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1373Y1 - 헤어드라이기 - Google Patents

헤어드라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1373Y1
KR200481373Y1 KR2020160002009U KR20160002009U KR200481373Y1 KR 200481373 Y1 KR200481373 Y1 KR 200481373Y1 KR 2020160002009 U KR2020160002009 U KR 2020160002009U KR 20160002009 U KR20160002009 U KR 20160002009U KR 200481373 Y1 KR200481373 Y1 KR 20048137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
pedestal
windbox
front leg
le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200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근형
Original Assignee
김근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근형 filed Critical 김근형
Priority to KR202016000200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137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137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137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0/00Hair drying devices; Accessories therefor
    • A45D20/04Hot-air producers
    • A45D20/08Hot-air producers heated electrically
    • A45D20/10Hand-held drying devices, e.g. air douches
    • A45D20/12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e.g. nozzles, stand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45D44/02Furniture or othe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hairdressers' rooms and not covered elsewhe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01Drying-air generating units, e.g. movable, independent of drying enclosure
    • F26B21/002Drying-air generating units, e.g. movable, independent of drying enclosure heating the drying air indirectly, i.e. using a heat exchange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0/00Hair drying devices; Accessories therefor
    • A45D20/04Hot-air producers
    • A45D20/08Hot-air producers heated electrically
    • A45D20/10Hand-held drying devices, e.g. air douches
    • A45D20/12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e.g. nozzles, stands
    • A45D2020/126Stand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leaning And Drying Hai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지면에 세워 고정시킴으로써 양손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게 하는 받침대를 가지는 헤어드라이기에 관한 것이다. 그의 구성은; 바람이 통과되는 길을 제공하며 통과되는 바람이 가열되도록 전열선을 내장하는 송풍통; 상기 송풍통의 일측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외부의 공기를 빨아들여 상기 송풍통으로 공기를 분출시키는 송풍팬; 상기 송풍통의 일측에 연결되는 것으로서 스위치가 설치되는 손잡이; 상기 송풍통으로부터 바람이 전방을 향해 분출될 수 있도록 상기 송풍통이 지면에서 들린 상태로 지지하기 위하여 일단이 상기 송풍통에 연결되고 타단이 지면에 지지되는 받침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헤어드라이기{Hair Dryer}
본 고안은 헤어드라이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지면에 세워 고정시킴으로써 양손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게 하는 받침대를 가지는 헤어드라이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머리를 감은 다음 짧은 시간 안에 말리기 위한 수단으로서 헤어드라이기가 널리 사용된다. 헤어드라이기는 손으로 잡고 이리저리 움직이면서 사용할 수 있도록 손잡이를 구비하고 있다. 전원을 온오프하거나 모드를 전환시키기 위한 스위치는 손잡이에 설치되는 것이 보통이다.
헤어드라이기가 시중에 제공된 지 오래되었긴 하였지만, 그의 기본적인 구조나 사용방법에 대하여는 이렇다할 개선이나 변화가 실제로 적용되고 있지는 못하다. 용도나 사용방법이 극히 제한적이기 때문일 것이다.
그러나, 헤어드라이기를 사용함에 있어서, 항상 한 손은 헤어드라이기 손잡이를 잡고 있어야 한다. 따라서, 머리를 만지는 것은 나머지 한손만을 이용하여야 한다. 수건을 감싸고 문지르거나 빗을 이용하여 빗거나 머리를 단정하게 다듬기 위하여 항상 한손을 이용하여야 한다. 머리가 짧은 경우에는 문제가 크지 않지만 길 경우에는 한손만으로 이를 처리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간혹 헤어드라이기는 머리를 말리는데만이 아니라 다른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서도 사용된다. 이 경우에는 그 작업이 무엇이든 불문하고 한손으로 헤어드라이기를 잡고 그 작업을 수행하는 것은 쉽지 않다.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2005-0003203호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13-0150123호
위와 같은 문제에 대한 본 고안의 목적은, 헤어드라이기를 사용할 때 헤어드라이기를 손으로 잡고 있지 않아도 되게 함으로써 양손을 이용하여 머리를 말리거나 다듬거나 기타 다른 소소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받침대가 구비된 헤어드라이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헤어드라이기 자체에 내장됨으로써 독립된 부품을 필요로 하지 않아 사용이 편리한 받침대가 구비된 헤어드라이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고안에 따른 헤어드라이기는, 바람이 통과되는 길을 제공하며 통과되는 바람이 가열되도록 전열선을 내장하는 송풍통; 상기 송풍통의 일측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외부의 공기를 빨아들여 상기 송풍통으로 공기를 분출시키는 송풍팬; 상기 송풍통의 일측에 연결되는 것으로서 스위치가 설치되는 손잡이; 상기 송풍통으로부터 바람이 전방을 향해 분출될 수 있도록 상기 송풍통이 지면에서 들린 상태로 지지하기 위하여 일단이 상기 송풍통에 연결되고 타단이 지면에 지지되는 받침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드라이기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받침대는 기다란 봉형상의 전방다리로 되어 있으며; 상기 전방다리는 일단이 상기 송풍통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송풍통의 측면에는 상기 전방다리가 안착될 수 있는 다리안착홈이 마련되며; 상기 전방다리는 상기 송풍통의 양측면에 좌우 대칭되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받침대는, 상기 송풍통의 일측에 탈착공을 구비하고, 상기 탈착공에 전방다리를 구성하는 고정파이프의 선단부를 탈착가능하게 끼움 결합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받침대는, 집게 형태의 집게식 고정부로 이루어지되, 고정파이프와 고정바가 중심점을 기준으로 'X'자 형태로 연결되고, 고정파이프 및 인출파이프 측을 내측으로 조임 조작하면 고정바가 벌어지고, 고정파이프 및 인출파이프 측을 외측으로 펼침 조작하면 고정바가 내측으로 조여져 송풍통과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전방다리는 텔레스코프식 안테나 구성을 가짐으로써 길이 조절이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로부터 후방다리가 하방향을 향해 선택적으로 인출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위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헤어드라이기를 평평한 곳에 세워놓을 수 있게 됨으로써, 헤어드라이기를 사용할 때도 양손을 이용하여 머리를 말리거나 다듬거나 기타 다른 소소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헤어드라이기를 지지하기 위한 받침대가 헤어드라이기 자체에 내장됨으로써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받침대를 사용할 수 있어 기능이 추가되었다고 하여 거추장스러워지지 않는 받침대가 구비된 헤어드라이기가 제공된다.
또한, 애완동물이나 아기 목욕 후 뉘인 상태에서 털 또는 몸을 말리면서 두 손을 사용하기에도 적합한 이점이 있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헤어드라이기 받침대의 사용상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헤어드라이기의 송풍통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헤어드라이기의 송풍통의 단면도로서 전방다리의 설치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헤어드라이기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헤어드라이기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제4실시예에 따른 헤어드라이기의 사시도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장치"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및/또는"의 용어는 하나 이상의 관련 항목으로부터 제시 가능한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항목, 제2 항목 및/또는 제3 항목"의 의미는 제1, 제2 또는 제3 항목뿐만 아니라 제1, 제2 또는 제3 항목들 중 2개 이상으로부터 제시될 수 있는 모든 항목의 조합을 의미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은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이하,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실시예)
먼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제1실시예를 설명한다.
송풍통(10)은 바람이 통과되는 길을 제공하며 통과되는 바람이 전열선에 의해 가열되도록 한다. 따라서 송풍통(10) 내부에는 전열선이 고정 설치되어 있다. 바람의 속도를 높이기 위한 노즐커버(11)가 송풍통(10)의 선단에 끼워진다.
송풍통(10)의 후단에는 외부의 공기를 빨아들여 송풍통(10)으로 공기를 분출시키는 송풍팬이 설치된다. 송풍팬은 송풍팬하우징(12) 내부에 설치되며, 송풍팬하우징(12)은 송풍통(1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송풍팬하우징(12)의 측부에는 다수의 작은 공기 유입공(13)이 마련될 수 있다. 스위치(16)가 설치되는 손잡이(14)가 송풍통(10)의 일측 또는 송풍팬하우징(12)의 하부에 연결된다. 스위치(16)는 전원스위치와 풍량조절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손잡이(14)는 접이식으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전선(15)이 연결될 수 있다. 헤어드라이기는 위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마치 권총과 유사한 형태가 되는데, 이는 공지의 형태이다.
본 고안에 의하면, 송풍통(10)으로부터 바람이 전방을 향해 분출될 수 있도록 송풍통(10)이 지면에서 들린 상태로 지지하기 위한 받침대가 구비된다. 받침대는 일단이 헤어드라이기 본체에 연결되고 타단이 지면에 지지되는 구성을 가진다. 지면이라 함은 선반, 책상, 세면대의 싱크대 등 사용자의 주변에 있는 구조물의 상면이 될 것이다.
송풍통(10)은 지면에 평행을 이루어나 평행과 유사한 각도를 유지하도록 받침대에 의해 지지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하면, 받침대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설치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받침대는 기다란 봉형상의 전방다리(20)를 포함할 수 있다. 전방다리(20)는 한쌍으로 구성되며 송풍통(10)에 설치되어 송풍통(10)을 지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전방다리(20)는 일단이 송풍통(10)에 화살표(K) 방향을 따라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송풍통(10)의 양측면에는 전방다리(20)가 안착될 수 있는 다리안착홈(21)이 송풍통(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마련된다. 전방다리(20)는 송풍통(10)의 양측면에 좌우 대칭되게 마련되며 서로 독립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다리안착홈(21)의 깊이는 전방다리의 1/3가량이 안착될 수 있는 정도로 마련되는 것이 손으로 잡고 인출하기에 편리하다.
그리고, 손잡이(14)로부터도 후방다리(30)가 하방향을 향해 선택적으로 인출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후방다리(30)는 손잡이(14)의 길이방향(M)을 따라 인출되면 되기 때문에 버튼식 볼펜과 같은 방식으로 선택적으로 손잡이(14) 하단으로부터 돌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미도시된 버튼을 누르면 스프링(미도시됨)의 탄성에 의해 탄성적으로 돌출되고, 후방다리(30)를 누르면 손잡이 안으로 들어가 고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전방다리(20)와 후방다리(30)에 의하면,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어드라이기 본체가 지면에서 어느 정도 들린 상태로 고정될 수가 있게 된다.
전방다리(20)와 후방다리(30)의 끝에는 고무패드(24,33)가 끼워져 고정되거나 또는 코팅될 수 있다. 이는 미끄럼을 방지하고 진동을 흡수하기 위한 것이다. 전방다리(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옷(∧)자 형태로 아래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게 설치되어 안정적으로 송풍통(10)을 지지하도록 하고 있다.
본 고안에 의하면, 전방다리(20)는 텔레스코프식 안테나의 구성을 가짐으로써 길이방향(L)을 따라 길이의 조절이 가능하게 되어 있을 수 있다. 즉, 전방다리(20)는 고정파이프(22)와 하나 이상의 인출파이프(23)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도 2에 화살표(N) 방향을 따라 송풍통(10)의 송풍방향을 상하로 조정할 수가 있게 된다.
경우에 따라서는, 카메라의 삼각대 또는 셀카봉에서와 같이 길이를 조절한 다음 그 상태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공지의 길이조절 방식이 이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전방다리의 인출파이프(23)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살표(Q) 방향으로 돌리면서 고정 또는 이완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4 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다리(20)는 송풍통(10)으로부터 펼쳐지는 각도를 조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전방다리(20)가 연결되는 송풍통의 측벽에는 원형의 다리안착대(50)가 고정 설치되어 있다. 다리안착대(50)의 상면(52)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톱니 형태의 다리안착홈(51)이 방상형태로 마련되어 있고, 전방다리가 끼워지는 구멍(55)이 마련되어 있다. 전방다리(20)는 다리안착홈(51)중 어느 하나에 안착될 수 있으며 어느 정도 이상의 힘을 가하지 않는 이상 그 다리안착홈(51)에 안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될 것이다.
그리고, 도 5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전방다리의 고정파이프(22)는 끝이 절곡되어 있으며 단부에는 플랜지 또는 볼트헤드와 같은 형태로 저지대(25)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코일스프링(26)은 일단이 이 저지대(25)에 지지되고 타단이 송풍통(10)의 내측벽에 지지된다. 따라서 전방다리(20)는 다리안착대의 상면(32)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며, 전방다리(20)를 화살표(P) 방향을 당김으로써 펼침각도를 조정할 수 있게 된다. 후방다리 역시 고정파이프(31)와 하나 이상의 인출파이프(32)로 구성하여 인출식으로 할 수도 있다.
(제2실시예)
도 6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의한 것으로서 받침대의 다른 형태를 도시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받침대는 하나의 선재를 "
Figure 112016035550009-utm00001
"의 형태로 절곡하여 형성된 전방다리(20')로서 양 단부가 송풍통(10)의 양 측벽에 끼워져 결합된 구성을 가진다. 이에 의하면, 전방다리(20')는 일점쇄선으로 도시된 것처럼 화살표(R) 방향을 따라 회전하면서 위로 들려지거나 실선으로 도시된 것처럼 아래로 내려져 지면에 지지될 수 있게 된다. 전방다리(20') 위로 들려졌을 때 송풍통(10)에 고정시키기 위한 홀더(27)가 송풍통(10)의 상부에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후방다리(30')는 손잡이의 하단부가 대체할 수 있다. 전선은 이를 위하여 손잡이(14) 측후방에 연결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손잡이 하단부는 미끄럼 방지를 위하여 우레탄이나 고무가 덧씌워질 수 있다. 본 실시예는 받침대가 외부로 완전히 노출되고 있지만 사용상 받침대를 한번에 펼치거나 접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제3실시예)
도 7은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헤어드라이기의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노즐커버(11)가 끼워지는 송풍통(10)의 선단부측에 탈착공(28)을 구비하고, 그 탈착공(28)에 전방다리(20)를 구성하는 고정파이프(22)의 선단부(22a)를 끼움 결합할 수 있다. 이러한 고정파이프(22)의 선단부(22a)는, 탈착공(28)에 고정하는 방식이 아니라, 필요에 따라 결합 및 결합해제가 가능하도록, 즉, 탈착이 가능하도록 체결함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바닥면에 헤어드라이기를 세워놓을 경우, 송풍통(10)의 선단부측에 마련된 탈착공(28)에 고정파이프(22)의 선단부(22a)를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헤어드라이기를 세워놓을 필요가 없을 경우, 고정파이프(22)의 선단부(22a)를 탈착공(28)으로부터 이탈시켜 결합을 해제함으로써 헤어드라이기만을 사용할 수 있게 하는 등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사용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제4실시예)
도 8은 본 고안의 제4실시예에 따른 헤어드라이기의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송풍통(10)의 원하는 위치에 전방다리(20)를 결합하여 헤어드라이기를 거치할 수 있도록 집게 형태의 집게식 고정부(29)를 구비한 것에 특징이 있다.
이러한 집게식 고정부(29)는 중심점(C)을 기준으로 하여 고정파이프(22) 및 인출파이프(23)을 펼침 또는 조임 조작함으로써, 고정바(29a)를 통해 송풍통(10)을 고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 때, 집게식 고정부(29)는 고정파이프(22)와 고정바(29a)가 중심점(C)을 기준으로 대략 'X'자 형태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고정파이프(22) 및 인출파이프(23)측을 내측으로 조임 조작하면 고정바(29a)가 벌어지고, 고정파이프(22) 및 인출파이프(23)측을 외측으로 펼침 조작하면 고정바(29a)가 내측으로 조여지게 되어 송풍통(10)을 고정할 수 있게 되는 등 다양한 구조로 마련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의해,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바닥면에 헤어드라이기를 세워놓을 경우, 송풍통(10)의 원하는 위치에 집게식 고정부(29)를 고정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헤어드라이기를 세워놓을 필요가 없을 경우, 송풍통(10)으로부터 집게식 고정부(29)를 이탈시켜 결합을 해제함으로써 헤어드라이기만을 사용할 수 있게 하는 등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사용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것들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의거한 몇가지 예시에 불과하다. 당업자는 청구범위를 통해 표현되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넘지 않는 선에서 예시된 바를 활용하여 다양한 변형실시를 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위에 설명된 모든 실시예들은 당업자에 의해 자유롭게 조합되어 실시될 수 있으며 어떠한 조합이든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고 해석되어야 한다.
10 : 송풍통 12 : 송풍팬하우징
14 : 손잡이 16 : 스위치
20,20' : 전방다리 20' : 절곡선재
22 : 고정파이프 22a : 고정파이프 선단부
23 : 인출파이프 24,33 : 고무패드
27 : 홀더 28 : 탈착공
29 : 집게식 고정부 29a : 고정바
30,30' : 후방다리 50 : 다리안착대
51 : 다리안착홈

Claims (6)

  1. 바람이 통과되는 길을 제공하며 통과되는 바람이 전열선에 의해 가열되도록 하는 송풍통;
    상기 송풍통의 일측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외부의 공기를 빨아들여 상기 송풍통으로 공기를 분출시키는 송풍팬;
    상기 송풍통의 일측에 연결되는 것으로서 스위치가 설치되는 손잡이;
    상기 송풍통으로부터 바람이 전방을 향해 분출될 수 있도록 상기 송풍통이 지면에서 들린 상태로 지지하기 위하여 일단이 상기 송풍통에 연결되고 타단이 지면에 지지되는 받침대;를 포함하며,
    상기 받침대는,
    집게 형태의 집게식 고정부로 이루어지되,
    고정파이프와 고정바가 중심점을 기준으로 'X'자 형태로 연결되고, 고정파이프 및 인출파이프 측을 내측으로 조임 조작하면 고정바가 벌어지고, 고정파이프 및 인출파이프 측을 외측으로 펼침 조작하면 고정바가 내측으로 조여져 송풍통과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드라이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는 기다란 봉형상의 전방다리로 되어 있으며;
    상기 전방다리는 일단이 상기 송풍통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송풍통의 측면에는 상기 전방다리가 안착될 수 있는 다리안착홈이 마련되며;
    상기 전방다리는 상기 송풍통의 양측면에 좌우 대칭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드라이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는,
    상기 송풍통의 일측에 탈착공을 구비하고, 상기 탈착공에 전방다리를 구성하는 고정파이프의 선단부를 탈착가능하게 끼움 결합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드라이기.
  4. 삭제
  5.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다리는 텔레스코프식 안테나 구성을 가짐으로써 길이 조절이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드라이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로부터 후방다리가 하방향을 향해 선택적으로 인출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드라이기.


KR2020160002009U 2016-04-14 2016-04-14 헤어드라이기 KR20048137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2009U KR200481373Y1 (ko) 2016-04-14 2016-04-14 헤어드라이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2009U KR200481373Y1 (ko) 2016-04-14 2016-04-14 헤어드라이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1373Y1 true KR200481373Y1 (ko) 2016-09-21

Family

ID=570483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2009U KR200481373Y1 (ko) 2016-04-14 2016-04-14 헤어드라이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1373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80447A (zh) * 2019-01-04 2019-03-19 深圳市奋达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风筒发热架及风筒发热架的装配方法
KR20230003810A (ko) 2021-06-30 2023-01-06 김정희 핸즈프리 타입의 헤어드라이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69581B2 (ja) * 1989-11-28 1998-06-25 九州日立マクセル株式会社 ヘアードライヤ
KR200383326Y1 (ko) 2005-02-02 2005-05-03 이준환 헤어드라이기
KR20150031643A (ko) * 2013-09-16 2015-03-25 노태완 스탠드형 헤어 드라이기
KR20150065051A (ko) 2013-12-04 2015-06-12 씨에스텍 주식회사 교체형 향기 필터 헤어드라이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69581B2 (ja) * 1989-11-28 1998-06-25 九州日立マクセル株式会社 ヘアードライヤ
KR200383326Y1 (ko) 2005-02-02 2005-05-03 이준환 헤어드라이기
KR20150031643A (ko) * 2013-09-16 2015-03-25 노태완 스탠드형 헤어 드라이기
KR20150065051A (ko) 2013-12-04 2015-06-12 씨에스텍 주식회사 교체형 향기 필터 헤어드라이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80447A (zh) * 2019-01-04 2019-03-19 深圳市奋达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风筒发热架及风筒发热架的装配方法
CN109480447B (zh) * 2019-01-04 2024-04-02 深圳市奋达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风筒发热架及风筒发热架的装配方法
KR20230003810A (ko) 2021-06-30 2023-01-06 김정희 핸즈프리 타입의 헤어드라이기
KR20230109604A (ko) 2021-06-30 2023-07-20 김정희 핸즈프리 타입의 헤어드라이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06849B1 (en) Portable blow dryer holder and associated method
US20130269205A1 (en) Hair dryer and smoother
AU2016101493A4 (en) Heated hair curling device with retainer arm
KR200481373Y1 (ko) 헤어드라이기
NL7902158A (nl) Handhaardroger.
KR200483729Y1 (ko) 헤어드라이기
US5857263A (en) Reconfigurable hair drying apparatus
US10006707B1 (en) Portable wig and cap drying stand for use with portable hairdryer
US8156951B2 (en) Pocket umbrella comprising a handle cover and a support for the telescopic tube
JP5021990B2 (ja) 改良されたコードガイドデバイスを有するプレスアイロン
US20210219695A1 (en) Hair-dryer air diffuser
CN111227476B (zh) 便捷电吹风机
JP2007319624A (ja) 物干カバー
JP2007117529A (ja) ハンガー
KR200483979Y1 (ko) 애완동물용 드라이 룸
JP2009125196A (ja) 衣料品乾燥具
JP2003199996A (ja) 衣類仕上げ装置
US10993518B2 (en) Hair-drying hood and hair treatment device including the same
CN115227019A (zh) 多用途吹风机
KR20150017572A (ko) 헤어 컬링용 기구
JP3192058U (ja) ヘアドライヤーの先端に着脱・収縮自在なヘッド体
JP7299660B2 (ja) 便利な電気ドライヤー
KR20170108911A (ko) 헤어드라이어 거치대
US20160113451A1 (en) Hand drying assembly
KR20160098798A (ko) 건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