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4576Y1 - 가변 송풍관을 갖춘 헤어드라이어 - Google Patents

가변 송풍관을 갖춘 헤어드라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4576Y1
KR200424576Y1 KR2020060015825U KR20060015825U KR200424576Y1 KR 200424576 Y1 KR200424576 Y1 KR 200424576Y1 KR 2020060015825 U KR2020060015825 U KR 2020060015825U KR 20060015825 U KR20060015825 U KR 20060015825U KR 200424576 Y1 KR200424576 Y1 KR 20042457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variable
blower
hair dryer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582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형영
Original Assignee
이형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형영 filed Critical 이형영
Priority to KR202006001582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457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457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457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0/00Hair drying devices; Accessories therefor
    • A45D20/04Hot-air producers
    • A45D20/08Hot-air producers heated electrically
    • A45D20/10Hand-held drying devices, e.g. air douches
    • A45D20/12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e.g. nozzles, stands
    • A45D20/122Diffusers, e.g. for variable air flow

Landscapes

  • Cleaning And Drying Hai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가변 송풍관을 갖춘 헤어드라이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송풍팬과 히터가 내장된 본체의 후방 및 전방에 각각 공기 흡입구 및 열풍 토출구를 구비한 헤어드라이어에 있어서, 사용자의 취향 또는 용도에 따라 열풍을 확산 또는 집중 토출할 수 있게 하고 헤어드라이어 전체 용적을 감소시켜서 운송 및 보관이 용이하도록 할 목적으로, 상기 본체와 토출구 사이에 송풍관을 개재시키되, 상기 송풍관은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복수개의 관이 중첩되어 제한적인 범위 내에서 길이 방향으로 신축 가능하게 하는 한편 송풍관이 원통형으로 된 경우라도 회전이 되지 않게 한 가변 송풍관을 갖춘 헤어드라이어가 개시된다.

Description

가변 송풍관을 갖춘 헤어드라이어{HAIR-DRYER WITH VARIABLE BLAST PIPE}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헤어드라이어의 일 사용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 사용상태의 헤어드라이어 측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헤어드라이어의 다른 사용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도 3 사용상태의 헤어드라이어 측단면도.
도 5는 도 4의 A-A선 절개 단면도.
도 6은 도 4의 B-B선 절개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헤어드라이어 2 : 본체
3 : 흡입구 4 : 토출구
6 : 송풍팬 7 : 히터
8 : 송풍관
10 : 고정관 11, 21 : 가이드홈
12, 22 : 가이드단부 20 : 가변관
23, 33 : 돌출리브 30 : 토출관
31 : 가이드면 32 : 걸림턱
본 고안은 송풍팬과 히터가 내장된 본체의 후방 및 전방에 각각 공기 흡입구 및 열풍 토출구를 구비한 헤어드라이어에 있어서, 본체와 토출구 사이에 송풍관을 개재시키되, 송풍관은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복수개의 관이 중첩되어 제한적인 범위 내에서 길이 방향으로 신축 가능하게 하는 한편 송풍관이 원통형이라도 회전되지 않게 하는 가변 송풍관을 갖춘 헤어드라이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헤어드라이어는 본체 후단 또는 후방 측면에 공기가 드나들 수 있도록 하는 흡입구를 구비하고 전방에는 열풍을 분출하는 토출구를 구비하고 있으며, 본체 내부에는 흡입구에서 토출구까지 공기를 송풍하기 위한 송풍팬과 공기를 가열시키기 위한 히터가 내장된 구조를 가지며, 본체 하단에 헤어드라이어를 잡을 수 있는 핸들이 수직한 방향으로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의 헤어드라이어는 송풍팬의 송풍용량에 따라 대형 헤어드라이어와 소형헤어드라이어로 구분될 수 있으며, 제한적이진 않지만 미용실 등의 업소에서는 주로 대형 헤어드라이어를 사용하고, 가정에서는 소형 헤어드라이어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미용실이나 대중목욕탕 또는 사우나의 탈의실에서 흔히 접할 수 있는 대형 헤어드라이어 경우 공기 흡입구로부터 토출구까지의 송풍관 길이가 길게 형성되어 있는데, 송풍관이 긴 경우 바람이 송풍관을 따라서 일정거리를 지나가는 동안에 방향성이 생성되므로 토출구에서 분출되는 열풍이 송풍관의 길이 방향으로 집중 분사 되는 반면, 송풍관의 길이가 짧은 경우에는 바람의 방향성을 제공하지 못하므로 토출구에서 분출되는 열풍이 확산되는 바, 이에 머리카락을 부분적으로 강하게 토출시켜야 하거나 신속하게 건조시켜야만 하는 업소에서는 주로 송풍관의 길이가 긴 대용량의 헤어드라이어를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대형 헤어드라이어는 송풍관의 길이가 가변되지 않는 구조를 취하고 있어서 풍향이나 풍력을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조절하는 것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즉, 대중목욕탕 등에 설치된 헤어드라이어는 대개 자신의 머리카락을 건조시키게 되는데, 이 경우 소형 헤어드라이어의 사용에 익숙한 사용자는 송풍관의 길이가 긴 헤어드라이어를 사용할 수밖에 없어서 불편하므로 사용을 꺼리게 된다.
더욱이, 대형 헤어드라이어의 경우 성능상의 장점에도 불구하고 길이에 따른 전체 용적이 크기 때문에 판매 및 보관을 위한 제품 포장시 많은 포장비용을 지불해야 할 뿐만 아니라, 운반시에도 동일 화물 공간에 대해서 소형 헤어드라이어에 비해 많은 양을 적재할 수 없음은 물론 보관시 또는 여행시 헤어드라이어를 휴대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큰 용적 때문에 불편한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고안은 사용자의 취향이나 습관 또는 용도에 따라 선택적으로 열풍을 확산시키거나 한 방향으로 집중 토출할 수 있게 할 수 있음은 물론, 헤어드라이어 전체 용적을 감소시켜서 운송이나 보관이 용이하게 하고 휴대하기가 용이하게 하는 가변 송풍관을 갖춘 헤 어드라이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비교적 간이한 송풍관의 결합 구조에 의해 가변 신축길이를 제한할 수 있으면서도 동시에 송풍관이 원통형이라도 상호 회전되지 않게 하는 안정적인 구조의 가변 송풍관을 갖춘 헤어드라이어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송풍팬과 히터가 내장된 본체의 후방 및 전방에 각각 공기 흡입구 및 열풍 토출구를 구비한 헤어드라이어에 있어서, 상기 본체와 토출구 사이에 송풍관을 개재시키되, 상기 송풍관은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복수개의 관이 중첩되어 제한적인 범위 내에서 길이 방향으로 신축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대적으로 큰 송풍관 부분의 내면에는 가이드홈을 구비하고, 상대적으로 작은 송풍관의 외면에는 상기 가이드홈 내에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하는 돌출리브를 형성시켜서 각 송풍관이 회전되지 않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헤어드라이어의 일 사용상태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 사용상태의 헤어드라이어 측단면도로서, 헤어드라이어의 송풍관의 길이가 축소된 상태를 보인 것이다.
또한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헤어드라이어의 다른 사용상태를 보인 사시도이 고 도 4는 도 3 사용상태의 헤어드라이어 측단면도로서, 헤어드라이어의 송풍관의 길이가 최대로 연장된 상태를 보인 것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헤어드라이어(1)는 본체(2) 후방에 공기가 드나들 수 있도록 하는 흡입구(3)를 구비하고 전방에는 열풍을 분출하는 토출구(4)를 구비하고 있으며, 본체(2) 내부에는 흡입구(3)에서 토출구(4)까지 공기를 송풍하기 위한 송풍팬(6)과 공기를 가열시키기 위한 히터(7)가 내장되어 있다.
또한 본체(2) 하단에는 헤어드라이어(1)를 잡을 수 있는 핸들(5)이 수직한 방향으로 구비되어 있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헤어드라이어(1)는 몸체(2)와 토출구(4) 사이에 히터(7)로부터 가열된 공기를 유도하기 위한 송풍관(8)이 개재되는데, 본 고안의 특징은 상기 송풍관(8)이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복수개의 관이 중첩되어 제한적인 범위 내에서 길이 방향으로 신축 가능하게 하며, 아울러 송풍관(8)을 구성하는 각 관들이 원통형으로 된 경우라도 상호 회전되지 않는 구조를 갖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송풍관(8)은 본체(2)에 결합된 고정관(10)과, 상기 고정관(10)에 대해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게 된 가변관(20)과, 상기 가변관(20)에 대해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게 된 토출관(30)으로 구성되며, 상기 가변관(20)은 생략되어 토출관(30)이 고정관(10)에 대해 슬라이드 이동되게 하거나 또는 가변관(20)을 다수개 구성하여 송풍관이 다단식으로 신축이 가능하게 할 수 있는 바, 본 고안의 송풍관(8)은 도시된 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관(10)의 후단은 본체(2)의 전단에 결합된 연결부(13)를 구성하고 있으며, 연결부(13)의 결합 방법은 나사에 의한 방식 또는 요철에 의한 방식 등 통상의 기구적 결합 수단을 택하면 무방하고, 고정관(10)이 후술하는 특징적 요소들을 갖춘 경우라면 본체(2)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5는 도 4의 A-A선 절개 단면도로서, 고정관(10)과 가변관(20)의 결합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고정관(10)의 내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도 5에서 열십자 방향)의 가이드홈(11)이 구비되어 있으며, 가이드홈(11)은 길이방향에 대해 일측 단이 개방되고 타측 단은 폐쇄된 가이드단부(12)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가변관(20)의 외면에는 고정관(10)의 가이드홈(11)에 대응하여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도 5에서 열십자 방향)의 돌출리브(RIB)(23)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돌출리브(23)는 가이드홈(11) 내에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서, 가변관(20)은 고정관(10) 내에서 회전하지 않게 되고 또한 가이드홈(11)의 길이 만큼 이동이 가능하게 되며, 상기 가이드홈(11) 및 돌출리브(23)는 도 5에서와 같이 열십자 방향으로 4개를 형성시킬 수 있으며, 어느 위치에 1개만 형성된 경우라도 가변관(20)이 고정관(10)에 대해 회전하지 않고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할 수 있는 바, 따라서 상기 가이드홈(11) 및 돌출리브(23)는 각각 고정관(10)의 내면 및 가변관(20)의 외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조건을 만족하면 된다.
도 6은 도 4의 B-B선 절개 단면도로서, 가변관(20)과 토출관(30)의 결합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가변관(20)의 내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도 6에서 열십자 방향)의 가이드홈(21)이 구비되어 있고, 가이드홈(21)은 길이방향에 대해 일측 단이 개방되고 타측 단은 폐쇄된 가이드단부(22)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가변관(20)에 결합된 토출관(30)의 외면에는 상기 가이드홈(21)에 대응하여 삽입된 적어도 하나 이상(도 5에서 열십자 방향)의 돌출리브(RIB)(33)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돌출리브(33)는 가이드홈(21) 내에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서, 토출관(30)은 가변관(20) 내에서 회전하지 않게 됨과 동시에 가변관(20) 가이드홈(21)의 길이 만큼 이동이 가능하게 되며, 상기 가이드홈(21) 및 돌출리브(33)는 도 5 및 도 6에서와 같이 열십자 방향으로 4개를 형성시킬 수 있으며, 어느 위치에 1개만 형성된 경우라도 토출관(30)이 가변관(20)에 대해 회전하지 않고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할 수 있는 바, 따라서 상기 가변관(20)의 가이드홈(21) 및 토출관(30)의 돌출리브(33)는 각각 가변관(20)의 내면 및 토출관(30)의 외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조건을 만족하면 된다.
한편, 상기 토출관(30)의 토출구(4) 측 외면에는 걸림턱(32)이 형성되어 있어서 가변관(20)이 토출관(30) 외면에 형성된 가이드면(31)을 따라 이동 가능한 구조를 갖는다.
이와 같은 구성의 헤어드라이어(1)의 송풍관(8) 가변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 과 같다.
먼저 도 1 및 도 2의 상태에서 토출관(30)을 잡고 앞으로 당기면, 토출관(30)이 가변관(20) 내에서 슬라이드 이동하여 도 3 및 도 4와 같은 상태로 이동하며, 이때 토출관(30)의 돌출리브(33)가 가변관(20)의 가이드단부(22)에 이르러 슬라이드 이동에 제한을 받고 멈추어서 토출관(30)이 가변관(2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차단하게 되고, 아울러 가변관(20)이 고정관(10) 내에서 슬라이드 이동하여 도 3 및 도 4와 같은 상태로 이동하며, 이때 가변관(20)의 돌출리브(23)가 토출관(10)의 가이드단부(12)에 이르러 슬라이드 이동에 제한을 받고 멈추어서 가변관(20)이 토출관(1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반대로, 헤어드라이어(1)의 용적을 축소시키기 위해서 토출관(30)을 밀어 넣으면 토출관(30)은 가변관(20) 내부로, 또한 가변관(20)은 고정관(10) 내부로 슬라이드 삽입되어 도 1 및 도 2와 같은 상태로 복귀된다.
이때, 도 2와 같이 가변관(20)의 돌출리브(23)는 본체(2)의 연결부(13) 측 단부에 접촉되어 가변관(20)의 슬라이드 이동에 제한을 받게 되고, 토출관(30)의 걸림턱(32)은 가이드관(20)의 토출구(4) 측 단부에 접촉되어 토출관(30)의 슬라이드 이동에 제한을 받게 되어 가변관(20) 및 토출관(30)이 본체(2) 내부로 삽입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비록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가변관(20)을 생략하여 토출관(30)이 직접 고정관(10)에 대해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즉, 도 4를 참조하면, 송풍관(8) 요소 중, 가변관(20)을 생략하고 토출관(30) 외경을 고정관(10)의 내경에 대응하도록 접하게 하여 슬라이드 가능하게 하는 구조를 취하면 토출관(30)이 고정관(10) 내에서 제한적인 길이 내에서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반대로, 본 고안에 의하면, 가변관(20)에 구비된 가이드홈(21) 및 돌출리브(23) 요소와 동일한 조건으로 가변관(20)을 2개 이상 중첩시켜서 송풍관(8)이 여러 단으로 신축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변형 실시 예는 하기 본 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권리범위 내에 있는 것임을 이해해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가변 송풍관을 갖춘 헤어드라이어에 의하면, 토출구를 통해 토출되는 열풍 방향을 사용용도 또는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적의 선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체 용적이 감소되므로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하고 편리성이 증대됨은 물론, 포장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게다가 고정관, 가변관 및 토출관이 가이드홈 및 돌출리브와 같은 간단한 결합 구조에 의해서 가변 이동거리가 제한됨은 물론, 동시에 원통형일 경우라도 회전이 방지되어 제조 및 조립이 용이하고 안정적인 구조를 갖는 이점이 있다.

Claims (3)

  1. 송풍팬(6)과 히터(7)가 내장된 본체(2)의 후방 및 전방에 각각 공기 흡입구(3) 및 열풍 토출구(4)를 구비한 헤어드라이어(1)에 있어서,
    상기 본체(2)와 토출구(4) 사이에 송풍관(8)을 개재시키되, 상기 송풍관(8)은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복수개의 관이 중첩 결합되고 각 관이 상호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되어 길이 방향으로 신축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송풍관을 갖춘 헤어드라이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송풍관(8)은 본체에 고정된 고정관(10)과, 고정관(10)에 대해 슬라이드 이동되게 결합된 토출관(30)으로 구성되되,
    고정관(10)의 내면에 일측 단이 개방되고 타측 단이 폐쇄된 가이드단부(12)를 구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이드홈(11)이 형성되고, 토출관(30)의 외면에 상기 가이드홈(11)에 대응하여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 돌출리브(33)가 구비되어 돌출리브(23)가 가이드홈(11) 내에서 슬라이드 이동되며, 돌출관(30)의 토출구 측 외면에 걸림턱이 구성되어서, 송풍관(8)의 길이 연장시 돌출리브(33)가 가이드단부(12)에 접하고, 길이 축소시 고정관(10) 단부가 걸림턱(32)에 접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송풍관을 갖춘 헤어드라이어.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고정관(10)과 토출관(30) 사이에 하나 이상의 가변관(20)을 개재시키되,각 가변관(20)의 외면 일측 단부에 상기 고정관(10)의 가이드홈(11)에 대응 삽입되는 돌출리브(22)가 구비되고, 내면에는 상기 토출관의 돌출리브(33)가 대응 삽입되도록 일측 단이 개방되고 타측 단이 폐쇄된 가이드단부(22)를 구비한 가이드홈(21)이 구비된 형태로, 고정관(10), 하나 이상의 가변관(20) 및 토출관(30)이 다단식으로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송풍관을 갖춘 헤어드라이어.
KR2020060015825U 2006-06-13 2006-06-13 가변 송풍관을 갖춘 헤어드라이어 KR20042457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5825U KR200424576Y1 (ko) 2006-06-13 2006-06-13 가변 송풍관을 갖춘 헤어드라이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5825U KR200424576Y1 (ko) 2006-06-13 2006-06-13 가변 송풍관을 갖춘 헤어드라이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4576Y1 true KR200424576Y1 (ko) 2006-08-22

Family

ID=417731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5825U KR200424576Y1 (ko) 2006-06-13 2006-06-13 가변 송풍관을 갖춘 헤어드라이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4576Y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02121A1 (ko) * 2009-07-03 2011-01-06 주식회사 씨엠인터내셔널아이엔씨 사이클론 송풍관 헤어드라이어의 구조
KR101286731B1 (ko) 2011-11-15 2013-07-16 (주)언일전자 헤어드라이어
KR101931886B1 (ko) * 2017-08-29 2018-12-21 이다은 전신 드라이 장치
WO2019009524A1 (ko) * 2017-07-05 2019-01-10 유닉스전자 주식회사 풍속 변환 장치 및 헤어 드라이어
KR102135465B1 (ko) * 2020-04-13 2020-07-17 오희정 헤어스타일링이 용이한 원적외선이 코팅된 드라이기
KR20220039371A (ko) * 2020-09-22 2022-03-29 (주)샤플 헤어 드라이어용 부착물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02121A1 (ko) * 2009-07-03 2011-01-06 주식회사 씨엠인터내셔널아이엔씨 사이클론 송풍관 헤어드라이어의 구조
KR101059069B1 (ko) 2009-07-03 2011-08-26 민해정 사이클론 송풍관 헤어드라이어의 구조
KR101286731B1 (ko) 2011-11-15 2013-07-16 (주)언일전자 헤어드라이어
WO2019009524A1 (ko) * 2017-07-05 2019-01-10 유닉스전자 주식회사 풍속 변환 장치 및 헤어 드라이어
KR20190004889A (ko) * 2017-07-05 2019-01-15 유닉스전자주식회사 풍속 변환 장치 및 헤어 드라이어
KR101946420B1 (ko) 2017-07-05 2019-05-08 유닉스전자 주식회사 풍속 변환 장치 및 헤어 드라이어
KR101931886B1 (ko) * 2017-08-29 2018-12-21 이다은 전신 드라이 장치
KR102135465B1 (ko) * 2020-04-13 2020-07-17 오희정 헤어스타일링이 용이한 원적외선이 코팅된 드라이기
KR20220039371A (ko) * 2020-09-22 2022-03-29 (주)샤플 헤어 드라이어용 부착물
KR102464560B1 (ko) * 2020-09-22 2022-11-09 (주)샤플 헤어 드라이어용 부착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24576Y1 (ko) 가변 송풍관을 갖춘 헤어드라이어
KR200448319Y1 (ko) 분사조절식 헤어드라이어
JP6518281B2 (ja) 手持型機器の付属品
US9609941B2 (en) Hair styling tool with movable dividers
JP6511080B2 (ja) 手持型機器の付属品
JP5923062B2 (ja) ヘヤードライヤ
US20080271337A1 (en) Air Diffuser for Hair Styling
US20110296705A1 (en) Nozzle for blow dryer
FR2906980A1 (fr) Seche cheveux comportant une buse souple
US8490633B1 (en) Forced air hair curler kit
JP3200682U (ja) 布団乾燥機
CN107788666A (zh) 手持器具
US20220202156A1 (en) Hair dryer attachment
KR102554855B1 (ko) 헤어컬용 헤드 및 이를 구비하는 헤어 스타일링 장치
KR102044975B1 (ko) 듀얼토출 헤어드라이어
US9149103B2 (en) Wind-collecting nozzle mounted on outlet of hair dryer
TWI642887B (zh) Quilt dryer and blowing unit
US7469487B2 (en) Device for drying shoes, gloves or garments
US11559175B2 (en) Full body dryer
US20210219695A1 (en) Hair-dryer air diffuser
KR200481373Y1 (ko) 헤어드라이기
KR200483729Y1 (ko) 헤어드라이기
EP1933661A2 (en) Air diffuser for hair styling
KR20150017572A (ko) 헤어 컬링용 기구
AU2013101617A4 (en) Hair Styl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1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2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