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20377B1 - 변기용 압력식 세정수 탱크 - Google Patents

변기용 압력식 세정수 탱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20377B1
KR100320377B1 KR1020000002088A KR20000002088A KR100320377B1 KR 100320377 B1 KR100320377 B1 KR 100320377B1 KR 1020000002088 A KR1020000002088 A KR 1020000002088A KR 20000002088 A KR20000002088 A KR 20000002088A KR 100320377 B1 KR100320377 B1 KR 1003203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ing water
tank
water
pressure
water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020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24060A (ko
Inventor
이혁의
Original Assignee
이혁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혁의 filed Critical 이혁의
Priority to KR10200000020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20377B1/ko
Priority to KR2020000001380U priority patent/KR200184952Y1/ko
Publication of KR200000240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40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03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0377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00Water flushing devices with cisterns ; Setting up a range of flushing devices or water-closets; Combinations of several flushing devices
    • E03D1/30Valves for high or low level cisterns; Their arrangement ; Flushing mechanisms in the cistern, optionally with provisions for a pre-or a post- flushing and for cutting off the flushing mechanism in case of leakage
    • E03D1/302Valves for high or low level cisterns; Their arrangement ; Flushing mechanisms in the cistern, optionally with provisions for a pre-or a post- flushing and for cutting off the flushing mechanism in case of leakage with valves kept in open position by means of air or water pressure or by vacuum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5/00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 E03D5/02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operated mechanically or hydraulically (or pneumatically) also details such as push buttons, levers and pull-card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변기용 압력식 세정수 탱크로서, 그 구성은 적어도 변기 본체(10)와, 이 본체(10)에 급수를 위한 급수관(12)과, 상기 본체(10)의 상측에는 세정을 위한 세정수 탱크(20)와, 이 세정수 탱크(20) 바닥면에 본체(10)로의 세정수를 공급하기 위한 개폐가능하게 설치되는 지수밸브(30)와, 상기 지수밸브(30)를 개방하기 위한 조작노브(2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변기에 있어서, 상기 급수관(12)에 세정수 역류를 방지하고, 세정수에 한번 공급된 급수공급 압력이 저하되지 않고 지속적으로 고압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체크밸브(14)와, 상기 세정수 탱크(20)는 내부에 밀폐 공기층(54)을 가지는 밀폐형으로 구성하며, 상기 세정수 탱크(20) 내의 상기 밀폐 공기층(54)이 외부와 연결되는 에어 체크밸브(50)와, 상기 세정수 탱크(20) 상부에 설치되는 메인티넌스를 위한 점검구(52)로 구성된다.
따라서, 세정수 탱크 내를 밀폐식으로 구성하고 급수공급 압력으로 압축된 공기압 또는 질소나 건조공기 등을 봉입한 다이아프램의 팽창력으로 세정수에 압력을 가하여 분출하기 때문에, 종래의 세정수 공급(분출) 방식인 세정밸브형, 하이 탱크형, 로 탱크형보다 월등한 세척력을 나타낸다. 세정수 탱크 내의 세정수를 급수 공급압으로 가압하여 가압된 세정수를 일시적으로 변기에 공급(분출)하여 오물을 세정하므로, 기존의 변기에 구조 및 부속품의 변경 없이 설치할 수 있고, 크기를 작게 할 수 있어 설치 공간이 절약되며, 세척력이 강하고, 누수가 없는 효과가 있으며, 예를들면 세정수 6리터만으로도 세정(세척력)이 가능하여 정부의 절수설비 사용의무화 정책에도 부응할 수 있는 절수형의 기기이다.

Description

변기용 압력식 세정수 탱크{Pressurized Washing Tank for Water Closets}
본 발명은 변기용 압력식 세정수 탱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변기의 세정수 탱크를 압력식으로 구성하여 세정수를 급수 공급압으로 가압하고 가압된 세정수를 일시적으로 변기에 공급(분출)하여 오물을 세정함으로써, 기존의 변기 세정 형태인 로 탱크형, 하이 탱크형, 세정밸브형 보다 세척력이 우수하고, 또한 기존의 변기에 구조 및 부속품의 변경 없이 설치할 수 있고, 크기를 작게 할 수 있어 설치 공간이 절약되며, 세척력이 강하고, 누수가 없는 변기용 압력식 세정수 탱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다이아프램형(Diaphragm type)과 일반형(Normal type)의 두가지로 대별된다.일반적으로 변기는 각각의 특성 및 모양을 가지고 있으며, 세정수(오물 세척수)를 분출(공급)하는 방식에 따라 크게 세정밸브형(Flush valve type), 로 탱크형(Low tank type), 하이 탱크형(High tank type)으로 대별되고 있다. 예전에는 하이 탱크형을 주로 사용하였으나, 주거환경의 변화, 생활습관의 변화에 따라 근래에는 로 탱크형의 사용이 주종을 이루고 있으며, 공공건물 및 사무소 건물 등에는 세정밸브형의 보급이 점진적으로 늘고 있는 추세에 있다.
대변기, 소변기 등 위생도기의 세정용으로 필요한 급수(수도직수 또는 고가 수조수) 공급압력은 세정밸브형의 경우 0.7㎏/㎠.G 이상의 압력을 필요로 하며, 로 탱크형 및 하이 탱크형은 0.3㎏/㎠.G 이상의 급수 공급압력을 필요로 한다.
이하, 변기의 구조 및 종류에 대하여 개략설명한다.상기 세정밸브형은 누름봉의 끝단에 설치된 누름봉과, 기동밸브, 피스톤, 스트레이너 등의 부품으로 구성되어 구조가 복잡하고, 밸브 내의 압력손실이 크며, 급수배관 직결 압력식으로 세정수를 분출(공급) 하는 관계로 0.7㎏/㎠.G 이상의 압력을 배관 내에 항상 유지하여야 하기 때문에, 유량 확보를 위하여 배관이 1 Inch(25mm) 또는 1/1/4Inch(32mm) 이상이 되어야 한다. 이런 관계로 배관의 누수가 자주 발생할 수 있으며, 배관 공사비의 증대뿐 아니라, 펌프의 크기가 커지며, 소요전력이 증대되어 운전비가 증가한다.
상기 하이 탱크형은 세정수 탱크를 1.5m 이상의 높이에 설치하여, 중력식(Gravity)으로 세정수를 변기에 공급하는 방식이다. 일반적으로 세정수는 정수두압(Static pressure) 0.15㎏/㎠.G 정도를 얻을수 있으므로, 이 정수두압을 이용하여 변기를 세정하는 방식이다. 로 탱크형이 대중화되기 이전에는 하이 탱크형의 사용이 주종을 이루었으나, 근간에는 사용치 않는 방식으로 특히, 미국등 선진국에서는 사용을 금지하고 있다.
상기 로 탱크형은 탱크에 일정량(13∼16리터)의 세정수를 저장하였다 세정수를 일시에 흘려버리는 방식이므로, 세정수의 사용량이 많으며 세정수는 압력을 가지고 있지 않으며, 세정수의 유량에 의해 오물을 씻겨 내리는 방식으로 세정수 탱크에는 급수공급 압력이 0.3㎏/㎠.G 이상이면 급수공급이 가능하고, 근래에 가장 널리 사용하고 있는 방식이다. 일회 세정(세척)수 사용량은 13∼16 리터가 표준사양이나, 근래에는 9 리터를 사용하는 절수형도 개발되어 공급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세정수 탱크는 정부의 절수설비 사용 의무화 정책에 부응하기에는 불합리한 구조로 되어 있어, 날로 에너지 낭비가 심화되고 있는 현실에 대한 대안의 설비로서는 부적당하다.
한편, 정부에서는 환경부령 제 39호(수도법 시행규칙)를 개정하여 절수 설비 사용 의무화를 강제하고 있다. 대변 1회사용 시 세정수 사용수량은 9리터 이하, 소변은 4리터 이하로, 대소변 겸용기의 경우 물탱크에 소변용이 대변용보다 3리터 이상 남도록 설비할 것을 의무화하고 있다.
따라서, 업계에서는 오래전부터 절수형이며, 세척력이 뛰어난 세정수 탱크의 공급을 요청받고 있었으며 본 발명자는 세정밸브형, 하이 탱크형, 로 탱크형의 세정방식보다 월등한 성능을 가진 새로운 개념의 압력식 세정수 탱크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변기의 세정수 탱크를 압력식으로 구성하여, 세정수를 급수 공급압으로 가압하고, 가압된 세정수를 일시적으로 변기에 공급(분출)하여 오물을 세정함으로써, 기존의 변기에 구조 및 부속품의 변경 없이 설치할 수 있고, 크기를 작게 할 수 있어 설치 공간이 절약되며, 세척력이 강하고, 누수가 없는, 변기용 압력식 세정수 탱크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의 변기용 압력식 세정수 탱크(일반형)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의 변기용 압력식 세정수 탱크(일반형)의 작용을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의 변기용 압력식 세정수 탱크(다이아프램식)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의 변기용 압력식 세정수 탱크(다이아프램식)의 작용을 나타낸 단면도
<도면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변기 본체 12 : 급수관
14 : 체크밸브 16 : 급수밸브
20 : 세정수 탱크 22 : 조작노브
24 : 연결선(끈) 30 : 지수밸브
40 : 다이아프램(질소 도는 건조공기 봉입)
50 : 에어 체크밸브(air check valve : 공기 흡입구)
52 : 점검구 54 : 밀폐 공기층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변기용 압력식 세정수 탱크는,
적어도 변기 본체와, 이 본체에 급수를 위한 급수관과, 상기 본체의 상측에는 세정을 위한 세정수 탱크와, 이 세정수 탱크 바닥면에 본체로 세정수를 공급하기 위한 개폐가능하게 설치되는 지수밸브와, 상기 지수밸브를 개방하기 위한 조작노브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변기에 있어서,
상기 급수관에 세정수의 역류를 방지하고, 세정수에 한번 공급된 급수공급 압력이 저하되지 않고 지속적으로 고압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체크밸브와,
상기 세정수 탱크 내부에 밀폐 공기층(54)을 가지는 밀폐형으로 구성하며,
상기 세정수 탱크 내의 상기 밀폐 공기층이 외부와 연결되는 에어 체크밸브와,
상기 세정수 탱크 상부에 설치되는 메인티넌스를 위한 점검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세정수 탱크는 에어쿳션 기능을 부여하는 다이아프램과, 이 다이아프램에 질소나 건조공기 등을 봉입하기 위하여, 상기 세정수 탱크 일측에 주입구를 더 구비하여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통상의 세정수 탱크 내를 밀폐식으로 구성하고, 급수공급압력으로 압축된 공기압 또는 질소나 건조공기 등을 봉입한 다이아프램이 급수공급 압력으로 압축되었다 팽창하면서 세정수를 분출하기 때문에, 종래의 세정수 공급(분출) 방식인 세정밸브형, 하이 탱크형, 로 탱크형보다 월등한 세척력을 나타낸다.또한 기존의 변기에 구조 및 부속품의 변경 없이 설치할 수 있고, 크기를 작게 할 수 있어 설치공간이 절약되며 손쉽게 설치할 수가 있으며 누수가 없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변기용 압력식 세정수 탱크에 대하여보다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의 변기용 압력식 세정수 탱크(일반형)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의 변기용 압력식 세정수 탱크(일반형)의 작용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부호 10은 변기 본체이다. 이 본체(10)에는 수도전으로부터의 급수를 위하여 급수관(12)이 설치되며, 이 급수관(12)에는 세정수가 역류하여 급수를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하고 세정수에 한번 공급된 급수공급 압력이 저하되지 않고 지속적으로 고압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체크밸브(14)가 설치되어 있다.
또, 상기 본체(10)의 상측에는 세정을 위한 세정수 탱크(20)가 설치되어 있고, 이 세정수 탱크(20) 바닥면에는 본체(10)로의 세정수를 공급하기 위한 지수밸브(30)가 개폐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부호 22는 상기 지수밸브(30)를 개방하기 위한 조작노브, 부호 24는 상기 조작노브(22)와 상기 지수밸브(30) 사이에 연결된 연결선(끈)이다. 이와 같은 구조는 종래의 변기와 다를 바 없다.
그러나, 본 발명이 종래의 변기 세정수 탱크와 다른 점은, 이 세정수 탱크(20)를 완전 밀폐형으로 구성하고, 세정수 탱크(20) 내부를 밀폐 공기층(54)으로 구성하고 있다는 점이다. 상기 세정수 탱크(20)는 밀폐 구성을 위하여 강판(Steel), FRP, 도기류, PVC등 재질 중에서 자유롭게 선택된다. 즉, 본 발명의 제 1실시예는 상기 세정수 탱크(20) 내를 밀폐 공기층(54)으로 구성하여 급수 공급압을 상기 밀폐 공기층(54)에서 양압(압축)으로 흡수하였다가, 세정수 분출(공급)시 압축되었던 밀폐 공기층(54)이 팽창하여 세정수에 압력을 가하여 세정수를 분출하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또, 상기 세정수 탱크(20) 내의 세정수 분출(공급)에 따라 상기 밀폐 공기층(54)의 팽창 시, 세정수 탱크(20) 내에 부압(진공)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세정수 탱크(20)에 에어 체크밸브(공기 흡입구)(50)를 설치하여, 외부의 공기가 흡인되도록 하고 있으며, 부호 52는 각종 메인티넌스를 위한 점검구로서, 이 점검구(52)는 밀폐형 마개로 막혀있는 것은 당연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의 변기용 압력식 세정수 탱크(다이아프램식)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의 변기용 압력식 세정수 탱크(다이아프램식)의 작용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서는 세정수 탱크(20) 내에 다이아프램(40)을 이용하고 있다는 점에 특징이 있다. 이하, 제 1실시예와 동일부재에 대하여는 동일부호를 사용함으로써 설명 상의 번잡함을 피하고자 한다.
즉, 본 발명의 제 2실시예는 상기 세정수 탱크(20) 내에 질소 또는 건조공기를 봉입한 다이아프램(Diaphragm)(40)을 설치하여, 급수압을 상기 다이아프램(40)에서 흡수(압축)하였다가, 세정수 분출(공급)시 다이아프램(40)이 팽창하여 세정수에 압력을 가하여 세정수를 분출하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또, 상기 세정수 탱크(20) 내의 세정수 분출(공급)에 따라 상기 다이아프램(40) 팽창 시, 세정수 탱크(20) 내에 부압(진공)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세정수 탱크(20)에 에어 체크밸브(공기 흡입구)(50)를 설치하여 외부의 공기가 흡인되도록 하고 있는 점은 상기 제 1실시예와 같다.
상기 다이아프램(40) 내에는 질소나 건조공기 등을 봉입하여 에어쿳션(air cushion)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이러한 기체 주입 시 상기 세정수 탱크(20) 일측에 주입구(42)를 설치하여, 건조 공기 또는 질소를 주입함과 동시에, 이러한 주입에 있어서 다이아프램(40)의 압력을 급수공급 압력 및 사용압력에 맞게 자유로이 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변기용 압력식 세정수 탱크의 제 1실시예 및 제 2실시예의 작용에 대하여 함께 설명하면, 상수도 및 고가수조(도시하지 않음)에서 급수가 급수관(12) 내의 체크밸브(14)를 통하여 세정수 탱크(20)에 급수공급 압력(0.3㎏/㎤.G 이상)으로 공급되고, 세정수 탱크(20) 내를 급수(세정수)가 가득 채우게 되어, 급수공급 압력과 세정수 탱크(20) 내의 압력이 동일압력(0.3㎏/㎤.G 이상)으로 유지될 때까지 급수가 공급된다.
이때, 상기 다이아프램 식은 다이아프램(40)이 압력을 흡수하여 급수공급 압력과 동일하게 압축되고, 일반형은 세정수 탱크(20) 내에 잔류하는 공기가 급수공급 압력과 동일 압력이 될 때까지 압축된다.
급수공급 압력과 세정수 탱크(20) 내의 압력이 동일하게(0.3㎏/㎤.G 이상) 유지되면 급수 공급이 중지되고, 세정수 탱크(20)는 체크밸브(14)에서 역류를 방지하므로 급수공급 압력이 저하되더라도 최고 급수공급 압력으로 일정하게 압력이 유지된다.
이어서, 도 1 및 도 3과 같은 탱크 만수 상태에서 사용자가 일을 마친 후, 상기 조작노브(22)를 조작하여 세정수를 흘려 보내면, 상기 세정수 탱크(20) 내에 가득 찬 세정수는 상기 지수밸브(30)를 통하여 변기 본체(10) 내로 공급(분출)된다.
즉, 일정한 압력(0.3㎏/㎠.G 이상) 및 유량을 유지하고 있는 세정수 탱크(20)의 조작노브(22)를 작동하면, 연결선(24)에 의해 변기에 세정수를 분출(공급)하는 지수밸브(30)가 위로 열리고, 일시에 가압되어 있던 세정수 탱크(20) 내의 세정수가 변기에 분출하여 세정(세척) 작용을 한다.
이때, 세정수 탱크(20) 상단에 설치된 공기밸브(50)가 열리고, 세정수 탱크(20) 내에 외부 공기가 공급되어 세정수 탱크(20) 내에 진공이 생기지 않으며, 세정수(세척수)의 분출(공급) 압력에 이상이 생기지 않도록 한다.
이 과정을 다시 자세하게 설명하면, 제 1실시예의 경우, 세정수 탱크(20) 내의 밀폐 공기층(54)에 잔류하던 압축공기가 팽창하면서 세정수(세척수)에 압력을 가한다. 즉, 세정수 탱크(20) 내의 밀폐 공기층(54)에 혼입되어 있는 공기가 에어쿳션 역할(압축, 팽창)을 하여, 세정수 탱크(20)에 급수가 공급되어 급수 공급압으로 세정수가 가압되면, 혼입된 공기가 압축되어 에어쿳션 역할을 하며, 세정수 분출(공급)시 압축되었던 공기가 팽창하여 세정수에 압력을 가하여 세정수를 분출(공급)한다.
이때, 분출시 세정수 탱크(20) 내에 부압(진공)이 발생하지 않도록, 에어 체크밸브(50)를 설치하고 있으므로, 이 에어 체크밸브(50)를 통하여 외부의 공기가 밀폐 공기층(54)으로 흡인된다.
또한, 급수관(12) 내에는 체크밸브(14)를 설치하여 세정수가 역류하여 급수를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하고, 세정수에 한번 공급된 급수공급 압력이 저하되지 않고, 지속적으로 고압의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제 2실시예의 경우, 상기 다이아프램(40)이 팽창하면서 세정수(세척수)에 압력을 가한다. 분출되는 세정수는 세정수 탱크(20) 내에 유지하고 있던 급수공급 압력과 동일한 압력으로 분출(공급)한다.
세정수 탱크(20) 내의 세정수가 전량 분출(공급)되면, 세정수를 분출(공급)하는 지수밸브(30)는 자중에 의해 닫히고, 세정수 탱크(20) 내의 압력이 0(Zero)가 되어, 급수관(12) 내의 체크밸브(14)가 급수공급 압력에 의해 자동으로 열리고, 급수공급 압력(0.3㎏/㎠.G 이상)으로 급수가 다시 공급된다.
체크밸브(14)를 통하여 급수가 공급되어 압력이 차면 상기의 과정을 다시 반복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변기용 압력식 세정수 탱크는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1) 세정수 탱크(20)가 밀폐식 압력탱크(Pressurized tank)이므로, 설치위치에 구애를 받지 않으며, 밀폐식이므로 강판(Steel), FRP, 도기류, PVC등 재질의 구애를 받지 않고, 다중이 이용하는 공공의 장소(지하철, 역사, 공공건물 등)에 설치가 가능하다.
2) 기존의 변기에 구조 및 부속품의 변경 없이 설치할 수 있으므로 설치비가 저렴하며, 기존의 탱크보다 크기를 작게 할 수 있어 설치공간을 절약할 수 있으며, 급수 공급압력 범위 내에서 일정한 수압을 항상 유지할 수 있다. 즉, 기존 로 탱크형의 13리터(liter) 탱크크기에 비하여, 최소의 유량인 6리터(liter) 크기의 탱크용량 만을 필요로 하므로, 절수형 기기이며 에너지 절약형의 기기이다.
3) 기존의 로 탱크형은 변기에 공급관(세정수 분출관)이 65mm 이나, 본 발명은 압력식 분출 방식이므로 15mm 이상이면 충분하며, 기존 탱크의 불필요한 공간을 없앨 수 있으므로 탱크의 크기를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다.
4) 제 2실시예인 다이아프램 방식의 경우, 다이아프램(40) 내의 봉입기체 압력을 조절하여 분출(공급) 압력을 조정할 수 있고, 가압된 세정수를 이용하는 세정(세척)방식이므로, 기존의 세정방식보다 세정력(세척력)이 월등하며, 볼탭(Ball Tap)이 없으므로, 볼탭이 작동하는 공간을 줄일 수 있으며, 볼탭이 없이 압력에 의해 체크밸브(14)가 작동하므로, 고장 발생 가능성이 현저하게 줄어 메인티넌스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분출구인 지수밸브(30)를 밀폐 공기층(54)의 공기 또는 다이아프램(40)에 의해 압축된 세정수가 일정압으로 누르고 있으므로 누수가 발생치 않는다.
5) 세정 밸브형(Flush valve type) 변기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0.7㎏/㎠.G 이상의 급수 공급압력이 필요하나, 본 압력식 세정수 탱크 방식은 0.3㎏/㎠.G 이상의 급수 공급압력이 있으면 어느 곳에나 설치가 가능하고, 또 세정밸브형은 급수 공급배관의 크기가 1 Inch(25mm) 이상이 되어야 하나, 본 발명의 변기용 압력식 세정수 탱크의 급수관(12)은 1/2 Inch(15mm) 이상이면 충분하므로 급수배관 등의 공사비가 절감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변기용 압력식 세정수 탱크에 의하면, 세정수 탱크 내를 밀폐식으로 구성하고, 급수공급압으로 압축된 압축 공기압 또는 질소나 건조공기 등을 봉입한 다이아프램의 압축력으로 세정수를 분출하기 때문에, 종래의 세정수 공급(분출) 방식인 세정밸브형, 하이 탱크형, 로 탱크형보다 월등한 세척력을 나타낸다.세정수 탱크 내의 세정수를 급수 공급압으로 가압하여 가압된 세정수를 일시적으로 변기에 공급(분출)하여 오물을 세정하므로, 기존의 변기에 구조 및 부속품의 변경 없이 설치할 수 있고 크기를 작게 할 수 있어 설치공간이 절약되며, 세척력이 강하고, 누수가 없는 효과가 있으며, 예를들면 세정수 6리터만으로도 세정(세척력)이 가능하여 정부의 절수설비 사용의무화 정책에도 부응할 수 있는 절수형의 기기이다.

Claims (2)

  1. 적어도 변기 본체(10)와, 이 본체(10)에 급수를 위한 급수관(12)과, 상기 본체(10)의 상측에는 세정을 위한 압력식 세정수 탱크(20)와, 이 세정수 탱크(20) 바닥면에 변기 본체(10)로의 세정수를 공급하기 위한 개폐가능하게 설치되는 지수밸브(30)와, 상기 지수밸브(30)를 개방하기 위한 조작노브(2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변기에 있어서,
    상기 급수관(12)에 세정수 역류를 방지하고 세정수에 한번 공급된 급수공급 압력이 저하되지 않고 지속적으로 고압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체크밸브(14)와,
    상기 세정수 탱크(20)는 내부에 밀폐 공기층(54)을 가지는 밀폐형으로 구성하며,
    상기 세정수 탱크(20) 내의 상기 밀폐 공기층(54)과 연결되는 에어 체크밸브(50)와,
    상기 세정수 탱크(20) 상부에 설치되는 메인티넌스를 위한 점검구(52)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용 압력식 세정수 탱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수 탱크(20)는, 이 세정수 탱크(20) 내에 질소나 건조공기를 봉입하여 에어쿳션 기능(압축, 팽창)을 부여하는 다이아프램(40)과, 이 다이아프램(40)에 질소나 건조공기 등을 봉입하기 위하여 상기 세정수 탱크(20) 일측에 주입구(42)를 더 구비하여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용 압력식 세정수 탱크.
KR1020000002088A 2000-01-17 2000-01-17 변기용 압력식 세정수 탱크 KR1003203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2088A KR100320377B1 (ko) 2000-01-17 2000-01-17 변기용 압력식 세정수 탱크
KR2020000001380U KR200184952Y1 (ko) 2000-01-17 2000-01-18 변기용 압력식 세정수 탱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2088A KR100320377B1 (ko) 2000-01-17 2000-01-17 변기용 압력식 세정수 탱크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1380U Division KR200184952Y1 (ko) 2000-01-17 2000-01-18 변기용 압력식 세정수 탱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4060A KR20000024060A (ko) 2000-05-06
KR100320377B1 true KR100320377B1 (ko) 2002-01-12

Family

ID=196391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02088A KR100320377B1 (ko) 2000-01-17 2000-01-17 변기용 압력식 세정수 탱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2037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060067A1 (en) * 2006-11-15 2008-05-22 Se Hwan Lee Water savable toilet
KR101111980B1 (ko) * 2009-10-06 2012-02-14 최필선 가압 절수형 수세식 변기의 세척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3128B1 (ko) * 2001-03-27 2004-10-15 강흥묵 좌변기의 급배수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060067A1 (en) * 2006-11-15 2008-05-22 Se Hwan Lee Water savable toilet
KR101111980B1 (ko) * 2009-10-06 2012-02-14 최필선 가압 절수형 수세식 변기의 세척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4060A (ko) 2000-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9924060U (zh) 一种马桶冲洗装置
KR100483510B1 (ko) 분사펌프를 이용한 림측 급수장치를 갖는 양변기
WO2001055516A1 (fr) Procede de rinçage de wc, wc et pieces d&#39;assemblage
KR100447875B1 (ko) 양변기용 급속 배수장치
KR100320377B1 (ko) 변기용 압력식 세정수 탱크
CN108005188B (zh) 一种低水箱坐便器
KR200184952Y1 (ko) 변기용 압력식 세정수 탱크
CN210529858U (zh) 一种具有低压冲水功能的马桶
CN202492904U (zh) 节水马桶
CN103061394B (zh) 高压水密闭冲洗座便节水盖结构
CN201050104Y (zh) 一种压力冲水马桶用低水压气压式水箱装置
CN2072551U (zh) 间歇放水节水型小便池冲洗设备
CN211571873U (zh) 一种低水箱马桶的冲洗系统
KR200308725Y1 (ko) 절수형 양변기
CN101691773B (zh) 气压式节水装置
CN210216626U (zh) 一种高压直排节水无噪声多功能马桶结构
CN2440856Y (zh) 蓄能增压冲洗装置
CN208844691U (zh) 气动冲水装置及其马桶
CN108678115A (zh) 一种防堵马桶
CN101581112B (zh) 气压水冲座便器
CN2152010Y (zh) 具洗手功能的家用冲水低水箱
CN2546526Y (zh) 无排水阀、不漏水的便器冲水装置
CN207499091U (zh) 一种自来水辅助喷射冲洗装置及坐便器
CN101314957B (zh) 一种压力冲水马桶用低水压气压式水箱装置
CN1489661A (zh) 管压蓄压式抽水马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22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