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5676Y1 - 관리실 겸용 물탱크 유닛 - Google Patents

관리실 겸용 물탱크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5676Y1
KR200425676Y1 KR2020060015579U KR20060015579U KR200425676Y1 KR 200425676 Y1 KR200425676 Y1 KR 200425676Y1 KR 2020060015579 U KR2020060015579 U KR 2020060015579U KR 20060015579 U KR20060015579 U KR 20060015579U KR 200425676 Y1 KR200425676 Y1 KR 20042567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tank
water
management
management room
drain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557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방만혁
Original Assignee
(주)금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금강 filed Critical (주)금강
Priority to KR202006001557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567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567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567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11/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anks for water supply
    • E03B11/1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anks for water supply for public or like main water supply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7/00Construction or assembling of bulk storage containers employing civil engineering techniques in situ or off the si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물탱크와 관리실이 일체형으로 구성된 관리실 겸용 물탱크 유닛은 내부에 물을 수용하기 위한 물탱크; 상기 물탱크에 연결되어 상기 물탱크 내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입수관; 상기 입수관에 설치되어 상기 입수관을 개폐하는 입수관 밸브; 상기 물탱크에 연결되어 상기 물탱크 내의 물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수관; 상기 배수관에 설치되어 상기 배수관을 개폐하는 배수관 밸브; 및 상기 물탱크와 일체로 결합되고, 내부에 소정의 공간을 가진 관리실을 포함한다.
관리실, 물탱크, 배수관, 입수관

Description

관리실 겸용 물탱크 유닛{WATER TANK UNIT COMBINED WITH MANAGEMENT ROOM}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고안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고안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고안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관리실 겸용 물탱크 유닛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관리실 겸용 물탱크 유닛의 내부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관리실 겸용 물탱크 유닛의 배관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관리실 겸용 물탱크 유닛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상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관리실 겸용 물탱크 유닛의 내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관리실 겸용 물탱크 유닛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타측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물탱크 유닛 12..외벽 14..보강부재
20..관리실 22..출입문 30..배수관
32..배수관 밸브 40..물탱크 44..물탱크 도어
50..입수관 52..입수구 54..수위조절밸브
56..플로트 58..입수관 밸브 60..청소관
62..청소관 펌프 64..청소관 가압펌프
70..사다리 80..배수관 가압펌프
본 고안은 물탱크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관리실이 일체형으로 구성된 관리실 겸용 물탱크 유닛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물탱크와 같이 액체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탱크는 외부로부터 물탱크 내로 액체를 공급하기 위한 입수관, 물탱크 내에 저장된 물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관, 및 물탱크 내의 물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수관을 구비한다.
이러한 물탱크는 물탱크 내의 수위조절이나 청소 및 수리 등을 위한 관리가 필요하며 가압펌프 및 소방설비 등을 설치하기 위한 별도의 설치공간이 필요하다. 이러한 설치공간을 위해서, 종래에는 컨테이너나 가옥과 같은 관리실을 별도로 마련하였으며, 물탱크 제작과정에서는 관리실을 위한 특별한 구조를 전혀 고려하지 않았었다. 따라서, 종래에는 물탱크를 관리가 불편하거나 관리를 위해 설치 위치가 제한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물탱크의 각 배관에 설치되는 밸브와 같은 부속품은 물탱크 외부로 노출되어 외관이 좋지 않았으며, 각종 이물질이나 외부 충격에 의해 고장이 잦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관리실을 물탱크와 일체형으로 제작하여 관리실을 위한 별도의 구조물을 제작할 필요가 없고, 설치 위치를 자유롭게 결정할 수 있으며, 각종 부속품을 내부에 수용함으로써 외관이 양호하고 고장을 줄일 수 있는 관리실 겸용 물탱크 유닛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고안은 내부에 물을 수용하기 위한 물탱크; 상기 물탱크에 연결되어 상기 물탱크 내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입수관; 상기 입수관에 설치되어 상기 입수관을 개폐하는 입수관 밸브; 상기 물탱크에 연결되어 상기 물탱크 내의 물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수관; 상기 배수관에 설치되어 상기 배수관을 개폐하는 배수관 밸브; 및 상기 물탱크와 일체로 결합되고, 내부에 소정의 공간을 가진 관리실을 포함하는 관리실 겸용 물탱크 유닛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물탱크 및 상기 관리실의 하부에는 소정 높이의 프레임이 설치되고, 상기 입수관 및 상기 배수관은 상기 프레임을 통해서 상기 물탱크 내부로 연결된다.
또한, 상기 입수관 및/또는 상기 배수관은 상기 관리실의 하부를 지나가고, 상기 입수관 밸브 및/또는 상기 배수관 밸브는 상기 관리실 내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 상기 배수관은 상기 관리실의 하부를 지나가고, 상기 관리실 내에는 상기 배수관에 가압력을 제공하기 위한 배수관 가압펌프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는 상기 물탱크 유닛의 설치면에 직접 맞닿는 바닥 패드가 더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입수관은 상기 물탱크 내에서 소정 높이로 연장된 상태에서 하방으로 절곡되어 상기 물탱크의 바닥면과 인접한 위치에서 상방으로 재차 절곡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입수관의 단부에 형성된 입수구는 상기 물탱크의 바닥면과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물탱크 내에서 상기 입수관에는 소정 높이에 수위조절밸브가 설치되고, 상기 수위조절밸브에는 수위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는 플로트가 연결되어, 상기 수위조절밸브는 상기 물탱크 내의 수위에 따른 상기 플로트의 운동에 의해 상기 입수관을 자동으로 개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물탱크의 상부에는 상기 물탱크를 개방하기 위한 물탱크 도어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물탱크의 내부에는 상기 물탱크 도어에 인접한 위치에 사다리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 상기 관리실에는 상기 물탱크와 연결된 수도꼭지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물탱크의 외벽에는 상기 물탱크의 기밀성 및 강도를 높이기 위한 보강부재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관리실 내에는 가압펌프 및 소방설비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관리실과 상기 물탱크 사이에는 상기 물탱크의 내부를 관찰하고 점검하기 위한 점검창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물탱크 유닛의 관리실 및 물탱크는 컨테이너 박스의 내부를 구획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관리실 겸용 물탱크 유닛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물탱크 유닛의 내부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물탱크 유닛(10)은 크게 관리실(20)과 물탱크(40)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물탱크 유닛(10)은 일반적인 컨테이너 박스의 내부를 구획하여 제작할 수 있으며, 물론 이 외에도 적절한 크기를 갖는 다양한 기존 구조물을 사용할 수 있고, 새로운 구조물을 제작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고안의 물탱크 유닛(10)의 외벽(12)에는 보강부재(14)가 설치된다. 보강부재(14)는 물탱크(40)의 기밀성을 유지하고 강도를 높이기 위한 것으로서, 중심이 볼록한 다수의 금속패널을 기밀하게 부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이 외에도 다양한 형태의 보강부재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관리실(20)과 물탱크(40)의 하부에는 소정 높이의 프레임(16)이 설치된다. 프레임(16)은 철제 프레임 등을 이용하여 제작될 수 있으며, 그 내부로 후술하는 다양한 배관이 설치된다. 프레임(16)의 하부에는 물탱크 유닛(10)이 설치될 때 직접 설치면에 닿는 바닥 패드(18)가 설치될 수 있다.
관리실(20)은 후술하는 각종 배관의 개폐수단 및 작동장치와 각종 소방설비를 설치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며, 또한 관리자는 관리실(20) 내에서 업무를 보거나 휴식을 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출입문(22) 및 다양한 집기를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작업환경을 높이기 위해 환기를 위한 창문을 설치할 수도 있으며, 세면을 위한 세면도구를 비치할 수도 있다. 특히, 본 고안에서 관리실(20)은 물탱크(40)와 일체형으로 구성되므로, 물탱크(40)에 연결된 수도꼭지(24)를 설치하면, 별도의 구성 없이도 관리실(20)에 물을 공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관 리실(20) 내에는 물탱크(40)와 연결되는 각종 배관을 개폐하기 위한 밸브가 설치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나중에 상세히 설명된다.
물탱크(40)에는 물탱크(40) 내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입수관(50), 및 물탱크(40) 내의 물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수관(30)이 연결된다.
입수관(50)은 프레임(16)을 경유하여 외부로부터 물탱크(40) 내부로 연결되어 물탱크(40) 내로 물을 공급하는 경로가 된다. 입수관(50)에는 입수관(50)을 개폐하기 위한 입수관 밸브(58)가 설치된다. 이때, 입수관(50)은 관리실(20)의 하부를 경유하고, 입수관 밸브(58)는 관리실(20) 내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입수관(50)은 물탱크(40) 내에서 소정 높이로 연장된 상태에서 하방으로 절곡되어 입수관(50)의 단부에 형성된 입수구(52)가 물탱크(40)의 바닥면과 인접한 위치에 배치된다. 이때, 소정 높이로 연장된 입수관(50)은 물탱크(40)의 천장과 연결되어 물탱크(40) 내에서 지주 역할을 할 수 있다. 한편, 입수관(50)의 단부는 재차 상방으로 절곡되어 입수구(52)가 위를 향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 경우, 입수구(52)가 물탱크(40)의 바닥면과 인접하게 배치되기 때문에 입수구(52)를 통해 입수되는 물은 거의 소음을 발생시키지 않는다.
또한, 입수관(50)에는 소정 높이에 수위조절밸브(54)가 설치된다. 수위조절밸브(54)에는 물탱크(40) 내의 수위에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플로트(56)가 연결된다. 플로트(56)는 물탱크(40) 내의 수위가 낮을 때에는 아래로 처져 있으며, 물탱크(40) 내의 수위가 소정 높이에 도달하면 그 수위에 따라서 위로 상승하면서 입수관(50)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입수관(50)이 차단되면 물탱크(40) 내로 물이 공 급되지 않으므로, 수위조절밸브(54)는 물탱크(40) 내에 물이 과잉 공급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물탱크(40) 내의 수위가 일정 수준 이하로 내려가면 수위조절밸브(54)가 그 수위를 따라 하강하여 입수관(50)을 개방하고, 그 결과 물탱크(40) 내로 다시 물을 공급하게 한다.
배수관(30)은 물탱크(40)의 프레임(16)을 경유하여 물탱크(40)의 바닥과 연결된다. 도 2에서 배수관(30)은 프레임(16)을 경유하여 관리실(20)의 하부를 지나가도록 설치된 것으로 도시되었다. 배수관(30)이 관리실(20)의 하부를 지나갈 경우, 배수관을 개폐하는 배수관 밸브(32)는 관리실(20) 내에 설치될 수 있다. 도 3의 평면도는 이와 같이 입수관(50)과 배수관(30)이 모두 관리실(20)의 하부를 지나가는 배관모습을 개략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일반적으로 본 고안의 물탱크 유닛(10)은 소방용으로 사용이 가능한데, 이 경우 배수관(30)은 건물 내의 스프링클러와 같은 소방설비에 연결된다. 소방설비는 그 특성상 강한 힘으로 물을 분출할 필요가 있는데, 이를 위해서 상기 배수관(30)에는 배수관 가압펌프(80)를 설치할 수 있다. 배수관 가압펌프(80)는 관리실(20) 내에 설치되어 관리자가 관리실(20) 내에서 작동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수관 가압펌프(80)가 관리실(20) 내에 설치되는 경우, 배수관 가압펌프(80)가 외부의 충격이나 환경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으며, 배수관 가압펌프(80)의 사용 및 관리가 보다 용이할 뿐 아니라, 관리자 외의 사람이 고의 혹은 임의로 작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물탱크(40)에는 물탱크(40) 내의 물을 청소 등의 목적으로 외부 로 방출하기 위한 청소관(60)이 더 설치될 수 있다. 청소관(60)은 일단부가 물탱크(40)의 바닥에 연결되며, 타단부가 물탱크 유닛(10)의 외부로 연결된다. 도 2에서 청소관(60)은 관리실(20)의 반대쪽으로 연장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청소관(60)의 배치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프레임(16)을 경유하여 관리실(20)의 하부를 지나가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도 3 참조). 청소관(60)에는 청소관(60)을 개폐하기 위한 청소관 밸브(62)가 설치될 수 있다. 청소관(60)이 관리실(20) 하부를 지나갈 때, 청소관 밸브(62)는 관리실(20) 내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청소관(60)에는 물탱크(40) 내의 물을 신속하게 방출하기 위해 청소관 가압펌프(64)가 더 설치될 수 있다.
미설명부호 66은 월류관(overflow pipe)을 나타낸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물탱크(40)에는 필요에 따라 각종 배관 또는 측정장비 등이 설치될 수도 있으며, 이에 대해 본 고안은 특별히 제한을 두지는 않는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관리실 겸용 물탱크 유닛(10)의 상면을 도시하는 도 4를 참조하면, 물탱크 유닛(10)의 상면에는 물탱크(40)를 개방하기 위한 물탱크 도어(44)가 설치된다. 물탱크 도어(44)는 물탱크 유닛(10)의 천정에 부착되는 보강부재(14) 중 하나를 변형하여 제작될 수도 있으며, 별도로 제작된 도어를 설치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물탱크 도어(44)는 부품점검, 청소 등을 목적으로 관리자가 물탱크(40) 내부를 들여다보거나 그 안으로 들어가고자 할 때 관측통로 또는 진입경로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의 물탱크 유닛(10)에는 관리자가 물탱크 유닛(10)의 상부로 올라갈 수 있도록 사다리(7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사다리(70)는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물탱크 유닛(10)의 측부에 설치되며, 바람직하게는 관리실 내부에 설치된다. 또한, 상기 사다리(70)는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서 물탱크 도어(44)와 인접한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본 고안의 물탱크 유닛(10)에는 사용자가 물탱크(40)의 내부를 관찰하기 위한 점검창(72)이 설치될 수 있다. 점검창(72)은 사용자가 물탱크(40)의 내부를 관찰하여 수량이나 청결상태 등을 점검하는데 사용된다. 점검창(72)은 바람직하게는 관리실(20)과 물탱크(40) 사이의 벽체에 설치된다.
한편, 사다리가 설치되지 않은 물탱크 유닛(10)의 다른 측면에는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보강부재가 부착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고안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고안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실용신안등록ㅅ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고안에 따른 관리실 겸용 물탱크 유닛은 물탱크와 관리실을 일체로 구성함으로써 관리실을 별도로 구축할 필요가 없으며, 관리자가 보다 효과적으로 물탱크를 관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물탱크 유닛의 하부에 프레임을 설치하고 그 내부로 배관을 설치하며, 각 배관을 조절하기 위한 밸브를 관리실 내에 설치함으로써 물탱크 유닛이 외관을 해치지 않으면서도 보다 관리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물탱크의 상부에 도어를 설치하고 그와 인접하게 사다리를 설치함으로써 작업자가 손쉽게 물탱크를 점검 및 수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Claims (14)

  1. 내부에 물을 수용하기 위한 물탱크;
    상기 물탱크에 연결되어 상기 물탱크 내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입수관;
    상기 입수관에 설치되어 상기 입수관을 개폐하는 입수관 밸브;
    상기 물탱크에 연결되어 상기 물탱크 내의 물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수관;
    상기 배수관에 설치되어 상기 배수관을 개폐하는 배수관 밸브; 및
    상기 물탱크와 일체로 결합되고, 내부에 소정의 공간을 가진 관리실을 포함하는 관리실 겸용 물탱크 유닛.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물탱크 및 상기 관리실의 하부에는 소정 높이의 프레임이 설치되고,
    상기 입수관 및 상기 배수관은 상기 프레임을 통해서 상기 물탱크 내부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실 겸용 물탱크 유닛.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입수관 및/또는 상기 배수관은 상기 관리실의 하부를 지나가고,
    상기 입수관 밸브 및/또는 상기 배수관 밸브는 상기 관리실 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실 겸용 물탱크 유닛.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관은 상기 관리실의 하부를 지나가고,
    상기 관리실 내에는 상기 배수관에 가압력을 제공하기 위한 배수관 가압펌프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실 겸용 물탱크 유닛.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는 상기 물탱크 유닛의 설치면에 직접 맞닿는 바닥 패드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실 겸용 물탱크 유닛.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입수관은 상기 물탱크 내에서 소정 높이로 연장된 상태에서 하방으로 절곡되어 상기 물탱크의 바닥면과 인접한 위치에서 상방으로 재차 절곡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입수관의 단부에 형성된 입수구는 상기 물탱크의 바닥면과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실 겸용 물탱크 유닛.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물탱크 내에서 상기 입수관에는 소정 높이에 수위조절밸브가 설치되고, 상기 수위조절밸브에는 수위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는 플로트가 연결되어, 상기 수위조절밸브는 상기 물탱크 내의 수위에 따른 상기 플로트의 운동에 의해 상기 입수 관을 자동으로 개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실 겸용 물탱크 유닛.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물탱크의 상부에는 상기 물탱크를 개방하기 위한 물탱크 도어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실 겸용 물탱크 유닛.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실에는 상기 물탱크 유닛의 상부로 올라가기 위한 사다리가 상기 물탱크 도어에 인접한 위치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실 겸용 물탱크 유닛.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실에는 상기 물탱크와 연결된 수도꼭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실 겸용 물탱크 유닛.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물탱크의 외벽에는 상기 물탱크의 기밀성 및 강도를 높이기 위한 보강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실 겸용 물탱크 유닛.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실 내에는 가압펌프 및 소방설비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실 겸용 물탱크 유닛.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실과 상기 물탱크 사이에는 상기 물탱크의 내부를 관찰하고 점검하기 위한 점검창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실 겸용 물탱크 유닛.
  14. 제 1항 내지 제 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물탱크 유닛의 관리실 및 물탱크는 컨테이너 박스의 내부를 구획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실 겸용 물탱크 유닛.
KR2020060015579U 2006-06-09 2006-06-09 관리실 겸용 물탱크 유닛 KR20042567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5579U KR200425676Y1 (ko) 2006-06-09 2006-06-09 관리실 겸용 물탱크 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5579U KR200425676Y1 (ko) 2006-06-09 2006-06-09 관리실 겸용 물탱크 유닛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1981A Division KR20070117838A (ko) 2006-06-09 2006-06-09 관리실 겸용 물탱크 유닛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5676Y1 true KR200425676Y1 (ko) 2006-09-19

Family

ID=417742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5579U KR200425676Y1 (ko) 2006-06-09 2006-06-09 관리실 겸용 물탱크 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5676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5773A (ko) * 2019-08-28 2021-03-10 주식회사 덕양에코 임시소방시설
ES2969822A1 (es) * 2022-10-18 2024-05-22 Perimeter Solutions Lp Planta movil para producir agentes contra incendio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5773A (ko) * 2019-08-28 2021-03-10 주식회사 덕양에코 임시소방시설
KR102401962B1 (ko) * 2019-08-28 2022-05-25 주식회사 덕양에코 임시소방시설
ES2969822A1 (es) * 2022-10-18 2024-05-22 Perimeter Solutions Lp Planta movil para producir agentes contra incendio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25676Y1 (ko) 관리실 겸용 물탱크 유닛
WO2020037792A1 (zh) 冲水装置
JP2009530101A (ja) 廃水ポンプ輸送装置
KR101193053B1 (ko) 알람밸브 조립체
KR20070117838A (ko) 관리실 겸용 물탱크 유닛
WO2019227833A1 (zh) 加湿器
KR20080060137A (ko) 수도관 시스템의 스케일 제거장치
CN212001512U (zh) 多功能环保型地漏
CN111395811A (zh) 一种便于安装的一体化卫生间
JP4605150B2 (ja) 剤吐出装置
CN210562487U (zh) 一种压力式冲水系统的出水盒及应用该出水盒的坐便器
CN204500476U (zh) 儿童浴盆
JP5475549B2 (ja) 通気水切
CN207384160U (zh) 一种浴室立柜
JP5430102B2 (ja) 排水構造、シャワー室の排水構造、洗濯機用防水パンの排水構造
CN112878004B (zh) 洗衣机
RU2175044C2 (ru) Клапан попутного давления
CN212053955U (zh) 一种便于安装的一体化卫生间
JP2001026959A (ja) 水封式トラップ
KR20140140454A (ko) 알람밸브
KR200468748Y1 (ko) 양변기용 연결구
KR102049597B1 (ko) 시공성이 개선된 건식 pd 소화전
CN212506655U (zh) 防臭地漏
KR100320377B1 (ko) 변기용 압력식 세정수 탱크
CN212536784U (zh) 一种排水系统用止回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