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1586Y1 - 용기 안전캡 - Google Patents

용기 안전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1586Y1
KR200421586Y1 KR2020060007732U KR20060007732U KR200421586Y1 KR 200421586 Y1 KR200421586 Y1 KR 200421586Y1 KR 2020060007732 U KR2020060007732 U KR 2020060007732U KR 20060007732 U KR20060007732 U KR 20060007732U KR 200421586 Y1 KR200421586 Y1 KR 20042158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opening
thread
container
containe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773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주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태평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태평양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태평양
Priority to KR202006000773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158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158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158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0Closures with means for discouraging unauthorised opening or removal thereof, with or without indicating means, e.g. child-proof closures
    • B65D50/02Closures with means for discouraging unauthorised opening or removal thereof, with or without indicating means, e.g. child-proof closures openable or removable by the combination of plural actions
    • B65D50/04Closures with means for discouraging unauthorised opening or removal thereof, with or without indicating means, e.g. child-proof closures openable or removable by the combination of plural actions requiring the combination of simultaneous actions, e.g. depressing and turning, lifting and turning, maintaining a part and turning another o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0Closures with means for discouraging unauthorised opening or removal thereof, with or without indicating means, e.g. child-proof closures
    • B65D50/02Closures with means for discouraging unauthorised opening or removal thereof, with or without indicating means, e.g. child-proof closures openable or removable by the combination of plural actions
    • B65D50/06Closures with means for discouraging unauthorised opening or removal thereof, with or without indicating means, e.g. child-proof closures openable or removable by the combination of plural actions requiring the combination of different actions in succes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각종 내용물이 수용되는 용기에 장착되어 수용된 내용물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캡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외주면에 서로 다른 외경의 왼나사산과 오른나사산이 서로 이웃하도록 상,하에 배치 형성되어 있는 개구부에 내경으로 개구부의 왼나사산에 체결되어지는 왼나사산을 상부에 가지고 있고, 왼나사산으로 부터 일정 거리를 갖고 오른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캡을 장착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써, 캡을 용기몸체의 개구부에 장착 분리할 때 나사산에 따라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시켜야만 분리,장착이 가능함에 따라 분별력이 떨어지는 어린아이들이 캡을 쉽게 열어 발생할 수 있는 내용물의 낭비는 물론 아이들을 인체에 유해한 내용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고안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용기몸체에 대하여 캡이 나사식 장착되는 용기에 있어서,
용기몸체(10)의 상부로 형성되는 개구부(11) 외주면에 서로 다른 외경을 가지는 왼나사산(12)과 오른나사산(13)이 서로 이웃하도록 상,하로 배치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개구부(11)의 왼나사산(12)과 오른나사산(13)의 외경과 대응하는 내경의 왼나사산(22)과 오른나사산(23)이 내주면(21)상에 일정 간격을 갖고 이격 형성되어 있는 캡(20)이 장착된 용기 안전캡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는 것이다.
용기몸체, 개구부, 왼나사산, 오른나사산, 캡, 관체

Description

용기 안전캡{ Safety cap of case}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안전 용기의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안전 용기의 분리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안전용기의 용기몸체에 캡을 시계방향(캡을 위에서 아래로 바라볼 때)으로 회전시켜 체결하는 과정을 보인 예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안전용기의 용기몸체에 캡을 반시계방향(캡을 위에서 아래로 바라볼 때)으로 회전시켜 완전하게 체결한 상태의 예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안전용기의 캡을 시계방향(캡을 위에서 아래로 바라볼 때)으로 회전시켜 용기몸체로부터 풀어내더라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야 풀어지는 오른나사산에 의해 풀림이 방지되는 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용기몸체 11 : 개구부
12 : 왼나사산 13 : 오른나사산
20 : 캡 21 : 내주면
22 : 왼나사산 23 : 오른나사산
24 : 관체
본 고안은 각종 내용물이 수용되는 용기에 장착되어 수용된 내용물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캡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외주면에 서로 다른 외경의 왼나사산과 오른나사산이 서로 이웃하도록 상,하에 배치 형성되어 있는 개구부에 내경으로 개구부의 왼나사산에 체결되어지는 왼나사산을 상부에 가지고 있고, 왼나사산으로 부터 일정 거리를 갖고 오른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캡을 장착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써, 캡을 용기몸체의 개구부에 장착 분리할 때 나사산에 따라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시켜야만 분리,장착이 가능함에 따라 분별력이 떨어지는 어린아이들이 캡을 쉽게 열어 발생할 수 있는 내용물의 낭비는 물론 아이들을 인체에 유해한 내용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고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용기몸체에 내용물을 수용한 상태에서 수용된 내용물을 보호할 목적으로 캡을 사용하게 된다.
상기 용기몸체에 장착되는 캡은 주로 통상의 나사결합방식에 의해 열고 닫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통상의 나사결합방식에 의해 캡을 분리,장착할 수 있도록 된 용기는 누구나가 쉽게 개방할 수 있어 분별력이 떨어지는 어린아이들도 쉽게 열수 있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상기와 같이 캡의 개방이 용이함에 따라 분별력이 떨어지는 어린아이들에 의한 내용물 낭비는 물론 인체에 유해한 내용물로부터 어린아이들을 보호할 수 없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전술한 일반적인 나사결합식 캡을 가지는 용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이 안전 캡이다.
대표적인 종래 안전 캡으로는 내캡과 외캡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내캡의 상면에 걸림요홈이 일정간격을 갖고 형성되어 있고, 외캡의 내저면에는 상기의 내캡에 형성된 걸림요홈에 위치하여 내캡을 잠그거나 풀수 있도록 하는 걸림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안전 캡은 용기로부터 안전 캡을 열고 닫을 때 외캡의 윗면을 눌러 상기 외캡의 내저면에 형성된 걸림돌기가 내캡의 상면에 형성된 걸림요홈에 위치하도록 한 상태에서 돌려야만 개폐되는 구조이어서 아이들이 쉽게 캡의 열수 없고, 내용물의 훼손이나 낭비를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상기의 안전 캡은 이중 구조로 이루어져 있을 뿐만 아니라, 구조가 복잡하여 생산에 따른 제조 원가가 상승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고안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내용물을 배출 사용할 수 있도록 용기몸체의 상부에 형성되는 개구부의 외주면에 서로 다른 외경의 왼나사산과 오른나사산이 서로 이웃하도록 상,하에 배치 형성하고, 상기 개구부의 왼나사산과 오른나사산에 대응하는 내경의 왼나사산과 오른나사산이 캡의 내주면상에 일정 간격을 갖고 이격 형성되어 있는 것이어서 캡을 개폐할 때 서로 다른 방향(시계방향,반시계방향)으로 회전을 시켜야만 캡의 개폐가 가능한 것 이어서 캡을 쉽게 열수 없도록 하였고, 특히 분별력이 떨어지는 아이들이 캡을 열어 내용물을 낭비하게 되는 문제를 해소하였을 뿐만 아니라, 어른들의 보호로부터 벗어나 있는 상태에서 아이들이 캡을 열어 인체에 유해한 내용물을 먹게 되는 폐단을 해소시킨 용기 안전캡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용기몸체에 대하여 캡이 나사식 장착되는 용기에 있어서,
용기몸체(10)의 상부로 형성되는 개구부(11) 외주면에 서로 다른 외경을 가지는 왼나사산(12)과 오른나사산(13)이 서로 이웃하도록 상,하로 배치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개구부(11)의 왼나사산(12)과 오른나사산(13)의 외경과 대응하는 내경의 왼나사산(22)과 오른나사산(23)이 내주면(21)상에 일정 간격을 갖고 이격 형성되어 있는 캡(20)이 장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안전캡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 내지 도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용기 안전캡은, 내용물이 수용되는 용기몸체(10)와; 상기 용기몸체(10)에 장착되는 캡(20)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용기몸체(10)는, 내용물을 꺼내 사용할 수 있도록 된 개구부(11)가 상부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개부구(11)의 외주면에는 왼나사산(12)과 오른나사산(1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왼나사산(12)은 개구부(11)의 외주면 상부에 작은 외경을 가지고 형성되어 있고, 오른나사산(13)은 왼나사산(12) 보다 큰 외경을 이루며 형성되어 있다.
상기 왼나사산(12)과 오른나사산(13)은 서로 이웃하여 상,하로 배치 형성되어진다.
상기의 왼나사산(12)과 오른나사산(13)이 형성되어 있는 개구부에 장착되어지는 캡(20)은, 내주면(21) 내측으로 개구부(11)의 왼나사산(12) 외경과 대응하는 내경을 가지는 왼나사산(2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캡(20)의 왼나사산(22)으로부터 일정 거리로 이격된 지점의 내주면(11)에 상기 개구부(11)의 외주면에 형성된 오른나사산(13)의 외경과 대응하는 내경을 가지는 오른나사산(2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캡(20)의 내저면 중앙에는 개구부(11)의 내부로 위치하여 캡(20)이 1차적으로 풀린 상태에서 용기몸체에 수용된 내용물이 흘러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관체(2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관체(24)는 캡(20)의 왼나사산(22)이 용기몸체(10)의 왼나사산(12)으로부터 풀린 상태에서 캡(20)을 당겨 올려 캡(20)의 오른나사산(23)에 개구부(11)의 오른나사산(13)에 걸림 위치하였을 때 개구부(11)로부터 완전하게 벗어나지 않는 길이를 가지는 것이다.(도5참조)
전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용기 안전캡을 용기몸체(10)에 수용되 어 있는 내용물을 보호할 수 있도록 장착할 때에는 캡(20)의 내주면(21)에 형성된 오른나사산(23)이 용기몸체(10)의 상부로 형성된 개구부(11)의 오른나사산(13)과 먼저 접촉되어지게 되고, 캡(20)의 오른나사산(23)이 개구부(11)의 오른나사산(13)과 접촉되어진 상태에서 캡(20)을 시계방향(캡을 위에서 바라 보았을때)으로 회전시키면, 캡(20)의 오른나사산(23)이 개구부(11)에 형성된 오른나사산(13)을 따라 도3에서와 같이 1차적으로 장착되어 진다.
상기 캡(20)의 오른나사산(23)이 개구부(11)의 오른나사산(13)에 체결되어 상기 개구부(11)의 오른나사산(13)을 지나친 상태에서 캡(20)을 아래로 누르면, 캡의 내주면(21) 내측으로 형성된 왼나사산(22)이 개구부(11)의 왼나사산(12)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캡(20)의 왼나사산(22)이 개구부(11)의 왼나사산(12)에 위치한 상태에서 캡(20)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캡(20)의 왼나사산(22)이 개구부(11)의 왼나사산(12)에 도4에서와 같이 장착되어져 캡(20)의 장착이 완료되어 지게 되고, 상기와 같이 캡(20)이 용기몸체(10)에 장착 완료되어짐으로써, 상기 용기몸체(10)에 수용된 내용물을 안전하게 보관할 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의 캡(20)에 의해 보호되어진 용기몸체(10) 내의 내용물을 사용하고자 할 때에는 개구부(11)의 왼나사산(12)에 캡(20)의 왼나사산(22)을 체결할 때의 반대 방향(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1차적으로 풀어낸 후, 캡(20)을 위로 당긴 상태에서 개구부(11)의 오른나사산(13)에 캡(20)의 오른나사산(23)을 체결할 때의 반대 방향(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의 캡(20)을 분리해 내게 되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작동에 의해 캡(20)이 분리 장착되어지는 것이어서 분별력이 떨어지는 어린아이들이 왼나사산((12)(22)을 풀어 내더라도 왼나사산(12)(22)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야만 분리가 가능하도록된 오른나사산(13)(23)를 가짐에 따라 쉽게 분리해 낼 수 없게 되는 것이다.(도5참조)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용기 안전캡은, 내용물을 배출 사용할 수 있도록 용기몸체(10)의 상부에 형성되는 개구부(11)의 외주면에 서로 다른 외경의 왼나사산(12)과 오른나사산(13)이 서로 이웃하도록 상,하에 배치 형성되어 있고, 그 왼나사산(12)과 오른나사산(13)의 외경에 대응하는 내경의 왼나사산(22)과 오른나사산(23)을 내주면(21)상에 일정 간격을 갖도록 이격 형성되어 있는 캡(20)을 장착 함에 따라 캡(20)을 쉽게 열수 없도록 하였고, 특히 분별력이 떨어지는 아이들이 캡(20)을 열어 내용물을 낭비하게 되는 문제를 해소하였을 뿐만 아니라, 어른들의 보호로부터 벗어나 있는 상태에서 아이들이 캡을 열어 인체에 유해한 내용물을 먹게 되는 폐단을 해소시킨 이점을 가지고 있다.

Claims (3)

  1. 용기몸체에 대하여 캡이 나사식 장착되는 용기에 있어서,
    용기몸체(10)의 상부로 형성되는 개구부(11) 외주면에 서로 다른 외경을 가지는 왼나사산(12)과 오른나사산(13)이 서로 이웃하도록 상,하로 배치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개구부(11)의 왼나사산(12)과 오른나사산(13)의 외경과 대응하는 내경의 왼나사산(22)과 오른나사산(23)이 내주면(21)상에 일정 간격을 갖고 이격 형성되어 있는 캡(20)이 장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안전캡.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몸체(10)의 개구부(11) 외주면에 형성되는 왼나사산(12)은 오른나사산(12)의 외경보다 작은 외경을 가지는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11)에 장착되는 캡(20)의 내부면(21)에 형성된 왼나사산(22)은 상기 개구부(11)의 왼나사산(12)의 외경에 대응하는 내경을 가지고, 오른나사산(23)은 상기 개구부(11)의 오른나사산(13)의 외경에 대응하는 내경을 갖고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안전캡.
  3. 제1항 내지 제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 상기 캡(20)의 내저면 중앙에는 용기몸체(10)의 개구부(11) 내측으로 위치하는 관체(24)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용기 안전캡.
KR2020060007732U 2006-03-23 2006-03-23 용기 안전캡 KR20042158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7732U KR200421586Y1 (ko) 2006-03-23 2006-03-23 용기 안전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7732U KR200421586Y1 (ko) 2006-03-23 2006-03-23 용기 안전캡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1586Y1 true KR200421586Y1 (ko) 2006-07-14

Family

ID=417702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7732U KR200421586Y1 (ko) 2006-03-23 2006-03-23 용기 안전캡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158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70664A (en) One piece child resistant cap
US4709822A (en) Bottle cap with seal cutter in top recess
WO2013082833A1 (zh) 容器的安全密封盖
US20090223985A1 (en) Closure with split securing walls
ES2860977T3 (es) Cierre de cuentagotas a prueba de niños
JP6634228B2 (ja) 中栓と外蓋とを具備する容器蓋
JP2014101137A (ja) キャップ及びそれを備えた容器
TWI772440B (zh) 揮發容器
ES2825624T3 (es) Aireador resistente a manipulación de doble actuación y sistema de aireador
BR112018012730B1 (pt) Cápsula de fechamento, sistema, método para abrir um recipiente e método para montar uma cápsula de fechamento
KR200422318Y1 (ko) 용기 안전캡
WO2013149500A1 (zh) 一种瓶盖装置
US4106651A (en) Left and right handed child-resistant safety cap
GB2549349A (en) Disposable E-liquid bottle
KR200421586Y1 (ko) 용기 안전캡
KR100646378B1 (ko) 안전용기
JP6534501B2 (ja) 合成樹脂製容器蓋
JP4122847B2 (ja) 不正開封防止キャップ
NO173382B (no) Beholder med skrukapsel
KR200441176Y1 (ko) 화장품 안전 용기
JP2012126429A (ja) キャップ付き容器
KR200410032Y1 (ko) 접착제용 용기
KR200383084Y1 (ko) 안전용기
KR200437010Y1 (ko) 안전뚜껑을 구비한 화장품 용기
KR200449511Y1 (ko) 용기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7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