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39371A - 헤어 드라이어용 부착물 - Google Patents

헤어 드라이어용 부착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39371A
KR20220039371A KR1020200122413A KR20200122413A KR20220039371A KR 20220039371 A KR20220039371 A KR 20220039371A KR 1020200122413 A KR1020200122413 A KR 1020200122413A KR 20200122413 A KR20200122413 A KR 20200122413A KR 20220039371 A KR20220039371 A KR 202200393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rical body
hair dryer
attachment
end cap
outle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24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64560B1 (ko
Inventor
진창수
Original Assignee
(주)샤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샤플 filed Critical (주)샤플
Priority to KR10202001224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4560B1/ko
Publication of KR202200393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93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45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45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0/00Hair drying devices; Accessories therefor
    • A45D20/04Hot-air producers
    • A45D20/08Hot-air producers heated electrically
    • A45D20/10Hand-held drying devices, e.g. air douches
    • A45D20/12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e.g. nozzles, stands

Landscapes

  • Cleaning And Drying H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헤어 드라이어용 부착물에 관합니다.
본 발명의 헤어 드라이어용 부착물(1)은, 원통형 바디(100)를 가지며, 이 원통형 바디(100)0의 한쪽 끝은 헤어 드라이어의 입구에 체결되어 헤어 드라이어에서 생성되는 바람을 원통형 바디(100) 안쪽으로 수용하는 주입부(200)이고, 원통형 바디(100)의 다른 쪽 끝은 막혀 있는 엔드 캡(300)입니다. 원통형 바디(100)의 표면에는 다수의 토출구(110)가 설치됩니다. 또한, 원통형 바디(100)의 길이방향에 수직인 단면의 직경은 원통형 바디(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엔드 캡(300)에 가까워질수록 작아지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바람직하게는 다수의 토출구(110)의 크기가 주입부(200)에 가까울수록 더 크게 할 수 있으며, 원통형 바디(100) 내면에 바람의 진행을 방해하는 방해 턱(120, 130)을 설치할 수 있습니다.

Description

헤어 드라이어용 부착물{ATTACHMENT FOR A HAIR DRYER}
본 발명은 헤어 드라이어의 입구에 부착해서 사용하는 부착물에 관한다.
사람들은 헤어 드라이어를 이용하여 헤어 스타일링을 한다. 이때 머리에 컬을 만들기 위한 목적으로 헤어 롤(hair roll)이 사용된다. 헤어 롤을 머리에 감아 놓은 다음 시간이 흐르면 머리에 컬이 생긴다. 헤어 드라이어를 이용해서 뜨거운 바람을 가하면 컬이 더 신속하고 자연스럽게 유지된다. 헤어 드라이어의 뜨거운 바람을 이용한 스타일링 기법을 핫 스타일링(hot styling)이라고 한다.
보통 헤어 롤은 원통형이다. 헤어 롤은 매우 저렴하고 그 사이즈(원통 단면의 직경)도 다양하다. 그래서 사람들은 일반적으로 다양한 사이즈의 헤어 롤을 사용한다. 종래에는 이러한 다양한 사이즈의 헤어 롤을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뜨거운 바람을 균일하게 전달할 수도 있는 수단이 알려지지 않았다.
본 발명의 발명자는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오랫동안 연구하고 노력한 끝에 본 발명의 헤어 드라이어용 부착물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의 목적은 헤어 드라이어의 입구에 장착되면서 또한 다양한 헤어 롤을 끼워서 사용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헤어 드라이어용 부착물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헤어 드라이어용 부착물은 핫 스타일링을 위한 도구이다. 또한 헤어 드라이어에서 발생된 바람과 열을 헤어 롤에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수단이다.
한편, 본 발명의 명시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하기의 상세한 설명 및 그 효과로부터 용이하게 추론 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추가적으로 고려될 것이다.
위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국면은 헤어 드라이어용 부착물로서:
상기 원통형 바디의 한쪽 끝은 헤어 드라이어의 입구에 체결되어 헤어 드라이어에서 생성되는 바람을 상기 원통형 바디 안쪽으로 수용하는 주입부이고, 상기 원통형 바디의 다른 쪽 끝은 막혀 있는 엔드 캡이며,
상기 원통형 바디의 표면에는 다수의 토출구가 설치되며,
상기 원통형 바디의 길이방향에 수직인 단면의 직경은 상기 원통형 바디의 길이방향을 따라 엔드 캡에 가까워질수록 작아지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어느 실시예에 따른 헤어 드라이어용 부착물에 있어서, 상기 토출구의 크기는 상기 주입부와 가까울수록 더 커서 토출되는 바람의 양을 증가시키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어느 실시예에 따른 헤어 드라이어용 부착물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 바디는 길이방향을 따라 적어도 2개의 영역으로 구별되며, 상기 주입부에 가까운 영역에 설치된 토출구들의 크기가 상기 엔드 캡에 가까운 영역에 설치된 토출구들의 크기보다 더 크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어느 실시예에 따른 헤어 드라이어용 부착물에 있어서, 상기 토출구는 상기 원통형 바디의 표면의 둘레방향 및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설치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제2국면은 헤어 드라이어용 부착물로서:
원통형 바디를 가지며,
상기 원통형 바디의 한쪽 끝은 헤어 드라이어의 입구에 체결되어 헤어 드라이어에서 생성되는 바람을 상기 원통형 바디 안쪽으로 수용하는 주입부이고, 상기 원통형 바디의 다른 쪽 끝은 막혀 있는 엔드 캡이며,
상기 원통형 바디의 표면에는 다수의 토출구가 설치되며,
상기 원통형 바디는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의 영역으로 구별되고, 상기 주입부의 주입구에서 바라볼 때, 상기 엔드 캡에 가까운 영역일수록 원통형 바디의 내면이 상기 주입부에 가까운 영역에 비해 통로방향으로 더 돌출되도록 하여, 돌출된 내면에 의해 생기는 경계 부근의 테두리가 주입구로부터 엔드 캡을 향해 직진하는 바람을 방해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어느 실시예에 따른 헤어 드라이어용 부착물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 바디의 길이방향에 수직인 단면의 직경은 상기 원통형 바디의 길이방향을 따라 엔드 캡에 가까워질수록 작아지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어느 실시예에 따른 헤어 드라이어용 부착물에 있어서, 상기 주입부에 가까운 영역에 설치된 토출구들의 크기가 상기 엔드 캡에 가까운 영역에 설치된 토출구들의 크기보다 더 큰 것이 좋다.
이러한 본 발명의 헤어 드라이어용 부착물은 헤어 드라이어의 주입구에 장착된다. 또한 헤어 드라이어용 부착물은 헤어 롤 안으로 삽입되어 사용된다. 결과적으로 헤어 드라이어용 부착물은 헤어 드라이어에서 발생되는 바람과 열을 헤어 롤로 전달함으로써 사용자들의 헤어 스타일링을 도와준다.
본 발명의 헤어 드라이어용 부착물은 다양한 사이즈의 헤어 롤에 사용될 수 있어서 범용성 면에서 뛰어나다. 또한 엔드 캡 부근에서 배출되는 바람의 양 못지 않게 주입구에 가까운 곳에서도 많은 양의 수평 바람을 유도할 수 있는 탁월한 장점이 있다.
한편, 여기에서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효과라 하더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에 의해 기대되는 이하의 명세서에서 기재된 효과 및 그 잠정적인 효과는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된 것과 같이 취급됨을 첨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어느 실시예에 따른 헤어 드라이어용 부착물(1)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헤어 드라이어용 부착물(1)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헤어 드라이어용 부착물(1)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헤어 드라이어용 부착물(1)에 관하며, 내부 통로로 진행하는 바람의 방향을 내면에서 방해하는 방해 턱(120, 13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헤어 드라이어용 부착물의 단면 구조를 나타낸다.
※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에 대한 이해를 위하여 참조로서 예시된 것임을 밝히며, 그것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는 아니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가 안내하는 본 발명의 구성과 그 구성으로부터 비롯되는 효과에 대해 살펴본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에 대하여 이 분야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발명자가 처음으로 제작을 시도한 헤어 드라이어용 부착물(1)의 모형이었다.
도 1(a) 및 도 1(b)에 나타난 것처럼 헤어 드라이어용 부착물(1)은 원통형 바디(100), 주입부(200) 및 엔드 캡(300)으로 이루어졌다. 원통형 바디(100)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플라스틱 혹은 금속 부재이며, 그 내부는 비어 있다. 주입부(200)는 원통형 바디(100)의 한쪽 끝 부분이다. 원통형 바디(100)가 연속하여 이어지면서 주입부(200)의 플랜지(210)를 형성한다. 주입부(200)는 헤어 드라이어(미도시)의 입구에 체결된다. 주입부(200)를 나사식으로 돌리는 방식으로 헤어 드라이어용 부착물(1)을 헤어 드라이어에 장착할 수 있다. 혹은 슬라이딩하여 끼움으로써 헤어 드라이어용 부착물(1)을 헤어 드라이어의 입구에 장착할 수 있다. 그러면 헤어 드라이어에서 발생하는 바람이 주입구(220)를 통해 원통형 바디(100) 안쪽으로 전달된다.
엔드 캡(300)은 원통형 바디(100)의 다른 쪽 끝 부분이다. 엔드 캡(300)은 원통형 바디(100)를 밀봉한다. 즉, 원통형 바디(100)의 주입부(300) 반대쪽은 막혀 있다. 이 엔드 캡(300) 때문에 주입된 바람은 토출구(110)들을 통해 배출된다.
원통형 바디(100)의 표면에는 다수의 토출구(110)들이 원통형 바디(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도면에는 원형의 토출구(110)가 설치되어 있지만, 반드시 원형이 아니어도 좋다. 도시되어 있는 것처럼, 원통형 바디(100)의 길이방향뿐만 아니라 둘레방향을 따라 토출구(110)들이 설치되는 것이 좋다. 즉 토출구(110)들은 원통형 바디(100)의 표면에 행렬로 배열되어 있다.
토출구(110)들의 기능은 주입구(220)로부터 주입되는 헤어 드라이어의 바람을 바깥으로 배출하는 것이다. 헤어 드라이어의 강한 바람은 원통형 바디(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화살표 "X" 방향으로 직진할 것이다. 그러나 엔드 캡(300)에 의해 바람은 막히며, 막힌 바람은 자연스럽게 토출구(110)들에 원통형 바디(110) 바깥으로 배출된다.
그런데 본 발명의 발명자는 도 1(a)의 물리적 구조에서 기술적인 단점을 발견했다. 둘레방향으로 토출구(110)들을 통해 배출되는 바람의 세기(WF)가 문제였다.
도 1(b)는 도 1(a)의 헤어 드라이어용 부착물(1)을 길이방향의 A-A' 선을 기준으로 바라본 도면이다. 측면으로 배출되는 바람의 세기(WF)가 엔드 캡(300)에 가까울수록 강했다. 즉, 주입부(200)에 가까울수록 바람의 세기(WF)가 약해졌다. 헤어 드라이어에서 주입되는 바람은 빠른 속도로 화살표 "X" 방향으로 직진한다. 그러면 엔드 캡(300)에 의해 막힌 바람은 자연스럽게 엔드 캡(300)에 가까운 토출구(110)들에서 먼저 배출된다. 그렇기 때문에 엔드 캡(300)에서 멀어질수록 배출되는 바람의 양이 줄어든다.
본 실시예에서 헤어 드라이어용 부착물(1)의 단면 직경이 동일하기 때문에 그 직경보다 큰 내경을 갖는 헤어 롤에 사용하기 어렵다는 단점도 발생했다. 헤어 롤 안으로 부착물(1)을 삽입할 때, 헤어 롤의 내경이 크면 원통형 바디(100)이 직경보다 더 크다면, 헤어 롤의 내면과 부착물(1)의 표면이 서로 밀착하지 않기 때문에 헐렁해져서 사용하기 불편해진다.
본 발명의 발명자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목적으로 도 1의 헤어 드라이어용 부착물(1)의 물리적 구조를 개선하기 위해 노력했다. 예컨대 도 2 및 도 3의 부착물(1)과 같다. 비록 형상과 구조에서 차이가 있지만 그 본질적인 기능이 동일하기 때문에 도면부호도 도 1과 동일하게 사용했다.
이 실시예는 도시되어 있는 것처럼, 원통형 바디(100)의 길이방향에 수직인 단면의 직경에 차이를 둔다. 즉, 원통형 바디(100)에 구배를 두는 것이다. 원통형 바디(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엔드 캡(300)에 가까워질수록 단면의 직경이 작아지도록 한다. 즉, 원통형 바디(100)에 구배를 두는 것이다. 본 실시예의 주입부 플랜지(210)의 너비는 도 1의 주입부 플랜지(210)의 너비보다 좁다. 이와 같은 구성함으로써 다양한 크기의 헤어 롤을 끼워서 사용하기에 좋다. 만약 엔드 캡(300)의 직경보다는 크고 주입부 플랜지(210)의 직경보다 작은 내경을 갖는 헤어 롤이라면, '모두' 본 발명의 부착물(1)에 끼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토출구(110)의 크기가 주입부(200)에 가까울수록 더 커지도록 해서 주입부 근방에서 토출되는 바람의 양을 증가시키도록 한다. 이러한 물리적 구조만으로도 주입부(200)에 가까운 부분에서의 토출량을 도 1의 경우보다 개선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원통형 바디(100)를 길이방향을 따라 적어도 2개의 영역 이상으로 구별해서, 각 영역마다 토출구(110)의 크기를 다르게 할 수 있다. 영역이 동일하다면 토출구(110)들의 크기가 같다. 영역이 상이하다면 토출구(110)들의 크기도 달라진다.
도 3의 실시예에서는 I, II, III로 세 가지 영역으로 원통형 바디(100)를 구별했다. 주입부(200)에 가장 가까운 영역인 I 영역의 원통형 바디(100)에 설치된 토출구(110)들의 크기가 가장 크다. 다음으로 II 영역의 원통형 바디(100)에는 I 영역의 토출구(110)들보다 그 크기가 더 작아진 토출구(110)들이 설치된다. 그 다음으로 III 영역의 원통형 바디(100)에는 II 영역의 토출구(110)들보다 그 크기가 더욱 작아진 토출구(110)들이 설치된다. 결과적으로 엔드 캡(300)에 가까운 영역에 설치된 III 영역의 토출구(110)들의 크기가 가장 작다. 전술한 것처럼 바람의 크기(WF)는 III 영역에서 가장 크다. 그렇기 때문에 부착물의 토출구(110)에서 배출되는 바람의 크기를 골고루 분산시키기 위해서는 III 영역의 토출구(110)의 크기를 가장 작게 구성하는 것이 좋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이 실시예는 헤어 드라이어용 부착물(1) 내부에 엔드 캡(300)을 향해 직진하는 바람을 방해하는 방해 턱(120, 130)을 설치되는 구조를 제시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토출구는 도면에 나타내지 않았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원통형 바디(100)는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의 영역으로 구별된다. 도시 예에서는 I, II, III 영역으로 구별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영역이 바뀔 때에 방해 턱(120, 130)을 설치한다. 부착물 내부(101)의 I 영역에서 II 영역의 경계 부근에 방해 턱(120)을 설치한다. 그러면 I 영역의 원통형 바디(100)의 내면에 근접하는 가장자리 부근에서 전진하는 바람은 이 방해 턱(120)에 막혀서 엔드 캡 쪽으로 전진하지 못한다. 그러면 그 바람은 I 영역에 설치된 토출구들을 통해 배출될 가능성이 더 커진다. 마찬가지로 부착물 내부(101)의 II 영역에서 III 영역의 경계 부근에 방해 턱(130)을 설치한다. 그러면 II 영역의 원통형 바디(100)의 내면에 근접하는 가장자리 부근에서 전진하는 바람은 이 방해 턱(130)에 막혀서 엔드 캡 쪽으로 전진하지 못한다. 그러면 그 바람은 II 영역에 설치된 토출구들을 통해 배출될 가능성이 더 커진다.
상기 방해 턱(120, 130)을 설치하는 여러 방법이 있을 것이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영역들의 경계 부근에서만 방해 턱 부재가 통로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설치할 수 있다. 즉, 경계 부근에서만 내부 공간의 테두리로 방해 턱 부재가 돌출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 경계 부분이 아닌 나머지 영역에서는 원통형 바디(100)의 두께는 동일할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는 원통형 바디(100)의 두께를 다르게 할 수 있다. 이것이 도 4의 실시예이다. 도 4는 원통형 바디(100)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보여주었다. I 영역의 원통형 바디(100)의 두께보다는 II 영역의 원통형 바디(100)의 두께를 더 크게 한다. 경계 부근에서 II 영역의 원통형 바디(100)의 내면이 I 영역의 원통형 바디(100)의 내면보다 통로방향으로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도시되어 있는 것처럼 원통형 바디(100)의 두께 차이가 발생한다.
원통형 바디(100)는 내부가 비어 있는 원통 모양이므로, 주입구(220)에서 엔드 캡(300)을 바라볼 때, 방해 턱(120)은 I 영역과 II 영역의 경계 부근에서 통로방향으로 돌출하여 형성된 원형의 테두리와 같다. 마찬가지로 주입구(220)에서 엔드 캡(300)을 바라볼 때, 방해 턱(130)은 II 영역과 III 영역의 경계 부근에서 통로방향으로 돌출하여 형성된 원형의 테두리와 같다. 이들 테두리가 내면 부근의 바람의 전진을 방해한다. 테두리들에 막힌 바람은 그 경계 부근의 바로 앞 영역의 토출구를 통해 배출될 가능성이 커진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헤어 드라이어용 부착물(1)의 단면 형태를 예시한다. 다음과 같은 구성이 적용되었다.
(1) 원통형 바디(100)는 엔드 캡(300)으로 접근할수록 단면의 직경이 작아진다. 이로써 원통형 바디(100)의 형태는 구배를 갖는다.
(2) 원통형 바디(100)은 복수의 영역으로 구별되어 있다. 도시 예에서는 3가지 영역으로 구별된다.
(3) 토출구(110)들의 집합은 영역에 의해 구별된다. 같은 영역에 소속된 토출구(110)들의 크기는 서로 동일한 것이 좋다. 그러나 영역이 달라지면 토출구(110)들의 크기가 달라진다. 결과적으로 주입구(220)에 인접한 영역의 둘레방향 1행의 토출구(110)들의 크기는 엔드 캡(300)에 인접한 영역의 둘레방향1행의 토출구(110)들의 크기보다 더 크다.
(4) 원통형 바디(100)의 내면에는 복수의 방해 턱(120, 130)이 설치된다. 이 방해 턱(120, 130)은 주입구에서 바라봤을 때 바람이 지나가는 통로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원형의 테두리 형태가 된다. 내면에 근접하는 위치에서 직진하는 바람을 방해하고, 이로써 주입구 쪽 토출구(110)들로 배출되는 바람의 양을 크게 한다. 바람직하게는 각 영역의 경계 부근에 방해 턱이 설치되는 것이 좋지만, 꼭 그래야만 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은 도 5의 실시예의 헤어 드라이어용 부착물에서는 헤어 드라이어에서 주입되고 토출구(110)들을 통해 배출되는 바람의 크기(WF)를 부착물의 길이방향을 따라 동등하게 유지해준다.
이상에서 명시적으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와 표현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자명한 변경이나 치환으로 말미암아 본 발명이 보호범위가 제한될 수도 없음을 다시 한번 첨언한다.

Claims (7)

  1. 원통형 바디를 가지며,
    상기 원통형 바디의 한쪽 끝은 헤어 드라이어의 입구에 체결되어 헤어 드라이어에서 생성되는 바람을 상기 원통형 바디 안쪽으로 수용하는 주입부이고, 상기 원통형 바디의 다른 쪽 끝은 막혀 있는 엔드 캡이며,
    상기 원통형 바디의 표면에는 다수의 토출구가 설치되며,
    상기 원통형 바디의 길이방향에 수직인 단면의 직경은 상기 원통형 바디의 길이방향을 따라 엔드 캡에 가까워질수록 작아지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 드라이어용 부착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구의 크기는 상기 주입부와 가까울수록 더 커서 토출되는 바람의 양을 증가시키는 것인, 헤어 드라이어용 부착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 바디는 길이방향을 따라 적어도 2개의 영역으로 구별되며, 상기 주입부에 가까운 영역에 설치된 토출구들의 크기가 상기 엔드 캡에 가까운 영역에 설치된 토출구들의 크기보다 더 큰, 헤어 드라이어용 부착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구는 상기 원통형 바디의 표면의 둘레방향 및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설치되는 것인, 헤어 드라이어용 부착물.
  5. 원통형 바디를 가지며,
    상기 원통형 바디의 한쪽 끝은 헤어 드라이어의 입구에 체결되어 헤어 드라이어에서 생성되는 바람을 상기 원통형 바디 안쪽으로 수용하는 주입부이고, 상기 원통형 바디의 다른 쪽 끝은 막혀 있는 엔드 캡이며,
    상기 원통형 바디의 표면에는 다수의 토출구가 설치되며,
    상기 원통형 바디는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의 영역으로 구별되고, 상기 주입부의 주입구에서 바라볼 때, 상기 엔드 캡에 가까운 영역일수록 원통형 바디의 내면이 상기 주입부에 가까운 영역에 비해 통로방향으로 더 돌출되도록 하여, 돌출된 내면에 의해 생기는 경계 부근의 테두리가 주입구로부터 엔드 캡을 향해 직진하는 바람을 방해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 드라이어용 부착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 바디의 길이방향에 수직인 단면의 직경은 상기 원통형 바디의 길이방향을 따라 엔드 캡에 가까워질수록 작아지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헤어 드라이어용 부착물.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부에 가까운 영역에 설치된 토출구들의 크기가 상기 엔드 캡에 가까운 영역에 설치된 토출구들의 크기보다 더 큰, 헤어 드라이어용 부착물.
KR1020200122413A 2020-09-22 2020-09-22 헤어 드라이어용 부착물 KR1024645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2413A KR102464560B1 (ko) 2020-09-22 2020-09-22 헤어 드라이어용 부착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2413A KR102464560B1 (ko) 2020-09-22 2020-09-22 헤어 드라이어용 부착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9371A true KR20220039371A (ko) 2022-03-29
KR102464560B1 KR102464560B1 (ko) 2022-11-09

Family

ID=809958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2413A KR102464560B1 (ko) 2020-09-22 2020-09-22 헤어 드라이어용 부착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456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0084B1 (ko) * 2023-08-17 2023-12-05 서정섭 헤어 컬링용 툴
EP4353122A1 (fr) 2022-10-11 2024-04-17 Babyliss Faco SRL Accessoire de bouclage de mèches de cheveux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61910A (en) * 1995-12-21 1997-09-02 Vital Hair Tools, Llc Hand held blow dryer having airflow control means
US20040088878A1 (en) * 2002-11-07 2004-05-13 Wahl Clipper Corporation Hair dryer and attachment system
US20050102782A1 (en) * 2001-10-15 2005-05-19 Mcentyre Sally M. Ultimate brush
KR200424576Y1 (ko) * 2006-06-13 2006-08-22 이형영 가변 송풍관을 갖춘 헤어드라이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61910A (en) * 1995-12-21 1997-09-02 Vital Hair Tools, Llc Hand held blow dryer having airflow control means
US20050102782A1 (en) * 2001-10-15 2005-05-19 Mcentyre Sally M. Ultimate brush
US20040088878A1 (en) * 2002-11-07 2004-05-13 Wahl Clipper Corporation Hair dryer and attachment system
KR200424576Y1 (ko) * 2006-06-13 2006-08-22 이형영 가변 송풍관을 갖춘 헤어드라이어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353122A1 (fr) 2022-10-11 2024-04-17 Babyliss Faco SRL Accessoire de bouclage de mèches de cheveux
WO2024078781A1 (fr) 2022-10-11 2024-04-18 Babyliss FACO SRL Accessoire de bouclage de mèches de cheveux
KR102610084B1 (ko) * 2023-08-17 2023-12-05 서정섭 헤어 컬링용 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64560B1 (ko) 2022-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64560B1 (ko) 헤어 드라이어용 부착물
US9578945B2 (en) Hair dryer pik attachment
KR100993921B1 (ko) 헤어드라이어
EP0791290B1 (en) Regulated flow-restrictor device for drip irrigation
ES2384658T3 (es) Dispositivo de alisado del cabello
CN107074002A (zh) 笔及笔用笔芯
KR950704164A (ko) 저 체결력 케이블타이(low thread force cable tie)
US5845656A (en) Appliance for hair styling and/or hair drying
ITTO20110362A1 (it) Gruppo ventilatore per veicoli
CN107224076A (zh) 一种用于手持式器具的附件
BRPI0507066B1 (pt) Combustion cables on the background of a symbol for a diesel engine
Crouzeix et al. Spectral sets: numerical range and beyond
JP2008200429A (ja) ヘアドライヤーのフード
EP0477316A1 (en) Writing instrument cap
ES2828301T3 (es) Dispositivo y método para fijar y sellar un pasador de conductos en un orificio pasante de una pared de edificio
TWI602625B (zh) 遮護器與滾子設備
ITBO20000013A1 (it) Casco aerodinamico in particolare per l' attivita' sciistica .
JP7223484B2 (ja) アタッチメント、及び、気流の吹き出し口構造
KR101177052B1 (ko) 통기식 회전 건조기용 열풍 공급장치
US11453248B2 (en) Vehicle tire
ES2254529T3 (es) Dispositivo de extrusion para fabricar un producto a base de una mezcla de caucho.
US20170183849A1 (en) Fluid restriction nozzle for hand washing
KR101077223B1 (ko) 헤어 드라이어의 온풍 유도장치
ES2929761T3 (es) Dispositivo para secar un material de impresión provisto de tinta
US5165430A (en) Hair clasp constru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