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8353Y1 - 악취 제거용 양변기 - Google Patents

악취 제거용 양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8353Y1
KR200338353Y1 KR20-2003-0033529U KR20030033529U KR200338353Y1 KR 200338353 Y1 KR200338353 Y1 KR 200338353Y1 KR 20030033529 U KR20030033529 U KR 20030033529U KR 200338353 Y1 KR200338353 Y1 KR 20033835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water
water supply
siphon
toi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352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철재
Original Assignee
박철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철재 filed Critical 박철재
Priority to KR20-2003-003352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835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835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8353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4Special arrangement or operation of ventilating devi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Bidet-Like Cleaning Device And Other Flush Toilet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양변기에 관한 것으로서, 양변기 상부에 형성된 통수관의 일면에 배기구멍을 형성하거나 또는 급수파이프의 측면에 배기유도관을 형성하여 외부의 배기관에 연결하고 상기 배기관에는 외부의 환기장치를 연결하여, 화장실에서 사용자의 대소변에 의하여 발생하는 악취를 통수구멍, 통수관 그리고 배기관을 순차적으로 통과시켜 환풍기에 의하여 강제로 제거하기 위한 것이다.

Description

악취 제거용 양변기 { STOOL FOR REMOVING STENCH }
본 고안은 양변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대소변에 의하여 발생하는 악취를 제거하기 위한 구성을 가진 악취제거용 양변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양변기는 그 편리함이나 위생적인 면에서 우수하여 가정이나 업무용 빌딩, 호텔 등지에서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양변기의 사시도이다. 상기의 양변기는 보통 사용자의 대소변을 수용하기 위한 볼사이펀 (bowl siphon)(30), 사용자의 대소변을 씻어내려 외부의 미도시한 배수관으로 배출하기 위하여 상기 볼사이펀(30)의 내부에 형성된 사이펀구멍(50), 상기 볼사이펀(30)을 지지하기 위한 받침대(40), 사용자가 양변기위에 앉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볼사이펀(30)의 상면에 안착되는 좌대(10), 상기 양변기를 덮기 위한 덮개(20) 및 상기 볼사이펀(30)에 수용된 사용자의 대소변을 상기 사이펀구멍(50)을 통하여 씻겨내려가게 하기 위하여 물을 공급하는 수조(60)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양변기는 가정용 개인주택, 아파트, 업무용 빌딩, 공공시설 등의 화장실에 일반적으로 채택되어 있고, 화장실에서 발생하는 사용자의 대소변에 의한 악취를 환기시키기 위하여 현재는 화장실의 벽면 또는 천정에 환풍기를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상기의 환풍기를 설치하는 것만으로는 화장실내의 대소변으로 인한 악취가 빠른 시간내에 제거되지 않고 상당시간동안 화장실내에 머무르게 되어 불쾌감을 주는 것이 사실이다. 이러한, 사용자의 대소변에 의한 악취는 사용자의 체질이나 식습관 등에 따라 그 정도가 다르며, 또한 호텔이나 공공장소 등에서 화장실을 타인이 연속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이러한 악취에 의한 불쾌감은 더욱 심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현재까지 이러한 사용자의 대소변에 의한 악취를 제거하기 위한 많은 방법들이 시도되었는데, 예를 들면, 기존에 이미 한국내에서 출원된 공고번호 "실용2003-0306436"의 등록실용신안과 공개번호 "특2002-0089100" 의 특허출원 등을 들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실용2003-0306436" 은 사용자의 대소변에 의한 악취를 제거하기 위하여 상기 좌판의 하면에 센서를 설치하고 또한 상기 좌판내부에 냄새 흡입구멍과 냄새흡입호스를 추가적으로 설치하여 이를 외부에 설치된 흡입모터와 배관연결하는 구성으로 되어있어 그 구성이 다소 복잡한 면이 있다. 또한 상기 "특2002-0089100" 은 기존의 양변기 내부에 냄새 배출용 호스를 추가로 설치하는 것을 주요내용으로 하는 것으로서, 상기 양변기의 볼사이펀의 후면을 관통하는 구멍을 형성하고 상기 관통구멍안에 호스를 삽입하여 상기 호스를 환풍기와 연결하는 구조로 되어있다. 따라서, 상기 "특2002-0089100" 에 따르면 상기 볼사이펀의 측면의 한 방향에서만 냄새를 제거하게 된다.
상기에 기술한 고안들 외에 기존의 대부분의 시도가 양변기의 내외부에 추가적인 많은 장치들을 필요로 하므로 시공상의 어려움 및 경제적 이유 등으로 인하여 현재는 종래의 통상적인 양변기가 압도적으로 채택되고 화장실내에 따로 환풍기를 설치하여 화장실내의 악취를 감소시키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종래와 같이 양변기의 내외부에 추가적인 장치 등을 설치하지 않고도 간단하고도 경제적으로 사용자의 대소변에 의한 악취를 제거하기 위한 효율적인 양변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양변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의한 양변기의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의한 양변기의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의 의한 양변기의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상기 제1실시예에 의한 양변기가 외부의 환기장치와 연결되는 일 예를 보인 사용 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200a,200b : 급수파이프
110,210,310 : 통수관 115,215,315 : 통수구멍
120,220,320 : 볼사이펀 130,330 : 배기구멍
140,240,340a,340b,440 : 배기관 150,250,350,450 : 환기장치 160 : 배수관 170 : 받침대
전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일측면에 의하면, 사용자의 대소변을 수용하는 볼사이펀; 내부에 빈 공간을 가지고, 그 상면에 급수구멍을 가지며, 상기 볼사이펀의 원주방향을 따라 상기 볼사이펀의 상면에 형성되어 상기 급수구멍을 통하여 외부의 급수파이프와 연결되는 통수관; 상기 통수관의 바닥면에 상기 통수관의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다수개의 통수구멍; 상기 통수관을 외부의 배기관을 통하여 외부의 환기장치에 연결함으로써 대소변의 악취가 상기 통수구멍과 통수관을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제거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통수관의 일면에 형성되는 배기구멍; 상기 대소변을 상기 볼사이펀으로부터 외부의 배수파이프로 유도하기 위하여 상기 볼사이펀에 연결되는 배수관; 및 상기 볼사이펀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볼사이펀을 지지하기 위한 받침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제거용 양변기를 제공한다.
상기 배기구멍은 상기 통수관의 상면과 측면중에서 선택된 일면에 형성되며, 상기 외부의 환기장치에 연결된 배기관과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다른 일측면에 의하면, 사용자의 대소변을 수용하는 볼사이펀; 내부에 빈 공간을 가지고, 그 상면에 급수구멍을 가지며, 상기 볼사이펀의 상면에 상기 볼사이펀의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통수관; 상기 통수관에 물을 공급하기 위하여 상기 급수구멍을 통하여 상기 통수관과 결합되는 급수파이프; 상기 통수관의 바닥면에 상기 통수관의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다수개의 통수구멍; 대소변의 악취를 상기 통수구멍과 통수관을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제거하기 위하여 상기 급수파이프의 일측면에서 분기하여 형성되는 배기유도관; 일단이 상기 배기유도관과 연결되고, 타단이 외부의 환기장치에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배기관; 상기 대소변을 상기 볼사이펀으로부터 외부의 배수파이프로 유도하기 위하여 상기 볼사이펀에 연결되는 배수관; 및 상기 볼사이펀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볼사이펀을 지지하기 위한 받침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제거용 양변기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외부의 환기장치는 환풍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의 구성과 작동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의한 양변기의 단면도이다. 본 고안에 의한 양변기는 크게 사용자의 대소변을 수용하기 위한 볼사이펀 (bowl siphon) (120), 상기 볼사이펀(120)을 지지하는 받침대(170), 상기 볼사이펀에 수용된 사용자의 대소변을 외부의 배수파이프(180)로 흘러가도록 하기 위한 배수관(160), 외부의 급수파이프(100)으로 부터 물을 공급받아 사용자의 대소변을 씻겨 내려가도록 하기위한 통수관(110)과 통수구멍(115) 및 사용자의 대소변에 의한 악취를 상기 통수구멍(115) 및 통수관(110)을 통하여 외부로 배기하기 위하여 상기 통수관(110)의 상면에 형성된 배기구멍(130)을 가지고 있다. 상기 급수파이프(100)는 통수관(110)의 상면에 형성된 급수구멍(105)을 통하여 상기 통수관(110)과 직접 연결되고, 상기 배기구멍(130)에는 고무패킹 등의 체결수단(135)을 이용하여 배기관(140)이 연결되며, 상기 배기관(140)에는 환풍기와 같은 환기장치(150)가 연결된다.
상기의 통수관(110)은 상기 급수파이프(100)로부터 공급된 물이 유동할 수 있도록 그 내부에 빈공간의 수로를 가지며 상기 볼사이펀(120)의 상면에 형성되고, 상기 통수구멍(115)은 상기 통수관(110)의 저면에 상기 통수관(110)의 원주방향을 따라 다수개가 형성된다.
상기 도면에서 점선은 상기 급수파이프(100)로 부터 공급된 물의 유동경로를 나타낸 것이고, 실선은 사용자의 대소변에 의한 악취가 배출되는 경로를 나타낸 것이다.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양변기에 앉아서 용무를 보는 중에는 상기 급수파이프(100)내에는 물이 흐르지 않고 비어 있게 되는데, 이러한 급수의 흐름은 상기 급수파이프(100)에 연결된 미도시한 변기 손잡이에 의하여 조절된다. 이때, 사용자가 용무를 보는 동안의 대소변으로 인한 악취는 상기 환풍장치(150)에 의하여 도면에 실선으로 표시한 경로를 따라 배출되게 된다. 즉, 상기의 악취가 먼저 상기 볼사이펀(120)으로 부터 상기 통수구멍(115)을 통과하여 상기 통수관(120)을 따라 이동하다가 최종적으로 상기 배기구멍(130)을 통과하여 상기 배기관(140)으로 빠져 나가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를 용무를 끝마치고 나서 미도시한 상기 변기 손잡이를 당기면 상기 급수파이프(100)로 부터 상기 통수관(110)으로 물이 공급되고 상기 공급된 물은 상기 통수관(110)을 따라 유동하다가 상기 통수구멍(115)을 통하여 상기 볼사이펀(120)으로 공급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의 대소변이 상기 볼사이펀(120)에공급된 물에 의하여 상기 배수관(160)을 통하여 양변기 밖으로 씻겨져 내려가게 된다.
본 고안에서는 물이 공급되는 경로와 악취가 배기되는 경로가 동일하므로 기존의 양변기에서보다 악취의 제거 효율이 탁월할 뿐만 아니라, 위생적인 면에서도 오랜기간의 사용으로 인하여 양변기에 찌들 수 있는 악취에 의한 오염원들을 공급된 물에 의하여 씻어낼 수 있으므로 그 성능이 우수하다고 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기존에 생산되고 있는 양변기의 구조를 크게 변화시키지 않고도 양변기에서의 악취제거가 가능하므로 경제적이며, 아울러 기존에 이미 설치된 양변기에 대한 사후시공도 비교적 간단하다고 할 수 있다.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의한 양변기의 단면도이다. 여기서, 상기 양변기의 구성 중에서 설명되지 않는 부분은 상기 제1실시예의 대응부분과 동일한 구성과 기능을 가지는 것으로 한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상기 제2실시예의 특징적인 부분만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실시예와는 달리 통수관(210)의 상면에 직접 배기구멍(도 2의 130)을 형성하는 대신 제1급수파이프(200a)에서 분기하여 배기유도관(245)을 형성한다. 사용자의 대소변을 씻어내리기 위한 물은 양변기를 사용하지 않는 동안은 미도시한 수조로부터 일단 제2급수파이프(200b)까지 공급되고, 미도시한 밸브에 의하여 상기 제1급수파이프(200a)에는 공급되지 않는다. 사용자가 용무를 마치고 난 후 급수조절스위치(203)를 당기게 되면 상기 제2급수파이프(200b)로 부터 비로서 상기 제1급수파이프(200a)로 물이 공급되게 된다. 따라서, 비사용중이거나 사용자가 용무를 마친 후 상기 급수조절스위치(203)를 당기기 전에는 상기 제1급수파이프(200a)속에는 물이 공급되지 않고 비어있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의 용무중 대소변으로 안한 악취는 볼사이펀(220)으로 부터 통수구멍(215), 통수관(210) 및 상기 배기유도관(245)을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상기 배기유도관(245)에 연결된 배기관(240)을 통하여 빠져나가게 된다. 상기 배기관(240)은 상기 제1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환풍장치(250)에 연결된다. 이어서, 사용자가 용무를 마치고 난 후 상기 급수조절스위치(203)를 당기면 물이 상기 제2급수파이프(200b)로 부터 상기 제1급수파이프(200a)로 흐르게 되고, 결국 상기 급수된 물은 상기 통수관(210)의 상면에 형성된 급수구멍(205)을 통과하여 상기 통수관(210)에 공급되고, 최종적으로 상기 통수관(210)의 저면에 형성된 상기 통수구멍(215)을 통하여 상기 볼사이펀(220)에 공급되어 대소변을 씻어내리게 된다.
상기 제2실시예에서, 상기 배기유도관(245)은 수평면과 일정정도의 각도를 유지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상기 제1급수파이프(200a)로 물이 공급될 때 상기 배기유도관(245)으로 물이 유입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아울러, 상기 제1급수파이프(200a)로 물이 공급되는 동안에도 상기 환풍장치(250)는 계속하여 작동할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에도 상기 환풍기의 흡입력이 상기 제1급수파이프(200a)내의 물을 빨아들일 정도로 강하지는 않으므로 물이 상기 배기관(240)을 타고 올라가지는 않는다.
상기 제2실시예에서는 기존의 양변기의 형상을 변화시키지 않고도 바로 상기제1급수파이프(200a)에 상기 배기유도관(245)을 형성하여 악취를 제거하게 되므로, 구조가 간단하고 설치비용이 저렴하다. 또한, 상기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상기 통수관(210)과 상기 통수구멍(215)을 급수의 이동경로와 악취의 배기경로로 공유하므로 위생적인 면에서도 그 우수성이 탁월하다.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에 의한 양변기의 단면도이다. 여기서, 상기 양변기의 구성 중에서 설명되지 않는 부분은 상기 제1실시예의 대응부분과 동일한 구성과 기능을 가지는 것으로 한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상기 제3실시예의 특징적인 부분만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실시예와는 달리 통수관(310)의 상면에 배기구멍(330)을 형성하는 대신 상기 통수관(310)의 후방 측면에 상기 배기구멍(330)을 형성한다. 이는 특히, 가정용 양변기의 경우에는 일반 공공건물 내지는 상업용 건물의 양변기와는 달리 대부분 양변기의 상면 일측에 접촉하여 수조(300)를 형성하므로 통수관의 상면에 직접 상기 배기구멍(330)을 형성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기 때문이다. 상기 배기구멍(330)내에는 금속, 플라스틱 및 고무 등의 재질로부터 선택된 재질로 이루어진 체결수단(335)이 결합되며, 상기 체결수단(335)의 일단에는 휠수 있는 유연한 재질, 예를들어 고무나 플라스틱 등의 재질로 된 제1배기관(340a)이 연결되고, 상기 제1배기관은 일단이 환기장치(350)와 연결되어 있는 제2배기관(340b)과 연결된다. 상기의 제1배기관(340a)을 휘기쉬운 재질로 형성하는 이유는, 사용자가 용무를 마치고 난 후 급수조절스위치(303)를 당기거나 눌러서 물이 상기 수조(300)로 부터 상기 통수관(310)에 공급되면 상기 통수관(310)의 측면에 형성된 상기 배기구멍(330)으로도 물이 유입될 수도 있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제1배기관(340a)이 수평면과 일정 정도의 각을 유지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와 같은 점을 제외하고는 물이 양변기에 공급되고 악취가 제거되는 구조와 원리는 이전의 실시예들에 있어서와 동일하다. 즉, 사용자가 용무를 보는 중에는 볼사이펀(320)에 수용된 대소변에 의한 악취가 통수구멍(315), 상기 통수관(310), 상기 제1배기관(340a) 및 상기 제2배기관(340b)을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배출되며, 이후 사용자가 용무를 마친 후 상기 급수조절스위치(303)를 당기거나 누르면 급수구멍(305)을 막고 있던 급수밸브(307)가 열리게 되어 물이 상기 수조(300)로 부터 상기 통수관(310)으로 공급된다. 이어서, 상기 통수관(310)으로 공급된 물은 상기 통수구멍(315)을 통과하여 최종적으로 상기 볼사이펀(320)에 공급되어 볼사이펀(320)에 수용된 대소변을 씻어내리게 된다.
이상으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기준으로 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기술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의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의 기술적 범위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고 할 것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상기 제1실시예에 의한 양변기가 외부의 환기장치와 연결되는 일 예를 보인 사용 상태도이다.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통수관(410)의 상면에 형성된 배기구멍(430)에 배기관(440)을 연결하여 형성하며, 상기 배기관(440)은 바람직하게는 화장실의 벽면(490)속에 설치시공된다. 아울러, 여기에서는 환기장치로서 환풍기(450)가 선택되었으며 상기 환풍기(450)는 도면에서와 같이 화장실의 측벽에 형성할 수 있으나 화장실의 천정에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한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환풍기(450)는 사용자가 양변기를 사용하지 않는 동안에는 화장실내의 환기 등을 위하여 작동하고 사용자가 용무를 보는 중에는 사용자의 대소변에 의한 악취를 양변기에서 직접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용도로 공유된다. 그러나, 이와는 달리, 화장실내의 환기 등을 위한 환풍기 외에 사용자의 대소변에 의한 악취를 제거하기 위한 별도의 환풍기가 제공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악취제거용 양변기에 의하면 사용자의 대소변에 의한 악취가 상기 통수관의 원주방향을 따라 상기 통수관의 저면에 형성된 다수개의 통수구멍을 통하여 일시에 상기 볼사이펀의 모든 방향에서 빠져나가게 되므로 악취가 짧은 시간에 매우 효과적으로 제거될 수 있다.
또한 기존의 양변기의 구조를 크게 변화시키지 않으면서 사용자의 대소변에 의한 악취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양변기의 설계 및 제작이 용이하고 악취제거용 배기장치를 양변기에 설치하는 작업이 간단하며 또한 경제적이다.
아울러, 냄새가 유동하는 통로와 물이 공급되는 통로를 서로 공유하게 되어 악취에 의한 잔류물들이 양변기내에 남지 않게 되어 위생적인 면에서도 탁월한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사용자의 대소변을 수용하는 볼사이펀;
    내부에 빈 공간을 가지고, 그 상면에는 급수구멍을 가짐과 동시에 그 저면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다수개의 통수구멍을 가지며, 상기 볼사이펀의 원주방향을 따라 상기 볼사이펀의 상면에 형성되어 상기 급수구멍을 통하여 외부의 급수파이프와 연결되는 통수관;
    상기 통수관을 외부의 배기관을 통하여 외부의 환기장치에 연결함으로써 대소변의 악취가 상기 통수구멍과 통수관을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제거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통수관의 일면에 형성되는 배기구멍;
    상기 대소변을 상기 볼사이펀으로부터 외부의 배수파이프로 유도하기 위하여 상기 볼사이펀에 연결되는 배수관; 및
    상기 볼사이펀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볼사이펀을 지지하기 위한 받침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제거용 양변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구멍은 상기 통수관의 상면과 측면중에서 선택된 일면에 형성되며, 상기 외부의 환기장치에 연결된 배기관과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제거용 양변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의 환기장치는 환풍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제거용 양변기.
  4. 사용자의 대소변을 수용하는 볼사이펀;
    내부에 빈 공간을 가지고, 그 상면에는 급수구멍을 가짐과 동시에 그 저면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다수개의 통수구멍을 가지며, 상기 볼사이펀의 원주방향을 따라 상기 볼사이펀의 상면에 형성되는 통수관;
    상기 통수관에 물을 공급하기 위하여 상기 급수구멍을 통하여 상기 통수관과 결합되는 급수파이프;
    대소변의 악취를 상기 통수구멍과 통수관을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제거하기 위하여 상기 급수파이프의 일측면에서 분기하여 형성되는 배기유도관;
    일단이 상기 배기유도관과 연결되고, 타단이 외부의 환기장치에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배기관;
    상기 대소변을 상기 볼사이펀으로부터 외부의 배수파이프로 유도하기 위하여 상기 볼사이펀에 연결되는 배수관; 및
    상기 볼사이펀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볼사이펀을 지지하기 위한 받침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제거용 양변기 시스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의 환기장치는 환풍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제거용 양변기 시스템.
KR20-2003-0033529U 2003-10-27 2003-10-27 악취 제거용 양변기 KR20033835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3529U KR200338353Y1 (ko) 2003-10-27 2003-10-27 악취 제거용 양변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3529U KR200338353Y1 (ko) 2003-10-27 2003-10-27 악취 제거용 양변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4958 Division 2003-10-2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8353Y1 true KR200338353Y1 (ko) 2004-01-13

Family

ID=493421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3529U KR200338353Y1 (ko) 2003-10-27 2003-10-27 악취 제거용 양변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835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1794B1 (ko) 2007-06-08 2008-06-30 김진권 냄새 없는 양변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1794B1 (ko) 2007-06-08 2008-06-30 김진권 냄새 없는 양변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60952B2 (en) Odor removal system and overflow safety system for toilets
JP3009466B2 (ja) 壁と一体化された便器を有する水洗便所ユニット
JP2010285863A (ja) 換気式トイレ
KR101492182B1 (ko) 소변기가 장착된 절수양변기
JP2009526149A (ja) 衛生陶器の成形の間に直接得られるサイフォン・システム
WO2009042122A2 (en) Height adjusting water saving urinal
WO2021190575A1 (zh) 马桶动态冲水法及动态冲水式防臭防溅水无水箱马桶
KR200338353Y1 (ko) 악취 제거용 양변기
CN111779101A (zh) 一种自带水箱虹吸式壁挂坐便器
KR200367234Y1 (ko) 냄새제거 기능을 구비한 좌변기
JPH10219800A (ja) 回転軸に排水路を有する回転型小便器格納ユニット
CN201106201Y (zh) 空气节水式除臭坐便器
CA2347273C (en) System for directly venting odour air from toilet bowl
CN212294940U (zh) 一种自带水箱虹吸式壁挂坐便器
JPH05202547A (ja) 手洗い一体型便器
KR200361194Y1 (ko) 변기의 포세정장치
KR20020076031A (ko) 좌변기의 급배수 장치
JP2021067062A (ja) 防臭弁ユニット
KR101485132B1 (ko) 양변기 악취 배출장치
KR200247240Y1 (ko) 절수형 양변기
KR200373279Y1 (ko) 정화조 오수 파이프를 통한 배기 탈취 장치를 구비한좌변기
KR20050050967A (ko) 대,소변용 세척수의 분리 배수형 양변기
KR100223419B1 (ko) 생활폐수를 이용한 수세식변기
KR200287006Y1 (ko) 배기장치가 부착된 좌변기
JPH08302764A (ja) 水利用設備の圧送排水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