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