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53128B1 - 좌변기의 급배수 장치 - Google Patents

좌변기의 급배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53128B1
KR100453128B1 KR10-2001-0015996A KR20010015996A KR100453128B1 KR 100453128 B1 KR100453128 B1 KR 100453128B1 KR 20010015996 A KR20010015996 A KR 20010015996A KR 100453128 B1 KR100453128 B1 KR 1004531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toilet
tube
drain pipe
toilet s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59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76031A (ko
Inventor
강흥묵
Original Assignee
강흥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흥묵 filed Critical 강흥묵
Priority to KR10-2001-00159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53128B1/ko
Priority to PCT/KR2002/000520 priority patent/WO2002077375A1/en
Publication of KR200200760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60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31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3128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3/00Flushing devices operated by pressure of the water supply system flushing valves not connected to the water-supply main, also if air is blown in the water seal for a quick flushing
    • E03D3/10Flushing devices with pressure-operated reservoir, e.g. air chambe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00Water flushing devices with cisterns ; Setting up a range of flushing devices or water-closets; Combinations of several flushing devices
    • E03D1/01Shape or selection of material for flushing cister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대, 소변을 구분하여 물을 좌변기로 공급하여 불필요하게 사용되는 물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좌변기의 급배수 장치가 개시된다. 급배수 장치는 좌변기가 구비된 변기본체가 포함된다. 수조는 변기본체에 연결되어 물을 공급한다. 튜브는 수조의 내부에 설치된다. 배수관은 좌변기와 튜브 사이에 설치되어 튜브에 저수된 물을 좌변기로 배출시킨다. 급수관은 배수관의 소정 위치에 설치되어 튜브 내로 물을 공급한다. 배수밸브는 배수관의 외주면에 설치된다. 급수밸브는 급수관의 외주면 일측에 설치된다. 배수관은 제 1배수관과 제 2배수관으로 분기된다. 제 1 튜브는 튜브와 제 1배수관에 연결되어 적은 량의 물을 좌변기로 공급시킨다. 제 2 튜브는 제 2배수관에 연결되어 많은 량의 물을 좌변기로 공급시킨다. 대, 소변을 구분하여 물을 좌변기로 공급하여 사용할 수 있어 불필요하게 사용되는 물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좌변기의 급배수 장치{SUPPLY AND DRAIN EQUIPMENT FOR TOILET BOWL}
본 발명은 좌변기의 급배수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수조를 변기본체의 상부에 설치않고 변기본체의 일측에 설치하고, 튜브의 신축력을 이용하여 좌변기에 있는 용변을 정화조로 배출시켜 세면장의 공간활용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대, 소변을 구분하여 물을 좌변기로 공급하여 불필요하게 사용되는 물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좌변기의 급배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건물등의 세면장에는 세면대와 좌변기 및 욕조가 설치되어 있으며, 세면대는 손이나 얼굴을 씻을 수 있도록 물을 공급하는 수도꼭지와 세면 후 오수를 배수로로 보내는 배수관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좌변기는 좌변기의 뒤쪽에 물이 채워진 수조가 설치되어 용변을 마친후에 작동레버를 작동시키면 이 동작에 의해서 수조내의 패킹이 개방되어 수조내에 담수된 물이 변기측으로 흘러내려 변기에 담긴 용변을 세척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세면장의 구조를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2는 종래 좌변기 구조를 도시한 개략도로써, 도시된 바와 같이 좌변기(100)는 변기본체(110)와 상기 변기본체(110)의 후방 상면에 설치되고 내부에는 물이 채워지는 수조(120)로 구성되어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좌변기(100)는 수조(120)에 장착된 작동레버(122)를 조작하여 수조(120)내에 저장된 물을 내리면 수조(120)의 배수구(124)로부터 변기본체(110)의 급수부(112)를 통해 유입된 물은 먼저 사이펀수로(114)를 경유하여 그 하단에 형성된 배출공(115)을 통해 정화조로 연결된 배출부(116)를 통해 일부가 빠져 나간다. 상기 배출공(115)의 크기가 작기 때문에 사이펀수로(114)에는 물이 차 오르게 되고 이후에는 물이 사이펀수로(114) 뿐만 아니라 변기본체(110)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세척수로(117)로도 흘러 세척수로(117)에 형성된 다수의 통공(117a)을 통해 변기본체(110)의 내부면을 따라 흐른 후 배출부(116)로 흘러간다.
이때, 변기본체(110)의 안에 있던 용변은 사이펀수로(114)를 통과하는 물의 사이펀 작용에 의한 흡입력에 의해 배출부(116)로 빨려 나가게 됨으로써 용변이 제거되고, 또한 세척수로(117), 통공(117a) 및 변기본체(110)의 내부면을 따라 흐른 물은 변기본체(110)의 내부면에 묻어 있는 이물질을 말끔하게 수세하는 한편 변기본체(110) 내에 일정한 물이 유지되도록 보충해 주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좌변기는 수압을 이용하기 때문에 세면장에비효율적으로 설치되었다.
즉, 종래의 좌변기(100)는 수압을 이용해야 하기 때문에 수조(120)를 변기본체(110)보다 높게 설치해야 하고, 변기본체(110)의 상부에 설치된 수조(120)가 벽체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게 설치되어져 좌변기(100)가 세면대(130) 및 욕조(140)에 비해 전방으로 더 돌출 설치되어 있어 세면장의 전체공간을 비효율적으로 사용하였을 뿐만 아니라 세면장의 내부미관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대,소변을 구분하지 않고 작동레버(122)를 작동시키면 항상 동일한 량의 물이 공급되어져 소량의 물로서 세척 가능한 소변시에도 대변시와 같은 다량이 물이 공급되어 불필요하게 물을 낭비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수조 내에 신축력을 가지는 부재를 이용하여 좌변기를 사용하고, 수조를 좌변기보다 높게 설치하지 않아도 좌변기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세면장의 내부공간을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과제는 대, 소변후 사용목적에 따라 물의 량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여 불필요하게 사용되는 물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좌변기가 구비된 변기본체, 상기 변기본체에 연결되어 물을 공급하기 위한 수조, 상기 수조의 내부에 설치되는 신축가능한 튜브, 상기 좌변기와 상기 튜브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튜브에 저수된 물을 상기 좌변기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수관, 상기 배수관의 소정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튜브 내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관으로 이루어진 좌변기의 급배수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수관의 외주면에 배수밸브가 설치되고, 상기 급수관의 외주면 일측에 급수밸브가 설치되고, 상기 배수관은 제 1배수관과 제 2배수관으로 분기되고, 상기 튜브는 상기 제 1배수관에 연결되어 적은 량의 물을 좌변기로 공급시키기 위한 제 1튜브 및 상기 제 2배수관에 연결되어 많은 량의 물을 좌변기로 공급시키기 위한 제 2튜브로 나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의 급배수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되어 진다.
도 1은 일반적인 세면장의 구조를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종래 좌변기 구조를 도시한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좌변기의 급배수 장치를 도시한 개략도.
도 4는 도 3의 작동상태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좌변기의 급배수 장치를 도시한 개략도.
도 6은 도 5의 작동상태 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좌변기의 급배수 장치를 도시한 개략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좌변기의 급배수 장치를 도시한 개략도.
도 9a,b는 도 8의 작동상태 개략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좌변기 12 : 변기본체
14 : 수조 20 : 튜브
20a : 제 1튜브 20b : 제 2튜브
21 : 주름부 30 : 급수관
32 : 급수밸브 40 : 배수관
40a : 제 1배수관 40b : 제 2배수관
42 : 배수밸브 42a : 제 1배수밸브
42b : 제 2배수밸브 50 : 가이드판
52 : 탄성부재 54 : 조절구
60 : 3방향 밸브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도 3 내지 도 4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좌변기의 급배수 장치를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4는 도 3의 작동상태 개략도로써, 본 발명은 좌변기(10)와, 튜브(20)와, 급수관(30) 및 배수관(40)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좌변기(10)는 변기본체(12)와 상기 변기본체(12)의 일측에 설치된 수조(14)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튜브(20)는 신축가능하고 수조(14)의 내부에 설치된다.
상기 좌변기(10)에는 배수관(40)의 일측이 연결 설치되고 타측은 상기 튜브(20)에 연결설치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배수관(40)에는 후술할 급수관(30)을 통해 튜브(20)에 공급된 물을 좌변기(10)로 공급시킬 수 있게 배수밸브(42)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급수관(30)은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상기 튜브(20)로 공급하는 것으로, 급수관(30)과 배수관(40)은 도 3과 같이 “┣”형으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급수관(30)에는 급수밸브(32)가 설치되어 있는데, 이 상기 급수밸브(32)는 항상 개방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튜브(20)에 물이 저장되어 튜브(20)가 팽창되어 있는 상태에서, 좌변기(10)에 있는 용변을 배출시키기 위해서는 도 4와 같이 배수관(40)에 설치된 배수밸브(42)를 작동시킨다. 그러면 이 배수밸브(42)의 작동에 의해 튜브(20)에 저장된 물은 튜브(20)의 수축압력에 의해 배수관(40)을 통해 좌변기(10)의 변기본체(12)로 공급되고, 좌변기(10)의 변기본체(12)로 공급된 물은 다시 변기본체(12)에 있는 용변을 급속히 밀어내면서 도시되지 않은 정화조로 배출시키게 된다. 그리고 일정량의 물은 변기본체(12)에 채워지게 된다.
이때, 상기 튜브(20)는 물이 좌변기(10)로 배출되면서 수축하게 된다.
상기 변기본체(12)에 있는 용변이 배출되고 배수밸브(42)가 원래위치로 복귀되면 튜브(20)에는 수초내에 급수관(30)을 통해 물이 공급되면서 튜브(20)가 팽창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튜브(20)의 신축력을 이용하여 좌변기(10)에 있는 용변을 배출시킬 수 있어 수조(14)를 종래 기술과 같이 변기본체(12)의 상부에 설치하지 않아도 될 뿐만 아니라 세면대보다 전방으로 돌출 되지 않아 세면장의 공간활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좌변기의 급배수 장치를 도시한 개략도로써, 도 3의 구성과 동일한 부분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좌변기(10)의 일측에 설치된 수조(14) 내부에 외주연에 다수의 주름부(21)를갖는 신축 가능한 튜브(20)가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튜브(20)의 일측에는 좌,우로 슬라이딩되는 가이드판(50)이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판(50)의 일측에는 상기 튜브(20)의 신축에 의해 가이드판(50)을 슬라이딩 시키는 탄성부재(52)가 설치되고, 상기 탄성부재(52)의 일측에는 상기 탄성부재(52)의 탄성력을 조절할 수 있는 조절구(54)가 설치된 구성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작용을 설명하면, 튜브(20)에 물이 저장되어 튜브(20)가 팽창되어 있는 상태에서, 좌변기(10)에 있는 있는 용변을 배출시키기 위해서는 도 6과 같이 배수관(40)에 설치된 배수밸브(42)를 작동시킨다. 그러면 이 배수밸브(42)의 작동에 의해 튜브(20)에 저장된 물은 튜브(20)의 수축압력과 탄성부재(52)의 탄성력에 의해 배수관(40)을 통해 좌변기(10)로 공급된다. 여기서, 상기 튜브(20)는 외주연에 형성된 주름부(21)에 의해 순차적으로 접히면서 수축되면서 물은 좌변기(10)로 공급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튜브(20)가 수축되면 상기 튜브(20)의 일측에 설치된 가이드판(50)이 화살표 방향으로 동시에 슬라이딩되는데, 이는 가이드판(50)의 일측에 설치된 탄성부재(52)의 탄성력에 의해 탄성부재(52)가 인장되어 가이드판(50)이 튜브(20)가 수축시 같이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튜브(20)가 수축압력에 의해 수축되면서 물이 좌변기(10)의 변기본체(12)에 공급되면, 좌변기(10)의 변기본체(12)로 공급된 물은 다시 변기본체(12)에 있는 용변을 급속히 밀어내면서 도시되지 않은 정화조로 배출시키게 된다. 그리고 일정량의 물은 변기본체(12)에 채워지게 된다.
상기 좌변기(10)의 변기본체(12)에 있는 용변이 배출되고, 배수밸브(42)가 원래위치로 복귀되면 튜브(20)에는 수초내에 급수관(30)을 통해 물이 공급되면서 접혀져 있던 주름부(21)가 펼쳐지면서 튜브(20)가 팽창되고, 상기 튜브(20)의 팽창에 의해 가이드판(50)이 원래위치로 복귀된다. 이때, 상기 탄성부재(52)도 가이드판(50)의 이동에 의해 원래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상기, 탄성부재(52)의 일측에 설치된 조절구(54)는 탄성부재(52)의 탄성력을 조절하여 튜브내로 유입되는 물의 양과 압력을 조절시키는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좌변기의 급배수 장치를 도시한 개략도로써, 상기 급수관(30)에 연결 설치되는 배수관(40)이 제 1배수관(40a)과 제 2배수관(40b)으로 분기되어 제 1배수관(40a)에는 적은 량의 물이 좌변기(10)로 공급될 수 있게 연결 설치된 제 1튜브(20a)가 수조(14)에 설치되고, 제 2배수관(40b)에는 많은 량의 물이 좌변기(10)로 공급될 수 있게 연결 설치된 제 2튜브(20b)가 수조(14)에 설치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 1배수관(40a)에는 제 1배수밸브(42a)가 설치되고, 제 2배수관(40b)에는 제 2배수밸브(42b)가 설치되며, 상기 제 1배수관(40a)과 제 2배수관(40b)이 연결 설치되는 급수관(30)의 양측에는 체크밸브(36a)(36b)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이때, 상기 체크밸브(36a)(36b)는 급수관(30)을 통해 유입된 물이 화살표방향으로만 흐르도록 하는 밸브이다.
먼저, 도 7과 같이 조립된 상태를 설명하면, 급수밸브(32)가 형성된 “┳”형상의 급수관(30)의 일측에 제 1배수관(40a)을 연결 설치하고, 이 제 1배수관(40a)의 일측은 수조(14)에 설치된 제 1튜브(20a)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급수관(30)의 타측에는 제 2배수관(40b)을 연결 설치하고, 이 제 2배수관(40b)의 일측은 수조(14)에 설치된 제 2튜브(20b)에 설치되어 있다.
한편, 상기 제 1배수관(40a)과 제 2배수관(40b)으로 분기된 배수관(40)의 타측은 좌변기(10)에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작용을 설명하면 먼저, 좌변기(10)에 소변을 본 후 배출시키기 위해서는 제 1배수관(40a)에 설치된 제 1배수밸브(42a)를 작동시킨다. 그러면 이 제 1배수밸브(42a)의 작동에 의해 제 1튜브(20a)에 저장된 물은 제 1튜브(20a)의 수축압력에 의해 제 1배수관(40a)을 통해 좌변기(10)의 변기본체(12)에 공급되고, 좌변기(10)의 변기본체(12)에 공급된 물은 다시 변기본체(12)에 있는 용변을 급속히 밀어내면서 도시되지 않은 정화조로 배출시키게 된다. 그리고 일정량의 물은 변기본체(12)에 채워지게 된다.
이때, 상기 제 1튜브(20a)는 전술한 바와 같이 물이 좌변기(10)로 배출되면서 수축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변기본체(12)에 있는 용변이 배출되고 제 1배수밸브(42a)가 원래위치로 복귀되면 제 1튜브(20a)에는 수초내에 급수관(30)과 체크밸브(36a)을 통해 물이 공급되면서 제 1튜브(20a)가 팽창하게 된다.
그리고, 좌변기(10)에 대변을 본 후 배출시키기 위해서는 제 2배수관(40b)에 설치된 제 2배수밸브(42b)를 작동시킨다. 그러면 이 제 2배수밸브(42b)의 작동에 의해 제 2튜브(20b)에 저장된 물은 제 2튜브(20b)의 수축압력에 의해 제 2배수관(40b)을 통해 좌변기(10)의 변기본체(12)에 공급되고, 좌변기(10)의 변기본체(12)에 공급된 물은 다시 변기본체(12)에 있는 용변을 급속히 밀어내면서 도시되지 않은 정화조로 배출시키게 된다. 그리고 일정량의 물은 변기본체(12)에 채워지게 된다.
이때에도 마찬가지로 상기 제 2튜브(20b)는 전술한 바와 같이 물이 좌변기(10)로 배출되면서 수축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변기본체(12)에 있는 용변이 배출되고 제 2배수밸브(42b)가 원래위치로 복귀되면 제 2튜브(20b)에는 수초내에 급수관(30)과 체크밸브(36b)를 통해 물이 공급되면서 제 2튜브(20b)가 팽창하게 되는 것으로, 이와 같은 구성은 대변과 소변에 따라 좌변기(10)로 물을 공급시킴으로써 소변시 불필요하게 소비되는 물의 량을 절감시킬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좌변기의 급배수 장치를 도시한 개략도로써, 급수밸브(32)가 형성된 급수관(30)에 연결 설치되는 배수관(40)을 제 1배수관(40a)과 제 2배수관(40b)으로 분기하여 제 1배수관(40a)의 일측은 수조(14)에 설치된 제 1튜브(20a)에 연결 설치되어 있고, 제 2배수관(40b)의 일측은 수조(14)에 설치된 제 2튜브(20b)에 연결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배수관(40a) 및 제 2배수관(40b)과 좌변기(10)는 3방향 밸브(60)로 연결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 1배수관(40a)과 제 2배수관(40b)이 연결 설치되는 급수관(30)의 양측에는 체크밸브(36a)(36b)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기술의 사용상태는 도 7의 작용과 유사하나 좌변기(10)로물을 공급시 3방향 밸브(60)를 사용하여 제 1튜브(20a) 및 제 2튜브(20b)에 저장된 물을 좌변기(10)로 공급하게 된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좌변기(10)로 물이 공급되지 못하는 상태에서 소변을 본 후 배출시키기 위해서는 좌변기(10)와 제 1배수관(40a) 및 제 2배수관(40b)에 연결 설치되어 있는 3방향 밸브(60)를 도 9a와 같이 일측으로 작동시킨다. 그러면 3방향 밸브(60)의 작동에 의해 제 1튜브(20a)에 저장된 물은 제 1튜브(20a)의 수축압력에 의해 제 1배수관(40a)을 통해 좌변기(10)의 변기본체(12)에 공급되고, 좌변기(10)의 변기본체(12)에 공급된 물은 다시 변기본체(12)에 있는 용변을 급속히 밀어내면서 도시되지 않은 정화조로 배출시키게 된다. 그리고 일정량의 물은 변기본체(12)에 다시 채워지게 된다.
이때, 상기 제 1튜브(20a)는 전술한 바와 같이 물이 좌변기(10)로 배출되면서 수축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변기본체(12)에 있는 용변이 배출되고 3방향 밸브(60)가 원래위치로 복귀되면 제 1튜브(20a)에는 수초내에 급수관(30)과 체크밸브(36a)을 통해 물이 공급되면서 제 1튜브(20a)가 팽창하게 된다.
그리고, 좌변기(10)에 대변을 본 후 배출시키기 위해서는 좌변기(10)와 제 1배수관(40a) 및 제 2배수관(40b)에 연결 설치되어 있는 3방향 밸브(60)를 도 9b와 같이 타측으로 작동시킨다. 그러면 3방향 밸브(60)의 작동에 의해 제 2튜브(20b)에 저장된 물은 제 2튜브(20b)의 수축압력에 의해 제 2배수관(40b)을 통해 좌변기(10)의 변기본체(12)에 공급되고, 좌변기(10)의 변기본체(12)에 공급된 물은 다시 변기본체(12)에 있는 용변을 급속히 밀어내면서 도시되지 않은 정화조로 배출시키게 된다. 그리고 일정량의 물은 변기본체(12)에 다시 채워지게 된다.
이때, 상기 제 2튜브(20b)는 물이 좌변기(10)로 배출되면서 수축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변기본체(12)에 있는 용변이 배출되고 3방향 밸브(60)가 원래위치로 복귀되면 제 2튜브(20b)에는 수초내에 급수관(30)과 체크밸브(36b)를 통해 물이 공급되면서 제 2튜브(20b)가 팽창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 좌변기의 급배수 장치에 따르면, 좌변기의 일측에 설치되는 수조 내부에 설치되는 신축 가능한 튜브와,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튜브에 공급하는 급수관과, 튜브에 저장된 물을 좌변기로 공급하는 배수관으로 이루어진 구성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수조를 변기본체의 상부에 설치않고 변기본체의 일측에 설치하고, 튜브의 신축력을 이용하여 좌변기에 있는 용변을 정화조로 배출시킬 수 있어 세면장의 공간활용을 용이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세면장의 내부를 미려하게 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대, 소변을 구분하여 물을 좌변기로 공급하여 사용할 수 있어 불필요하게 사용되는 물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5)

  1. 좌변기(10)가 구비된 변기본체(12), 상기 변기본체(12)에 연결되어 물을 공급하기 위한 수조(14), 상기 수조(14)의 내부에 설치되는 신축가능한 튜브(20), 상기 좌변기(10)와 상기 튜브(20)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튜브(20)에 저수된 물을 상기 좌변기(10)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수관(40), 상기 배수관(40)의 소정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튜브(20) 내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관(30)으로 이루어진 좌변기의 급배수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수관(40)의 외주면에 배수밸브(42)가 설치되고, 상기 급수관(30)의 외주면 일측에 급수밸브(32)가 설치되고, 상기 배수관(40)은 제 1배수관(40a)과 제 2배수관(40b)으로 분기되고, 상기 튜브(20)는 상기 제 1배수관(40a)에 연결되어 적은 량의 물을 좌변기(10)로 공급시키기 위한 제 1튜브(20a) 및 상기 제 2배수관(40b)에 연결되어 많은 량의 물을 좌변기(10)로 공급시키기 위한 제 2튜브(20b)로 분리되고, 상기 수조(14)는 상기 제 1 튜브(20a)의 제 1 수조(14a) 및 상기 제 2 튜브(20b)의 제 2 수조(14b)로 분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의 급배수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수조(14a)와 제 2 수조(14b)의 내부에는
    상기 제 1 튜브(20a) 및 상기 제 2 튜브(20b)의 일단과 각각 연결되는 신축 가능한 주름관(21);
    상기 주름관(21)의 일단과 폐쇄 가능하게 연결되는 가이드판(50);
    상기 가이드판(50)에 일단이 접촉되어 상기 가이드판(50)에 힘을 가하는 탄성부재(52); 및
    상기 탄성부재(52)의 타단과 접촉되며 상기 제 1 수조(14a) 및 상기 제 2 수조(14b)의 일측면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탄성부재(52)의 탄성력을 조절하기 위한 조절구(54)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의 급배수 장치.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배수관(40a)에는 제 1배수밸브(42a)가 설치되고, 상기 제 2배수관(40b)에는 제 2배수밸브(42b)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의 급배수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배수관(40a)과 상기 제 2배수관(40b)의 교차 지점에는 3방향 밸브(6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의 급배수 장치.
KR10-2001-0015996A 2001-03-27 2001-03-27 좌변기의 급배수 장치 KR1004531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5996A KR100453128B1 (ko) 2001-03-27 2001-03-27 좌변기의 급배수 장치
PCT/KR2002/000520 WO2002077375A1 (en) 2001-03-27 2002-03-26 Water supplying and draining apparatus for a toilet bow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5996A KR100453128B1 (ko) 2001-03-27 2001-03-27 좌변기의 급배수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6031A KR20020076031A (ko) 2002-10-09
KR100453128B1 true KR100453128B1 (ko) 2004-10-15

Family

ID=197074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5996A KR100453128B1 (ko) 2001-03-27 2001-03-27 좌변기의 급배수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453128B1 (ko)
WO (1) WO200207737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239648A (zh) * 2015-11-05 2016-01-13 谢乔明 一种蓄能节水蹲便器冲水箱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623959B (zh) * 2013-11-29 2017-05-10 王勇 多功能全物理可定时高压喷水筒
ITUB20154052A1 (it) * 2015-09-30 2017-03-30 Ceadesign Srl Impianto sanitario con vaso sanitario e un gruppo perfezionato di lavaggio del suddetto vaso sanitario
CN205444363U (zh) * 2016-01-05 2016-08-10 姜维强 一种稳压式水气耦合设备
CN106948441B (zh) * 2017-03-24 2019-04-12 姜维强 一种冲水系统及节能冲水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7948U (ko) * 1973-05-21 1975-01-27
JPS57165541A (en) * 1981-04-03 1982-10-12 Orihara Seisakusho Kk Water saving flash tank
KR20000001723A (ko) * 1998-06-13 2000-01-15 강흥묵 좌변기 급배수시스템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36888A (en) * 1974-06-19 1976-02-10 Sturtevant Paul A Effluent disposal system
JPH05246286A (ja) * 1992-03-04 1993-09-24 Gokou Seisakusho:Kk 車輛用トイレット装置
JPH09328803A (ja) * 1996-06-12 1997-12-22 Komatsu Ltd 移動式汚水源の汚水排水システム
KR100320377B1 (ko) * 2000-01-17 2002-01-12 이혁의 변기용 압력식 세정수 탱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7948U (ko) * 1973-05-21 1975-01-27
JPS57165541A (en) * 1981-04-03 1982-10-12 Orihara Seisakusho Kk Water saving flash tank
KR20000001723A (ko) * 1998-06-13 2000-01-15 강흥묵 좌변기 급배수시스템 및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239648A (zh) * 2015-11-05 2016-01-13 谢乔明 一种蓄能节水蹲便器冲水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2077375A1 (en) 2002-10-03
KR20020076031A (ko) 2002-10-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20524235A (ja) 可変式節水型洋式便器の汚水排出装置
KR100408075B1 (ko) 절수용 변기
KR100453128B1 (ko) 좌변기의 급배수 장치
US20050000005A1 (en) Toilet overflow prevention system
KR20100094274A (ko) 물 절약형 좌변기
JP2006291496A (ja) 水洗トイレ用手洗器の排水構造
CN207727649U (zh) 一种卫生间用节水设备
KR101358562B1 (ko) 초음파 진동자를 이용한 남성 인식 소변기 세척장치
RU2459046C2 (ru) Санузел и способ его эксплуатации
JPH1037275A (ja) トイレ装置
CN205369474U (zh) 男士小便器
KR100291348B1 (ko) 좌변기 급배수 장치
KR100218648B1 (ko) 수세식 변기
RU2371552C2 (ru) Убирающееся приемное устройство санузла
KR200419551Y1 (ko) 절약형 양변기
KR20100009972U (ko) 절수형 변기 수조
KR200338353Y1 (ko) 악취 제거용 양변기
KR200286094Y1 (ko) 세면기로부터 버려지는 물의 집수재활용장치
KR20130085087A (ko) 배출선택관이 구비된 변기
KR200367234Y1 (ko) 냄새제거 기능을 구비한 좌변기
JP2004044318A (ja) 排水装置
KR200389662Y1 (ko) 수도받침 물통
KR200179569Y1 (ko) 절수형 변기
KR20020032988A (ko) 세면기 배수를 이용한 양변기 급수장치
CN201099885Y (zh) 节水型一体化洁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7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