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5989Y1 - 정션박스의 접속단자와 릴레이를 연결하기 위한 리셉터클 - Google Patents

정션박스의 접속단자와 릴레이를 연결하기 위한 리셉터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5989Y1
KR200425989Y1 KR2020060016972U KR20060016972U KR200425989Y1 KR 200425989 Y1 KR200425989 Y1 KR 200425989Y1 KR 2020060016972 U KR2020060016972 U KR 2020060016972U KR 20060016972 U KR20060016972 U KR 20060016972U KR 200425989 Y1 KR200425989 Y1 KR 20042598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eptacle
relay
junction box
holder piece
connec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697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방순영
Original Assignee
동해전장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해전장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해전장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6001697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598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598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598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60R16/0239Electronic box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용 정션박스의 접속단자와 릴레이를 연결하기 위한 리셉터클 구조에 관한 것으로 그 주요 구성은, 상하, 좌우에 대칭으로 호형상으로 안으로 접혀진 구조의 홀더편(1)과, 상기한 홀더편(1)의 상,하단에 형성한 돌출편(2)과, 홀더편(1)의 후방에 수직한 벽 형상으로 형성되는 지지벽(4)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한 상,하부에 대칭으로 형성되는 홀더편(1)의 중간에는 전방에 개방된 구조의 개구부(3)가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한 지지벽(4)의 후면은 오목한 홈부(5)를 형성하고, 그 반대쪽 면인 전면에는 돌출벽(6)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차량, 정션 박스, 리셉터클, 연결단자, 릴레이, 접속단자

Description

정션박스의 접속단자와 릴레이를 연결하기 위한 리셉터클{receptacle for connecting a relay and a connector of junction box}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리셉터클에 대한 사시도
도 2 는 도 1 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리셉터클이 어디에 체결되는 지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리셉터클의 상부에 릴레이가 겹합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 는 도 1 의 지지벽(4)을 단면으로 본 도면이다
본 고안은 자동차에 있어서 정션박스의 접속단자와 릴레이를 연결하기 위한 리셉터클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전기 장치들은 모두 와이어로 자동차의 엔진룸 내부에서 전자제어장치용 컴퓨터와 연결되어 있는데 이때 이들 와이어와 전자제어장치용컴퓨터를 서로 연결하는 중간 매개체로 졍션박스가 사용된다
정션 박스의 내부 구조는 여러 장의 회로 기판이 적층되어 있으며 각 회로 기판과 연결되는 접속 단자에는 휴즈, 릴레이 등과 같은 부품이 연결된다.
본 고안은 상기한 접속단자와 릴레이와의 연결을 매개하는 리셉터클을 개발하게 되었다
본 고안에서 개발한 리셉터클은 그 구조가 판상의 재료로 간단히 제작 가능하며, 부품수가 최소한으로 이루어지며, 또 릴레이와 접속단자의 연결을 견고히 하는 매우 유용한 구조의 리셉터클이다
본 고안의 주요 구성은, 상하, 좌우에 대칭으로 호형상으로 안으로 접혀진 구조의 홀더편(1)과, 상기한 홀더편(1)의 상,하단에 형성한 돌출편(2)과, 홀더편(1)의 후방에 수직한 벽 형상으로 형성되는 지지벽(4)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한 상,하부에 대칭으로 형성되는 홀더편(1)의 중간에는 전방에 개방된 구조의 개구부(3)가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한 지지벽(4)의 후면은 오목한 홈부(5)를 형성하고, 그 반대쪽 면인 전면에는 돌출벽(6)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한 지지벽(4)의 후면 상,하부는 경사면(38)을 이루고 이 상하부의 경사면(38) 사이는 오목한 홈부(5)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특징 외의 다른 특징 및 구성에 대하여 이하, 첨부 도면에 의거 추가로 상술한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리셉터클(receptacle)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리셉터클은 판상의 부재를 일정한 형상으로 절곡한 형태로 이루어지는바, 상하, 좌우로 홀더편(1)이 형성된다. 홀더편(1)은 판상의 부재를 호 형상으로 안으로 오무려 가공한 형상으로 이루어 진다
홀더편(1)의 상단에는 돌출편(2)이 형성된다. 돌출편(2) 역시 안으로 오무려진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하부에 형성되는 홀더편(1)에도 돌출편(2)이 형성된다. 중간 부위에는 개방된 개구부(3)를 이루고 있다
홀더편(1)의 후부에 형성되는 지지벽(4)은 그 후부에 길이 방향으로 약간 오목한 홈부(5)를 이루고 있다. 그 반대편은 돌출벽(6)을 형성한다. 그 홈부(5)의 오목한 깊이와 돌출벽(6)의 돌출되는 정도는 약간 오목하고 약간 돌출되는 정도이다.
도 5 는 지지벽(4)을 단면으로 본 도면이다
지지벽(4)은 경사면(38)과 오목한 홈부(5)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홀더편(1)과 지지벽(4) 사이의 공간으로 릴레이의 단자를 를 끼울때 견고히 고정되게 하기 위한 것이다. 다시말해 지지벽(4)의 상하부에서 십입되는 단자들의 삽입은 용이하나 일단 삽입이 되면 쉽게 빠져 나오지는 못한다.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리셉터클의 하부가 접속단자(11)에 끼워지는 것과 이와 같이 접속단자(11)에 끼워 진 후 릴레이(12)의 단자(13)가 리셉터클의 상부에서 끼워지는 것을 보여 주기 위한 도면이다
도 3 은 정션박스의 하부 케이스에 내장된 접속단자의 설치 상태를 보여 주는 도면이다
이와 같은 구조의 접속단자(11) 상부에 본 고안에 따른 리셉터클(15)이 끼워 지고 그 위에 상부케이스가 조립된다
도 4 는 상부 케이스(23)가 조립된 상태를 보여 준다
상부케이스(23)에는 리셉터클을 수용하는 통공이 형성되어 있어서 이 통공(24)에 리셉터클(15)이 내장된 상태로 보여진다. 그러면 도 4 에서 보듯이, 릴레이(12)의 단자(13)를 리셉터클(15)의 상부에 끼워 넣는다
리셉터클의 결합관계를 다시한번 설명하면, 먼저 도 3 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접속단자(11)의 상부에 리셉터클(15)을 끼운다. 그러면 도 1 에 예시된 리셉터클의 하부에 형성된 홀더편(1)에 접속단자(11)가 끼워진다
홀더편(1)은 호형상으로 굽혀진 형상으로 되어 있어서 그 호형단부(26)가 접속단자(11)를 탄성적으로 고정하여 준다. 또한 돌출편(2)이 안으로 굽혀진 형상으로 되어 있어서 삽입은 쉬워도 빼는 것은 일정한 힘을 가하여야만 빠지도록 되어 있다. 또한 지지벽(4)이 약간 들어가 오목한 형태로 이루어져, 지지벽(4)의 내면은 반대로 약간 돌출된 형태가 되므로, 접속단자(11)를 더 견고히 고정하여 주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리셉터클이 접속단자에 결합이 되면 도 4 에 도시한 바와 같은 상부케이스(23)를 결합시킨다. 그러면 상부케이스(23)에 형성된, 리셉터클을 의한 통공을 통하여, 리셉터클이 내장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그러면 그 상부에서 수직으로 릴레이(12)를 꼽아 넣을 수 있다
릴레이(12)의 단자(13)는 리셉터클의 상부에 형성된 홀더편(1)에 끼워진다. 그 끼움과 고정 구조는 앞선 설명과 동일하다. 다시말해, 리셉터클은 그 중간을 중심으로 상하가 대칭적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하나의 평판상의 금속 판재만을 이용하여 절단 및 절곡하는 판상 작업으로 제작 가능하므로 그 제작이 간편하고 신속하여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구조상 최소의 재료가 소요되며, 하나의 부품으로 그리고 간단한 구조로 만들수 있어 매우 경제적이며, 그리고 그 간단한 구조로도 하부의 접속단자와 상부의 릴레이 등의 부재를 견고히 효율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단자의 삽입이 용이하고 일단 결합되면 일정한 힘을 가하지 않는 한 쉽게 빠지지 않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서, 외부의 충격이나 진동 등에 의한 결합 불량으로 인한 전기적인 단락 등의 고장의 원인도 제거 가능하다

Claims (4)

  1. 상하, 좌우에 대칭으로 호형상으로 안으로 접혀진 구조의 홀더편(1)과,
    상기한 홀더편(1)의 상,하단에 형성한 돌출편(2)과,
    홀더편(1)의 후방에 수직한 벽 형상으로 형성되는 지지벽(4)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션박스의 접속단자와 릴레이를 연결하기 위한 리셉터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한 상,하부에 대칭으로 형성되는 홀더편(1)의 중간에는 전방이 개방된 구조의 개구부(3)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션박스의 접속단자와 릴레이를 연결하기 위한 리셉터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한 지지벽(4)의 후면은 오목한 홈부(5)를 형성하고, 그 반대쪽 면인 전면에는 돌출벽(6)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션박스의 접속단자와 릴레이를 연결하기 위한 리셉터클
  4.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한 지지벽(4)의 후면 상,하부는 경사면(38)을 이루고 이 상하부의 경사면(38) 사이는 오목한 홈부(5)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션박스의 접속단 자와 릴레이를 연결하기 위한 리셉터클
KR2020060016972U 2006-06-23 2006-06-23 정션박스의 접속단자와 릴레이를 연결하기 위한 리셉터클 KR20042598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6972U KR200425989Y1 (ko) 2006-06-23 2006-06-23 정션박스의 접속단자와 릴레이를 연결하기 위한 리셉터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6972U KR200425989Y1 (ko) 2006-06-23 2006-06-23 정션박스의 접속단자와 릴레이를 연결하기 위한 리셉터클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6681A Division KR100649430B1 (ko) 2006-06-23 2006-06-23 정션박스의 접속단자와 릴레이를 연결하기 위한 리셉터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5989Y1 true KR200425989Y1 (ko) 2006-09-08

Family

ID=417745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6972U KR200425989Y1 (ko) 2006-06-23 2006-06-23 정션박스의 접속단자와 릴레이를 연결하기 위한 리셉터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598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75683B2 (ja) 基板保持構造、電子部品モジュール、および電気接続箱
JP5959719B2 (ja) 電子部品の組付構造及び電気接続箱
KR20080000640A (ko) 접속 터미널용 클램핑 장치
CN109936013A (zh) 电连接器及电连接器组合
JP4521351B2 (ja) 基板用コネクタ
JP4914712B2 (ja) 電子回路基板とコネクタの接続構造
JP2014054005A (ja) 電気接続箱
JP4876012B2 (ja) プラグインコネクタ
JP2006115638A (ja) 電気接続箱
KR200425989Y1 (ko) 정션박스의 접속단자와 릴레이를 연결하기 위한 리셉터클
CN101454944B (zh) 带有端子盒的电路接线端子
KR200406427Y1 (ko) 차량용 커넥터 고정용 클립구조
KR100649430B1 (ko) 정션박스의 접속단자와 릴레이를 연결하기 위한 리셉터클
US6719571B2 (en) Housing with an electrical circuit accommodated therein
JP2007305531A (ja) 配線基板用コネクタ
JP2006012545A (ja) コネクタの保持構造
KR200425718Y1 (ko) 정션박스의 접속단자와 퓨즈를 연결하기 위한 리셉터클
KR100846695B1 (ko) 정션박스의 접속단자와 퓨즈를 연결하기 위한 리셉터클
KR200444896Y1 (ko) 커넥터
KR100850031B1 (ko) 자동차용 카오디오 커넥터
JP6387440B1 (ja) 接触端子及びカードエッジコネクタ
JP5844183B2 (ja) 端子固定構造
JP7383442B2 (ja) 電気接続箱
KR100955646B1 (ko) 리어 홀더 일체형 터미널 커넥터
JP3980944B2 (ja) 接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